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徐景魯【連燮】序 騫騰乎名利之路。舞蹈乎酒肉之肆。今世人靡不落其臼。此時見子負笈余。嗚呼。子有取何取逐余。來歲除隔近。計爲歸覲。臨別無言。決非奬後進。事警世文。初學法門。俾子謄。去子歸。母以言出余。卽此求之餘師此在矣。子其銘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丁貫中【執】序 貫中數來從我。何見之早也。齒甫踰冠。何誠之超也。距又宿舂。又知其不易也。嗟。彼世之人。面前縱有好田地。而迄至老死。有不曾夢到其域者矣。隣比或有先進人。而妄恃已長。有不曾一就其門者矣。嗚呼。貫中脫乎皆免矣。可愛可愛。然進銳退速。鄒賢之戒。未嘗不慮。且世路東西多岐。貫中其竟能硬着箚住。砥柱吾道耶。其行也書以問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重庵金丈【丁亥】 老物未死。子元未老。期必一敍。此先生臨別時。語趁此未溘。可一渡錦水。此先生還宅後。書右二段。此漢靡日不諷誦咨嗟者。然地距涯角。此意豈可易圖瞻望北雲。柢不禁目穿而淚瀉歲居。然三度獻發。玆屆伏詢。履道坦坦。利有攸往。琴瑟偕和芝蘭滿香。吉祥善事。擧集目前否。屈而後伸否。而後泰理也。天地無理外之事。故以是恭竢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龍潭宋丈【益老戊辰】 先生緬事。近或有愜吉。而院位分付更若何。勳自輯日記。以歸靡日不神逞。涕洟於筵几矣。憶昔親炙。喉咽欲啞。當日無彊之惠。惟理訣二冊。手筆卄四大字在卒業已矣。抱此自珍。冀收效於畢生而已。遺稿校釐。諸咸兄向有宿議。畢竟竣事。統在齊會爛商便信涯角。奈何奈何。然憧憧耿耿。想有感通之理矣。山頹後猶可致誠。惟有此一事儻無以見聞之淺而棄之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參奉趙丈【明煕辛未】 靈筵泣歸。涯角隔絶。恨未此身。能羽翻然飛去溪上。侍奠於小學室。洋洋如在之所。仰跼俯蹐。奈如之何。遺稿整頓。今至何部。鄙家所藏師門寵贈及詩書往復等文。深荷謄來之敎。適因鄙邑高友繕寫以呈耳。所箚語錄。姑未摭定容侯後日袖進。恕諒恕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徐允七【衍復丁酉】 辱書消滓云云。滓果能消歟。消滓於無名公傳已悉矣。以若堯夫之超邁。駕風鞭霆。何事有難。而若是用力。洪爐點雪。第顔子地位。則可其次。霽月之濂溪。氷壺之延平乎。聖賢之可見者。如此賢者。用力未幾。遽以滓之消不消爲憂。無乃見卵求夜耶。望須讀聖賢書。一以黜已私。奉帝衷爲務消。幾旬月工夫然後。或可語到。未知以爲如何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婚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吳氏女婚書 尊攘義重。夙欽大明之忠。贅聘幣誠。玆喜錦城之胄。恭承嘉命。實愜鄙心。令胤敎著過庭禮當受室而勳之。女禀質素劣。量才甚菲。仰荷不遺之求。內顧未敎之愧。惟視諸衿鞶以戒。儻或無違。則宜其室家之規。庶可不墜。此實至幸。餘豈盡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長子坊婚書 唐虞世祿。久仰四君之封。朱陳素風。累通兩家之好。故不待吉士之來誘。玆敢叶同氣之相求。尊家小娘子。姆敎益勤。婦德咸備。僕之長子坊年當丱角。禮合儷皮。遂告廟而具儀。謹遣使而奉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孟子選誦卷 就孟子最佳處。蘇老泉已有批選。尤翁就蘇選。又有略選。勳少從師友。志在悟道。以文讀韓文萬遍。更把蘇尤二選。或增或刪。會擬讀韓文之數。所謂選誦卷。是已日月幾何。赤心未遂而鬢雪遽白矣。書顚末俾後年富者。母浪抛歲華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題晦栗兩先生理氣書合編後 右晦栗兩先生理氣書合編。自宋朝本朝來。先輩之論理氣者實不止兩先生矣今選理氣。必獨編兩先生書。兩先生於理氣。以其洞見大原。無微妙不剖蔑。復有加也。嗚呼。晦翁是孔子。栗翁是朱子。開闢前姑置後乎。開闢捨兩先生去。又何去所謂而今而後乃知。浩浩大化之中。一家自有一箇。安宅者。余亦兩今而後。得安宅於兩先生家。更向何家尊丌擎案。逐日燖溫。逐日究悟。矢晩暮家計云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醺誦間架後 醺誦二字本出朱夫子當南渡時。每飮酒微醺。則誦屈原楚騷。孔明出師表。淵明歸去來辭。倂詩及子美數詩之文。蓋其忠憤激切。與樓下詠古柏行。同一意寓也。淵齋嘗以此授勳曰。此我舅李丹臺翁所纂。而余又採補者。每酒後商聲讀過。胸鬱乃降。此世惟子與語此故視之。勳受抄以還敢復入愚見。間間架架。隨縫隨塡。未知夫子。家奴自塚中謂何也。嗚呼。丹淵兩賢。已皆下世。世絶無講。此處會向閻羅修文府。共兩賢鼎坐。乘醺而誦也。興言至此。不止涕泗交頤而已。李國姓。世淵其諱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王下說 余離雲谷。未幾年。偶家道川上。玉女峯亦在此。噫以余畢生寤寐晦翁也。天故許武夷二曲。亭亭區俾續當日。揷花臨水底餘趣耶。何地名相符。動輒隨余。異哉。適有寫玉下送者。喜而顔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日六省說 吾日六省吾身。言或鄙悖歟。貌或暴慢歟。事或邪枉歟。業或怠惰歟。怒或不中節歟。貧或不能安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容思帶說 做人樣。不一刻離者。九容九思是已。余始立志。書此於所帶帶。帶之未久弊投。渺不知所在。今偶閱箱簏得見。此所謂起兵時主簿。無乃吾家舊物耶。示兒輩守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子壕婚書 君子造夫婦端。蓋合二姓之好。生民自配匹始。乃承萬世之宗。恭陳鄙辭。冀垂盛念。伏惟尊家小娘子。德容有著。方擬乘龍之求。勳之次兒壕。學業未成。猥叶委禽之議。擧男而壯。壯而婚慶。迨父母之願深取婦而賢賢而家道興宗祀之計。大凡玆欣祝不旣敷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第三子塘婚書 海東顯閥祖仰雪齋之賢錫北名村人稱金鞍之舊。適有氷語遂通月書。尊家第二娘子。積順內饒。函章外聞。僕之第三男塘。年踰舞象。日迨委禽。所以合二姓之歡。蓋將傳萬世之嗣慶。莫此大。辭不旣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墓表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