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題華陽錄 華陽山色近如何。絃誦寥寥歲月多。【書院見撤故云】描寫泓崢錐得好。伊川被髮正悲嗟。武侯神餒幾經年先。生那堪享豆邊。【書院旣撤故祠字亦撤】一脈王春諒如許。故敎遊子涕空漣。 智累金平默稿【甲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私稿後識 芝峯類說有見。李白蜀道難初稿。多所點汚。首句吁咄哉改以噫吁戱。杜子美背郭堂成詩稿。以濃墨點改處甚多。谿谷漫筆。白樂天流便暢達。若無事於煅煉。而見其草本。點竄甚多。歐陽公往往一篇。至數十。過有累日。去就不能決者。以若四公之大手。宜若不思而得。而未免如此。可知古人於詩文。亦不容易。而不容有草草矣。書以自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日記故事小識 蓋人不能通古今政。昌黎所謂。馬牛而襟裾。烏可以形人而呼人乎。瑱兒鐸孫。就於讀書之暇。見有異見。聞有異聞。不均今古。輒皆筆之把。此爲課日之程。文雖未熟。辭雖未達。顧其端緖。則幾矣。豈不善哉。遂拈小學中語。名之曰。日記故事。識其說于卷首。奬勸之策勉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金剛石銘 始入金剛。袖二石歸。潛雖在几。難鞱者輝。萬瀑九龍。目常依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黑山筒銘【黑山得一蘆筒】 瀟湘洞庭托根幾春折流漂止又黑山濱野人得之藏守爲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家計係辭辭 余家計特以係辭。以係辭出吾夫子手。易全體都備耳。回思已經歷七旬。吉凶悔吝。非渠召誰召。可恨也已。誓自今餘日。自家身心諸百一。屬諸係辭。字字焉家計。句句焉家計。嗚呼。係辭乎。師保父母其常儼臨歟。因係以辭曰。把余家計。都付係辭。已往已矣。來者可追。可不愼乎。懼以終始。惟愼與懼。急務在是。其餘言言。靡一非箴。居象動變。父師儼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小學室抄受小識 右內外二編。余小子所嘗受先生。而抄彙於小學之室者也。內篇專錄往哲論小學及語孟庸學者。外篇雜錄往哲格言至論者。二箯合凡一百三十有四章。寔皆爲學者所必知之要訣也。余少日齋居。適嫌無事。繙閱弊簏右文字輩。散亂於紙片。幾乎毛不可讀。余乃移而淨寫之。編爲內外。有時讀之。悅若小子侍先生於函丈。而新受其賜暮年警發之資。不其幸矣乎。遂示與後生。且略爲識。先生肅齋趙文敬公。小學先生室名。余蓋金勳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隱逸枕銘【菊花枕】 晉作已改。花樣猶存。露可寫史。味宜泛樽。不史不樽。枕特曷故。臥倚宿覺。一念典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錦谷扇銘【錦谷所授角扇】 篋一角扇。卅許年中。不忍置手。擬傳無窮。世世遺韻。先生之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愛橘齋鄭公【慶植】薦剡狀後 右愛橘齋鄭公慶植薦剡狀。愛橘蓋出愛日懷橘之義。自先世來世。其忠至公孝又忠子又孝友狀。大槪此耳。就中如二。親疾嘗糞斫指也。旣葬廬墓。階草自除也。且如國哀望哭也國忌食素也。箇箇是罕聞事。況聞以端宗朝三相諱奔。宣廟朝殉節諱瑊。爲其祖。孝友然榮爲其子。壯哉壯哉。李生翰相。指狀請勳文。冀垂不朽。嗚呼噫嘻。勳文果不朽乎。李生卽公婿。公亦可謂有其婿矣。第撮而歸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尊道菴記 尊道庵。我先師鼓山先生扁。勳讀書小庵者也。蓋德性問學二者。相須譬如輪翼之。不暫廢一而能行。自子思子立言。曁濂洛諸先生。無不以此做將去。篁墩誤解心經。有謂朱子晩歲。專主尊德性爲定論。如非退溪先生繫後論而辨破。學者幾乎盡入其穀中矣。先師屢得見囑。亦嘗筆及小子。無似敢不銘刻。略識揭壁。爲傡行之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希晦堂記 雲谷堂成計賤齒。四旬有六孟秋。其時後按大全年譜。雲谷卜晦庵築。適合賤齒月。又不異何其酷相符。千載一時會事實亦非偶。希晦此扁。恐自信久未能敢冀。畢生微效。如夫子受屛山翁一言敎云爾。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父子號竹說 竹軒。文君致玉號。其子洪奉。從我遊有年。愛其能不受變於時擾也。又號以竹窩。嗚呼。父子二竹。世誰與儔。古不云乎。看竹何須問主人。君其勖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鄭始一三昆季字說 一爲數祖。百千萬過萬億過億兆。以至彌六合內外及恒河沙諸界。靡不推一。而廣天地一指萬物。馬莊生實非見少也。康節天向一中分造化。橫渠一故神。神也造化也。亦皆二。則不是一之時義大矣哉。鄭甥海錫擧三男。余嘗名其長曰濟萬。以始一字之。其次起一以濟千。自一以濟百。噫吾之以一。許汝汝曹其知之乎。見甲午賊呪絶不到汝曹耳。根汝曺守一足驗一端。豈退之所謂古之學處其一者爲汝曹設歟。可積可積。愛汝曹篤信。吾一而不二書數行加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麥說 麥余自歷屢歉。尤知其爲重。詩曰。貽我來牟。曰。於皇來牟。記曰。乃勸種麥。曰。農乃登麥蕫子。亦曰。聖人於五穀最重麥。蓋觀夫爲穀。美不如禾。大不如菽。馨不如黍稷。滋味不如梁粟。而何以見重。如彼五穀中。惟麥禀六陽精得中和氣。立苗於秋冬穀登之後。成熟於春夏粟磬之後。以之而續舊。以之而及新。濟民之急莫麥。若然則五穀麥實爲長。豈他穀與比宜乎。古聖之重之而示民之義。深且切矣。余嘗擧其略標題於救荒書後。今又撰其重如此。愼托世人。母或輕忽諸此穀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行狀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