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5640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記夢【夢掃醒穢。快復舊俗。】 八翼忽飛橫九天。中間蚍䘊落何邊。完看舊日絃歌處。花睡家家柳又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晝宵負席 全身無片肉。坐臥幷難支。當日衝天志。都來黍一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繼又有作 人情大抵老多悲。語及爺孃淚輒隨。咫尺夜臺歸侍日。挨何世債敢爲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感庭畔孤松【人情日趨新學。獨爾依舊。○大月望後。】 無地尋全節。有山摠枉人。遍寰如許界。惟爾獨天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彼謂其都聚處曰義。所付渠者曰入道。 程謂義無對。朱註道猶路。思字見所爲。皆罪難盡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歎不日婚娶【七月】 畏日酷炎擇吉期。不惟不賀不堪悲。那時快掃道人亂好。見棰夭氷泮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金致容【漢燮甲申】 勳每常以老兄。學問道德。宜甲乙於諸弟之列。而今反降末橫得背師之名。爲切憤恨。頃書猥以毫無背之筆及。而示書以兄。亦以背師目弟云者。何其看書之誤。至於斯歟。且以印役言之弟。則所居僻絶洗之。兄書一次來到。以爲印役見罷本稿。撤還本宅。追後會議云矣。豈意誣人偸刊。如是乘釁乎。示書歸責似然。移苗脈如右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李洗之【穎憲癸未】 伯明事聞。不勝痛駭。惠書所謂湖南有人耶者。吾儕擧難免其責矣。納金售僞偸稿盜刊。此正昏夜乞哀白晝。驕人古今天地。安有是事。行險徼倖。亦一驗也。聯名書尙恨不早耳。此意頃已略及。復何可否之有問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鄭景華【在蒙甲申】 變服一款爲吾徒者。孰不痛哭。在途逢厄。從何得聞。微服過宋。果指此等處耶。愼禍而脫舊。依禁而不着新製。愚亦非不在商量中矣。言念至此。輒不覺哽噎而抑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飭朴生薰卿【炳馥】 朴氏之多志士。余於昨夏鉢山時已見。豈意又見子於令靑陽講義之日乎。晨夕受要訣。晝抄余所著。請益請業。不頃暫捨。其知之明好之篤如此。其爲長進。那可量哉。然人之心。未嘗無始勤而終怠。進銳者退速。聖人已云。況其齒甫冠世路多岐者乎。書以飭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勉朴生稚文【顯章】 昨歲相守。於鉢山講義。旣宿約攸在。又共今靑陽講義。實是意慮不到非君。眞知吾事之好。烏能爲然聞君王大人畢生履歷。在梅山華西。諸先生門遺徽。毫不見傳。豈不可惜君大人用是齎。恨早年琴亡無意更絃。一以成就君爲事導之。不以時文從吾好。君大人眞知。宜其成就君。君資品近道。才氣超倫。何事不可遂。竊願君不以資品才氣。自足日進又進。伸大人所曾恨廓。王大人未傳之傳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示兩裵生【鍾絃承基】 裵氏之門。何其多有志。文五已稔矣。兩生實亦不料顧。世非無師。特於余以余受四師傳意。或有可師。在可愧也已。蓋斯學不須多說。嚴立切程。寬著意思。久之自當有味。不可求欲速之切。又涵養用須敬。進學則在致知。兩言雖約。其實入德之門。無踰於此。此倂朱子說。言言皆是者朱子。尤翁不云乎。學孔子當自朱子始。古今天地欲學爲人。捨孔朱。更有甚人。余之所聞於四師者。大槪如此兩生乎其以此爲先務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族姪相純【乙酉】 頃唔時說及學問云云。何等喜聞大率。此事非爲人也。實爲已事。奚有讓乎人乎。今日覺悟。當從今日。爲始今日前是枉了。豈不可惜今時覺悟。當從令時。爲始今時。前是枉了。豈不可惜。以此做進。則分陰寸陰無非可惜。而吾之事當日就矣。竊望賢者。愼毋遲回汲汲下手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任南道【成鎬丁酉】 今世未聞古所謂處士。古所謂處士。其見澹叟任兄乎。靑山緣水中。結數椽屋。責躬以耕。課妻以績。敎子以古聖賢法門。於勢途紛華。利窟臭氈。以至麯孼博奕。妙技奇玩。凡係世嗜慾等物。一是無所好。豈其本治心養性而然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尹稚玉【相琦丙申】 昨春義擧所謂有任名。督之以晨夕者。擧未免蠏退鱉縮。畏首畏尾。惟高明始末。於余不頃暫離。始信高明。可與共學。可與共大事也。大率觀人不於平時。於如此時觀之。高明平日主易。此一事足可驗善用易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示趙生景受【澈禧】 景受胸中。間架已富。奚就余劣匠柱樑欂櫨。余果無術矣。第有聞於大匠。略有規矩。主敬以立其本。窮理以致其知。反躬以踐其實。此其大者。巧實不能與人鄒聖已云。余復何言子其知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銘勉安生汝郁【在凱】 汝郁此時負笈。此時何時。桓魋此時。邢恕此時。汝郁脫乎此時。獨能察衆惡。逐臭吾道。嗜炙吾書。幾欲盡搜之盡抄之。自灑掃應對。以至晨夕興寢與。夫飮㗖也溲屎也。凡係吾一動靜。隨遇各蕫其役酷。無異孝子侍父側。嗚呼。此時見此人歟。可愛可愛。立定脚跟。果皆若此世間事甚。事有不做事然事貴有終竊願汝郁銘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校理公派門案序 校理公派門案。案校理公遺孫各派。校理在勳十一世。由十一漸繁衍。至十六世。宗支遍滿湖右。可謂無邑不家。猗其盛哉。春派譜始此門案。卽又次第事念昔壬申歲。勳陪門父兄聽命。席末光陰石火遽已電。卄有七其間。案中名生存殆十。未保一案。烏可已乎。然世級尤下。倫綱益弛。昭穆位齒升降之際。或不能無古今異處。以此罪勳固知難貰。而非勳也時世也。後來者。其諒之十一世孫勳。謹書于松沙楸室時。大統戊戌陽復日也。

상세정보
56403건입니다.
/2821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