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인년 정재훈(鄭在勳) 위장(慰狀)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甲寅七月初三日 內從 鄭在勳 甲寅七月初三日 1914 鄭在勳 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인년 7월 초3일에 內從 鄭在勳이 모친상을 당한 외종사촌에게 보내는 慰狀. 갑인년 7월 초3일에 內從 鄭在勳이 모친상을 당한 외종사촌에게 보내는 위문편지이다. 편지 내용은, 뜻밖의 흉변으로 先夫人 丁氏가 色養(어버이 안색을 살펴 孝養함)을 갑자기 버리셨으니 부고를 받고서 놀라고 슬픈 마음을 그칠 수 없다고 하면서 효심이 순수하고 지극한 상대방이 어떻게 견디고 있는지를 묻고, 세월이 흘러 어느덧 장례를 지내게 되었으니 애통함과 망극함을 어찌하겠느냐, 모친상을 당한 뒤로 기력은 어떠한지, 억지로 죽이라도 먹고 禮制를 따르기를 바란다는 뜻을 전하였다. 그리고 자신은 집에 얽매여 직접 달려가 위로할 길이 없는 처지라 괴롭다고 하였다. 편지 봉투가 남아있지 않아 수신자를 알 수 없으나 고흥류씨가에 소장된 문서임을 볼 때 편지 수신인은 柳敬浚(1855~1935)이고, 돌아가신 모친인 先夫人 丁氏는 柳永蒔의 부인인 영광정씨이며, 편지 작성일인 갑자년은 1924년으로 추정된다. 이 편지는 전형적인 위장 형식을 갖추고 있는 서간문으로 작은 글씨로 정서하였으며 서두는 "頓首再拜言"이라는 용어로 시작된다. 위장은 일반 서간에 비해 특별한 서식을 갖추고 있는데, 일반 서간에 비해 글씨를 작게 쓰고 초서가 아닌 정서를 쓰며 지면의 상단을 확연하게 띄워 쓴다. 용어 역시 수취인이 喪人일 경우 哀座下, 哀座前, 哀座, 哀次 등의 용어를 쓰고, 그가 머물고 있는 곳을 孝廬, 廬所, 廬下, 廬次, 廬史 등으로 쓴다. 편지 문두에는 稽顙, 稽顙再拜, 頓首, 頓首再拜, 省禮, 省式 등의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 용어들 역시 발급인 또는 수취인의 당시 상황이나 위계관계 등에 따라 구분하여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