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9년 이풍식(李灃植)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李灃植 昌平縣監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161_001 1879년에 창평현에 사는 호주 이풍식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하여 관에 제출한 호구단자 1879년(고종 16)에 창평현에 사는 호주 이풍식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하여 관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이풍식의 거주지는 창평현(昌平縣) 갑향면(甲鄕面, 현 담양군 대전면) 행정리(杏亭里)이다. 직역은 유학(幼學)이고 올해 나이는 47세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이풍식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통덕랑(通德郞) 낙승(洛承), 할아버지 학생 규현(奎鉉), 증조(曾祖) 증가선대부 이조참판 겸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부총관(贈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 재원(在元), 외조(外祖) 학생 김상선(金商璇) 본관은 울산(蔚山)이다. 이풍식의 아내 양씨(梁氏)는 나이 49세 신묘생(辛卯生)이고 본관은 제주(濟州)이다. 양씨의 사조는 아버지 학생 필성(必成), 할아버지 학생 석원(錫元), 증조(曾祖) 학생 제기(濟耆), 외조 학생 정백순(鄭{忄+百}淳)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이외 가족으로 아들 유학 응태(應泰)가 있으며, 소유하고 있는 여종은 복금(卜今)이고 나이 37세 임인생(壬寅生)이다. 문서의 양씨 기록 부분 위에 이풍식 외조의 인적사항을 기재해놓은 종이가 덧붙여져 있다. 이 문서의 본문과 동일한 필체로 적힌 '계유호상준(癸酉戶相凖)'의 계유년은 1873년으로, 병자년(丙子年, 1876)의 오자(誤字)로 추정된다. 준(凖) 뒷부분이 결락되어 명확하지는 않으나 준호구로 분류한 호구단자 형식의 위의 자료를 보면 호구단자를 작성할 때 '○○호구상준(○○戶口相凖)'을 기재해서 관에 제출하면 앞 호적개정 식년(式年)에 작성한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친 뒤 '○○호구상준' 글자 뒤에 '인(印)' 글자를 기재하고 관인(官印)과 서압(署押) 등을 찍은 뒤에 다시 호주에게 돌려주는 과정을 추정할 수 있다. 문서의 끝부분에는 본문과 다른 필체인 '기묘식(己卯式, 본문서 작성 호적개정 식년)'과 '행현령(行縣令)'이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이 문서 작성년도는 '기묘식'과 양씨의 나이·생년을 기준으로 하여 1879년으로 산정하였다. 1873년 이양근(李漾根) 준호구(準戶口)의 내용 중 이양근의 나이와 생년, 그의 사부의 인적사항, 부인 양씨의 인적사항 등을 종합하여 볼 때 이풍식은 이양근의 개명(改名)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양근의 아버지 이름이 '낙승(洛丞)'으로 표기되어 있고, 1868년 장수현고학생이규현학행급기자낙승효행실적사보성책(長水縣故學生李奎鉉學行及其子洛丞孝行實蹟査報成冊) 등의 자료에서 이규현(李奎鉉)의 아들 이름 또한 '낙승(洛丞)'으로 표기되어 있어 '낙승(洛丞)'과 '낙승(洛承)'은 동일 인물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