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이헌▣(李憲▣) 간찰별지(簡札別紙)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李憲▣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056_001 평성에 거주하는 이헌▣이 옥계에 사는 어버이 상중인 노형에게 요사이 상대방과 그의 조카 사이에 발생한 갈등에 대해 충고하는 내용 및 자신이 출발하기 전에 상대방이 찾아온다면 이 일에 대해 언급하지 않겠다는 약속 등을 전한 간찰 협지 평성(坪城)에 거주하는 이헌▣이 옥계(玉溪)에 사는 어버이 상중인 노형에게 요사이 상대방과 그의 조카 사이에 발생한 갈등에 대해 충고하는 내용 및 자신이 출발하기 전에 상대방이 찾아온다면 이 일에 대해 언급하지 않겠다는 약속 등을 전한 간찰 협지이다. 상대방이 간찰의 협지에 장황하게 말한 것은 참으로 무슨 까닭인지 알지 못하겠다고 의아함을 표하고, 자신이 이웃 현(縣)에 오랫동안 머물러 있으면서 날마다 상대방 집안의 재앙을 들었는데, 이 일은 상대방 문중의 변고일 뿐만이 아니라 참으로 친구 사이의 큰 수치라고 그 심각성을 언급한 뒤, 숙질(叔姪) 두 사람 사이에 처하여 그 숙질을 보면 숙질의 잘못이고 그 조카를 보면 조카의 허물이니 지난번에 모 어른에게 편지를 한 것이 어찌 자신이 좋아서 한 것이었겠느냐는 내용, 사정을 모르는 입장에서는 비록 자기의 일이라 하더라도 편지해서는 안되는데, 하물며 다른 집안에 관계된 것을 오죽하면 그 집안의 높은 항렬의 어른에게 번거롭게 아뢰었겠느냐는 내용, 자신도 칠십여 년을 산 사람인데 어찌 광범위한 귀결을 몰랐겠는가마는 어쩔 수 없이 이렇게까지 한 까닭은 실은 부득이한 사정에서 나온 것이라는 자신의 처사를 설명한 뒤, 차라리 대중의 조롱을 받을지언정 스스로 변명하고 싶지는 않지만, 이 일을 가지고 논하자면 상대방의 처사(處事)는 『맹자』에서 말한 '죄가 크지 않을 뿐이지 어찌 죄가 없다고 할 수 있겠는가'라는 경우에 해당한다는 내용, 하늘과 땅사이에 본래 아비 없는 자식은 없으니 아비의 형제는 곧 자질(子侄)들의 어버이므로 그 어버이 된 자가 자질의 죄를 본다면 꾸짖고 매 드는 것이 어찌 안 될 것이 있기에 이것을 행하지 못하고, 매번 '조카가 만약 와서 항복한다면 마음이 개운하게 풀릴 것이다'라고 말하니, 이것이 어찌 명망 있는 양반가에서 입 밖에 낼 수 있는 것이냐고 질책하는 내용, 지금 상대방의 남은 생이 얼마 남지 않았으니 이 일로 인하여 삶을 해칠 필요가 없을 듯하고, 또한 굳이 틀어박혀서 속을 썩이지 말고 대나무 지팡이에 짚신 신고 혹 산에 오르고 물가에 가거나 벗들을 찾아 다니며 삶을 마치되 절대 집안의 누가 옳고 누가 그른지 말하지 말아야 한다는 내용, 자신이 출발하기 전에 상대방이 한번 찾아와 준다면 상대방 집의 근래 일에 대해 말하지 않겠다고 약속한다는 내용 등을 담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伏承惠覆感荷可量卽日冬暖伏惟尊體震艮萬旺親事終荷不外私家之洪福也年月日時依敎謹具別幅伏惟尊照壬申十一月卄一日載寧李寅浩 再拜(皮封)謹拜上狀郭生員 下執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신년 최의수(崔義壽)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崔義壽 郭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083_001 병신년 11월 26일 신랑측인 최의수가 신부측인 곽생원댁에 보낸 혼서 병신년 11월 26일 신랑측인 최의수가 신부측인 곽생원댁에 보낸 혼서이다. 자신의 맏아들 혼인이 이루어지게 되어 기쁘다는 인사와 함께 경첩(庚帖), 즉 사주단자를 보내니 연길(涓吉)을 알려달라는 내용이다. 이때 보낸 사주단자도 함께 전하고 있다. 전통혼례는 서로 결혼 의사를 타진하는 의혼(議婚), 혼인 날짜를 정하는 납채(納采), 예물을 보내는 납폐(納幣), 혼례식을 올리는 친영(親迎)의 네 가지 의례로 이루어진다. 연길은 납채에 해당되는데, 납채는 혼약이 이루어져 신랑의 생년월일시를 적은 사주단자를 보내고 연길을 청하는 절차이다. 신부집에서 허혼편지나 전갈이 오면 신랑집에서는 신랑의 사주와 납채문을 써서 보내고, 신부집에서는 사주단자를 받으면, 신랑 신부의 운세를 가늠해보고 혼례날짜를 택하여 신랑측에 통지한다. 이것을 연길이라 한다. 피봉에 적힌 최의수의 주소는 밀양군 부북면 운전리이고, 곽생원댁은 밀양군 내산면 가자리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省式言 雖或有紙面上心劃無緣得兩歲顔面 耿耿之懷尤極難量 謹惟日來兄服棣候 連衛萬福 添節俱穩耶否 仰慰溸區區 實勞願聞 弟重病餘症 祛根未已衰狀日至 自憐奈何 第向示中牢約事 弟何敢歧意於其間哉 一以恃吾兄指揮之如何者 是平日相信之道也 復何有疑於虛踈之境耶 斷斷完定以副此區區之望 如何 達試雖或無滋味 修人事待命 惟我道理也惟在朱衣點頭而已 何必以右道之似愈爲念耶 設或似愈 以抱病之骨 道路稍遠 實難運動 亦不無其中虛費肋力矣 以運數言之則或右或左 亦無異同 則何必捨近就遠耶 發行以來月初二日爲定 其時歷路躬造貴中爲計○兄亦預治行裝以待 則聯被同行爲好 諒之如何且其中所約之物 科前日字迫頭當相對後 料量如何 餘漏萬 不備狀禮乙丑正月卄八日 弟 自近 拜(皮封)謹候狀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을사년 이재야(李在野)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李在野 道庵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을사년 11월 23일에 경주 양동 마을에 거주하는 친족 이재야가 도암에게 지난달에 돌아가신 숙조의 장례를 치렀다는 내용과 아들이 숙식하는 데 애를 먹고 있어 참기 힘들다고 하니 걱정스럽다는 내용 등을 전한 간찰 을사년 11월 23일에 경주 양동(良洞) 마을에 거주하는 친족 이재야가 도암(道庵)에게 지난달에 돌아가신 숙조(叔祖)의 장례를 치렀다는 내용과 아들이 숙식하는 데 애를 먹고 있어 참기 힘들다고 하니 걱정스럽다는 내용 등을 전한 간찰이다. 직임에서 해임 된 상대방을 한번 찾아 가 축하드리고 싶었으나 병을 앓고 있어 뜻대로 하지 못하고, 또 편지로 대신 축하하려고 했으나 게을러서 편지를 보내지도 못하고 있어서 지금까지 서글픈 마음이라는 내용, 한겨울 혹독한 추위에 상대방의 어머니와 산속에 머물면서 공부하고 있는 상대방의 안부가 편안한지 묻고 매우 그립다는 내용, 자신은 두 해 동안 병을 앓고 있으나 완쾌할 기약이 없어 죽을 날이 얼마 남지 않은 것 같다는 내용, 지난달 10월 중에 숙조부의 상을 당하여 벌써 장례를 치렀으니 말할 수 없이 비통하다는 내용, 아들은 비록 머리를 맞대고 함께 토론하지는 않았지만 도움이 되는 방도가 있는지, 다만 숙식하는 괴로움을 참기 힘들하고 하니 이것이 걱정된다는 내용, 봄이 머지않았으니 반드시 소득이 있길 바란다는 내용 등을 담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玉山 李○生員宅 入納達旅謝書 省式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婚書)恭承尊翰歲臘良深伏惟仲春尊體震艮連護萬重仰慰區區之摯第侄阿親事旣承穀差從占福原耳衣製尺度依 敎錄呈謹宣伏惟尊亮 謝上狀丙寅二月十五日密城朴璘坤再拜(皮封)謹拜謝上狀郭生員 下執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歲色垂暮 瞻慕益切 伏不審此時氣體候連向萬安 舍妹與甥兒輩 俱無病耶 種種伏傃不任 査下生等各保傍命賤狀 而轍兒月前以瘟疾大端危劇 而今纔起頭 還可幸也 一候之計 營之久矣而近汨憂冗 未得遂誠伏恨之餘 不備伏惟下察 上候狀辛卯十二月十二日 査下生金錫義拜手細鰲一器伏呈耳【피봉】玉溪靜几下執事坪湖上候狀 省式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近來癃廢病伏 世念都消 而惟一箇不死者懷耿 結於山幽水淸那一邊也 午睡起 一隷傳一苞裹 諗之 則乃○座下記念此漢物也 山中春事 果至如此時節耶 香口之䭎 深感不遺之誼耳恪惟近候連衛 庇覃俱穩 仰切慰慰族末歲前後感毒 長不離身 近又別添 厭食廢睡 已極自憐 而哀孫以口熱之症 不健有日 見甚悶悶 天之困剝此身 何如是也 達圍不赴耶 想衰之甚矣 而倚枕看戱 亦不妨爲自處道理 何恨之爲 近或無一枉之期耶 顧此涔寂者 晝支短枕 夜伴孤燈 經過甚亡憀 此時懷想 有不得不爾者耳 餘院隷立促 只此不宣庚辰二月初二日 族 在永 狀薧小片付呈(皮封)謹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을묘년 이재관(李在寬)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李在寬 婿郞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을묘년 6월 29일에 동성에서 타향살이하고 있는 친족 이재관이 옥산의 동상댁에 맡겨놓은 마른 장작을 가지러 내일 사람을 보낼 계획이니 착실하게 실어 보내 줄 것을 부탁하는 내용 등을 전한 간찰 을묘년 6월 29일에 동성(東城)에서 타향살이하고 있는 친족 이재관이 옥산(玉山)의 동상댁(東床宅=東上宅)에 맡겨놓은 마른 장작을 가지러 내일 사람을 보낼 계획이니 착실하게 실어 보내 줄 것을 부탁하는 내용 등을 전한 간찰이다. 월초에 잠깐 만났던 일은 아직까지 서글프다는 내용, 늦더위에 상대방의 생활이 편안하고 아드님은 여름 공부를 독실하게 하고 있으며, 각 집안의 식구들도 모두 평안한지 안부를 묻고 매우 그립다는 내용, 친족인 자신은 겨우 예전처럼 지내고 있는데 늙은 아내의 숙병이 이전보다 더욱 심해졌고, 이 밖에도 근심이 날마다 생겨나니 참으로 괴롭다는 내용, 맡겨놓은 마른 장작은 바로 사람과 소를 보내려고 했으나 머슴이 없는 집이라 잠깐 사람을 빌리는 것도 뜻대로 할 수 없어 내일 사람을 보낼 계획이니 한 바리를 아끼지 말고 착실하게 수송해 줄 것을 간절히 바란다는 내용, 외출할 일이 있을 것 같아 이처럼 기일에 앞서 편지를 쓴다는 내용, 나머지 사연은 만나서 이야기 하겠다는 내용 등을 담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月初暫晤 尙猶茹悵 未審老炎靖履起居萬衛○允玉夏課篤實 各家都節一安否溯溯 族菫依昨狀 老布宿祟 比前添劇 餘外憂虞 式日斯生 良可苦哉奈何 所托乾柴 卽送人牛 而無雇之家 暫時借人 不得如意 故明將送人計 幸須勿靳一駄 着實輸送 千萬千萬 前期裁書 恐有出外 故如是耳 餘在面悉不宣狀乙卯六卄九 在寬 族 拜拜(皮封)東床〖上〗宅 入納東城寓 族候書 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인년 박인곤(朴璘坤)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朴璘坤 郭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068_001 병인년 신랑측 박인곤이 신부측 곽생원에게 보낸 혼례 관련 간찰 병인년 2월 15일에 신랑측인 박인곤(朴璘坤)이 신부측인 곽생원(郭生員)에게 보낸 간찰이다. 상대측의 요청에 따라 조카의 의제(衣製)를 보낸다는 내용이다. 전통혼례는 서로 결혼 의사를 타진하는 의혼(議婚), 혼인 날짜를 정하는 납채(納采), 예물을 보내는 납폐(納幣), 혼례식을 올리는 친영(親迎)의 네 가지 의례로 이루어진다. 연길(涓吉)은 납채에 해당되는데, 납채는 혼약이 이루어져 사주(四柱)를 보내고 연길을 청하는 절차이다. 신부집에서 허혼편지나 전갈이 오면 신랑집에서는 신랑의 사주와 납채문(정식으로 결혼을 신청하는 서장)을 써서 홍색 보자기에 싸 보낸다. 신부집에서는 사주를 받으면, 신랑 신부의 운세를 가늠해보고 혼례날짜를 택하여 신랑측에 통지하는데 이것을 연길이라 한다. 의제(衣製)는 신랑의 의복 길이와 품의 치수를 신부측에 알리는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1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자생 남성 망자의 장택기 갑자생 망자의 장택기이다. 장택기는 장례의 기본 요소인 장지(葬地)와 장일(葬日)의 선택내용과 이에 따른 각 절차의 방위 및 기피 사항 등을 기록한 문서이다. 망자는 갑자생의 남자이며, 주상(主喪)은 경자생 아들과 기유생 며느리, 갑자생 손자와 기미생 손부이다. 안장일은 2월 12일이고 하관은 신시(辛時)이다. 묘 쓸 자리의 땅을 파는 날은 1월 28일 오시이고 남쪽부터 파기 시작하며, 기피해야할 날짜는 매월 6일과 16일, 26일, 신일(申日)을 피하라고 하였고, 혈의 깊이는 지사(地師)에게 물으라고 하였다. 이보다 앞서 사망한 을축생 아내 합장을 하려고 하는데 이를 구광(舊壙)이라고 적었다. 구광을 파는 날은 2월 10일 진시(辰時)에 남쪽부터 파기 시작한다고 하였다. 널이 나가는 것은 적당한 시간에 한다고 하였다. 묘자리에 도착해서 안장하는 절차에 해당하는 정구(停柩), 취토(取土), 물복(勿伏)은 길하거나 피해야할 방위를 기록한 것이다. 주당(周堂)은 입관할 때 피해야 할 가족 구성원을 기록하는 것인데 이 경우는 없다고 하였다. 문서 하단의 4행은 조명(造命) 또는 조명사과(造命四課)로 매장 연월일시의 간지를 쓴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瑞日稍長 惠風和暢 謹未審玆者春暮棣床震艮 連衛萬相庇廡均吉 仰溸不任勞祝之至 査弟姑依昨狀 迷豚近極安過 餘外無煩 而轉聞村落快淨之境可賀可賀 望須賁然一駕以叙婦阿渴望之思 且攄襞積之懷 如何如何 餘在家兒口悉耳 不備 伏惟尊照己未三月初一日 査弟 崔世徽 拜上(皮封)玉溪 棣案 入納謹拜候狀 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別後聲息 千里如萬里此時懷想 歲新又日新 謹未審間來僉尊兄體節 連衛珍重仰慰溯旣 虔且禱 弟歸路至胎峰下 落馬致傷 累日調理 間關還巢 所謂藥餌 扶吾隨取之 今纔小可 而尙不全然如舊樣子 然有西來好音 則如將今日愈矣 但以家間之無頉爲幸耳 近聞臘政已過 領閤偹員 而覆奏之 尙此無聞有何委折 方收議制 或寢奏否 下鄕僞言險說之亂聒 無日無之 此不足爲動心者 而觀其動靜 則一種固滯之流 闖窺節目之頒下有倍於吾黨 自聖批一降自生病者 眠不得者 往往有之 如有一字 可執之言 則世無公論底人 而變通不得 人之設心 何若是之甚也 這間事機 漠然無憑 遠外懸望 不但以躁悶言胡不自營便一字相及也 黃崔兩兄 尙此淹留 而恭竢處分否 爲之贊賀耳伏枕艱草 未得各幅 將此帋 雷照於老少諸兄也 不備禮己酉元月念 弟 濟京 拜拜(皮封)洪園○僉案○執事○入納橫溪謹候書 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무진년 손양진(孫亮晉)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孫亮晉 郭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무진년 윤2월 15일에 신부측인 손양진이 신랑측인 곽생원에게 보낸 혼서 무진년 윤2월 15일에 신부측인 손양진이 신랑측인 곽생원에게 보낸 혼인 관련 간찰이다. 손양진은 손녀의 혼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미 사주단자를 받았으니 매우 다행스럽다고 인사하였고, 요청한 대로 연길(涓吉)을 보내니 의제(衣製)를 알려주는 것이 어떠하냐는 내용이다. 신부집에서는 사주를 받으면, 신랑 신부의 운세를 가늠해보고 혼례날짜를 택하여 신랑측에 통지하는데 이를 연길이라 하고, 의제는 신랑의 의복 길이와 품의 치수를 신부측에 알리는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婚書)伏承華翰伏惟春仲尊體動止淸穆慰溯規規第孫女阿親事旣承星單私幸孰大於是涓吉依 敎仰呈章製回示如何謹宣伏惟尊照謹拜謝上狀戊辰閏二月十五日一直孫亮晋 再拜(皮封)謹拜謝上狀郭生員 執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物目單子)物目衣籠 壹駄箱子 壹駄函 壹座兩絲法丹上衣 壹件松嶋丹上衣 壹件官紗上衣 壹件羅丹上衣 壹件玉洋木上衣 壹件苧布靑色下衣 壹件玉洋木下衣 壹件靑木下衣 壹件本木靑色下衣 壹件麻布靑色下衣 壹件紬絲 壹封端絲 壹件面鏡 壹介釵 壹介京粉 壹桶月梳 貳介剪子 壹介鞋 壹足溺江 壹介紬本木 貳匹金 拾參円際丙寅三月十三日(皮封)査兄棣座 下執事謹拜上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三十九年 月日康津縣考甲午成籍戶口帳內古今島鎭里第 統第 戶待變軍官張大允年三十乙丑本仁同奉父折衝將軍武良年七十一甲申祖學生弘曾祖學生德龍外祖學生金愛賢本金海妻徐姓故後妻金姓年三十乙丑本金海父渭載祖天碩曾祖愛明外祖鄭武善本慶州率弟大雲各戶等前准印行縣監[押][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乙巳四月十一日生朝感吟夢裡虛經六十春難爲處己况爲仁放遊四息心常懼追憶雙親感更新半世耕樵徒費力百年書釼未成眞算來萬事皆遠志仰愧于天俯怍人難老君猶少壯春儘知天不嗇於仁簪纓百世家聲古俎豆三年校典新魚鳥榮江忘寵辱烟霞龍洞養淸眞玉蘭並茁瑤琴和晩景吾鄕第一人右東樵鄭喆煥【鉄川里】南極星呈鉄樹春善家元理克躋仁黃芽吐氣熊脛美丹粧凝精鶴髮新城市隱居行古誼詩書敦好葆天眞盈庭彩舞稱觥席贏得歡情聳萬人練菴高光修【光州泥場】弧筵和氣十分春滿酌紅醪賀壽仁寶樹瓊枝繁競茁玉顔鶴髮倍鮮新偕調琴瑟韶光好設宴瑶池樂事眞餘慶德門遐福至極星南土降仙人碧齋金永鈺【同庚損友】弧矢今朝六一春劬勞深思孝爲仁滿庭瑞彩斑衣列偕老佳緣白髮新鄕黨稱譽由信望箕裘緖業守心眞壽樽如海四隣賀有是德門完福人復齋吳大善【洞江】心如皓月氣如春坡老平生兼智仁一曲瑶琴淸韻動四枝玉樹瑞光新早修學業齊家模晩護倫堂率性眞彩舞環歌相樂地稱觥是日降仙人松塢金基鉉【公山面】旃蒙花甲再回春儘覺延年壽者仁滿座賀聲南極說趨庭和氣彩衣新到老德容能體潤承先模範摠心眞擇處龍頭猶得智自天遐福聚斯人海隱崔海鍾【和順査軟】鐵樹花間獨樂春皇天應報此翁仁崗陵影入盃中屹山海珍登盤上新孝悌爲訓傳家業剛毅持身率性眞勝宴佳約當今事慶賀聲聲會幾人倫庵羅甲運【居平】再遇弧辰乙巳春一鄕稱頌壽而仁花開鐵樹六旬遍結實瑶桃百歲新富貴康寧傳世業溫良恭儉守天眞滿堂和氣無彊福慶賀洋洋多會人羅承南【居平】算却楚榠八百春由來壽考世推仁承先詩禮靑氈舊繞膝兒孫彩服新紫氣函關老子是雪膚姑射神仙眞應知遐福自天佑弧席今看矍鑠人李奏憲【多侍】花開鐵樹再逢春古宅餘陰子守仁文藻滿堂鴻業舊芝蘭繞膝鷰謨新蟠桃滴酒迷周夢南極星輝似太眞舞袖翩翩斯日樂一鄕高士摠詩人立齋金東賢【九葉】福老今朝六一春渾然天性德兼仁來賓壽酒杯交錯衆婦衷誠盤上新高潔淸標身不俗分明信義世稱眞孫枝子葉承而列此席恨無昆季人素石許鏘鐵樹君家不盡春一生能事是行仁聯床琹瑟佳緣重繞砌芝蘭舞袖新自守廉貞惟本色世傳孝友卽天眞何須更贅賓朋祝屈指吾鄕少此人後松羅枰均潛居修德幾經春大壽從知得自仁烏櫃精功曾去俗靑氈舊業倍生新桃園何日同康樂蘭社多年擬季眞甲友今來誰擅福君應居最箇中人雪岡廉正洙【同庚友】鉄樹花開六一春主翁淸趣積多仁琹床好月奇緣重蘭室和風裕後新華觴祝壽懸弧日酒老詩豪渾興醉子枝孫葉亦誠眞平地神仙有此人愼齋朴鍾勳【楓洞】是日重逢初度春古來長壽克躋仁期生火棗山中熟王母氷桃海上新慥慥修文由道正溫溫養性率天眞眼前妻子俱無恙鶴笛橫空滿客人一夢李元範【竹池】花甲再回六一春萬端千緖就諸仁月坡亭上流觴活鉄樹陰邊彩舞新前日己行何所欠晩年身數最尋眞九如三祝人人和壽擬南山不讓人枕桂李凞鰲【鉢山】龍頭元氣鬱長春孝友家聲且累仁庭有兒孫知禮學座多賓客祝箋新紫芝燁燁園中馥南極煌煌物外眞餉得淸閒多茀祿鬚眉宛作不塵人竹塢李星圭【多侍】世家修德幾經春得壽從知必自仁白首紅顔曾超俗靑氈舊業倍鮮新賢孫善茁皆元述肖子能承是季眞乙巳六旬多慶福君是斯間地仙人朗菴林炳馹【會津】鉄樹花開別有春潤身以德處於仁酒傾北海仙圖掛壽祝南山瑞日新笛下放聲浮賀曲庭前彩舞羨芳眞鄕隣周識兄家福滿軸瓊琚幾百人月坡任永宰【酉田】坡翁重見設弧春信是由來壽者仁榮水長淸精氣萃錦山高起瑞光新應思親倍劬勞極却忘身兼福祿眞天餉從知非易得求諸鄕黨罕其人春岡辛洪烈【同庚友】潤雨和風回甲春群生方暢共成仁勝花釋誕觀燈節淸曲鸎歌芳草新誠湚祈康身養志命妻却老口傳眞辰良日告神明合座上高賓不俗人安軒鄭明會【同庚友】六一當年乙巳春孫枝子葉與天仁壽域無疆淸福至孝心能進碧桃新地應海上蓬萊島主亦西湖賀季眞稱觴華祝相傳席蹈舞斯筵問幾人松圃柳寅暢花甲重回六一春果求天上碧桃仁金昆玉季壎歌樂鶴子鸞孫彩舞新仙酒盃酣增壽久蓼莪詩誦念親眞嘉慶良辰和氣滿豫章華閥有名人大山李鍾黙【細枝面】六甲巡迎再甲春平生事業善爲仁架上詩書千帙積庭前寶樹四枝新齊家和睦傳世德好讀修身率性眞背山接谷閒隱士氣骨叮期百歲人東春李鍾琯【榮山浦】天性渾然和氣春惇行孝悌本於仁非但琴床偕老美尤兼寶樹向榮新數畝田園圖活計半窓書籍養心眞令子賢孫何所祝無疆壽福獻觴人栗山金太錫【山溪里】懸弧故宅復回春康濟斯翁擇處仁皓首今來强且健靑氈世守舊維新降天遐福元言定平地行仙果見眞好是庭蘭餘蔭盛名門多賀四隣人月波鄭福圭【道也里】靄然和氣一團春花甲當年白髮仁數朶園中蘭子茁千竿窓外竹孫新相傳詩禮家聲大晩適漁樵世味眞南鶴東牛奚足道於山於水有斯人愚下金東文【旺谷面九葉】乙巳生逢乙巳春擇居仁里主翁仁管絃撓室和風動彩服盈庭瑞日新蒼浪津頭連賀客月坡堂上坐仙眞問君先代何攸積多子多孫多福人松南辛瀯鉉【長山里】黃梅結子楝花春美盡東南里又仁對桉瑶琴偕以和滿庭玉樹看猶新自羞蓬戶老吟病堪羨杏壇晩覺眞此日君家無限樂盈門祝賀幾多人樵山梁圭述【光州市】滿堂和氣太平春好德多年處里仁荊閤佳緣琴共樂蘭庭彩舞玉如新東方朔甲誰能得南極老星子是眞賀賓頌友津津席僉曰鄕中第一人金永環【碧流亭】重逢花甲更靑春福善之家又壽仁瑶絃琴瑟聲聲樂淸臭玉蘭葉葉新自天降祿終無限平地上仙始有眞滿座同庚相祝賀永期此後百年人金永大【碧流亭】華甲當年剩挽春元來壽者且躋仁桑弧蓬矢臨風動綵袖斑衣向日新山嶽扶身將老健江湖吸氣自淸眞澤車段馬平生足偕樂如今室有人又梅廉章煥【東新】龍頭鉄樹爛生春趂日花開好結仁華髮今朝難可制桑弧四月更添新涓辰適會情尤密把酒相看影入眞如欲九如無盡賀禎祥第一貸斯人羅燾秀碧桃紅杏武陵春禧福君家得此仁寶樹秀榮千載足荊宮康健百年新曾知不死三神藥少學長生四皓眞苦楚世情過半數兄先回甲我先人宋光奇【榮山浦】看君氣骨帶和春素履躬行摠以仁庭壁四聯皆重態床琴偕老更粧新少年剩得居中樂白首優遊世路眞舞彩稱觥鈄日下金季煥【多侍】大家綏祿就如春稀古壽康乃自仁昭廣阡園傳已舊贏餘書契業維新主賓遠近來專美詩酒唱酬間叙眞若子若孫陳列賀再從弟鍾焄完福家中自在春川臻餘祿得其仁靑衿寶樹孝心大白髮紅顔和氣新韻致當年合歡喜風流此日入淸眞觥籌交錯爭相賀滿座佳人摠故人尹魯炳生逢六十一回春始信于今壽者仁桉上齊眉琴瑟樂庭前趨舞彩衣新居家自是行恭儉處事分明辦假眞皓首當年身益健世間亦有武陵人松磎李良信壽域花開鉄樹春自天福祿降斯仁遐算已占龜鶴老偕期增看苣蘭新淸閒世德持身儉孝友家聲率性眞赤松子去千秋後始覺今朝幻是人晩悔羅甲均日往月來度幾春花開鉄樹子孫仁降生乙巳靑衿樂還到當年白髮新善在治鄕自閏校閒居立德先修眞斯老幸逢西漢世應從四皓爲隣人鳳齋金鍾炫【公山面】六十春翁又一春以文會友友爲仁金是入鎔多得美楡如逢雨倍生新德重錦山通地靈道長榮水樂天眞子孫獻壽來無疆南極星輝此主人錦溪洪昌植【金安里】赴飮春餘更續春惟君花甲壽能仁蒼顔白髮懸弧屹碧樹黃鸝置酒新儒雅會文相健古塵埃脫俗自淸眞妻兒滿室俱稱福未有鄕中若此人李義範【佳洞】六十年光加一春平生好德養其仁瑶桃玉露紅顔又鶴氅烏巾白髮新聊憶世間非俗士却疑天上降仙眞笙歌彩舞終無絶賀曲聲聲盡醉人盧漢喆【公山面】鉄樹花開舊甲春南州華閥有斯仁恨深堂上壽觴缺歡出庭邊彩舞新累代家規無俗染一鄕校事守天眞桃顔鶴髮如仙降淸福算來稀世人東岡崔鍾壽【東山村】六旬行樂錦江春山水精靈照此仁白鶴南飛祥日暮靑牛東出化機新承先事業忘身惱裕後家風率性眞遠近佳賓醒醉席仙緣特許似翁人崔炳佑【東山村】甲回六十一年春南有月坡壽以仁蓬矢張弓能制惡鉄花繞樹更生新溪山自樂持身重名利無關學聖眞彩舞滿庭賓亦賀桃顔鶴髮降仙人崔鍾律【東山村】壽福康寧六十春尊翁隱德子孫仁諸族獻慶歌舞起衆賓醒醉酒情新喚友黃鸎如意際滿堂高客正尋眞世間是宴何門在平生能作太平人朴玄洙【正良】聞道坡翁鉄樹春淸閒超俗德兼仁琴床日暖歡情篤玉砌風和寶蔭新曾說錦城垂極久方知龍里降仙眞肖子賢孫斑舞席星星髮白壽高人姜弼遠珠山松栢帶長春白髮如仙壽以仁鉄樹花開園送態老星光照宅增新世間名利渾無意物外淸閒剩得眞最是高風曾有望南州慶福一其人慕堂鄭熙勉【金安里】鉄樹花開再甲春錦江淑氣出斯仁紅顔漸漸隨時去白髮星星逐日新千卷詩書傳世業一生德性率天眞芝蘭滿室難知數遐福無非稱頌人芝山尹亟義【文平面】紅顔黑髮似靑春天借斯文富更仁已盡六旬稱送舊又餘百歲頌迎新曾年抱負還非夢晩境生涯便是眞多福吾曹今屈數坡翁應上指初人星波崔南九【羅州邑】擲退風霜捉挽春老於康壯壽於仁家聲不墜靑氈舊公道難違白髮新遐算已圖彭祖術精工早學紫陽眞玉蘭層茁瑶琴和完福吾鄕屈指人鶴亭李禹圭【同庚友】南華爲壽八千春未有如君美且仁秘方爐底丹砂煉活畵屛間白髮新鄕國施功居老壯江湖隨興號玄眞大酒招賓妻子樂聊知五福定其人松儂李東範【同庚友】鉄樹花開夏亦春地行誰道也無仁詩書穩積家聲舊乙巳重期鬂髮新守黙平生還頌德回思六十却疑眞蒼天偏愛修身士壽福兼全此一人南岡洪南根【同庚友】那翁不老六旬春積善家高里更仁烟月一坡心月白風霜故國鬂霜新十分床瑟絃常雅又是庭蘭馥轉眞萬壽世間誰有得此時此酒卽其人菊軒尹堯重【同庚友】耕心種德繫長春六十生平一字仁琴瑟和鳴餘枕樂芝蘭層繡舊氈新千場踏破還無俗萬事歸來覓有眞雷灌動鄕名姓重君非逆旅百年人春菴朴圭憲【羅州邑】坦道安過六十春操身處事不違仁淡交情重賓煩到積累功深德愈新一卷雲烟能潤景百篇書籍自任眞如君淸福無儔比知是分明物外人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