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보첩(譜牒) 수단자료(收單資料) 고문서-치부기록류-문중기록 사회-가족/친족-종중/문중자료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 전주최씨의 족보 편찬에 필요한 수단 자료. 부안(扶安) 전주최씨(全州崔氏)의 혈연관계를 기록한 족보 편찬을 위해 여러 사람의 이름을 쓴 단자를 거두어들이는 수단(收單)이 기록된 자료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戶主氏名 崔秉亢 生年月日 辛卯五月四日 住所扶安郡東津面成根里波名 處菴公派祖父名 崔宗希父名 崔東洪〃 處菴公十三世孫子名 崔基烈生日 戊午五月十七日子名 崔喜烈生日 壬申正月二十七日孫 崔圭連〃 丙戌十二月二十三日〃 父崔基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18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제수물목기(祭需物目記)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戊午三月 戊午三月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18년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된 제수물목기 1918년 3월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된 제수물목기(祭需物目記)이다. 제수물목은 생률(生栗), 홍조(紅棗), 건시(乾柿), 문어(文魚), 홍합(紅蛤), 석어(石魚) 25속-32냥 5전과 1속 7개- 2냥 2전, 상어(常魚), 홍어(洪魚) 5미-11냥 5전, 생해(生蟹), 해의(海衣), 건세하(乾細鰕), 진유(眞油), 곡자(曲子), 북어(北魚), 계란(鷄卵), 청총(靑蔥), 백지(白紙), 청채(靑菜), 황육(黃肉) 11냥, 백염(白鹽), 대하, 백포(白飽), 저(猪) 1수-35냥, 백취자(白取子), 진미(眞米), 수근채(水芹菜), 생궐(生蕨), 외자(桅子), 초리(草履), 남초(南草), 마리(麻履), 생합(生蛤), 반합(半蛤),당일 노비(路費) 등 202냥 9전이다. 제수전 수입은 110냥이고 쌀과 나락의 가격은 110냥 5전으로 도합 220냥 5전이었다. 쌀의 용도는 주미(酒米), 병미(餠米), 당미(糖米), 제반(祭飯)이며 모두 17두이다. 뒤에는 하기계(下記計)가 기록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계유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석동연당로하하답매기(席洞蓮塘路下下畓賣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癸酉三月 日 席洞 癸酉三月 日 席洞齋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계유년 3월에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석동과 연당리에 있는 토지를 매각한 내역을 기록한 문서. 계유년(癸酉年) 3월에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석동(席洞)과 연당리(蓮塘里)에 있는 논을 매도한 내역을 기록한 매도대금수입기(賣渡代金收入記)이다. 대상이 된 토지는 457답 3296평 안의 토지로, 이를 매입한 최씨문중의 족원의 성명과 매도대금이 적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을축년 분재위답추감기(粉齋位畓秋監記)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경제-농/수산업-추수기 乙丑九月 日 乙丑九月 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을축년에 분재위답에서 작성된 추감기. 을축년(乙丑年) 9월에 분재위답(粉齋位畓)에서 작성된 추감기(秋監記)이다. 분재는 전주시 소양면에 있는 전주최씨(全州崔氏) 재실(齋室)인 분동재(粉洞齋)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 추감기는 분동재의 위토답을 경영한 내역서인 셈이다. 추감기는 전답과 소출량, 경작자 등이 기록된 문서로, 추수기(秋收記), 타조기(打租記), 색조기(色租記), 수세책(收稅冊) 등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이름으로 나온다. 이 문서는 학계에서 19세기 이후 지주제(地主制) 연구의 주요 자료로 흔히 이용되어 왔다. 이 문서에 지주가 작인들에게 소작을 둔 토지를 필지별로 전답의 소재지, 지적(두락), 작인 등과 함께 그 수확량이나 지대량을 매년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풍흉이나 재해, 종자와 볏짚, 전세 등의 정보들을 기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연유로 인하여, 토지경영의 실상을 담고 있는 추수기는 많은 연구자들이 지주제 연구와 관련된 주요 자료로 인식하고 활용하여 왔다. 추감기에는 토지 소재지의 고을명과 지번, 지목, 지적, 경작료, 경작인 등이 차례로 적혀 있었다. 이러한 문서를 통해 지역의 유력 세족의 경제적 실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주의 분동재의 위토답의 운영실태를 통해서 전주 지역의 전주최씨 문중의 경제적 기반이 어떠하였는가를 살펴보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이 추감기에는 위토답의 경작인의 이름과 전답의 규모, 도조(賭租) 등이 차례로 적혀 있다. 최명서(崔明瑞), 최덕인(崔德仁), 임춘선(林春先), 이태진(李太振), 이명삼(李明三), 강춘원(姜春元), 장만성(張萬成), 강명신(姜明信), 최화선(崔化先) 등 9명이 46두락 10승락을 경작하였고, 이외에 사래답(賜來畓) 5두락이 있었다. 위토답에 이어서 대전세(垈田稅) 명단이 기재되었는데, 이는 대전(垈田)를 경작한 사람들과 그들이 낸 도조를 기록한 것이다. 최효칠(崔孝七) 등 15명이 기재되어 있다. 맨끝에는 제학공위답(提學公位畓) 수조기(收租記)가 실려 있는데, 최국홍(崔國洪)과 최운홍(崔云洪) 등 두 사람이 4필지 13두락지를 소작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27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제수물목기(祭需物目記)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丁卯三月 丁卯三月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27년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한 제수물목 1927년 3월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한 제수물목기(祭需物目記)이다. 제수 물목은 곡자(曲子), 주미(酒米), 진미(眞米), 백미(白米), 건시(乾柿), 생률(生栗), 대조(大棗), 문어(文魚), 건석어(乾石魚), 생석어(生石魚) 16속 1수-8원(円) 10전, 홍어(洪魚)와 상어(尙魚) 각 2미-2원 6전, 해의(海衣), 북어(北魚), 계란(鷄卵), 저(猪) 1수-14원, 해(蟹), 반합(半蛤), 생합(生蛤), 궐(蕨 고사리), 백지(白紙), 백염(白鹽), 청홍물(靑紅物), 대하(大蝦), 맥분(麥分), 청총(靑蔥), 봉초(封草), 두유(豆乳), 3차 노자(路子), 화목(火木), 차일세(遮日稅)이고 지출한 돈은 도합 58원 48전이다. 수입(收入)은 장교(長橋) 제수전(祭需錢) 5원, 옹정(甕井) 최여일(崔汝一) 4원, 성중(成中) 제수전 2원, 참봉공파 47원 48전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11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옹암공세일제제관분정(甕菴公歲一祭祭官分定) 고문서-치부기록류-분정기 교육/문화-서원/향교-분정기 辛亥九月十五日 門中 崔判洪 등 9인 辛亥九月十五日 1911 全州崔氏門中 崔判洪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문중에서 작성한 1911년 석동산 옹암공 묘제사 집사 명단 1911년 9월 15일, 부안(扶安)에 거주하는 전주최씨(全州崔氏) 문중(門中)에서 작성한 문서이다. 석동산(席洞山)에 있는 옹암공(甕菴公)에게 1년에 한 번 지내는 묘제사(墓祭祀)의 진행을 담당하게 될 헌관(獻官) 및 집례(集禮) 등의 명단이 적혀 있다. 최판홍(崔判洪) 등 9명의 이름이 나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13년 부안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 문성공단사제관분정(文成公壇祀祭官分定) 고문서-치부기록류-분정기 교육/문화-서원/향교-분정기 癸丑正月七日 門中 崔益煥 등 9인 癸丑正月七日 1913 全州崔氏門中 崔益煥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13년,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문중에서 작성한 문성공 단사제 진행자 명단 1913년 1월 7일, 부안(扶安)에 거주하는 전주최씨(全州崔氏) 문중(門中)에서 작성한 문서이다. 문성공(文成公)의 단사제(壇祀祭)를 주관하게 될 헌관(獻官) 등의 이름이 적혀 있다. 헌관은 최익환(崔益煥)이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물목(物目)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된 제수물목.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한 제수물목(祭需物目)이다. 작성연대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32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산직하기(山直下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昭和七年度 昭和七年度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32년에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산직에 지출한 비용을 기록한 문서. 1932년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산직(山直)에게 지출한 비용을 기록한 문서이다. 별지에 소화(昭和) 7년도 2기 지세금 11원 87전에서 일부를 산직에게 출급했다는 기록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기축년 류절재(留節齋) 각항용금내역부(各項用金內譯簿)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己丑正月 日 留節齋 己丑正月 日 留節齋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기축년 정월에 유절재의 지출 내역을 작성한 문서. 기축년(己丑年) 정월에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의 재실 유절재(留節齋)에서 각 항목별로 지출 내역을 작성한 문서이다. 정월 7일부터 9월까지의 내역이 실려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기축년 석동재(席洞齋) 금전수납부(金錢收納簿)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己丑正月 日 席洞齋 己丑正月 日 席洞齋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기축년 정월에 작성한 석동재의 금전수납부. 기축년(己丑年) 정월에 작성한 석동재(席洞齋)의 금전수납부(金錢收納簿)이다. 기축년 정월부터 9월까지의 수입내역이 적혀 있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