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18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참봉공비역용하기(參奉公碑役用下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壬子三月 日 壬子三月 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18년에 작성된 부안 전주최씨 참봉공비의 공사비 지출내역을 기록한 장부. 1918년 3월에 작성된 부안(扶安) 전주최씨(全州崔氏) 참봉공비(參奉公碑)의 공사비 지출내역을 기록한 장부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18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참봉공중수비역용하기 (參奉公重修碑役用下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壬子三月 日 壬子三月 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18년에 작성된 부안 전주최씨 참봉공중수비의 공사비 지출내역을 기록한 장부. 1918년 3월에 작성된 부안(扶安) 전주최씨(全州崔氏) 참봉공중수비(參奉公重修碑)의 공사비 지출내역을 기록한 장부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경술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일행부기(日行簿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庚戌四月 日 庚戌四月 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경술년 4월에 작성된 부안 전주최씨문중의 일행부기. 경술년(庚戌年) 4월에 작성된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의 일행부기(日行簿記)이다. 매일 지출한 금액이 적혀 있는데, 남초(南草) 즉 담배값, 술값, 닭값, 백지(白紙) 값 등이 적혀 있다. 도조(賭租)로 들어 온 수입도 기재되어 있다. 일행부기에 이어 경술년 9월의 추감기(秋監記)도 실려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수지결산기(收支決算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한 수지결산기.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한 수지결산기(收支決算記)이다. 앞 부분이 훼손되어 있다. 수입부와 수지결산기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신축년 석동재(席洞齋) 수지계산서(收支計算書) 고문서-치부기록류-회계기 경제-회계/금융-회계기 辛丑年 辛丑年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신축년에 석동재에서 작성한 수지계산서. 신축년(辛丑年) 석동재(席洞齋)에서 작성한 수지계산서(收支計算書)이다. 수입부와 지출부로 나누어져 기술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全州崔氏家乘譜收單記南面里有司崔弘烈六秩南堂里有司崔鳳權 三秩夫丁里有司崔秉浩 二秩楓洞有司崔秉 十秩杏山有司崔壽洪 二秩月里有司崔基洪 二秩白石里有司崔在洪 一秩遯溪有司崔洪 二秩墨橋有司崔洪二秩當谷有司崔文煥四秩栢浦有司崔三洪二秩化峰理有司崔紋煥一秩長村有司崔秉俊十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16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제수물목(祭需物目)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丙辰三月十九日 丙辰三月十九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16년에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한 제수물목 1916년 3월 19일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한 제수물목(祭需物目)이다. 제수물목은 계란(鷄卵), 저(猪) 1수-20냥, 곡자(曲子), 건시(乾柿), 대조(大棗), 생률(生栗), 문어(文魚), 백지(白紙), 홍합(紅蛤), 초리(草履), 정육(正肉) 10근-6냥, 해곽(海藿), 명태(明太), 생대화(生大化), 생합(生蛤), 해의(海衣), 당묵(唐墨), 철정(鐵釘), 청근(菁根), 도대(屠貸) 2냥, 향어(香魚), 당근(唐根), 석화(石化), 생물화(生物化), 남초(南草), 외자(桅子), 수근채(水芹菜), 진미(眞米), 청총(靑蔥), 해미(海味), 상어(相魚), 건석어(乾石魚), 진유(眞油), 두유(豆乳), 해(蟹), 생석어(生石魚) 1속5미-17냥 5전, 백염(白鹽), 오반료(午飯料) 등이며 소용된 돈은 도합 125냥 8전 1푼이다. 제수전(祭需錢)의 수입(收入)은 149냥 5전이고, 미수전(未收錢)은 8냥 8전 1푼, 작미질(作米秩)은 15두(斗)이며 유사(有司)는 최일홍(崔一洪)이었다. 돼지도축비로 생각되는 도대(屠貸)는 2냥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30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추향시물목기(秋享時物目記)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庚午九月二十日 庚午九月二十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30년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된 추향시물목기 1930년 9월 20일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된 추향시물목기(秋享時物目記)이다. 물목은 건시(乾柿) 생률(生栗), 문어(文魚), 건석어(乾石魚), 북어(北魚), 홍합(紅蛤), 석어(石魚) 5속-1원, 대상어(大常魚), 상어(常魚), 건하(乾鰕), 계란(鷄卵), 생합(生蛤). 궐아(蕨芽), 청총(靑蔥), 진유(眞油), 송탄(松炭), 백염(白鹽), 백지, 수어(水魚), 정육(正肉) 5근-1원 10전, 저(猪) 1수- 4원, 제주, 탁주, 송지(松枝), 생석어(生石魚) 1속-80전, 반합, 백곽(白藿), 진미(眞米), 죽기(竹器), 초리(草履) 양일노비(兩日路費) 등이다. 봉사공파, 참봉공파에서 제수전 27원 11전과 조(租) 30두 수입(收入)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신해년 부안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 사업추진위원회임원록(事業推進委員會任員錄) 고문서-치부기록류-분정기 교육/문화-서원/향교-분정기 辛亥九月十五日 門中 崔東侚 등 23인 辛亥九月十五日 全州崔氏門中 崔東侚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신해년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의 문중에서 사업 추진을 위해 선정한 임원들의 직책과 명단을 정리한 문서 신해년(辛亥年) 9월 15일 부안(扶安)에 거주하는 전주최씨(全州崔氏)의 문중(門中)에서 결성한 사업추진위원회에서 정한 임원들의 명단이다. 임원은 위원장(委員長) 최종순(崔東侚)을 비롯하여 부위원장(副委員長), 총무(總務), 재무(財務), 간사(幹事) 등 23명의 이름이 그들의 거주지와 함께 적혀 있다. 물론 모두 최씨(崔氏)이며, 부안 거주자였다. 한편 본 추진위원회가 어떤 사업을 추진하고자 한 것인지는 적혀 있지 않다. 신해년은 1911년으로 추정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을묘년 부안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 대의원(代議員) 분정기(分定記) 고문서-치부기록류-분정기 교육/문화-서원/향교-분정기 乙卯正月七日 門中 崔忠洪 등 16인 乙卯正月七日 全州崔氏門中 崔忠洪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문중에서 작성한 을묘년 대의원 명단 을묘년(乙卯年) 1월 7일, 부안(扶安)에 거주하던 전주최씨(全州崔氏)문중(門中)에서 작성한 문서이다. 대의원으로 임명된 최충홍(崔忠洪) 등 16명의 이름이, 그들이 거주하는 마을의 이름과 함께 적혀 있다. 물론 모두 최씨였다. 그런데 간혹 기존에 껐던 이름을 지우고 새롭게 이름을 쓴 곳이 있는데, 이는 당초에 선정한 사람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생긴 현상이라고 판단된다. 본 문서의 수신인은 대의원으로 임명된 최충홍 등이었다고 보아야 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14년 부안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 문성공단사제관분정(文成公壇祀祭官分定) 고문서-치부기록류-분정기 교육/문화-서원/향교-분정기 甲寅正月七日 門中 崔學洪 등 9인 甲寅正月七日 1914 全州崔氏門中 崔學洪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14년,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문중에서 작성한 문성공 단사제 진행자 명단 1914년 1월 7일, 부안(扶安)에 거주하는 전주최씨(全州崔氏) 문중(門中)에서 작성한 문서이다. 문성공(文成公) 단사제(壇祀祭) 때 진행을 맡게 될 초헌관(初獻官) 등 11명의 이름이 적혀 있다. 초헌관은 최학홍(崔學洪)이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全州周德山文成公墓壇歲一祀執事望初獻 崔在洪亞獻 崔哲洪終獻 崔判洪禮 崔銓鶴祝 崔東旭典祀 崔學洪奉香 崔甲烈奉爐 崔春煥原丙申正月七日門中席洞山甕菴公歲一祀完定丙申九月二十日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