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1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유절재(留節齋) 제수물목기(祭需物目記)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辛卯三月 辛卯三月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51년 부안 전주최씨문중의 재실 유절재에서 작성된 제수물목기 1951년 3월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의 재실(齋室) 유절재(留節齋)에서 작성된 제수물목기(祭需物目記)이다. 유절재는 전주최씨 입향조인 최생명(崔生命)을 배향한 곳으로 최생명의 아들 최수손(崔秀孫이)이 지은 것이다. 최수손의 다섯 아들이 모두 대소과(大小科)에 급제하였고, 최필성과 최계성은 효자 정려를 받았다. 1951년 3월 제수물목기는 제수물목기와 원재물품용하기(元齋物品用下記), 제향절차가 기록되어 있다. 제수물목은 건시(乾柿), 율(栗), 대조(大棗), 문어(文魚), 백지(白紙), 해의(海衣), 외자(桅子), 멸치, 곡자(曲子), 태(太), 건석어(乾石魚), 미(米), 오반주(午飯酒), 해채(海菜), 염(鹽), 백염(白鹽), 찬대(饌代), 진유(眞油), 남초(南草), 정육(正肉) 5근-10,000원, 계란(鷄卵), 생석어(生石魚) 70수-42,000원, 생합(生蛤), 생총(生葱), 생하(生蝦), 백태(白太), 고초(苦草), 민어(魚+民魚), 상어, 청채(靑菜), 상추, 영근(永芹), 두유, 고춧가루, 탁주, 청주, 오리정유사주가(五里亭有司酒價) 등 도합 30,335원이 쓰였다. 민어, 상추, 영근 등이 새로운 제수품으로 기록되어 있다. 원재물품용하기에는 판자, 목정개(木鼎蓋), 정(釘), 사기, 중발, 광(筐), 등잔, 축석비(築石費), 백지 등과 유사의 노자가 기록되어 있는데 도합 98,000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