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894년 부안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 도유사(都有司) 분정기(分定記) 고문서-치부기록류-분정기 교육/문화-서원/향교-분정기 甲午九月日 門中 崔{土+犀}洪 崔秉哲 甲午九月日 1894 全州崔氏門中 崔{土+犀}洪 崔秉哲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문중에서 작성한 1894년의 도유사 및 부유사 명단 1894년 9월, 부안(扶安)에 거주하는 전주최씨(全州崔氏)의 문중(門中)에서 적성한 문서이다. 도유사(都有司)와 부유사(副有司)로 임명된 자들의 이름이 적혀 있다. 도유사는 최지홍(崔墀洪)이었으며, 부유사는 최병철(崔秉哲)이었다. 본 문서의 수신인은 최지홍 등이었다고 보아야 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갑신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원재용하기(元齋用下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甲申三月 日 甲申三月 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갑신년에 부안 전주최씨 원재의 지출내역을 기록한 장부. 갑신년 3월 부안(扶安) 전주최씨(全州崔氏) 원재(元齋)의 지출내역을 기록한 하기(下記)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제수전의부기(祭需錢義賻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제수전을 부조한 사람들과 금액을 기록한 문서.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제수전(祭需錢)을 부조한 사람들의 명단과 부조 금액을 적어넣은 문서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족질(族姪) 서간(書簡)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族侄 族侄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모년(某年)에 부안 전주최씨 족질이 보낸 서간 모년(某年)에 부안(扶安) 전주최씨(全州崔氏) 족질(族侄)의 서간(書簡)이다. 석동산 시사(時祀)를 이달 말정(末丁)으로 물려 정하였다며 제수(祭需)로 제주(祭酒) 2되와 제반미(祭飯米) 3되를 봉진(奉進)하라고 하였다. 말정(末丁)은 3정일(丁日) 중 마지막 정일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謹詢邇來靜體候万安伏溸伏溸族侄姑依是幸就席洞山時祀以今月末丁退定故玆仰告以此諒下而祭需奉進中祭酒二升祭飯米三升幷封如何餘不備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신해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회계기(會計記) 고문서-치부기록류-회계기 경제-회계/금융-회계기 辛未十一月十三日 辛未十一月十三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신해년 11월 13일에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한 회계기. 신해년(辛亥年) 11월 13일에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한 회계기(會計記)이다. 처암공파의 신해년 2월, 3월치 기록과, 참봉공파의 11월 13일치 기록이 실려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동헌비고단자(東獻備考單子) 고문서-치부기록류-보첩류 사회-가족/친족-족보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 전주최씨 선대의 명신과 유일들의 사적을 기록한 문서 부안(扶安) 전주최씨(全州崔氏) 선대의 이름난 명신(名臣)과 유일의 사적(史蹟)을 기록한 문서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東獻備考單子功臣 世宗朝崔匡之全州人月塘霮子號松崖官大匡太師兩館大提學單主崔再榮扶安郡山內面栢浦里遺逸崔生明全州人大匡太師匡之子號甕菴文宗朝生員殿直學行純備蔭補未幾從季父烟村先生同時退休歸田里享甕井垸遺逸崔季孫全州人甕菴生明子號固窮堂金寒喧堂門人進士學行純博先生亟獎詡自遭戊午史禍更不赴奉累徵不就丁內外艱廬墓盡禮享道東垸遺逸崔弼成全州人固窮堂季孫子號處士成均進士以孝旋閭靜菴趙先生門人生而穎秀金玉其相河海其量遭戊午史禍絶意榮利遯跡鏟彩享道東院載己卯名䝨錄靜菴賢良薦曰才兼文武奉親至孝題名御屛載三綱錄遺逸崔繼成全州人固窮堂秀孫子號處菴成均生員靜菴趙先生門人遭己卯士禍歛跡韜晦尤精家語心經著人訓敎導後進思菴朴相公嘗從師而受敎易理享甕井院以孝與仲兄並旌題御屛以備乙覽載三綱錄遺逸崔意成全州人固窮堂秀孫子成均生員文參奉隱德不仕沈潛經傳不以貧賤爲慽慽不以當貴爲汲汲遺逸崔活全州人處菴繼成子號黙齊承仕郞禮賓寺奉事春曺薦目曰恬靜自守克盡孝友屡徵不就宋先生一洪比於漢之郭林宗貞不絶俗隱不違親之行享甕井院名臣崔順成全州人固窮堂秀孫子丙子文大司成檢詳舍人載名臣錄名臣崔克成全州人固窮堂秀孫子丙子文藝文檢閱生而穎悟好學樂德世称君子文學兼備歷剔淸顕令望傾朝屡歷州牧政治淸簡頌德立碑遺賢 宣祖朝崔命龍全州人大司成順成孫號石溪沙溪金先生門人聦明邁倫日以性學爲心忠信自守年十二遭喪如禮 宣祖朝倡義赴 行朝雖在搶攘講論不撤牛溪成先生與語歎曰吾遇有依因以奏御 上欽歎其忠義沙溪先生曰吾事栗谷龜峰兩先生先生旡沒倀倀偊偊今幸遇賢充然有淂疑焉質之讀焉講之我以賢爲師賢以我爲師我非敎賢賢實敎找聞訃誅曰早歲志於道仁義以爲基全生而全歸在賢復何憂余老且死不能忘者惟此事而己碣銘曰何其貞也玉雪文白何其富也雲曼之蓄又挽曰賢之美質博學在明友難忘在末俗難得尹相公梧陰月汀嘗聞其學歎不可及申相公象村歎曰人物醇厚學識該博賜額全州麟峰院享本縣甕井院 單主 崔再榮東津面弓月里功臣 單主崔乃洪代崔再榮崔勮全州人石溪命龍子文屡典州郡以谷山郡守宣祖朝倡義殉節有錄券功臣 弓目里 單主崔乃洪代崔再榮崔勁全州人石溪命龍子號月坡文宣祖朝文靑山縣监倡義有勳勞扈聖請社一等功臣有錄券入文章薦學行崔謂全州人大司成順成子文縣监博學篤行與李退溪曺南溟爲道義交以長者推許蔭仕崔海全州人處士弼成子官參奉副護軍文科崔沫全州人檢閱克成子文禮曺正郞蔭仕崔濱全州人參奉竟成子承仕郞禮賓寺參奉學行崔孝大全州人號誠齊奉事之泰孫講論經傳繹解理義尤篤孝行春曺闡目曰博學性理孝友篤行克復天性可用需世遠近章甫莫不矜式焉學行崔羲中全州人誠齊孝大孫號敦菴宋剛齊穉圭門人性孝根天聦慧過人達於聖学先生每論經義許之爲世師表遠近學者日趨欽仰虛往實歸敎導後學爲己任有遺稿二冊學行崔昌洙全州人敦菴羲中孫號蓬隱稟性嚴明特異孝行四物感應講論經學克明道義春曺境薦目曰根天孝卓異行在昔罕聞載三綱錄貞烈李氏籍瀛州源萬女學行全州崔昌洙妻夫病滯崇藥進子正水百日時値積雪每夜犬導開路淂完效又嬰咳喘三載桃汴爲良適値臘天號泣桃樹下忽有一桃黏枝間葉底歸供得效及其晝哭葬祭遵禮嚴訓穉子克守家聲 有鄕道薦以七十八單也 單主崔再榮名臣 肅宗朝崔全素全州人功臣勮子文同副承旨蔭仕 戶曹參判崔全好全州人功臣勮子官主簿蔭仕崔全美全州人功臣勮子官參奉蔭仕崔全性全州人功臣勮子官宣敎郞兼設遾官扶安祁東津面弓月里單至崔乃洪司馬崔全斗全州人功臣勁自進士單主崔乃洪蔭仕崔芬全州人參奉海子官副護軍蔭仕崔蘭全州人參奉海子官參奉崔明遂全州人進士弼成曾孫官參奉以上三單 奉事單主崔秉道井邑郡 德川面元佳井里蔭仕崔廷益全州人進士弼成七世孫官察訪德川面佳井里單主崔秉道蔭仕▣(崔)漢榮全州人敦菴羲中魯孫參奉陞通政大夫單主崔再榮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정해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제수물목기(祭需物目記)·추감기(秋監記)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丁亥秋 丁亥秋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정해년에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된 제수물목기와 추감기. 정해년(丁亥年)에 부안(扶安)의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된 제수물목기(祭需物目記)와 추감기(秋監記)이다. 제수물목기는 제사 때 사용할 각종 물건을 구입하였던 내역을 기록한 것이다. 모두 7,615원이 소요되었다. 한편, 추감기는 전답과 소출량, 경작자 등이 기록된 문서로, 추수기(秋收記), 타조기(打租記), 색조기(色租記), 수세책(收稅冊) 등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이름으로 나온다. 이 문서는 학계에서 19세기 이후 지주제(地主制) 연구의 주요 자료로 흔히 이용되어 왔다. 이 문서에 지주가 작인들에게 소작을 둔 토지를 필지별로 전답의 소재지, 지적(두락), 작인 등과 함께 그 수확량이나 지대량을 매년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풍흉이나 재해, 종자와 볏짚, 전세 등의 정보들을 기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연유로 인하여, 토지경영의 실상을 담고 있는 추수기는 많은 연구자들이 지주제 연구와 관련된 주요 자료로 인식하고 활용하여 왔다. 특히 유절재는 부안의 유력한 씨족인 전주최씨(全州崔氏)의 재실(齋室)로, 각 파별로 다양한 계(契)를 설립하여 운영하여 왔다. 유절재에 소장된 회문(回文)을 통해서 드러난 계를 살펴보더라도 흥학계(興學稧), 처암공파계(處菴公派契), 봉사공파계(奉事公派契), 원재계(元齋契), 참봉공파계(叅奉公派契), 사문계(私門稧), 문중별청계(門中別廳稧) 등 다양하다. 이들 조직은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었고, 이에 따라 별도의 재원을 확보하고 있었다. 그 재원은 다름 아닌 전답의 소유이다. 이들 계의 전답은 경영 과정에서 각 계마다 추수기 또는 추감기가 작성되었다. 이들 추감기에는 토지 소재지의 고을명과 지번, 지목, 지적, 경작료, 경작인 등이 차례로 적혀 있었다. 이러한 문서를 통해 부안의 유력 세족인 전주최씨(全州崔氏)의 당시의 경제적 실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정해년 9월에 작성된 이 추감기에는 부안의 석동평(席洞坪)과 연곡평(蓮谷坪), 통정평(通井坪), 산징리평(山澄里坪), 신기전(新起田) 등 다섯 곳에 있는 전답의 지번과 지목, 두락수, 경작인과 조(租) 등이 차례로 기재되어 있다. 석동평에 있는 논은 1필지 10두락으로 조는 1석이며, 연곡평은 4필지 14두락 5승락으로 조는 2석 6두이다. 통정평은 1필지 8두락이며 조는 3석 5두이다. 산징리평은 3필지 6두락이며 조는 사미(賜米)로 적혀 있다. 신기전은 3필지 4두 10승락이며 조는 5두 9승락 10홉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15년 부안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 문성공단사제관분정(文成公壇祀祭官分定) 고문서-치부기록류-분정기 교육/문화-서원/향교-분정기 乙卯正月七日 門中 崔秉浩 등 9인 乙卯正月七日 1915 全州崔氏門中 崔秉浩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15년,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문중에서 작성한 문성공 단사제 진행자 명단 1915년 1월 7일, 부안(扶安)에 거주하는 전주최씨(全州崔氏) 문중(門中)에서 작성한 문서이다. 헌관(獻官) 최병호(崔秉浩) 등 문성공(文成公) 단사제(壇祀祭) 때의 참여하게 될 사람의 이름이 적혀 있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