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19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옹암공세일제제관분정(甕菴公歲一祭祭官分定) 고문서-치부기록류-분정기 교육/문화-서원/향교-분정기 己未三月十日 門中 崔澤洪 등 19인 己未三月十日 1919 全州崔氏門中 崔澤洪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문중에서 작성한 옹암공과 고궁당의 1919년 시제 담당 제관의 명단 1919년 3월 10일, 부안(扶安)에 거주하는 전주최씨(全州崔氏) 문중(門中)에서 작성한 문서이다. 1년에 한 차례 지내는 옹암공(甕菴公)과 고궁당(固窮堂)의 시제(時祭)를 담당할 헌관(獻官) 및 봉향관(奉享官) 등의 이름이 적혀 있다. 옹암공 시제의 초헌관(初獻官)으로 선정된 최택홍(崔澤洪)과 고궁당 시제의 초헌관으로 선정된 최판홍(崔判洪) 등 모두 19명의 이름이, 그들이 거주하는 마을의 이름과 함께 나와 있다. 옹암공은 최생명(崔生命)을, 고궁당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34년 부안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 원재유사(元齋有司) 분정기(分定記) 고문서-치부기록류-분정기 교육/문화-서원/향교-분정기 甲戌三月 日 門中 崔學洪 甲戌三月 日 1934 全州崔氏門中 崔學洪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문중에서 작성한 1934년 원재 임원 명단 1934년 3월, 부안(扶安)에 거주하는 전주최씨(全州崔氏) 문중(門中)에서 작성한 문서이다. 원재(元齋)의 임원으로 선정된 최학홍(崔學洪)의 이름이 적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신미년 한벽당종대중수의연금책(寒碧堂宗垈重修義捐金冊)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경제-토목/건축-치부 辛未三月 日 辛未三月 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전주시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신미년 3월에 작성한 한벽당종대중수의연금책. 신미년(辛未年) 3월에 작성한 한벽당종대(寒碧堂宗垈)의 중수(重修)에 필요한 의연금(義捐金)을 족원들로부터 갹출한 내역을 기록한 장부이다. 본문에는 의연금좌목(義捐金座目)이라는 제목 아래 최한홍 등 의연금을 출연한 사람들의 성명과 마을 이름이 적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09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옹암공세일제제관분정(甕菴公歲一祭祭官分定) 고문서-치부기록류-분정기 교육/문화-서원/향교-분정기 己酉九月十五日 門中 崔東旭 등 18인 己酉九月十五日 1909 全州崔氏門中 崔東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문중에서 작성한 옹암공과 고궁당의 1909년 시제 담당 제관의 명단 1909년 9월 15일 부안(扶安)에 거주하는 전주최씨(全州崔氏) 문중(門中)에서 작성한 문서이다. 1년에 한 차례 지내는 옹암공(甕菴公)과 고궁당(固窮堂)의 시제(時祭)를 담당할 헌관(獻官) 및 봉향관(奉享官) 등의 이름이 적혀 있다. 옹암공 시제의 초헌관(初獻官)으로 선정된 최동욱(崔東旭)과 고궁당 시제의 초헌관으로 선정된 최학홍(崔學洪) 등 모두 18명의 이름이, 그들이 거주하는 마을의 이름과 함께 나와 있다. 옹암공은 최생명(崔生命)을, 고궁당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34년 부안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 처암공파유사(處菴公派有司) 분정기(分定記) 고문서-치부기록류-분정기 교육/문화-서원/향교-분정기 甲戌三月 日 門中 崔秉豊 崔{土+犀}洪 甲戌三月 日 1934 全州崔氏門中 崔秉豊 崔{土+犀}洪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문중에서 작성한 1934년 처암공파 유사들의 명단 1934년 3월, 부안(扶安)에 거주하는 전주최씨(全州崔氏) 문중(門中)에서 작성한 자료이다. 처암공파(處菴公派)의 종중(宗中)일을 맡아 볼 유사(有司)들의 이름이 들어 있다. 최병풍(崔秉豊)과 최지홍(崔墀洪) 등이 그들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김영욱(金泳旭)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卽日 金泳旭 卽日 金泳旭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모년(某年)에 김영욱이 보낸 서간 모년(某年)에 김영욱(金泳旭)이 보낸 서간(書簡)이다. 집에 도착하여 서울에서 보낸 아들의 편지를 열어보니 서울의 일이 시급하다고 하였다며 어떤 식으로든 돈 20환을 빚내어 아들에게 올려보내야 한다고 하였다. 김계년(金啓年)에게 다시 상의하여 20원을 채워 올려보내야 서울에서의 경비와 내려올 때 차비가 될 것이라며 가부(可否) 간에 회답을 해달라고 하였다. 피봉에는 부안군(扶安郡) 송정리(松亭里)에 사는 김영욱(金泳旭)이 석동재(席洞齋) 재수(齋首) 최모(崔某)에게 보낸 것으로 되어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除伏告揮汗抵家則今卽自京中家豚處出付書方爲到着在案云故百地開完則京中事時急云云入鑑次卽胎呈覽後雖某樣中貳拾圜金期圖得債上送家豚卽下來還家後設計做事伏好伏好今見家兒書則俄約十圜金上送不可用者有此消費不爲下來矣以此諒下與金啓年氏更請來議處期於二十円金充數上送然後京中用費色着以給而又用車費下來矣可否間回示若何餘不備上候卽日 生 金泳旭上候書(皮封前面)席洞旅中崔齋首丈殿(皮封背面)松亭里謹上候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경신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문중용하회계(門中用下會計)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庚申正月 庚申正月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경신년에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수입 지출 내역을 정리한 문서. 경신년(庚申年) 정월부터 신유년 3월까지 부안(扶安) 전주최씨(全州崔氏) 문중에서 수입 지출 내역을 정리한 용하회계(用下會計)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병자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원재용하부(元齋用下簿)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丙子三月 日 丙子三月 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병자년에 부안 전주최씨문중의 원재에서 지출한 내역을 기록한 문서. 병자년(丙子年) 3월에 부안(扶安) 전주최씨(全州崔氏)문중의 원재(元齋)에서 수입 지출 내역을 기록한 용하부(用下簿)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갑신년 유절암중수용하부(留節菴重修用下簿)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甲申九月 日 甲申九月 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갑신년에 유절암을 중수하면서 지출한 내역을 기록한 장부. 갑신년 9월에 작성한 유절암중수(留節菴重修)의 지출 내역을 기록한 장부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43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제수물목기(祭需物目記)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癸未三月 癸未三月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43년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된 제수물목기 1943년 3월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된 제수물목기(祭需物目記)이다. 제수물목은 건시(乾柿), 밤, 대추, 석어(石魚), 북어(北魚), 홍합(紅蛤), 건하(乾鰕), 백지(白紙) 1속-75전, 신문지(新聞紙) 10장-23전, 해의(海衣), 외자(桅子), 생합(生蛤), 반합(半蛤), 저육(猪肉) 23근-17원 25전, 진유(眞油), 청총(靑蔥), 백채(白菜), 시금치(蒔根菜) 7속-50전, 궐아(蕨芽), 소맥분(小麥粉), 계란(鷄卵), 백염(白鹽), 수근(水芹), 연초(煙草), 석유(石油), 초혜(草鞋), 상어(尙魚), 전어(奠魚), 생화(生魤), 명태(明太) 등이며 12, 13, 14일 3일에 걸쳐 장을 보았다. 제수품 중 정육(正肉)이 빠져있고 시금치와 전어(奠魚), 신문지 구입이 눈에 띄는 내용이다. 쌀의 용도는 병미(餠米), 제반미(祭飯米), 자미(炙米), 감주미(甘酒米)이며 제수전 수입기는 검열공파 10원, 처사공파 10원, 장동리(長東里) 단사(壇祀) 5원이다. 처사공은 석계(石溪) 최명룡(崔命龍) 1567~1621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월당공견비전(月塘公堅碑錢)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월당공의 견비를 만드는데 필요한 자금을 족원들에게 할당한 명부.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월당공(月塘公) 최담(崔霮, 1346~1434)의 비석을 만드는데 필요한 경비를 족원들에게 할당한 문서이다. 족원들을 1등, 2등, 3등, 4등, 5등 등 다섯으로 구분하여 1등은 각 100냥, 2등은 각 60냥, 3등은 각 30냥, 4등은 각 15냥, 5등은 각 10냥씩 할당하였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