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무술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연중행사예산편성건(年中行事豫算編成件) 고문서-치부기록류-회계기 경제-회계/금융-회계기 戊午年 正月七日 戊午年 正月七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무술년 정월 7일에 부안 전주최씨문중의 연중행사에 소요되는 예산을 편성한 문서. 무술년(戊戌年) 정월 7일에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연중행사(年中行事)에 소요되는 예산(豫算)을 편성한 내역을 기록한 문서이다. 세적록(世蹟錄) 중대단금(中代單金), 백원루 수리비, 제수용부족액, 향교의연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무술년 류절재(留節齋) 금전수입부(金錢收入簿)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戊戌九月 日 留節齋 戊戌九月 日 留節齋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무술년 9월에 유절재에서 작성한 금전수입부. 무술년(戊戌年) 9월에 유절재(留節齋)에서 작성한 금전수입부(金錢收入簿)이다. 원재(元齋)의 운영수입비, 세적록조 수입금, 백미 수입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추감기(秋監記)와 세적록책자분질기 등이 실려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경진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재실답조출급기(齋室畓租出給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庚辰四月初四日 庚辰四月初四日 扶安 全州崔氏 宗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경진년에 부안에 사는 전주최씨 종중 소유의 재실답에서 거둔 조의 출급 상황을 기록한 문서. 경진년에 부안(扶安)에 사는 전주최씨(全州崔氏) 종중 소유의 재실답(齋室畓)에서 거둔 조(租)의 출급(出給) 상황을 기록한 문서이다. 곧 재실의 추수기(秋收記)인 셈이다. 이 추수기는 지주가 농업 생산과정에서의 여러 사항을 기록하여 경영에 만전을 기하기 위하여 작성한 문서로, 특히 소작인과 관련된 사항들이 적혀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지주는 전체의 경영규모와 경영방식의 현 실태와 변동의 추세까지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소작인의 경제 실태까지 소상하게 볼 수 있어서 당시 농촌경제의 실태를 아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문서는 전주최씨 재실의 경영 실태를 잘 보여 준다. 문서의 첫 머리에 '齋室畓租出給記'라고 적혀 있으며, 이어서 매석(每石)당 이자조로 8두(斗)씩 거두었다고 하였다. 이어서 소유 전답의 지역별로 소작자의 성명과 그들이 낸 조(租)들이 차례로 적혀 있다. 석제(石堤) 임화중(林化中) 1석부터 시작하여 13곳 19명의 성명과 조들이 기록되어 있다. 출급기의 끝에는 재실답에서 모두 21석 3두 5합(合)을 거두었으며, 여기에서 1석 3두 5합을 제하여 출급 조는 총 20석이라고 적고 있다. 이 문서에는 작성연대가 적혀 있지 않지만, 출급기에 뒤이어 함께 점련되어 있는 제수물목(祭需物目)이 '辛巳三月十五日'으로 작성연대를 적고 있는 점을 참작하여 그 전년도에 해당하는 경진년으로 작성연대를 추정하였다. 그러나 경진년에 해당하는 서기연대는 알 수 없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28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석동재중물목기(席洞齋中物目記)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戊辰三月卄二日 戊辰三月卄二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28년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한 석동재중물목기 1928년 부안(扶安)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한 석동재중물목기(席洞齋中物目記)이다. 1916년 물목기에는 제기(祭器)와 서적(書籍)을 검실(檢實 실재조사)한 물목기이다. 제기(祭器) 항목에는 목기접시(木器接匙), 목제반기(木祭飯器), 목갱기(木羹器), 목탕기(木湯器), 병좌(餠座), 공반(空盤), 칠반(漆盤), 시(匙), 식정(食鼎), 저(箸), 대증(大甑), 향합(香盒), 향로(香爐), 홀판(笏板), 쇄철(鎖鐵), 차일(遮日), 궤(櫃), 목기궤(木器櫃), 통궤(桶櫃), 자좌(子座), 노좌(蘆座), 측량판(測量板), 제반(祭盤), 석용(石舂), 연상(硯床)이 있다. 서적은 처사공파(處士公派)・처암공파(處菴公派)・참봉공파(參奉公派)의 가승보(家乘譜) 각 1건, 신편휘어(新編彙語), 사기(史記), 육선공집(陸宣公集), 제봉집(霽峯集), 눌와집(訥窩集), 석호집(石湖集), 연촌집(烟村集), 일재집(一齋集), 옹천집(甕泉集), 담허재집(澹虛齋集), 운강집(雲江集), 서학서도(小學書圖), 오현수언(五賢粹言), 삼강록(三綱錄), 대곡집(大谷集), 심원록(尋院錄), 만언분류(萬言分類), 여사서(女四書), 문안초이미편(門案抄而未編), 고대사군실기(高代四君實記) 등이다. 이 물목들을 인수인계(引受引繼)한 사람은 최전우(崔銓宇), 최병호(崔秉澔)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을축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제수단자(祭需單子)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乙丑三月 日 乙丑三月 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을축년 3월에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된 제수단자. 을축년(乙丑年) 3월에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된 제수단자(祭需單子)이다. 제수물목과 수입기로 나누어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33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시용제수물목기(市用祭需物目記)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癸酉三月十四日 癸酉三月十四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33년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된 시용제수물목기 1933년 3월 14일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된 시용(市用) 제수물목기(祭需物目記)이다. 시장에서 구입한 물품은 건시(乾柿), 생률(生栗), 대추, 염석어(鹽石魚), 북어(北魚), 건석어(乾石魚),홍어(洪魚) 2미-90전, 청어(靑魚), 생석어(生石魚), 상어(尙魚), 계란(鷄卵), 생합(生蛤) 건하(乾鰕), 생해(生蟹), 진유(眞油), 반합(半蛤), 해의(海衣), 청총(靑蔥), 청채(靑菜), 백지(白紙), 백미(白米), 백염(白鹽), 진미(眞米), 두유(豆乳), 외자(桅子), 청주(淸酒), 정육(正肉) 2근 7합-60전 감곽(甘藿), 건석어(乾石魚), 백지 10장-12전, 신문지(新聞紙) 10장-3전, 노비(路費) 등이다. 60전이 장성 필암서원 보존계추입금(保存契追入金)으로 쓰여 도합 18원 56전이다. 백미를 낸 사람은 최한서(崔漢西), 최윤집(崔允集), 최성균(崔成均), 최도국(崔道局), 최자윤(崔子允), 최성서(崔成瑞), 최광언(崔光彦), 최한서(崔漢瑞)이고, 제수전을 낸 사람은 최칠환(崔七煥), 최남순(崔南順), 최치문(崔致文), 최윤집, 최종삼(崔鍾三), 최성서(崔成瑞), 최병선(崔秉鮮)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행정·사법문서

기축년 석동재(席洞齋) 원재경리경과보고서(元齋經理經過報告書) 고문서-첩관통보류-보고서 정치/행정-보고-보고서 己丑正月七日 席洞齋 己丑正月七日 席洞齋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기축년 정월 7일에 석동재에서 작성한 원재의 경리경과보고서. 기축년(己丑年) 정월 7일에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의 재실 석동재(席洞齋)에서 원재(元齋)의 수입 지출내역을 기록한 문서이다. 무자년의 수입내역과 지출내역이 적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갑인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추감기(秋監記) 2 고문서-치부기록류-추수기 경제-농/수산업-추수기 甲寅八月二十五日 甲寅八月二十五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갑인년 8월에 부안의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된 추감기. 갑인년(甲寅年) 8월에 부안(扶安)의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된 추감기(秋監記)이다. 추감기는 전답과 소출량, 경작자 등이 기록된 문서로, 추수기(秋收記), 타조기(打租記), 색조기(色租記), 수세책(收稅冊) 등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이름으로 나온다. 이 문서는 학계에서 19세기 이후 지주제(地主制) 연구의 주요 자료로 흔히 이용되어 왔다. 이 문서에 지주가 작인들에게 소작을 둔 토지를 필지별로 전답의 소재지, 지적(두락), 작인 등과 함께 그 수확량이나 지대량을 매년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풍흉이나 재해, 종자와 볏짚, 전세 등의 정보들을 기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연유로 인하여, 토지경영의 실상을 담고 있는 추수기는 많은 연구자들이 지주제 연구와 관련된 주요 자료로 인식하고 활용하여 왔다. 특히 유절재는 부안의 유력한 씨족인 전주최씨(全州崔氏)의 재실(齋室)로, 각 파별로 다양한 계(契)를 설립하여 운영하여 왔다. 유절재에 소장된 회문(回文)을 통해서 드러난 계를 살펴보더라도 흥학계(興學稧), 처암공파계(處菴公派契), 봉사공파계(奉事公派契), 원재계(元齋契), 참봉공파계(叅奉公派契), 사문계(私門稧), 문중별청계(門中別廳稧) 등 다양하다. 이들 조직은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었고, 이에 따라 별도의 재원을 확보하고 있었다. 그 재원은 다름 아닌 전답의 소유이다. 이들 계의 전답은 경영 과정에서 각 계마다 추수기 또는 추감기가 작성되었다. 이들 추감기에는 토지 소재지의 고을명과 지번, 지목, 지적, 경작료, 경작인 등이 차례로 적혀 있었다. 이러한 문서를 통해 부안의 유력 세족인 전주최씨(全州崔氏)의 당시의 경제적 실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갑인년 8월에 작성된 추감기에는 부안의 묵교평(墨橋坪)과 신평리평(新坪里坪), 묵정평(墨丁坪), 마전평(麻田坪), 청일평(晴日坪)에 있는 전답의 경작자와 두락 수와 도조(賭租) 등이 차례로 기재되어 있다. 묵교평에서는 최운경과 최응수가 각각 7두락과 6두락의 논을 경작하여 1석 16두와 2석 2두의 도조를 각각 납부했다. 신평리에서는 최성도가 5두락의 논을 경작하여 1석 15두의 도조를 납부했다. 묵정평에서는 김경옥이 4두락, 2두락, 7두락 등 3필지의 논을 경작하여 1석 12두, 16두, 3석 3두의 도조를 각각 납부했다. 그리고 백한서가 4두락의 논을 경작하여 1석 16두의 도조를 납부했다. 마전평에서는 최경선이 3두락의 논을 경작하여 17두의 도조를 각각 납부했다. 청일평에서는 최성일이 5두락의 논을, 최경선이 2필지 4두락과 5두락의 논을 각각 경작하여 1석 10두, 그리고 1석가 1석 10두의 도조를 각각 납부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부안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 도유사(都有司) 분정기(分定記) 고문서-치부기록류-분정기 교육/문화-서원/향교-분정기 門中 崔東侚 등 全州崔氏門中 崔東侚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에 거주하는 전주최씨 문중에서 작성한 도유사의 명단 부안(扶安)에 거주하는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한 문서이다. 도유사(都有司)로 임명된 최동순(崔東侚) 등 부유사(副有司)와 재무(財務) 그리고 유사(有司)로 임명된 8명의 이름이, 그들이 살고 있는 마을의 이름과 함께 실려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임술년 유절재(留節齊) 제관경임록(祭官經任錄) 고문서-치부기록류-분정기 교육/문화-서원/향교-분정기 壬戌 三月 四日 壬戌 三月 四日 全州崔氏門中 崔命煥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 전주최씨 유절재의 제사에서 제관을 맡은 사람들의 명부. 부안(扶安) 전주최씨(全州崔氏) 유절재의 초헌(初獻), 아헌(亞憲), 종헌(終獻), 집례(執禮), 축(祝), 봉향(奉香), 봉로(奉爐), 봉작(奉爵), 전작(奠爵), 직일(直日) 등 제관(祭官)의 명단을 수록한 명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留節齊壬戌 三月 四日祭官經任錄松崖公墓歲一祭祭官初獻 崔命煥 扶安郡舟山面大富谷亞憲 崔圭煥 長水郡山西面桐花里終獻 崔萬鎬 井邑郡淨雨面長順執禮 崔命烈 扶安郡茁浦面卯山里祝 崔英烈 全州市東部市場奉香 崔文洪 金提郡白山面上井里奉爐 崔甲烈 扶安郡茁浦面南月奉爵 崔仲烈 扶安郡白山面光德里奠爵 崔固烈 扶安郡扶安邑泰德里直日 崔三烈 井邑郡淨雨面山北里壬戌 三月四日甕菴公墓歲一祭祭官初獻 崔墀洪 扶安郡山內面栢浦亞獻 崔相烈 井邑郡德川面檀內里終獻 崔圭星 井邑郡梨坪面梧琴執禮 崔同烈 扶安郡扶安邑市場祝 崔冑鎬 全州市完山洞奉香 崔秉喜 扶安郡下西面金剛洞奉爐 崔昌洪 扶安郡舟山面大富谷奉爵 崔秉山 扶安郡扶安邑茅山里奠爵 崔圭善 高敞郡高敞邑直日 崔洙烈 扶安郡扶安邑蓮谷里壬戌 三月十日固窮堂公墓歲一祭祭官初獻 崔基洪 扶安郡舟山面大富谷亞獻 崔富榮 裡里市終獻 崔玘洪 扶安郡保安面新活里執禮 崔俊烈 扶安郡山內面蓮洞里祝 崔秉玉 扶安郡扶安邑茅山里奉香 崔泰鎬 扶安郡茁浦面南月里奉爐 崔圭錫 扶安郡扶安邑市場奉爵 崔秉蓮 扶安郡白山面局城里奠爵 崔學烈 서울市壬戌 三月十日松崖公歲一祭祭官初獻 崔秉心 扶安郡舟山面白石亞憲 崔南烈 井邑郡井州市 小尹終獻 崔在文 井邑郡所聲面蓮洞 小尹執禮 崔同烈 扶安邑市場祝 崔熊烈 白山面金坂里奉香 崔秉植 山內面大項里奉爐 崔明烈 完州郡三禮邑瓦里奉爵 崔正烈 〃 〃奠爵 崔官烈 上西面通井里直日 崔相變 鎭西面蓮洞原癸亥 三月三日甕菴公歲一祭祭官初獻 崔秉善 舟山面大富谷亞獻 崔澤洪 保安面月川里終獻 崔元洪 梨坪面八仙里執禮 崔秉俊 上西面長東里祝 崔秉吾 扶安邑奉德里奉香 崔俊烈 鎭西面蓮洞里奉爐 崔吉東 舟山面大富谷奉爵 崔永煥 富安面龍山洞奠爵 崔冑鎬 全州市孝子洞固窮堂公歲一祭祭官初獻崔寅烈井邑郡新泰仁亞獻崔圭鍾只沙面芳磎里終獻崔忠洪白山面梧谷里執禮 崔命烈 茁浦面卯山里祝 崔成烈 扶安邑新成里奉香 崔一龍 井邑市奉爐 崔相烈 全提郡白子面奉爵 崔秉連 白山面局城里奠爵 崔秉先 舟山面大富谷直日 崔圭錫 扶安邑奉德里原癸亥 三月十日松崖公歲一祭祭官初獻官 崔朱洪 東津面竹林里亞獻官 崔命烈 茁浦面卯山里終獻官 崔秉千 西湖面錦江里執禮 崔俊烈 鎭西面蓮洞祝 崔成烈 扶安邑新成里奉香 崔泰鎬 茁浦面南月里烽爐 崔官烈 上西面通井里奉爵 崔秉先 全堤白山上井乭堤奠爵 崔圭煥 高敬邑鶴田里直日 崔秉吉 山內面大項里原甲子三月四日甕菴公歲一祭祭官初獻官 崔秉先 扶安鎭西栢浦亞獻官 崔圭星 井邑梨坪梧琴終獻官執禮祝奉香奉爐奉爵奠爵固窮堂公歲一祭祭官初獻官 崔命烈扶安茁浦卯山亞獻官終獻官執禮祝奉香奉爐奉爵奠爵直日原甲子三月十日乙丑三月四日松崖公歲一祭祭官初獻官亞獻官終獻官執禮祝奉香奉爐奉爵奠爵直日原乙丑三月四日甕菴公歲一祭祭官初獻官 崔東侚 扶安山內知西亞獻官 崔埈烈 〃下西石上終獻官 崔秉基 井邑執禮 崔俊烈 鎭西蓮洞祝 崔命烈 茁浦卯山奉香 崔洙烈 扶安蓮谷奉爐 崔秉喜 下西全剛奉爵 崔연근 新泰仁奠爵 崔泰鎬 茁浦南月固窮堂公歲一祭祭官初獻官 崔秉憲 東津弓月亞獻官 崔洛道 全堤終獻官 崔冑稿 全州執禮 崔秉先 鎭西祝 崔忠洪 白山梧谷奉香 崔圭福 完州三禮奉爐 崔基烈 堤內奉爵奠爵直日原乙丑三月十日松崖公歲一祭祭官初獻官 崔潤洪 서울亞獻官 崔秉喆 古阜終獻官 崔振鎬 南原執禮祝奉香奉爐奉爵奠爵丙寅三月三日甕菴公歲一祭祭官初獻官 崔南烈 旺金亞獻官 崔富榮 裡里終獻官 崔鍾烈 扶安邑執禮 崔秉千 石堤祝 崔成烈 新成奉香 崔泰鎬 南月奉爐 崔冑鎬 全州奉爵 崔官烈 通井奠爵 崔甲烈 南月固窮堂公歲一祭祭官初獻官 崔東昡 蓮洞亞獻官 崔東七 豊浪終獻官 崔文洪 上井執禮 崔圭燮 成振祝 崔秉喜 三山奉香 崔圭鉉 玄湖奉爐 崔洙烈 蓮谷奉爵 崔圭大 旺金奠爵 崔秉俊 大項直日 崔同烈 鳳德原丙寅三月十日松崖公歲一祭祭官初獻官 崔秉俊 長東亞獻官 崔圭述 古阜終獻官 崔振鎬 南原執禮 崔重烈 灵岩祝 崔鍾彩 扶安邑奉香 崔甲烈 南月奉爐 崔奎鉉 玄湖奉爵 崔泰鎬 卯山爵 崔明烈 三禮直日 崔洙烈 蓮谷原丁卯三月三日甕菴公歲一祭祭官初獻官亞獻官終獻官執禮祝奉香奉爐奉爵奠爵固窮堂公歲一祭祭官初獻官亞獻官終獻官執禮祝奉香奉爐奉爵奠爵直日原丁卯三月三日松崖公歲一祭祭官初獻官亞獻官終獻官執禮祝奉香奉爐奉爵奠爵直日原甲戌年三月十日(一九九四)甕菴公歲一祭祭官初獻官 崔成烈亞獻官終獻官固窮堂公歲一祭祭官初獻官 崔學烈亞獻官終獻官己巳三月三日松崖公歲一祭祭官初獻官 崔命烈 茁浦卯山亞獻官 崔順鎬 古阜終獻官 崔秉振 灵岩執禮 崔善洪 全南海南祝 崔文洪 金堤郡白山上井奉香奉爐奉爵奠爵直日原己巳三月十日甕菴公歲一祭祭官初獻官亞獻官終獻官執禮祝奉香奉爐奉爵奠爵直日原己巳三月十日固窮堂公歲一祭祭官初獻官亞獻官終獻官執禮祝奉香奉爐庚午三月三日松崖公歲一祭祭官初獻官 崔玘洪乙亥西紀壹九九五年三月三日松崖公歲一祭祭官初獻官 崔廣烈亞獻官 崔奇鎬 古阜終獻官 崔秉千 錦江執禮 崔同烈祝 崔圭學甕菴公歲一祭祭官十日初獻官 崔秉勳亞獻官 崔南烈終獻官 崔秉溶執禮 崔秉千祝 崔圭學固窮堂公歲一祭祭官初獻官 崔圭福亞獻官 崔秉乙終獻官 崔秉允執禮 崔成烈祝 崔秉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기미년 전주최씨(全州崔氏) 주덕재유사망(周德齋有司望)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정치/행정-임면-망기 己未三月 日 周德齋 己未三月 日 周德齋 전라북도 완주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기미년 3월에 전주최씨의 재실 주덕재의 유사를 임명하는 문서. 기미년(己未年) 3월에 전주최씨(全州崔氏)의 재실(齋室) 주덕재(周德齋)의 유사(有司)를 임명하는 문서이다. 총무에 최동렬, 유사에 최병선을 임명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물목기(物目記)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된 제수물목.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작성한 제수물목(祭需物目)이다. 작성연대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