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郡 芝山面 日谷里盧軫永氏(피봉_뒷면)潭陽郡 大田面 屛風里 一八六宋祖憲(簡紙)謹詢淸和省體事萬重, 仰溯區區.祖憲劣狀依迨也已. 第去月初十日 貴座以景賢祠諸賢中 黜享事, 院誌覆板之意,署啣發?於本裔各家, 是何故耶? 與鄙別無大嫌, 而有此擧耶? 詳細 回敎如何.餘不備上.戊辰四月二日, 宋祖憲 二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拜復日前惠函拜讀하고 四方連絡을 하여보앗스나 別無神通합니다.景福은 公立인만콤 絶對公平하게 ■處理한다 하면서 拒絶하오니 受驗結果가 조커나 바낼수박께 업나이다.徽文中學校에 速히 連絡하야 猛烈運動함이 良好할듯하온대 유지할가요.怱怱한 中이라 簡單히 엿주고 下敎를姑待하면서 끗합니다.二月二十四日, 盧承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便后更阻候 常切伏悵不審高秋侍餘棣候萬安姑母主體候亦萬康 而允從安侍篤課耶 幷切伏溯之至 婦侄今月十一日遭沙阜仲父喪事 實是家運之孔酷 而摧隕之慟 如何盡喩 且叔父又患二日瘧 逐次欠寧 伏爲之煎悶而已 沙阜訃告 緣此遷延 而且下人盡入於沙阜 今纔?返 故今報通訃 瞻聆姑舍 情禮可謂慙如矣 伯氏丈洛旆間▣…或返程耶 未得聞知 伏菀 餘不備候己巳八月二十六日 婦侄金極永上書沙阜襄日 定在十月十九日耳綿花二十斤仰呈考納如何科事貴中參榜幾人鄙處一門沒落耳【피봉】玉溪侍案下執事坪城婦侄上候書 省式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積年阻晤 豈勝耿悵 謹審臘冱侍餘棣候 對時淸毖 第聞節惠嘉賞之典 致賀萬萬 繼以追感之懷歎抑也 切念貴門慶祿 實有淵源 安得不然乎 未能此時趍仰 亦一歎惜也 弟身姑無恙 而今才歸在京舍 隨處愁痛之事多矣 人生於世 若是困苦耶良覺同人 吾兄其間或有璋瓦之慶否 弟則將爲五十 而無一塊肉 烏得免三不孝中之一乎 直欲下去 而抽身之道 異於近方歸期 卒難的定 此非心不足也勢所使然也 且男兒未成功 而不可見妻子則死何足惜自歎可已也餘歲色薄如紗 惟冀餞迓蔓祉姑不備禮甲辰臘月念一日 弟金卿仁拜【피봉】玉山靜座執事坪湖謹候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嘉慶三年 月日康津縣考戊午式成籍戶口帳內古今島鎭里第 統第 戶待變軍官張大運年五十庚午本仁同父折衝武良祖學生弘曾祖學生德龍外祖學生金愛賢本金海妻秋姓年五十庚午本羅州父嘉善大夫尙連祖命金曾祖松伊外祖趙奉伊本平山率子啓哲年二十六甲午等印行縣監[押][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2년 최수갑(崔秀甲)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谷城縣監 崔秀甲 谷城縣監<着押> 周挾無改印, □…□(적색, 정방형, 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781_001 1882년에 곡성현 석곡면에 사는 호주 최수갑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 1882년(고종 19)에 곡성현 석곡면에 사는 호주 최수갑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이다. 최수갑의 거주지 주소는 곡성현(谷城縣) 석곡면(石谷面) 운와리(雲臥里) 오가작통 순번은 제3호이다. 직역은 유학(幼學)이고 올해 나이는 46세 정유생(丁酉生)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최수갑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학생 종득(宗得), 할아버지 학생 덕연(德延), 증조(曾祖) 학생 동룡(東龍), 외조(外祖) 학생 정대익(鄭大益)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최수갑의 아내 이씨(李氏)는 나이 46세 정유생이고 본관은 전주이다. 이씨의 사조는 아버지 사고참봉(史庫參奉) 용갑(龍甲), 할아버지 학생 동방(東芳), 증조 학생 광언(光彦), 외조 학생 김영욱(金永郁)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이외 가족으로 아들 유학 치곤(致崑)은 나이 21세 임술생(壬戌生)이며, 며느리 김씨는 나이 23세 경신생(庚申生)이고 본적은 김해(金海)이다. 소유하고 있는 종으로는 상봉(尙奉)이 있다. 이 문서에 '호적단자(戶籍單子)'라고 적혀 있고 호구단자의 기재 형식인 열서(列書) 방식으로 쓰여 있으나 곡성 현감의 서압(署押)과 관인(官印) 및 주협무개인(周挾無改印)이 찍혀있고, 주묵(朱墨)의 오가작통 호(戶)와 1879년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쳤다는 '기묘상준인(己卯相凖印)'이 적혀 있다. 이는 제출한 호구단자를 구호적(舊戶籍)과 대조 확인을 마친 뒤에 최수갑에게 다시 돌려준 것이므로 준호구로 분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緖八年月日谷城縣石谷面雲臥里壬午式戶籍單子第三戶幼學崔秀甲年四十六丁酉本全州父學生 宗得祖學生 德延曾祖學生 東龍外祖學生鄭大益本慶州妻李氏歲四十六丁酉籍全州父史庫參奉 龍甲祖學生 東芳曾祖學生 光彦外祖學生金永郁本光山率子幼學致崑年二十一壬戌婦金氏歲二十三庚申籍金海賤口奴尙奉 己卯相凖印 [周挾無改印][谷城縣監之印]行縣監[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全羅南道 康津郡故郡內面 樂山里 洞 第四統 第三戶戶籍表第 號, 註明戶主: 朴章鉉, 年: 四十六, 本: 密陽, 職業: 儒業, 前居地: 久居, 移居月日:父:生父: 載彬祖: 千益曾祖: 雄俊外祖: 金快甲同居親屬 :奉母 金氏妻 金氏率子 潤瑗婦 金氏次子 潤統三子 潤成四子 潤玉女息 一寄口: 男 口 女 口雇傭: 男 口 女 口現存人口: 男七口 女四口, 共合: 十一口家宅 : 己有 瓦 間 草 三間, 借有 瓦 間 草 間, 共合: 間光武三年二月 日 郡守 申性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光州郡 石堤面 月谷里盧蘇海 殿(피봉_뒷면)元玉 梁火面 蒲坪鄭淳黙.謹緘.(簡紙)極南爲災, 莫如今夏. 此時瞻慕有倍他時. 伏問比來,養志有暇, 經體度萬寗, 令胤豊抱俱庭, 令婿郞兩奇兄近旺, 伏慰且禱. 査生省旁粗遣, 而雨潦之餘,無人不病, 雖無大慮, 苦事苦事. 選兒家亦無他, 而今月二十二日戌時, 婦兒生男, 亦順産, 産後無他證, 而初産故乳蒂稍有紅色微痛云, 方用單方. 而未知下回如何. 家間始以七月爲産月矣. 不意生男, 則必是去年九月入胎也. 自此家中有笑聲, 何幸何幸. 雨潦中兩地聲聞寂然無聞, 無異咫尺千里矣. 適因郵遞, 略此伏詗近日候節之若何. 餘不備上.丙辰陰六月二十八日, 査生 鄭淳黙 拜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日谷里盧軫永 至孝 哀前(피봉_뒷면)楊林里 朱泰鮮 疏上(簡紙)泰鮮頓首再拜言. 不意凶變,先大夫人奄違 色養, 承 訃驚怛不能已已.伏惟孝心純至, 思慕號絶, 何可堪居? 日月流邁,遽經襄奉, 過成服 哀痛奈何, 罔極奈何. 不審自罹憂故,氣力何似? 伏乞强加疏食, 俯從禮制. 泰鮮職事所縻末由趍慰, 其於憂變, 無任下誠, 謹奉疏. 伏惟鑑察, 不備謹疏.癸亥六月二十三日, 朱泰鮮 疏上.盧軫永 至孝 哀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蘇海丈之 宅, 日谷.蒲坪謹慰狀(피봉_뒷면)甲子七月四日謹緘(簡紙)淳黙白.令孫之慘, 是豈夢想所到也. 以德門厚蔭鴻福, 安有逆境如是哉. 所謂理者誠難測, 而天者不可必也. 伏惟慈愛之深, 何可堪遣. 伏乞節哀順變,體氣支持, 以慰 門戶與朋友遠邇之望也. 事到於此, 從上聖賢, 亦皆理遣而已. 淳黙慈癠室憂媳病身疾多日綿連, 而外他無他耳. 病愈暑减, 則謹當進拜矣. 訃使促發, 略此,不備謹狀上.甲子七月四日, 査生 鄭淳黙 再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光日谷里盧珍永氏殿(피봉_뒷면)長德星里李文亮付呈(簡紙)省稽拜言. 阻久甚悵, 謹詢伊來制體候安支, 渾節均慶否?仰祝仰祝耳. 兄媳兒勸歸以來, 但仰屋長吁而已. 老妻向隅垂泣而已. 就悚兩件物今纔送呈, 何爾悚悶哉. 又況更物兩足之欠, 實是罪悶處. 惟願 賢弟下燭,後須勿深責, 此企此企耳. 餘在宋雅口達, 不備疏禮.乙丑三月八日, 兄 李文亮 拜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光山郡 芝山面 日谷里盧 軫永 氏(피봉_뒷면)鳳山精舍 謹椷(簡紙)省禮拜言.際玆花煦. 伏請經體候哀中萬支, 躄者不忘行, 徒切瞻慕之誠. 就鳳山掩耳·齋重修事, 旣有劃策之畢擧, 而尙此遲緩者, 各以事故, 所縻故也非慢也. 昨九一者合席, 難可就緖, 而且陰四月望間內地行已決矣.若失此階, 則設有利成之方,未免瓦解之歎, 望須十分商量處之. ■■■(右期日)〔陰四月初五日〕 掃萬 枉臨于鳳山, 如何. 鵠佇而已. 餘非面莫達, 不備候上.辛巳陰三月卄三日, [正方紫印: 鳳山精舍]高善柱劉秉龜尹璟赫 上.若有雨天, 順延望日.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