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4파(四派) 자하기(自下記)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正月十七日 正月十七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부안 전주최씨 4파의 자하기. 부안(扶安) 전주최씨(全州崔氏) 4파(四派)에서 종중원들이 일별로 상(床)을 차려 들인 기록과 이에 해당하는 비용을 출급한 내용을 기록한 장부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임인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병부잭(並付冊)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壬寅正月八日 壬寅正月八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임인년 정월에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수입 지출 내역을 기록한 장부. 임인년(壬寅年) 정월에 부안(扶安) 전주최씨문중(全州崔氏門中)에서 수입 지출 내역을 기록한 장부(帳簿)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12년 김용학(金用鶴) 등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壬子元月十日 百源樓 壬子元月十日 金用鶴 百源樓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12년 김용학 등 5인이 보낸 서간 1912년 1월 10일 김용학(金用鶴) 등 5인이 보낸 서간(書簡)이다. 다수의 상대방에게 새해를 맞아 안부를 물었다. 단사(壇祀)의 일은 자손을 위해 상대방이 경계한 것이겠지만 자신들의 소견으로는 현인(賢人)을 사모하고 선조를 사모하는 도리를 잃지 않을까 염려가 된다고 하였다. 피봉에는 성재(星齋)에서 백원루(百源樓)에 보낸 것으로 되어있다. 백원루는 전북 부안군 부안읍 연곡리에 있는 옹암(甕菴) 최생명(崔生命)의 재실 유절재(留節齋)의 문루 이름이다. 최생명은 문종(文宗)때 입사(入仕)하였으나 학문(學問)에 뜻을 두고 관직에서 물러나 영암(靈岩)으로 돌아가 학문에 정진(精進)하였다. 호남(湖南)의 유림(儒林)들이 그의 학문과 덕행(德行)을 칭송(稱頌)하고 부안(扶安)의 옹정서원(甕井書院)에 제향(祭享)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北面沙浦鞠暻珣右謹陳所志矣段昨日後浦鞠萬銓藏頭痩尾構虛揑無誣呈矣身者雖出於眩惑初政先發制人之計而去月日矣身因此萬銓之相持惹閙呈邑呈 營已承決處有所本 官家傳令及 巡營門甘飭則非今矣身條分縷析而自可 洞燭是白如乎盖本浦收稅監官之任在前一差而周年擧行之時無他弊端矣挽近以來互相圖差之致憤敗者相續而隨其近年已例相考遵行是在如中同稅監之任昨年五月日矣身初爲受差矣六月日京人金應奎從中圖差使李在黙幹事數朔七月日又爲萬銓之所奪故及夫十月日矣身呈議送還差而歲儀封裹各項物種一一備納後臘月日萬銓更爲圖差至今年四月日前後八朔之間波市也穀商也獲利幾千兩之後果於三月日矣身更呈議送而受差是如可見擠於萬銓之挾勢不過三日還爲見汰矣竟至四月望間自 營門發關還差於矣身則這間擧行不過四十餘日又見移差於洪元必是乎所第以萬銓狀內貿販錢論之於甲申四月日萬銓見奪於李公直丙戌三月日崔大奎見奪於全州人白哥近年之例如是昭昭而至於矣身有此言端亦莫非挾勢侮視是乎旀又云封裹錢二百兩及六月等封裹物種豫納之說亦甚無據以 營門捄弊錢論之乃是正月內上納之錢則卽是渠之當任時事何以推誘於他人乎自四月日矣身幹事後同萬銓他道船人物件價外上錢八十餘兩亦爲相持此日彼日延拖爲主矣昨日之肆然誣呈欲爲粧撰此非潑皮之習乎前後事實細細仰訴參商敎是後上項鞠萬銓處他道船人物件價外上錢八十餘兩依 營甘捉囚推給俾爲治送船人之地爲白乎旀貿販稅段置俾無中間沮戱之弊爲只爲行下向敎是事官司主 處分己丑六月 日行官[着押][題辭]莫重收稅如此葛藤是何道理乎汝之所入錢從經界歸正是矣若或健訟斷當嚴治向事初六日[印][印][印][印][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61년 최영권(崔榮權) 등 원정(原情) 초(抄)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辛酉九月十五日 辛酉九月十五日 崔榮權 哲宗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861년 최영권 등이 연명하여 수령에게 올린 원정의 초안 1861년(철종 12) 최영권(崔榮權) 등이 연명(聯名)하여 부안 수령에게 올린 소지의 초안(草案)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96년 최필환(崔弼煥) 단자(單子) 초(草)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丙申正月 弼煥 丙申正月 崔弼煥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896년 최필환이 수령에게 올릴 단자의 초안 1896년(건양 1) 1월 최필환(崔弼煥)이 부안 수령에게 올리기 위해 작성한 소지(所志)의 초안(草案)이다. 최필환이 본 소지를 실제로 접수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 내용은 족보(族譜) 발간을 둘러싸고 벌어진 사건 때문이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공문서

1939년 최성칠(崔成七) 등기신청서(登記申請書) 2 고문서-소차계장류-신청서 정치/행정-보고-신청서 昭和拾四年貳月壹日 崔成七 全州地方法院扶安出張所 昭和拾四年貳月壹日 崔成七 全州地方法院扶安出張所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39년에 최성칠이 전주지방법원 부안출장소에 제출한 등기신청서. 1939년에 최성칠(崔成七)이 부안군 부령면 연곡리 산33번지의 임야 소유권을 등기하기 위하여 전주지방법원 부안출장소에 제출한 등기신청서이다. 이 문서는 법원에서 등기를 한 뒤에 받은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20년대 부안 전주최씨종중(全州崔氏宗中) 임야관련문서철(林野關聯文書綴) 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경제-토목/건축-치부 1920년대 扶安金氏 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20년대에 부안의 전주최씨문중이 작성한 임야관련문서를 베껴서 한데 모은 것. 1920년 부안(扶安) 전주최씨종중(全州崔氏宗中)이 임야관련문서(林野關聯文書)를 한데 모아 베낀 문서들이다. 당시 조선총독부에서 진행했던 전국적인 임야조사사업과 관련이 있는 문서들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27년 전주지방법원정읍지청(全州地方法院井邑支廳) 정본(定本) 확인문서(確認文書) 고문서-증빙류-증서 경제-회계/금융-증서 昭和二年五月一日 全州地方法院井邑支廳 朝鮮總督府書記 昭和二年五月一日 朝鮮總督府書記 전라북도 정읍시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27년 전주지방법원정읍지청에서 작성한 정본 확인문서. 1927년 5월 1일에 전주지방법원정읍지청(全州地方法院井邑支廳)이 정본(定本)임을 확인하는 문서이다. 본 문서는 함께 붙어있지 않고 확인하는 표지만 남아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51년 한득재(韓得才)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乾隆拾陸年辛未正月初 林鳳岐 韓得才 乾隆拾陸年辛未正月初 林鳳岐 韓得才 [着名] 2개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751년(영조 27) 1월에 임봉기)가 기남사작에 있는 논을 한득재에게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751년(영조 27) 1월에 임봉기(林鳳岐)가 기남사작(技南四作)에 있는 논을 한득재(韓得才)에게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임봉기는 이 논을 매득하여 경작하여 오다가 부득이한 사정으로 팔게 되었다고 매매사유를 밝히고 있다. 거래된 토지는 기남사작에 있는 신자답(薪字畓) 3두락지이며, 부수로는 2부 7속이 되는 곳으로 거래가격은 7냥이다. 이 거래에는 답주(畓主)인 임봉기(林鳳岐)와 필지(筆摯) 김서봉(金瑞鳳)이 참여하여 서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3년 최재영(崔再榮)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癸酉三月十六日 再榮 崔孝明 癸酉三月十六日 崔再榮 崔孝明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33년 최재영이 보낸 서간 1933년 3월 16일에 최재영(崔再榮)이 최효명(崔孝明)에게 보낸 서간이다. 상대방의 편지를 받고 위로되었다며 본인이 건강치 못해 향사(享祀)에 참여하지 못하니 송구하다고 하였다. 제수미(祭需米) 3말을 보내니 부족하더라도 양해 바라며 향사가 잘 거행되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추신에는 보낸 안경이 눈에 잘 맞는지 물었다. 피봉에는 수신자 최효명을 생원(生員)이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謹承審漢回僉體候迓新增祉何等仰賀區區不任弟等自愧添齒耳就悚所戒壇祀之節爲子孫者大於苟且上餘誠所感然愚見所及益俟後日之爲如何恐不失慕賢慕先之上底樣道理諸家之議不過如是耳這間瑣語惟在日后奉攄不備謝候禮壬子元月十日弟等金用鶴金洛鎭金慶烈金洛弼金洛震拜謝(皮封前面)百源樓僉座回納(皮封背面)星齋謹謝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1951년 신동근(申東根) 독촉장(督促狀) 고문서-서간통고류-통고 사회-조직/운영-통고 四二八四年八月二十日 扶安邑長 辛泳東 申東根 四二八四年八月二十日 辛泳東 申東根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51년에 부안읍장이 신동근에게 보낸 독촉장. 1951년 8월 20일에 부안읍장이 신동근(申東根)에게 보낸 독촉장(督促狀)으로, 사리현품 6상자를 9월 10일까지 지정장소에 납부하라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서신·통지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기묘년 부안 전주최씨(全州崔氏) 원재하기책(元齋下記冊)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己卯正月日 元齋 己卯正月日 全州崔氏門中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기묘년에 부안 전주최씨문중에서 작성한 원재하기책. 기묘년(己卯年)에 부안(扶安) 전주최씨(全州崔氏)문중에서 작성한 원재하기책(元齋下記冊)이다. 원재에서 지출한 내역을 항목별로 적은 문서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정유년 류절재(留節齋) 금액수지부(金額收支簿)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丁酉正月 留節齋 丁酉正月 留節齋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정유년에 부안 유절재에서 수입 지출 내역을 기록한 문서. 정유년(丁酉年) 정월 이후에 유절재(留節齋)에서 지출 내역을 기록한 장부이다. 대지세, 숙박비, 수리비, 각종 잡비 등 항목별로 지출내역을 적었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