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술년 예방(禮房) 김영권(金英權) 고목(告目) 고문서-서간통고류-고목 金英權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술년 6월 16일에 예방 김영권이 전라도관찰사가 봄과 여름에 일곱 곳의 지방관 근무성적을 평가한 포폄 내용을 베껴서 올린 보고서 병술년 6월 16일에 예방(禮房) 김영권(金英權)이 전라도관찰사가 봄과 여름에 일곱 곳의 지방관 근무성적을 평가한 포폄(褒貶) 내용을 베껴서 올린 보고서이다. 문서에 기재되어 있는 곳은 전라도관찰사 관할 지역 중 일곱 곳으로 상(上)의 성적을 받은 지방관은 다섯이고, 중(中) 성적을 받은 지방관은 둘이다. 각 지방관의 표폄 내용을 보면, 창평(昌平縣)은 '아전과 백성이 (나쁜 짓을 하기) 두려워하고 꺼렸다', 광주목(光州牧)은 '아전들이 그 신명함에 탄복하였다', 담양부(潭陽府)는 '글 읽는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옥과현(玉果縣)은 '청렴하게 정치를 하였다', 동복현(同福縣)은 '엄격하고 명백하게 다스렸다'는 내용으로 상(上) 성적을 받았다. 그리고 고창현(高敞縣)은 '과오를 적게 범하였다', 제원(濟源)은 '자질구레한 일에 미혹되었다'는 내용으로 중(中) 성적을 받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五年月日 羅州牧考乙酉成籍戶口帳內 新村面內永里住第二統第二戶幼學羅聖采年四十五辛丑 本羅州父學生彦晦祖學生宗有曾祖學生允明外祖學生鄭益成 本晉州妻金氏齡四十六己亥 本金海父學生運興祖學生胤商曾祖通德郞始圭外祖學生金履瑞 本綿城率子時化年戊辰仰役秩 婢永德年甲寅 婢采德年三十等 乙未戶口自首者牧使[署押][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06년 의인이씨(宜人李氏) 분급문기(分給文記) 2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宜人李氏 羅晩命 羅斗冬<着名>, 金珝<着名>, 金瓚<着名>, 金珽<着名>, 羅晩運<着名> 宜人李氏(4.5×4.8), □…□ 3顆(6.0×6.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137_001 1706년 2월 27일에 계모(繼母)인 의인이씨(宜人李氏)가 죽기 전에 나만명(羅晩命) 등 3남매(男妹)에게 노비(奴婢)와 전답(田畓)을 상속해 주면서 작성한 분급명문(分給明文). *사유: 목숨도 얼마 남지 않고 남편의 遺言이 있어서 *대상: 家翁考妣祭位條(奴婢 2口, 田畓 약32斗落), 家翁內外祭位條(奴婢 1口, 田畓 약18斗), 翁前室亡子晩復祭位條(田畓 4斗5卜5束), 長女婿學生高璟衿(奴婢 2口, 田畓 약12斗), 次女婿幼學金壽益衿(奴婢 1口, 田畓 약13斗), 子晩命衿(奴婢 6口, 田畓 약25斗) *참여자: 財主 繼母 宜人李氏, 證 家翁同姓八寸弟 生員 羅斗冬, 家翁異姓三寸姪 幼學 金珝, 家翁異姓三寸姪 幼學 金瓚, 家翁異姓三寸姪 幼學 金珽, 筆 家翁同姓七寸姪 幼學 羅晩運 *背面: 1751년 2월에 務安縣에서 高益晉이 외가에서 받은 奴 好生의 良妻 소생 奴婢 2口와 그 後所生을 魯行三에게 7냥을 받고 방매한 사실을 증빙하는 背頉斜給立案이 표기 *상태: 앞부분 일부 결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1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망인 미상의 장택기 망자의 생년간지나 주상(主喪)의 생년간지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비교적 간략한 형태의 장택기이다. 분금(分金)은 시신을 묻을 위치를 말하고, 안장(安葬) 날짜는 무신년 11월 19일이다. 하관(下棺)의 시각, 혈심(穴深), 취토(取土)의 방향, 파묘(破墓)의 날짜와 시각, 그리고 먼저 손대는 방향, 발인(發引), 정구(停柩)의 방향 등이 쓰여 있다. 호충(呼冲)은 입관과 계빈(啓殯)할 때 일진과 맞지 않는 생년을 기록하는 것으로 피기(避忌)라고도 하는데, 이 경우는 정미, 을미, 기미 등의 생년 사람은 하관할 때 피하라고 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十一年 月 日 羅州牧考辛卯成籍戶口帳內 新村面內永里住第二統第五戶幼學羅聖采年五十一辛丑 本羅州父學生彦晦祖學生宗有曾祖學生允命外祖學生鄭益成 本晉州妻金氏齡五十三己亥 本金海父學生運興祖學生胤商曾祖通德郞始圭外祖學生金履瑞 本綿城率子時化年二十四戊辰仰役秩 奴永德年甲寅等 辛卯戶口相準者行牧使[署押][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2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해생 망자의 장택기 기해생 여성인 망자의 장택기이고, 신축생 남편은 생존해 있다. 상주인 아들과 며느리부터 손자까지 자손들의 생년 간지가 기재되어 있다. 이미 장사를 지낸 구산(舊山)이 먼저 나오는 것으로 보아 이장을 하기 위한 장택기로 보인다. 택지(擇地) 관련 내용이 먼저 나오고 산지의 구체적인 운, 즉 복(福), 재(財), 관(官), 인(印)이 적혀 있다. 안장 일시는 10월 18일 병오일, 혹은 21일 기유일 가운데 편한 쪽을 따르라고 되어 있다. 하관(下棺)은 사시(巳時)이고, 개토(開土)는 같은 달 16일 오시나 미시로 되어 있다. 발인을 할 때 관을 집밖으로 내가기 위해 빈소를 여는 계빈(啓殯)은 개토와 마찬가지로 서쪽부터 시작하라고 하였다. 발인은 편한 대로 따르라고 하였고, 정구(停柩)와 취토(取土), 입복(立伏)은 갑인 방향으로 정하였다. 주당(周堂)은 입관할 때 피해야 할 가족 구성원을 기록하는 것인데 이 경우는 아무도 구애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사과(四課)는 조명(造命)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매장 연월일시의 간지를 쓴 것이다. 이 망자의 경우는 을사년, 정해월, 병오일, 계사시가 되는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坤化命 己亥木 子戊▣…乾生命 辛丑土 婦▣…乙未乙酉孫癸卯葬舊山坤未龍丁一▣…▣丙搏換巳坐亥向庚辛得【外面壬坐丙向】 艮放運丙戌土正 泊火六壬▣…▣癸未木洪氣□天壬水令淸丙壬癸 情▣…▣華十六 昭氣入中甲子亥 卅山忌先乾後巽亥壬子癸巳亥子午酉卯命忌庚午壬午卯辰戌歲忌戊辰旬壙忌卯辰重復忌壬丙重喪壬局勢巳酉丑亥卯未分金癸巳癸亥偏忌丙福酉辛 歲己卯 丁亥 甲申戊子財亥壬官寅甲 命祿庚午 馬己巳 貴壬申丙子印巳丙 運癸巳 丙申 丁酉己亥安葬十月十八日丙午或二十一日己酉爲便右兩日鳴吠兼安葬吉日下棺巳時開土同月十六日午未時安金穴深四尺三寸啓殯與開土同先破西發{車+引} 隨便停柩取土立伏甲寅方歲壓釣宮 幷不拘周堂二冲 丁亥丁巳壬子庚子等生人下棺時少避四課 乙巳火丁亥土丙午水癸巳水壬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9년 이동식(李東植)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潭陽府使 李東植 行府使<押> □…□(7.5×7.5),周挾改字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161_001 1879년 담양부에서 호주 이동식에게 동년의 호적대장에서 해당 부분을 등서하여 발급한 준호구 1879년(고종 16) 담양부에서 호주 이동식에게 동년(同年)의 호적대장을 토대로 작성하여 발급해 준 등본 성격의 준호구이다. 이동식의 거주지는 담양부(潭陽府) 두모곡면(豆毛谷面) 상덕리(上德里)이다. 직역은 유학이고 올해 나이는 42세 무술생(戊戌生)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이동식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통덕랑(通德郞) 낙기(洛璣), 할아버지 학생 복현(復鉉), 증조(曾祖) 증가선대부 이조참판 겸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부총관(贈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 재원(在元), 외조(外祖) 학생 심대진(沈大鎭) 본관은 청송(靑松)이다. 이동식의 아내 남씨(南氏)는 나이 40세 경자생(庚子生)이고 본관은 의령(宜寧)이다. 남씨의 사조는 아버지 학생 항(沆), 할아버지 학생 기주(基周), 증조(曾祖) 학생 석관(碩寬), 외조 학생 한계호(韓啓浩)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이외 가족으로 어머니 심씨(沈氏) 연령 63세 정축생(丁丑生), 동생 유학 준식(俊植) 나이 33세 정미생(丁未生), 제수 송씨(宋氏) 나이 30세 경술생(庚戌生)이며, 본적은 신평(新平)이다. 소유하고 있는 여종 사금(士今)은 나이 55세이다. 문서에는 담양부사(潭陽府使)의 관인(官印)과 서압(署押), 주협개자인(周挾改字印)이 찍혀있으며, 1876년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쳤다는 '병자호구상준인(丙子戶口相凖印)'이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石谷面雲臥里庚子式單子 二統五戶 [周挾無改印]戶 寡婦朴氏代子崔宗得年四十四丁巳本全州父學生 德延祖學生 東龍曾祖學生 龜善奉母朴氏年六十七癸巳籍密陽外祖學生 光旭妻鄭氏年四十四丁巳籍慶州父學生 大益祖學生 致成曾祖學生 仁國外祖學生權在弼本安東行縣監[署押][官印]賤口奴尙元 庚子〖丁酉〗式相凖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芝山面 日谷里盧 斯文 軫永 氏宅(피봉_뒷면)下南面 眞谷里眞泉祠(簡紙)伏惟麥黃體宇萬重. 生等依劣分幸. 就眞泉祠遺墟碑, 幸賴貴執之厚賜, 得良材, 巨匠工役, 今玆垂成. 此是吾道之所寄士林之慶幸. 以來月端午日, 將堅碑于佳作舊址. 惟願座下屆期光臨, 指揮方畧, 期圖玉成, 而當日欲各自言志, 以寓追慕之誠, 不有佳作, 何伸雅懷. 故拈出四律韻字以呈, 幸勿惜金玉之音, 投稿于當席乎否? 餘不備. 惟下在.乙亥四月二十日李啓琮 金錡洙奇琮燮 李載春高維相 高光瓚 等鄭友源 有司 朴魯宣梁鎰黙押韻 眞親辰隣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拾柒年 月 日和順縣考丁酉成籍戶口帳內東面住第十水冷川里第二綂第一戶幼學金在宇年四十戊午本光山父學生 啓鉉祖學生 日海曾祖學生 錫三外祖學生李萬榮本全州奉母李氏齡七十八庚辰妻金氏齡四十戊午籍慶州父幼學 光浹祖學生 鼎元曾祖學生重鎰外祖學生李命奎本光山弟 在榮年二十七辛未嫂朴氏齡二十七辛未籍密陽子 龍鐸年十九己卯婢惡春年三十六壬戌 甲午戶口相凖印 [周挾無改印][官印]行縣監[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日谷里盧軫永氏(피봉_뒷면)陽山里崔南斗(簡紙)拜啓時餘體候大安耳. 生, 惠念無事, 是幸. 就悚碧梧桐木三本,山櫻木三本送呈, 則 貴庭院植栽, 仰祝仰祝耳. 餘惟不備禮上.乙亥二月念八日,生 崔南斗 拜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光山郡 芝山面 日谷里盧 軫 泳 氏(피봉_뒷면)光山郡 西倉面 細荷里金漢奎(簡紙)伏惟仲秋尊體萬重, 仰溯且祝. 就今月二十七日, 卽家親周甲也. 而畧設小酌, 右日午後一時屈期光臨之地伏望耳. 餘不備禮.丙子八月二十一日,金漢奎 拜上.押韻 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0년 최종득(崔宗得)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1840 谷城縣監 崔宗得 谷城縣監<着押> 行縣監印. 周挾無改印, □…□(적색, 정방형, 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781_001 1840년에 곡성현 석곡면에 사는 호주 최종득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 1840년(헌종 6)에 곡성현 석곡면에 사는 호주 최종득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이다. 거주지 주소는 곡성현(谷城縣) 석곡면(石谷面) 운와리(雲臥里) 2통 5호이다. 호주 과부(寡婦) 박씨를 대신하여 아들 최종득이 호주가 되었다. 최종득의 올해 나이는 44세 정사생(丁巳生)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최종득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학생 덕연(德延), 할아버지 학생 동룡(東龍), 증조(曾祖) 학생 귀선(龜善), 외조(外祖) 학생 박광욱(朴光旭)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최종득의 아내 정씨(鄭氏)는 나이 44세 정사생이고 본적은 경주(慶州)이다. 정씨의 사조는 아버지 학생 대익(大益), 할아버지 학생 치성(致成), 증조 학생 인국(仁國), 외조 학생 권재필(權在弼)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이외 가족으로 어머니 박씨는 나이 67세 계사생(癸巳生)이고 본적은 밀양이며, 소유하고 있는 종 상원(尙元)이 있다. 이 문서에 '단자(單子)'라고 적혀 있고 호구단자의 기재 형식인 열서(列書)로 되어 있으나 곡성 현감의 서압(署押)과 관인(官印) 및 주협무개인(周挾無改印)이 찍혀있고, 주묵(朱墨)의 오가작통 통호(統戶)와 1837년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쳤다는 '정유식상준인(丁酉式相凖印)'이 적혀 있다. 이는 제출한 호구단자를 구호적(舊戶籍)과 대조 확인을 마친 뒤에 최종득에게 다시 돌려준 것이므로 준호구로 분류하였다. '경자식상준인(庚子式相凖印)'의 경자년은 이 단자를 제출한 1840년이므로 1837년인 정유년의 오자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石谷面雲臥里己酉式戶口單子 十統一戶戶幼學崔宗得年五十三丁巳本全州父學生 德延祖學生 東龍曾祖學生 龜善外祖學生朴光弼本密陽奉母朴氏歲七十六癸巳妻鄭氏歲五十三丁巳籍慶州父學生 大益祖學生 致成曾祖學生 仁國外祖學生權在弼本安東賤口奴尙元 丙午相凖 [周挾無改印][谷城縣監之印]行縣監[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1년 최종득(崔宗得)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1861 谷城縣監 崔宗得 谷城縣監<着押> 帖子印. 周挾無改印, □…□(적색, 정방형, 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781_001 1861년에 곡성현 석곡면에 사는 호주 최종득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 1861년(철종 11)에 곡성현 석곡면에 사는 호주 최종득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이다. 최종득의 거주지 주소는 곡성현(谷城縣) 석곡면(石谷面) 운와리(雲臥里)이고 오가작통 순번은 6통 1호이다. 직역은 유학(幼學)이고 올해 나이는 65세 정사생(丁巳生)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최종득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학생 덕연(德延), 할아버지 학생 동룡(東龍), 증조(曾祖) 학생 귀선(龜善), 외조(外祖) 학생 박광필(朴光弼)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최종득의 아내 정씨(鄭氏)는 나이 65세 정사생이고 본적은 경주(慶州)이다. 정씨의 사조는 아버지 학생 대익(大益), 할아버지 학생 치성(致成), 증조 학생 인국(仁國), 외조 학생 권재필(權在弼)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가족으로 모시고 있는 어머니 박씨는 나이 88세 계사생(癸巳生)이다. 아들 수갑(秀甲)은 나이 25세 정유생(丁酉生)이며, 며느리 이씨(李氏)는 나이 25세 정유생이고 본관은 전주이다. 소유하고 있는 여종으로 상원(上元)이 있다. 이 문서에 '호구단자(戶口單子)'라고 적혀 있고 호구단자의 기재 형식인 열서(列書) 방식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곡성 현감의 서압(署押)과 관인(官印) 및 첩(帖)과 주협무개인(周挾無改印)이 찍혀있고, 주묵(朱墨)의 오가작통 통호(統戶)와 1858년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쳤다는 '무오상준(戊午相凖)'이 적혀 있다. 이는 제출한 호구단자를 구호적(舊戶籍)과 대조 확인을 마친 뒤에 최종득에게 다시 돌려준 것이므로 준호구로 분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7년 경현사(景賢祠)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景賢祠 盧軫永 景賢祠印(직방형, 3.8×3.1)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7년 9월 25일, 경현사의 원유사 김긍현 등 19명이 노진영에게 경현사지 발간과 분질 상황에 관해 전한 서간. 1937년 9월 25일, 경현사(景賢祠)의 원유사(院有司) 김긍현(金肯鉉) 등 19명이 노진영(盧軫永)에게 경현사지(景賢祠誌) 발간과 분질 상황에 관해 전한 서간이다. 본사의 원지(院誌)는 송조헌(宋祖憲) 씨가 영남(嶺南)에서 간출하여 파란이 많음은 알 것이라고 말하고 금번 가을 제사 때에 분질(分秩)하기로 되어 있어서 백형두(白亨斗) 씨를 외무원(外務員)으로 선정하여 분질의 책임을 지게 되었다는 것, 본원의 후손된 우리들로는 선조의 사실만 아름답게 하면 제일이지 간출방법 상의 문제는 말씀하기가 어렵다는 것, 250질 중에 80질은 본사에서 빚을 내어 사들이고, 170질은 송조헌과 전형진(田亨鎭)의 간행비로 지출하였으므로 매질 당 10원씩 정하여 영남으로부터 이미 분질되었다는 것, 각 분들은 값이 비싸기는 하지만 가격을 논하지 말고 기부하는 뜻으로 사서 보시면 본사(경현사)의 행복이겠다고 했다. 위토(位土)의 대금에 대해서도 내년 봄 제사 전에는 완료하기로 결의 되었으니 이 또한 명념하시어 갈등이 없게 하심을 바란다고 했다. 발급일자와 발급주체인 경현사의 인장을 찍었으며 발신인으로 원유사 김긍현 이외에도 외무유사 백형두, 강만수, 장의(掌議) 노진영(盧軫永)을 포함한 9인, 색장(色掌) 3인, 감사(監査) 3인의 이름을 적었다. 그리고 마지막 줄에 이상의 임원들은 만기가 되어 고쳐서 선출하였거나 재선(再選)되었다고 적었다. 경현사는 1932년에 송조헌, 김기상, 정직원, 양인묵, 김긍현, 강상훈 등이 전국에 발문하여 장성에 설립한 사우이다. 고려말 충신들과 함께 사은 김승길, 매은 김오행을 배향하였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사우가 훼철되었다. 『경현사지(景賢祠誌)』는 송조헌이 합천(陜川) 죽곡정사(竹谷精舍)에서 1936년에 발행한 책이다. 6권4책의 목활자본으로 간행되었다. 1936년 1월 상한에 작성한 성주(星州) 이영호(李榮浩)와 김진모(金振模) 및 은진(恩津) 송조헌(宋祖憲)의 발(跋)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五十七年 月日康津縣考壬子式成籍戶口帳內古今島鎭里第 統第 戶鰥夫張戒得年二十八乙酉本仁同父天翼祖折衝武良曾祖弘外祖徐公明本達城女阿只年八等印行縣監[押][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六十年 月日康津縣考乙卯式成籍戶口帳內古今島鎭里第 統第 戶待變軍官張大運年四十六庚午本仁同父折衝武良祖學生弘曾祖學生德龍外祖學生金愛賢本金海妻秋姓年四十六庚午本羅州父嘉善大夫尙連祖命金曾祖松伊外祖趙奉伊本平山率子啓哲年二十二甲午等前準印行縣監[押][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告目右伏告事今春夏等褒題謄上緣由告課丙戌六月十六日禮房金英權告目昌平 初政尙剛 吏民畏憚 ┒光州 民曰父母 吏服神明潭陽 百里陽春 絃誦不絶 上玉果 持心惟善 爲政以廉同福 淸簡其操 嚴明之治 ┛高敞 頼此小心 得以寡過 ┒中濟原 惑眛細務 ┛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