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涓吉單子)奠鴈丁丑十二月十三日丙午原丁丑十二月初八日碧珍李[着名](皮封)涓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정축년 벽진이씨(碧珍李氏) 연길단자별지(涓吉單子別紙)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碧珍李氏 査頓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087_001 정축년 12월 8일 신부측인 벽진이씨가 신랑측에 보낸 연길단자의 별지 정축년 12월 8일 신부측인 벽진이씨가 신랑측에 보낸 연길단자의 별지이다. 노란색의 작은 종이이고, 경신생(庚申生) 관례일(冠禮日)이 적혀 있다. 관례일은 혼례 날짜 하루 전인 정축년 12월 12일이고 가관(加冠)은 오시(午時)로 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2년 김달오(金達五)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羅州牧使 金達五 牧使<押> 羅州牧使之印(7.1x7.1), 周俠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096_001 1852년 나주목에서 호주 김달오에게 동년의 호적대장에서 해당 부분을 등서하여 발급한 준호구 1852년(철종 3) 나주목(羅州牧)에서 호주 김달오에게 동년(同年)의 호적대장을 토대로 작성하여 발급해 준 등본 성격의 준호구로 열서(列書) 형식으로 기재되어 있다. 김달오의 거주지는 나주목(羅州牧) 하의도(荷衣島, 현 전남 신안군 하의면에 속한 섬) 어은촌(於恩村) 오가작통 순번 제1통 2호이다. 직역은 한량(閑良)이고 올해 나이는 44세 기사생(己巳生)이며,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김달오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한량 성인(聖仁), 할아버지 한량 필봉(弼逢), 증조(曾祖) 한량 상건(尙巾), 외조(外祖) 한량 박득대(朴得大)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김달오의 아내 황씨(黃氏)는 나이 39세 갑술생(甲戌生)이고 본관은 장수(長水)이다. 황씨의 사조는 아버지 한량 석용(碩用), 할아버지 한량 헌(憲), 증조(曾祖)는 한량 무지(無知), 외조 한량 정미(鄭美)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이외 가족 구성원으로 동생 달표(達表)가 있으며, 나이 27세 정해생(丁亥生)이다. 문서에는 나주목사(羅州牧使)의 관인(官印)과 서압(署押) 및 주협자개인(周俠字改印)이 찍혀있으며, 1849년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쳤다는 '기유호구상준(己酉戶口相凖)'이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咸豊二年 月 日羅州牧考壬子成籍戶口帳內荷衣島於㤙村住第一統第二戶閑良金達五年四十四己巳 本金海父閒良 聖仁祖閒良 弼奉曾祖閒良 尙巾外祖閒良 朴得大 本密陽妻黃姓年三十九甲戌 本長水父閒良 碩用祖閒良 憲曾祖閒良 無知外祖閒良 鄭美 本慶州率弟達表年二十七丁亥等己酉戶口相凖 [周俠 字改印][羅州牧使之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5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羅州牧使 羅聖采 牧使<押> □…□(7.0×7.0),周挾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120_001 1825년(순조25)에 나주목(羅州牧)에서 나성채(羅聖采, 45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1825년(순조25)에 나주목(羅州牧)에서 나주목 신촌면 내영리(현 전라남도 나주시 삼영동)에 사는 나성채에게 발급해준 준호구이다. 나성채는 45세이고, 신축년(1781)생이며, 본관은 나주이다. 아버지는 나언회(羅彦晦)이고, 조부는 나종유(羅宗有)이며, 증조부는 나윤명(羅允明)이다. 외조부는 정익성(鄭益成)이고,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아내는 김씨(金氏)로, 나이는 46세이고, 기해년(1779)생이며, 본관은 김해이다. 김씨의 아버지는 김운흥(金運興)이고, 조부는 김윤상(金胤商)이며, 증조부는 통덕랑(通德郎) 김시규(金始圭)이다. 외조부는 김이서(金履瑞)이고, 본관은 면성(綿城, 현 전라남도 무안)이다. 아들은 나시화(羅時化)이고 무진년(1808)생이다. 노비는 앙역(仰役)노비 2명으로 이름은 영덕(永德)과 채덕(采德)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31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羅州牧使 羅聖采 牧使<押> □…□(7.0×7.0),周挾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120_001 1831년(순조31)에 나주목(羅州牧)에서 나성채(羅聖采, 51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1831년(순조31)에 나주목(羅州牧)에서 나주목 신촌면 내영리(현 전라남도 나주시 삼영동)에 사는 나성채에게 발급해준 준호구이다. 나성채는 51세이고, 신축년(1781)생이며, 본관은 나주이다. 아버지는 나언회(羅彦晦)이고, 조부는 나종유(羅宗有)이며, 증조부는 나윤명(羅允命)이다. 외조부는 정익성(鄭益成)이고,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아내는 김씨(金氏)로, 나이는 53세이고, 기해년(1779)생이며, 본관은 김해이다. 김씨의 아버지는 김운흥(金運興)이고, 조부는 김윤상(金胤商)이며, 증조부는 통덕랑(通德郎) 김시규(金始圭)이다. 외조부는 김이서(金履瑞)이고, 본관은 면성(綿城, 현 전라남도 무안)이다. 아들은 나시화(羅時化)으로 나이는 24세이고, 무진년(1808)생이다. 노비는 앙역(仰役)노비 1명이고 이름은 영덕(永德)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인년 물목단자(物目單子)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査兄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인년 3월 13일에 사돈댁에 보낸 물목단자 병인년 3월 13일에 사돈댁에 보낸 물목단자이다. 의롱(衣籠), 상자(箱子), 함(函)을 비롯한 가구와 옥양목(玉洋木)이나 저포(苧布) 소재의 상하의, 거울[面鏡], 빗, 신발, 가위, 요강 등의 여러 생활 도구가 수량과 함께 적혀 있고, 돈 13원이 포함되어 있다. 혼인하는 신부의 물목단자로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4년 김달오(金達五)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1864 羅州牧使 金達五 牧使<押> 羅州牧使之印(7.1x7.1), 周俠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096_001 1864년 나주목에서 호주 김달오에게 동년의 호적대장에서 해당 부분을 등서하여 발급한 준호구 1864년(고종 1) 나주목에서 호주 김달오에게 동년의 호적대장을 토대로 작성하여 발급해 준 등본 성격의 준호구로 열서(列書) 형식으로 기재되어 있다. 준호구 발급년, 호주 김달오의 주소와 인적사항,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인적사항 부분이 결락되었으며, 남아있는 부분도 두 장으로 나누어져 있다. 남아있는 부분을 살펴보면 김달오의 사조(四祖) 중 증조(曾祖) 한량 상건(尙巾), 외조(外祖) 한량 박득대(朴得大)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김달오의 아내 황씨(黃氏)는 나이 51세 갑술생(甲戌生)이고 본관은 장수(長水)이다. 황씨의 사조는 아버지 한량 석용(碩用), 할아버지 한량 헌(憲), 증조(曾祖) 한량 하지(何知), 외조 한량 정미(鄭美)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이외 가족 구성원으로 동생 달표(達表)가 있으며, 나이 38세 정해생(丁亥生)이다. 문서에는 나주목사(羅州牧使)의 관인(官印)과 서압(署押) 및 주협자개인(周俠字改印)이 찍혀있으며, 1861년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쳤다는 '신유호구상준(辛酉戶口相凖)'이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曾祖閒良 尙巾外祖閒良朴得大 本密陽妻黃姓年五十一甲戌本長水父閒良 碩用祖閒良 憲曾祖閒良何知外祖閒良鄭美 本慶州率弟達表年三十八丁亥等辛酉戶口相凖 [周俠 字改印][羅州牧使之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同治六年 月 日羅州考丁卯成籍戶口帳內荷衣島於㤙村住第三統第七戶閒良金達伍年五十八庚午本 金海父 閒良 聖仁祖 閒良 弼奉曾祖閒良 尙巾外祖閒良 朴得大 本密陽妻黃氏年五十四甲戌 本長水父閒良 碩用祖閒良 憲曾祖閒良 何知外祖閒良 鄭美 本慶州率弟改名宜斗年四十一丁亥等甲子戶口相凖 [周俠 字改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二十年 月 日 羅州牧考庚子成籍戶口帳內 新村面內永里住第三統第四戶幼學羅聖采年五十九辛丑 本羅州父學生彦晦祖學生宗有曾祖學生允命外祖學生鄭益成 本晉州妻金氏齡六十二己亥 本金海父學生運興祖學生胤商曾祖通德郞始圭外祖學生金履瑞 本綿城率子時化年三十三戊辰仰役秩 婢永德年甲寅等 庚子戶口相準者牧使[署押][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緖二年 月 日 羅州考丙子成籍戶口帳內荷衣島於㤙村住第 統第七戶閒良金達伍故代宜斗年四十七庚寅本 金海父閒良 聖仁祖閒良 弼奉曾祖閒良 尙巾外祖閒良 朴得大 本密陽妻丁姓年三十七庚子 本 羅州父 閒良 孟得祖 閒良 尙文曾祖閒良 奉業外祖閒良 文德化 本南平卛子正奎年十一乙丑等癸酉戶口相凖 [周俠無改印][羅州牧使之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2년 김의두(金宜斗)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羅州牧使 金宜斗 牧使<押> 羅州牧使之印(7.1x7.1), 周俠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096_001 1882년 나주목에서 호주 김의두에게 동년의 호적대장에서 해당 부분을 등서하여 발급한 준호구 1882년(고종 19) 나주목(羅州牧)에서 호주 김의두에게 동년(同年)의 호적대장을 토대로 작성하여 발급해 준 등본 성격의 준호구로 열서(列書) 형식으로 기재되어 있다. 김의두의 거주지는 나주목(羅州牧) 하의도(荷衣島, 현 전남 신안군 하의면에 속한 섬) 어은촌(於恩村) 오가작통 순번 제2통 1호이다. 직역은 한량(閑良)이고 올해 나이는 53세 경인생(庚寅生)이며,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김의두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한량 성인(聖仁), 할아버지 한량 필봉(弼奉), 증조(曾祖) 한량 상건(尙巾), 외조(外祖) 한량 박득대(朴得大)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김의두의 아내 정씨(丁氏)는 나이 43세 경자생(庚子生)이고 본관은 나주이다. 정씨의 사조는 아버지 한량 맹득(孟得), 할아버지 한량 상문(尙文), 증조(曾祖) 한량 봉업(奉業), 외조 한량 문덕화(文德化) 본관은 남평(南平)이다. 이외 가족으로 아들 진규(振奎)가 있으며, 나이 18세 을축생(乙丑生)이다. 호적개정은 자·오·묘·유자(子·午·卯·酉子) 식년(式年)으로, 이 준호구의 토대가 된 임오년은 광서 8년이므로 문서에 표기된 '광서칠년(光緖七年)'은 '광서팔년(光緖八年)'의 오자로 추정된다. 형 김달오가 호주인 준호구에는 김의두의 생년이 모두 '경인생(庚寅生)'이 아닌 '정해생(丁亥生)'으로, 할아버지는 '필봉(弼奉)'이 아닌 '필봉(弼逢)'으로, 아들 정규(正奎)는 진규로 표기되어 있다. 문서에는 나주목사(羅州牧使)의 관인(官印)과 서압(署押) 및 주협자개인(周俠字改印)이 찍혀있으며, 1879년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쳤다는 '기묘호구상준(己卯戶口相凖)'이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0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羅州牧使 羅聖采 牧使<押> □…□(7.0×7.0),周挾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120_001 1840년(헌종6)에 나주목(羅州牧)에서 나성채(羅聖采, 59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1840년(헌종6)에 나주목(羅州牧)에서 나주목 신촌면 내영리(현 전라남도 나주시 삼영동)에 사는 나성채에게 발급해준 준호구이다. 나성채는 59세이고, 신축년(1781)생이며, 본관은 나주이다. 아버지는 나언회(羅彦晦)이고, 조부는 나종유(羅宗有)이며, 증조부는 나윤명(羅允命)이다. 외조부는 정익성(鄭益成)이고,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아내는 김씨(金氏)로, 나이는 62세이고, 기해년(1779)생이며, 본관은 김해이다. 김씨의 아버지는 김운흥(金運興)이고, 조부는 김윤상(金胤商)이며, 증조부는 통덕랑(通德郎) 김시규(金始圭)이다. 외조부는 김이서(金履瑞)이고, 본관은 면성(綿城, 현 전라남도 무안)이다. 아들은 나시화(羅時化)으로 나이는 33세이고, 무진년(1808)생이다. 노비는 앙역(仰役)노비 1명이고 이름은 영덕(永德)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8년 최종득(崔宗得)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1858 谷城縣監 崔宗得 谷城縣監<着押> 周挾無改印, □…□(적색, 정방형, 6)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0781_001 1858년에 곡성현 석곡면에 사는 호주 최종득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 1858년(철종 9)에 곡성현 석곡면에 사는 호주 최종득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이다. 최종득의 거주지 주소는 곡성현(谷城縣) 석곡면(石谷面) 운와리(雲臥里) 4통 1호이다. 직역은 유학(幼學)이고 올해 나이는 62세 정사생(丁巳生)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최종득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학생 덕연(德延), 할아버지 학생 동룡(東龍), 증조(曾祖) 학생 귀선(龜善), 외조(外祖) 학생 박광필(朴光弼)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최종득의 아내 정씨(鄭氏)는 나이 62세 정사생이고 본적은 경주(慶州)이다. 정씨의 사조는 아버지 학생 대익(大益), 할아버지 학생 치성(致成), 증조 학생 인국(仁國), 외조 학생 권재필(權在弼)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가족으로 모시고 있는 어머니 박씨는 나이 85세 계사생(癸巳生)이다. 아들 수갑(秀甲)은 나이 22세 정유생(丁酉生)이며, 며느리 이씨(李氏)는 나이 22세 정유생이고 본관은 전주이다. 소유하고 있는 종으로는 상원(尙元)이 있다. 이 문서에 '호구단자(戶口單子)'라고 적혀 있고 호구단자의 기재 형식인 열서(列書) 방식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곡성 현감의 서압(署押)과 관인(官印) 및 주협무개인(周挾無改印)이 찍혀있고, 주묵(朱墨)의 오가작통 통호(統戶)와 1855년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쳤다는 '을묘상준(乙卯相凖)'이 적혀 있다. 이는 제출한 호구단자를 구호적(舊戶籍)과 대조 확인을 마친 뒤에 최종득에게 다시 돌려준 것이므로 준호구로 분류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年神方位之圖太歲在丁酉【幹火枝金納音屬火】歲德在壬合在丁【丁壬上宜一日得辛修造取土二龍治水】碧白白黑綠白赤紫黃坤奏書申病符庚空酉太歲【大殺歲刑】辛空戊金神乾力士亥喪門【飛廉金神】壬空子空癸空丑官符【畜官黃幡】艮博士寅劫殺【死符金神小耗】甲伏兵卯歲破【大耗金神灾殺破敗五鬼】辰歲殺【蠶官】巽蠶室巳蠶命【白虎】丙空午大將軍丁空未太陰【弔客五鬼豹尾】右各神所臨之地惟奏書博士宜向之餘各有所忌若有破壞須修營者以天德歲德月德天德合歲德合月德合天恩天赦毋倉所會之辰或各神出遊日倂工修營無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丁巳正月初九日 破契時目錄元利合金二百八十六兩三戔五分內五十兩文守畓價又六十三兩麻布■六疋과內珠三疋價除又八十은(三人外昌云)葬費豫算條除又三十兩棺板三件價除又五兩四戔窓紙三束價除又三兩南草三把價除又四兩五戔慰問酒價除合一百八十五兩九戔內三人每名下五十五兩三戔式除在二十兩은昌云出給條在百00四戔五分內七兩八戔二分各外人許給條除實在九十二兩六戔三分四人名下二十二兩一戔六分夕守가 三十三兩九戔四分을式百當하야■…■二十二兩五戔二月初持去 乃弘出給【麻布五疋任置中一疋價七兩?付ᄒᆞᆷ每名下二兩三戔三分又五十九兩八戔六分 式合六十二兩一戔九分出給】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靑山若有封侯地豈不當年葬汝祖答蒼天假我長生地最看人間積德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石谷面雲臥里癸卯式單子第七統三戶 寡婦朴氏代子崔宗得年四十七丁巳本全州父學生 德延祖學生 東龍曾祖學生 龜善外祖學生朴光旭本密陽奉母歲七十癸巳妻鄭氏歲四十七丁巳籍慶州父學生 大益祖學生 致成曾祖學生 仁國外祖學生權在弼本安東[谷城縣監之印]行縣監[署押]賤口奴尙元年二十一 庚子相凖 [周挾無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貳拾陸年 月 日和順縣考丙午成籍戶口帳內東面住第九水冷川里第二統第五戶鱞幼學金在廷年四十九戊午本光山父學生 啓鉉祖學生 日海曾祖學生 錫三外祖學生李萬榮本全州奉母李氏齡八十七庚辰子祺玉年二十八己卯婦兪氏齡二十六辛巳籍杞溪婢惡春年四十五壬戌 癸卯戶口相凖印 [周挾無改印][和順縣監之印]行縣監[署押]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