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道光十二年壬辰九月六日金志根處明文右明文事宅山下不遠之地偸葬則事當呈官掘移而汝矣情狀可矜故勢出不已壙中地捧価伍兩爲遣汝矣處成文爲去乎日後折有雜談如此文憑考事山主自筆朴大中[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88년 도순사(都巡使) 감결(甘結) 2 고문서-첩관통보류-감결 정치/행정-명령-감결 戊子九月十七日 都巡使 戊子九月十七日 全羅監司 興德縣 전라북도 고창군 都巡使[着押] 3개(적색, 정방형) 흥덕 석호 담양국씨가 전북대학교박물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박물관도록 –고문서-』, 1998. 전경목 외 옮김, 『유서필지』,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1888년(고종 25) 9월에 도순사(都巡使)가 흥덕현(興德縣)에 내린 감결로 어세전(漁稅錢)을 다음 달 초10일까지 납부하라는 내용. 1888년(고종 25) 9월 17일에 도순사(都巡使)가 흥덕현(興德縣)에 내린 감결이다. 감결은 상급관청에서 하급관청으로 보내는 명령 또는 지시사항을 담은 문서이다. 도순사는 흥덕현에서 납부하는 어세전(漁稅錢)을 지난 8월 그믐날까지 납부하라는 감결을 내려 보냈으나, 이 기한이 넘었는데 아직까지 납부하지 않았다. 그래서 다시 이 감결을 보내 다음 달 초 10일까지 납부하도록 명령하고, 만약 기한을 넘길 시에는 해당 아전을 이형(移刑)한다고 하였다. 어세전은 어업을 하는 선박에 메기는 세금으로 균역청에서 담당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甘結 興德營門都聚本邑漁稅錢八月晦內輸上之意已有所甘飭矣以姑未收當?此拖過而顧今秋序過事當限在卽刻尤督屬不容不已乙仍于玆又發甘星火收捧來月初十日內準數輸上是矣如後過限則該吏斷當移刑矣十分操飭爲旀甘到卽時先卽馳報宜當者戊子九月十七日午時都巡使[着押][印][印][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공문서

1910년 김병준(金炳俊) 청원서(請願書) 고문서-소차계장류-청원서 정치/행정-보고-청원서 隆熙四年四月二十七日 金炳俊 扶安郡守 隆熙四年四月二十七日 金炳俊 扶安郡守 전라북도 부안군 [署押] 2개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10년(순종 4)에 김병준이 부안군 하동면에서 경작하고 있는 논을 무탈하게 경작할 수 있도록 부안군수에게 요청하면서 작성한 청원서. 1910년(순종 4)에 김병준(金炳俊)이 부안군(扶安郡) 하동면(下東面)에서 경작하고 있는 논을 무탈하게 경작할 수 있도록 부안군수(扶安郡守) 박일헌(朴逸憲)에게 요청하면서 작성한 청원서이다. 김병준은 원래 본군 하동면 도동평(道東坪)에 있는 남자답(覽字畓) 3두락을 경작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 논이 새로 나는 길 즉, 신작로(新作路)를 다 차지하게 된다고 하니, 결국에는 논농사를 짓지 못하게 될 참이었다. 그의 생각으로는 기왕에 있는 대로(大路)를 통해 가더라도 곧바로 다닐 수 있는데, 왜 그곳에 신작로를 내어 자신이 살아갈 수 없게 만드는지 모르겠다고 한탄하였다. 자신에게는 달리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논이 없어서 생활할 방법이 없으니, 이 논을 경작하면서 살아갈 수 있도록 은혜를 베풀어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이에 부안군수는 철저히 조사하여 주민이 원통해 하지 않도록 하라는 답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手標右標段生之先山在於本縣骨若面龍所洞後而與鄭錫奎同山所矣有何事端是喩安生員旣爲入葬於局內故錢文五拾兩右前捧上是遣局內禁葬禁養更無得起鬧之意如是成標日後子孫中若有是非則以此手標告 官卞正事庚辰三月二十一日標主幼學金成龍[着名]證人幼學鄭東濠[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91년 민희식(閔憙植)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辛卯七月卄一日 閔憙植 辛卯七月卄一日 閔憙植 전라북도 임실군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박병호, 『韓國法制史攷 : 近世의 法과 社會』, 법문사, 1974. 최승희,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1989.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1891년(고종 28) 7월 21일에 민희식(閔憙植)이 순흥안씨(順興安氏) 집안의 누군가에게 보낸 서간(書簡). 1891년(고종 28) 7월 21일에 민희식(閔憙植, 1864-1940)이 순흥안씨(順興安氏) 집안의 누군가에게 보낸 서간(書簡)이다. 초여름에 병 때문에 찾아뵙지 못하여 지금까지 슬프고 송구하다며 늦더위의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할아버지와 아버지께서 여전하시어 다행이라고 하였다. 상대방의 동생이 와서 기쁘고 위로되었으나 이별을 하려니 도로 슬프다며 어느 때 만나게 될지 물었다. 민희식의 자는 치회(穉晦), 본관은 여흥이다. 1887년(고종 24) 정시문과(庭試文科)에 급제하였고 1902년에 고부군수(古阜郡守)가 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初夏因病違拜尙今悵悚交切謹詢老炎靜體候連護萬旺仰溯區區願言生重省一依是爲幸私第 令季氏之來訪欣慰十分情懷而因爲奉別還切悵然也何間當奉晤耶慕菀菀耳餘姑不備謹候禮辛卯七月卄一日 生閔憙植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皮封]謹拜謝狀拜別未數日令季奉書見訪非眷注深摯乃爾耶氣體候不以遠役致損實慰拱禱世生勞碌猶去昔而已帶方士氣爲湖南第一而寥寥如此得不爲隣邑之羞恥耶吾儕當此時事搶攘之日所守者義所信者天成敗利鈍非所筭也董子所謂正其誼不謀其利明其道不計其功正今日準備語也宮御曠還東方臣子豈可安食甘寢於牖下乎吾之所執如此而已如無應之者杖釰獨赴是吾宿筭費賊一丸之死未始非吾死所也餘無他道理耳餘在季兄口悉不備謝狀丙申二月四日世生奇宇萬 拜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6년 안태섭(安泰燮) 서간(書簡) 2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丙子八月念七 泰燮 丙子八月念七 安泰燮 전라북도 임실군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HIKS_Z018_01_A00067_001 1936년 8월 27일 안태섭(安泰燮)이 같은 순흥안씨 일족에게 보낸 서간. 1936년 8월 27일 安泰燮이 같은 순흥안씨 일족에게 보낸 서간. 상대방의 조부 管山 安貞晦의 문자 중 어느 것을 실을 지 골라 보내라고 하였다. 문서의 앞 부분이 훼손되었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幼學韓養吾進士三等第二十八人入格者順治三年三月初八日[別紙]幼學韓養吾進士三等第二十八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十六日奉敎忠義衛進勇校尉韓賓爲進顯信校尉者丙二丁十戊五別加幷超戊二巳五庚別加幷超順治十七年正月判書 參判 參議 參知臣元[着名] 正郎 佐郞臣卞[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12년 최퇴돌(崔{亨/灬}乭)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嘉慶十七年壬申十二月初九日 畓主 金▣▣ 崔{亨/灬}乭 嘉慶十七年壬申十二月初九日 金▣▣ 崔{亨/灬}乭 전라북도 전주시 [着名] 전주 인후 전주류씨가 전주 인후 전주류씨가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정신문화연구원, 1999. 박병호, 『韓國法制史攷 : 近世의 法과 社會』, 법문서, 1974. 이재수, 『조선중기 전답매매연구』, 집문당, 2003. 1812년(순조 12) 12월 9일에 김아무개가 최퇴돌(崔{亨/灬}乭)에게 분토동(分土洞)에 있는 전답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12년(순조 12) 12월 9일에 김아무개가 최퇴돌(崔{亨/灬}乭)에게 분토동(分土洞)에 있는 전답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김아무개는 자신이 매득하여 경작해오던 전답을 필요한 곳이 있어서 팔게 되었다. 매매대상은 결자답(結字畓) 4두락지, 부수(負數)로는 19복(卜) 3속(束)인 곳이며, 거래가격은 전문(錢文) 33냥이다. 이때 김아무개는 신문기와 함께 이 전답의 본문기 1장을 최퇴돌에게 넘겨주었다. 문서가 훼손되어 방매인과 증인의 정확한 이름은 알 수 없으며, 손상▣(孫祥▣)이 필집(筆執)으로 참여하여 문서를 작성하고 착명을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十七年辛未三月初六日金加福前明文右明文事段 宅有移買處縣內分土洞伏在結字畓四斗落只所畊十九卜三束廤右人前價折錢文四十兩依數交易捧上爲遣牌子導良本文記一丈幷以永永放賣爲去乎日後若有雜談是去等以此文記告官卞正事畓主 ▣▣宅奴 三月金[左寸]▣…▣生宗[着名]筆 ▣…▣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李燮奎爲通訓大夫行造紙署別提者同治二年三月 日[印](背面)吏吏朴華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88년 이섭규(李燮奎) 고신(告身) 1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光緖十四年五月 日 李燮奎 光緖十四年五月 日 高宗 李燮奎 서울특별시 종로구 1개(적색, 정방형) 임실 범오 홍주이씨가 전주 덕진 홍주이씨가 전북향토문화연구회편, 『全北地方의 古文書』1․ 2․ 3, 1993․1994․1995.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정구복, 『고문서와 양반사회』, 일조각』, 2002.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HIKS_Z019_01_A00001_001 1888년(고종 25) 5월에 국왕이 이섭규(李燮奎)를 통훈대부(通訓大夫) 행기기국위원(行機器局委員)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 1888년(고종 25) 5월에 국왕이 이섭규(李燮奎)를 통훈대부기기국위원(通訓大夫行機器局委員)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이다. 통훈대부는 정3품 문신 품계로 기기국위원의 관직이 그보다 낮았기 때문에 '품계가 높은 데 비해 관직이 낮음'을 의미하는 '행(行)'을 붙였다. 기기국은 조선 후기에 병기를 만들던 관아이며 교지는 왕이 신하에게 관직, 관작, 시호, 자격, 토지 및 노비 등을 하사하면서 그 증표로 내려주는 문서이다. 이섭규의 본관은 홍주(洪州)이며 자는 서오(瑞五)이다. 1817년(순조 17)생으로 합격 당시 임실(任實)에 거주하고 있었다. 그의 양부는 이병균(李秉均)이며, 생부는 이진균(李珍均)이다. 이섭규는 1852년(철종 3)에 식년진사시에 합격한 뒤에 음관(蔭官)으로 관직에 들어가 사헌부 감찰, 돈녕부 판관, 공주 진관, 장악원 주부, 상서원 주부 등을 역임했다. 그의 고신 12점이 홍주이씨 가문에 전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인사관계

【任實郡】李寬淳願に依り下雲面凡五里龍江外羔里里長ヲ免ス大正元年八月三日任實郡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모년 한익기(韓翊箕) 시권(試券) 명지(名紙)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幼學韓翊箕 韓翊箕 임실 용정 청주한씨가 전주 덕진 청주한씨가 전북대학교 박물관, 『박물관도록 –고문서-』, 1998. 전경목 등 역,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모년 한익기(韓翊箕)가 소과(小科)에 응시했을 때 작성했던 명지(名紙). 모년 한익기(韓翊箕)가 소과(小科)에 응시했을 때 작성했던 명지(名紙)이다. 응시자의 이름과 4조(祖)가 적혀 있다. 그러나 하지만 그 시험이 어느 해에 개설된 것이었는지, 또는 생원시였는지 진사시였는지 혹은 그것이 초시(初試)였는지 복시(覆試)였는지 등에 대해서는 전혀 알 수가 없다. 당초 이 피봉의 왼쪽에는, 피봉보다 훨씬 긴 종이가 붙어 있었고 거기에는 한익기가 작성한 글이 쓰여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그 부분이 탈락된 상태이다. 한편 문과나 소과 등을 볼 때, 피봉과 답안지를 서로 떼어 놓도록 되어 있었는데, 그 이유는 채점관들의 부정행위를 차단하기 위해서였다. 답안지를 채점할 때 그 답안지가 누구의 것인지를 알지 못하게 한 것이다. 한익기는 충의위(忠義衛) 소속의 군인 한빈(韓賓)의 증손자로 응시 당시 남원(南原)에 거주하고 있었다. 그런데 족보에 의하면 그는 소과나 혹은 문과에 성공하지 못하였음이 분명하다. 그리고 조선시대 생원진사시 합격자 명단이나 문과 급제자 명단에 한익기라는 이름은 보이지 않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勅命韓永柱贈正三品通政大夫行秘書院秘書承者光武七年三月 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勅命韓寬燮贈正三品通政大夫行秘書院秘書承者光武七年三月 日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