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8년 이섭규(李燮奎) 고신(告身) 1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光緖十四年五月 日 李燮奎 光緖十四年五月 日 高宗 李燮奎 서울특별시 종로구 1개(적색, 정방형) 임실 범오 홍주이씨가 전주 덕진 홍주이씨가 전북향토문화연구회편, 『全北地方의 古文書』1․ 2․ 3, 1993․1994․1995.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정구복, 『고문서와 양반사회』, 일조각』, 2002.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HIKS_Z019_01_A00001_001 1888년(고종 25) 5월에 국왕이 이섭규(李燮奎)를 통훈대부(通訓大夫) 행기기국위원(行機器局委員)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 1888년(고종 25) 5월에 국왕이 이섭규(李燮奎)를 통훈대부기기국위원(通訓大夫行機器局委員)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이다. 통훈대부는 정3품 문신 품계로 기기국위원의 관직이 그보다 낮았기 때문에 '품계가 높은 데 비해 관직이 낮음'을 의미하는 '행(行)'을 붙였다. 기기국은 조선 후기에 병기를 만들던 관아이며 교지는 왕이 신하에게 관직, 관작, 시호, 자격, 토지 및 노비 등을 하사하면서 그 증표로 내려주는 문서이다. 이섭규의 본관은 홍주(洪州)이며 자는 서오(瑞五)이다. 1817년(순조 17)생으로 합격 당시 임실(任實)에 거주하고 있었다. 그의 양부는 이병균(李秉均)이며, 생부는 이진균(李珍均)이다. 이섭규는 1852년(철종 3)에 식년진사시에 합격한 뒤에 음관(蔭官)으로 관직에 들어가 사헌부 감찰, 돈녕부 판관, 공주 진관, 장악원 주부, 상서원 주부 등을 역임했다. 그의 고신 12점이 홍주이씨 가문에 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