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辛巳三月二十九日右標事日前幸蒙 官家明決之澤依分付官洞置標卽爲毁去是遣如是成手本事門長金百秀[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辛巳三月二十九日右標事斫伐松楸大松伍株中松拾株推尋於朴求禮處是遣如是成標爲乎事狀民山直鄭奴山金 [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06년 이흥년(李興年)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嘉慶) 十一年丙寅十二月十六日 田畓主 李興年 ▣▣(嘉慶) 十一年丙寅十二月十六日 李興年 전라북도 전주시 [着名] 3개 전주 인후 전주류씨가 전주 인후 전주류씨가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정신문화연구원, 1999. 박병호, 『韓國法制史攷 : 近世의 法과 社會』, 법문서, 1974. 이재수, 『조선중기 전답매매연구』, 집문당, 2003. 1806년(순조 6) 12월 16일에 전답주(田畓主) 이흥년(李興年)이 부동면(府東面)에 있는 전답을 방매(放賣)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06년(순조 6) 12월 16일에 전답주(田畓主) 이흥년(李興年)이 부동면(府東面)에 있는 전답을 방매(放賣)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매대상은 양자답(陽字畓) 4두락지와 동자전(同字田) 2두락지 등 총 6두락지로 부수(負數)로는 23부(負)인 곳이며, 거래가격은 전문(錢文) 15냥이다. 이때 이흥년은 신문기와 함께 이 전답의 본문기 8장을 매득인에게 넘겨주었다. 이 거래에는 류덕연(柳德淵)이 필집(筆執)하였고, 이언제(李彦濟)가 증인으로 참여하여 착명을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嘉慶十七年壬申十二月初九日前明文右明文事段縣內分土洞伏在結字畓四斗落只自己買得耕食是如可要用所致所耕十九卜三束㐣右人前價折錢文■(參)拾參兩依數交易捧上爲遣本文記一丈幷以永永放賣爲去乎日後若有雜談是去等持此文記告 官卞正事畓主 金▣▣金▣▣證▣(…) ▣(朴)▣者未[着名]筆 孫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9년 이섭규(李燮奎) 마첩(馬帖) 고문서-증빙류-마첩 정치/행정-조직/운영-마첩 已未八月 日 同年同月十八日 司僕寺 監察 李燮奎 已未八月 日 同年同月十八日 司僕寺 李燮奎 서울특별시 종로구 司僕寺[着押] 1개(적색, 정방형) 임실 범오 홍주이씨가 전주 덕진 홍주이씨가 전북향토문화연구회편, 『全北地方의 古文書』1․ 2․ 3, 1993․1994․1995.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정구복, 『고문서와 양반사회』, 일조각』, 2002.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HIKS_Z019_01_A00001_001 1859년(철종 10) 8월 18일에 사복시(司僕寺)에서 왕명을 받아 사헌부(司憲府) 감찰(監察) 이섭규(李燮奎)에게 아마(兒馬) 1필을 내려주면서 발급한 마첩(馬帖). 1859년(철종 10) 8월 18일에 사복시(司僕寺)에서 왕명을 받아 사헌부(司憲府) 감찰(監察) 이섭규(李燮奎)에게 아마(兒馬) 1필을 내려주면서 발급한 증서이다. 사복시는 조선시대의 여마(輿馬)·구목(廐牧) 및 목장에 관한 일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이다. 당시 이섭규는 철종이 인릉[(仁陵):순조와 순원왕후(純元王后)의 합장왕릉]에 대한 친제(親祭)를 지낼 때 감독한 공로로 마필을 상급 받은 것이다. 마첩에는 숙마(熟麻), 반숙마(半熟麻), 아마(兒馬)의 구별이 있었으며, 마필 대신에 목(木)과 포(布)로 받을 수 있었다. 마첩을 받은 사람은 이 증서를 사복시에 내고 마필이나 목과 포를 받아갔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신사년 김백수(金百秀)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辛巳四月 金百秀 巡相 辛巳四月 金百秀 全羅監司 전라북도 전주시 都巡使[着押] 1개(적색, 정방형) 전주 매교 김해김씨가 전주역사박물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박물관도록 –고문서-』, 1998. 전경목 등 역,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HIKS_Z022_01_A00006_001 신사년 4월에 김백수(金百秀) 등이 전라감사(全羅監司)에게 올린 상서로 김관서(金寬瑞)와 다툼이 있었던 치표처에 대한 입지를 내려주기를 청원한 내용. 신사년 4월에 전주 북일면에 사는 김백수(金百秀) 등이 전라감사(全羅監司)에게 올린 상서(上書)이다. 김백수 등은 자신들의 선산이 전주부 남일면 고치(南一面 高峙)에 있어서 수백 년 동안 수호해 왔는데, 동면에 사는 김관서(金寬瑞)가 홍씨·박씨와 작당하여 그들이 밤을 틈타 몰래 매표한 곳을 연산 관동(連山 官洞)에 사는 김진사댁에서 치표처라고 가탁하고, 또 박구례(朴求禮)로 하여금 이 치표처를 굴거하는 조건으로 300백 냥을 요구하며 수차례 위협했다고 한다. 지난번에는 다행히 성주님이 명결을 얻어 김관서는 낙과하여 옥에 갇히고, 치표처는 훼파되었지만 훗날의 폐단이 없을 수 없기에 다시 한번 입지를 성급해 줄 것을 청한 것이다. 이에 전라감사는 앞서 관가에서 입지를 성급해 준 일이 있으므로 이것으로 증빙을 삼도록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계사년 김명식(金明植) 소지(所志) 2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癸巳二月 金明植 城主 癸巳二月 金明植 全州府 전라북도 전주시 [着押] 1개 3개(적색, 정방형) 전주 매교 김해김씨가 전주역사박물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박물관도록 –고문서-』, 1998. 전경목 등 역,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HIKS_Z022_01_A00006_001 계사년 2월에 김명식(金明植)에 전주부윤(全州府尹)에게 올린 소지로 남일면 고치(南一面 高峙)에 몰래 매표한 권문숙(權文叔)을 처벌해 달라는 내용, 계사년 2월에 북일면 항가산리(北一面 恒佳山里)에 사는 화민 김명식(金明植)에 전주부윤(全州府尹)에게 올린 소지이다. 김명식은 자신의 5대조 선산이 남일면 고치(南一面 高峙)에 있어서 백여 년 동안 금양수호 해왔다고 한다. 그런데 작년 11월에 어떤 사람이 선산 분묘 뇌후(腦後)에 밤을 틈타 몰래 매표하고 이곳에 '서울에 사는 박참판댁에서 매표한 곳'이라는 방을 걸었다고 한다. 재상댁에서 밤을 틈타 몰래 매표할 까닭이 전혀 없기에 이상하게 생각하여 사방으로 탐문하였더니, 본면 영등리(本面 永登里)에 사는 상인(喪人) 권문숙(權文叔)이 매표한 것이었고, 이 때문에 분통한 마음을 참지 못하고 정소한다는 것이다. 소장을 접수한 전주부사는 만일 이곳이 정말로 재상가의 치표처라면 갑자기 굴거하기는 어려우니, 실상을 보다 면밀히 조사하도록 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全州北一面生金百秀金守憲金顯豊等謹齋沐上書于巡相閤下伏以生等先山在於本府南一面高峙而禁養守護者數百年是乎所同面居金寬瑞爲名人假托於連山官洞金進士而符同洪朴兩姓暗自置標於生等先山腦後不盈尺之地是遣且使渠里常漢朴求禮來言於生等曰官洞金大臣宅之埋標於此山者本無用山之意 而若出錢三百兩則掘去置器以無事措處之意累次來脅故生等泣訴於本官城主則幸蒙城主詳查明決之澤金寬瑞置之落科而置標則即爲毁掘牢囚嚴懲是白遣自官立旨成給是乎乃大抵遐鄕沒覺之類種種憑藉作奸不無其弊則區測者人心也莫知者世事也緣由粘連本狀與公文仰達於棠陰宣布之下爲白去乎伏乞細細 垂察敎是後特爲 嚴題立旨成給懲一勵百以杜後日之弊 使此遐土殘民得保先壠之地千萬伏祝行下向 敎是事巡相 閤下 處分辛巳四月 日(題辭)旣有本官立旨以此憑考向事十一日都巡使[着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丙辰八月 日完文完文爲永久遵行事全州柳氏始祖妣三韓國大夫人墓在於本州府東面表石洞而其守護之節與他自別故局內墓直六名身布及山下接人等還上烟戶雜役一體蠲減事前後完文昭然載在是去乙近來面任輩不有法意士夫宅墓直與接人等處無難侵漁致有墓直朴用業等番布之役疤丁云云者萬萬痛駭同朴用業等所疤身役自官庭卽爲頉給更成完文爲去乎墓直六名身布及接人等還上烟戶之役依前例永永勿侵是矣條目臚刊于後若或有一分侵漁之弊這這告官以爲嚴處之地宜當者丙辰八月 日府官[着押]後一墓直六名身布及山下接人等還上雜役勿侵事一面任主人輩羅乙督收錢拙爲修理等勿侵事一租糠太柳枝麻骨等分定勿侵事一都矣檢督勿侵事一族徵面徵勿侵事一各營軍官及兩殿守僕禁火等勿侵事一墓畓結還勿侵事一未盡條件追後磨鍊事都山直宋成得趙達元權壽福朴用業李信明金萬玉碑直 林判貴[印][印][印][印][印][印][印][印][印][印][印][印][印][印][印][印][印][印][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인사관계

1914년 이광현(李光現) 해임장(解任狀) 고문서-첩관통보류-임명장 정치/행정-임면-임명장 大正三年七月三十一日 任實郡 雲岩面臨時面書記李晃現 大正三年七月三十一日 任實郡 李晃現 전라북도 임실군 임실 범오 홍주이씨가 전주 덕진 홍주이씨가 전북향토문화연구회편, 『全北地方의 古文書』1․ 2․ 3, 1993․1994․1995.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정구복, 『고문서와 양반사회』, 일조각』, 2002. HIKS_Z019_01_A00022_001 1914년 7월에 임실군청(任實郡廳)에서 이광현(李光現)을 운암면(雲岩面)의 임시면서기에서 해임하면서 발급한 해임장. 1914년 7월 31일에 임실군청(任實郡廳)에서 운암면(雲岩面)의 임시면서기(臨時面書記)였던 이광현(李光現)을 해임하면서 발급한 해임장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인사관계

【全羅北道郡】雲岩面臨時面書記李晃現臨時面書記ヲ解ク大正三年七月三十一日任實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化民幼學李容黙等謹齋沐上書于城主閤下伏以揚善褒美昭代之盛典發潛闡幽礪世之急務是以我 朝家博採風謠扶植名敎者四百餘年之間而 營邑文報歲末抄選靡所不用其極雖遐土氓隷之賤委巷婦孺之微苟或有一節一行之可稱者則必薦揚而褒獎之何莫非一人興仁一國興仁之方也今此本州故學生張有爀妻李氏烈行之卓絶有萬口難掩者也民等不勝鄕隣感服之情以烈行之表著者畧陳其一二惟 閤下採擇焉李氏年十八歸于張有爀事舅姑也盡其誠治家室也盡其道隣里族黨咸稱爲賢夫人而不幸其夫偶嬰奇疾累朔沈苦而李氏不解衣帶備極捄護之方晝夜扶將粥必親灸藥必先嘗及其殞絶之時斫指灌口以延數日之命而其於末疾無良醫何哉自夫失天之後喪葬之節亦皆盡誠盡禮而所以依將者惟一遺腹孤女兒而已三霜纔闋又▣(見)夭折則李氏乃曰吾所以不死者惟爲此一塊肉而今焉至斯吾何望生全於此世乎遂絶粒食一室之人喩以義理使之强食則輒婉辭以對佯若飮啖而內實有一定不易之操未滿一旬奄忽告逝噫婦人之性夫病力救兒死哀慟固是常理而至若去其食欲從容辦死於旬日之間者世有幾人哉王妻之急地斷臂蔡婦之惡疾不去猶謂之烈傳之往牒而矧此李氏性賦貞靜義決生死而於其平常之日已抱三從之義於其憂患之中辦出捨生之道者雖烈丈夫義男子有何加焉民等居同一鄕而風聲所推隣里感服見聞所及婦女咸誦則豈可以幽明無依之人而使之泯沒無稱乎伏願閤下亟循衆情更▣(採)公議以李氏烈行實蹟枚擧論報于 營門俾及歲首轉 聞天陛以爲褒揚之地千萬幸甚▣不任屛營祈懇之至謹冒昧以 達丁亥十一月 日[着押][印]化民 幼學 李容黙 柳錫祚 任信白 李安九 朴仁壽 李思牧 鄭采一 朴贊日 鄭 淙 柳蓍養 朴璟煥 李洛九 金致成 吳 憲 柳性欽等[題辭]聞極嘉尙從當博採公議摭實轉報事李宅敏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任實郡】雲岩面書記李光現爾今月八圓ヲ給ス大正七年二月八日任實郡[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本府儒生柳錫祚等謹齋沐上書于城主閤下伏以自古及今三綱大義之垂名千秋者莫不在於博通經史講習傳則所蘊節行卓截不貳者彼剛腸大夫有識女士其事誠然而立節死義古人猶難故其死也必㫌閭而褒之此是▣…國家幾百▣文明盛典也今有本府故同知張文澤妻具氏以寒微女子本非閥閱之規模又無講習之資益而其生也事夫盡敬其死也處義從容視之如歸吁亦異矣苟非天稟之性出於自然豈其大節▣…勉强也哉當其所天之喪已判一死之志若使常人當之哀毁之至殉節之擧卽在時刻而具氏則不然順變抑哀備盡禮意措處家事無憾身後周救窮族施義敦睦指定死日言果行必卓哉具▣…腸大夫▣…▣女士豈有加於此哉此其子婦李氏粤在丁亥爲其夫殉節前後邑道狀已成卷軸而尙未蒙褒實爲士林之齎欝其姑具氏重以殉烈猗歟一門有是婦有是姑雙節凜凜瞻聆所及愚夫咸歎其在士林▣敢含嘿秉彝所感齊聲仰籲伏乞 細察具氏之卓行懿蹟以爲禀報 營門轉達天陛俾蒙㫌褒之典無至泯沒之地謹冒昧以陳壬辰六月 日鄕校多士幼學柳錫祚 鄭 淙 黃纘源 李宗爕 柳錫洪 李相濡 任南白 李鳳廷 宋仁煥 黃濟黙 李煥晶 金箕成 李啓馨 金天鑑 鄭濟淵 李命九 吳 憲 柳渭源 崔致淳 金永玉 金學彬 李始一 朴明煥 洪有慶 李莢倫 梁 鉉 宋相春 李基永 鄭履基 李光濂 金啓哲 崔始永 李在九 梁潤德 丁羲炳 等使[着押][題辭]已悉於前後面報及洞狀是在果其卓異之行不?嘉尙更當博▣▣(採公)議以爲報▣…向事十五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道內儒生幼學李重曦任基白李祜永等謹齋沐上書于巡相閤下伏以烈行者三綱之一人倫之至而叅天地亘萬古不悖不泯者也苟有秉彝之良心則孰無油然之興感哉然而或有處措之失禮或有名實之不同此不必深贊而惟其取義循禮從容殉節卓卓烈烈之行並出於一門者豈有如全州故同知張文澤之妻具氏及其婦李氏者乎盖具氏長於寒微于歸張門敬執婦道奉祀以禮閨門之內懿範夙著不幸壬辰正月奄遭夫君之喪號哭昏絶移時僅甦初終凡節躬自爲之殯斂之後不梳不洗自晝至宵頭經身麻一遵古制乃曰三從義重吾必從亡始以五月旬五定日矢死而及其▣▣(時適)値媤叔之喪耦臨顧語家人曰一家之此喪已出而吾又繼殞則蒼黃情景不可不念再言死期於六月初七日至於是期前三日汛掃庭宇薰沐潔齋先具酒果祗告靈座所居寢房明燭{蓻/火}香恐其家人之防守挽之溫言如常使之無疑是夜二更乃入房中居然之頃嘔吐之聲聞於戶外擧皆驚惶入視則藥器在傍藥汁流口而如縷之語出自喉間願與夫君同歸言訖卽殞噫彼具氏生而盡禮於事夫死而立節於殉夫指日矢死從容處變因忽殊喪據其始終則下從之志已決於夫亡之日而毒藥之具密藏於決死之前此則家人之所不知家人之所未慮也卒乃如期從容就死則雖以剛腸丈夫當之無幾於如此一婦而往古烈女之從夫自處者不爲不多孰有及於此婦人卓節之烈乎凡烈婦之烈死者每出於喪變急遽之時或由於事勢窮迫古今所罕豈以尋常烈行同日言哉又況其婦李氏年十八歸于張文澤之子有赫事舅姑也盡其誠宜室家也盡其道不幸其夫偶嬰奇疾累朔沈苦而李氏晝夜扶將藥餌調護靡不用極及其殞絶之時斫指灌口以延數日一自夫失天之後居喪凡節亦皆盡誠盡禮而所以依將者一遺腹孤女兒而已三霜纔閱遽見夭折李氏乃曰吾所以不死者惟爲此一塊肉而遽至於斯吾何復望生全乎遂絶粒食一室之人使之强食則佯若飮啖而自有一定難奪之操未滿一旬奄忽告逝天何生此烈婦而薄其命耶斫指之誠絶粒之殞凜凜如霜事在丁亥年而道邑呈狀積成券軸可謂是姑是婦之前後相應者矣嗚呼今此具氏李氏之姑婦烈行卓異乎千百代之間而並萃乎張氏一門非徒▣家之盛節至行抑亦士林之聳動欽歎者瞻聆所在豈不有補於風化之興作乎狀訴屢次 褒顯尙遅者實爲輿情之齋欝今當式擧故生等略陳其槩更此齊聲仰籲伏願閤下亟循衆情以具氏李氏姑婦烈行實績 聞于天陛以爲褒揚之地千萬幸甚伏不任屛營祈懇之至謹冒昧以 達丙申七月 日▣…▣ 泰仁幼學閔章赫 金章範 古阜幼學宋鍾運 柳道漢 吳正鉉 谷城幼學安濟民 許 {艹/俊} 玉果幼學金顧秀 ▣…▣[着押][題辭]姑婦烈行俱極嘉尙更當博採以爲烈 聞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04년 류생원댁 노(奴) 중덕(仲德)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嘉慶九年甲子二月初九日 田畓州自筆柳生員宅奴仲德 嘉慶九年甲子二月初九日 奴仲德 전라북도 전주시 [着名] 전주 인후 전주류씨가 전주 인후 전주류씨가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정신문화연구원, 1999. 박병호, 『韓國法制史攷 : 近世의 法과 社會』, 법문서, 1974. 이재수, 『조선중기 전답매매연구』, 집문당, 2003. 1804년(순조 4) 2월 9일에 류생원댁 노(奴) 중덕(仲德)이 상전을 대신하여 부동면(府東面)에 있는 전답을 방매(放賣)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 1804년(순조 4) 2월 9일 류생원댁 노(奴) 중덕(仲德)이 상전을 대신하여 부동면(府東面)에 있는 전답을 방매(放賣)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매대상은 동자전(同字田) 2두락지를 포함하여 총 6두락, 부수(負數)로는 23부(負)인 곳이며, 거래가격은 전문(錢文) 15냥이다. 이때 중덕은 신문기와 함께 이 전답의 본문기 6장을 넘겨주었다. 매득인의 이름은 쓰여 있지 않아서 알 수 없다. 중덕이 자필로 문서를 작성하였고, 박대복(朴大福)이 증인으로 참여하여 착명을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공문서

1909년 최봉수(崔鳳洙) 등 청원서(請願書) 고문서-소차계장류-청원서 정치/행정-보고-청원서 隆熙三年正月 日 扶安郡守 隆熙三年正月 日 崔鳳洙 扶安郡守 전라북도 부안군 [署押] 2개 원형 적색 2개 부안 석동 전주최씨 류절재 부안 연곡리 유절재 1909년(순종 3) 2월에 최봉수 등 부안의 전주최씨들이 부안군 하동면 석동에 있는 선산의 소나무 간벌을 부안군에 요청하면서 작성한 청원서. 1909년(순종 3) 2월에 최봉수(崔鳳洙) 등 부안(扶安)의 전주최씨(全州崔氏)들이 부안군(扶安郡) 하동면(下東面) 석동산(席洞山)에 있는 선산의 소나무 간벌을 부안군(扶安郡)에 요청하면서 작성한 청원서이다. 전주최씨 문중은 하동면 석동산 선산(先山)에 공을 들여서 소나무를 잘 키워왔다. 그러나 소나무가 너무 울창하고 빽빽하게 자라 많은 소나무가 굽어져 그 사이에서 어린 소나무가 크기가 어려워졌다. 이런 사정으로 인하여 굽은 소나무를 잘라내 어린 소나무가 자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필요하지 않은 가지와 잎을 잘라낼 수 있도록 허락하여 주기를 부안군에 요청하면서 제출한 청원서이다. 당시 청원인은 최봉수(崔鳳洙), 최윤환(崔允煥), 최병욱(崔炳郁), 최학홍(崔鶴洪) 등이다. 이때 부안군수는 울창하고 빽빽한 곳은 간벌(間伐)과 전지(剪枝)를 특별히 인정한다고 하였다. 문서 상단에 당시의 군수와 담당계원의 인장(印章)이 찍혀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공문서

隆熙四年四月二十七日 請願人下東石西里金炳俊[印]扶安郡守朴逸憲 閤下新作路의所作畓이撗入事件事實은本人의所作贒字畓三斗落이在於本郡下東面道東坪이온바撗入於新作路云이以前大路로依有行之라도一直乃已則何以本人으로不恤軀命乎잇가本人의所農이無有他畓而生活이無路故로玆에請願오니照亮시와 特垂慈惠之澤야依旧路以保殘命之地千萬伏望홈扶安郡㕔當調査無至民寃케홀事 卄七日[署押]郡守[署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공문서

原告泰仁郡崔仁灃 被告扶安郡金幸述事實은民之九世祖父母山과八世祖山이在於扶安邊山胡峙而山是禁山也라不曾私民入葬也오若入葬者自謂先葬ᄒᆞ고欲禁後葬者起訟則先葬者先掘後葬者後掘은我東國所共知之一大法典也山地가極貴ᄒᆞ고世級이降煞ᄒᆞ야冒法入葬者間或有之故로民之九世八世祖山亦在於此山ᄒᆞ고金幸述先山도又在於民之先山白虎越二麓也當其時ᄒᆞ야不敢言私山ᄒᆞ고兩家定界禁養而已越再去甲子良中에民之曾祖父와從曾祖父始置山直ᄒᆞ고養其松楸矣被告之先世金瑜達이가渠山▥...▥於民之山直故同山直十餘年禁養이더니不意戊申年에彼金瑜達金斗模가乃生不淑之心ᄒᆞ야廣占界限ᄒᆞ고欲奪人之先隴故民之祖父와四從祖가不得已應訟ᄒᆞ야自戊申으로至戊午十餘年之間聯訟得捷金哥之落科은以其禁山으로自謂私山廣占之故也其時訟官趙等圖形題敎內互曰世葬互曰己地事在年久雖親審其地無以決折崔亦大民金亦大民崔亦世葬金亦世葬同鄕世好之誼何不私自定界若是猗角使後來之官貽惱也官庭對卞之下猶爲爭衡迷不知辦官決固無益而已訟於官官則彼民此民都無愛憎勢將以公言決之微谷距崔山小微谷之距金山以圖形見之則有若天定境界雖若分寸此多彼多之別而不甚相遠微谷則崔民次知微谷則金民次知微谷中微谷之間亦當有閒地此亦分半永永守護以爲兩保邱隴之地宜當者又爲傳令之至嚴ᄒᆞ고又庚戌訟官金等親審題敎內前等已決之松今不必更煩而文記如是昭昭疆界又此正正則金民何可更備同山地依前決守護俾無更訴向事ᄒᆞ고又庚戌朴等立案內崔守崔界金守金界ᄒᆞ야永爲妥帖ᄒᆞᆯ事로分給兩民ᄒᆞ고若有兩家起訟之弊則此山은斷當屬公是遣所斫松株依法典施行ᄒᆞᆯ事如是敎是故各自守護定界矣어니不意瑜達之從孫炳泰童이做出奸計ᄒᆞ야欺乞於典洞大監曰渠以該郡士族으로緦服之親이五十餘名을誣曰單獨一身ᄒᆞ고渠之年이二十三歲을誣曰十八歲ᄒᆞ고俾作可憐形狀ᄒᆞ야啑啑僞言ᄒᆞ야專事誣誷曰崔山松楸을謂之渠山松楸ᄒᆞ고以其久遠之墓謂之偸塚ᄒᆞ니大監이只矜其可憐之情狀ᄒᆞ고不度遠地事之典直ᄒᆞ야使之擊錚ᄒᆞ매轉囑營門ᄒᆞ야民之祖父與從祖을還至落科ᄒᆞ聘捷訴訟과立案을一一見奪이고如干所餘文蹟으로民之四從叔이中年起訟日에不勝忿寃ᄒᆞ야身死後民이去壬寅趙等時訴訟文券帖連鳴寃則題內에山是封山先葬者先掘後葬者後掘敎是故兩隻不得對卞ᄒᆞ고丙午年又爲鳴寃于觀察使韓等則題敎內係是封山ᄒᆞ니私民入葬이極爲無嚴리되況於互相定界之訟을出沒京鄕ᄒᆞ야紛挐公庭ᄒᆞ니斷是法外之民也라依法典ᄒᆞᆯ事兩隻이又不得對卞ᄒᆞ고自外誼和ᄒᆞ야互相守護之意로彼告間人曰從某至某之限으로爲言故로同彼告偕往山處定界之時에以誰多誰小之致로日暮不決而歸來온바其時訟官이遞歸ᄒᆞ야兩隻이不得對卞ᄒᆞ고含黙至此矣當此世界ᄒᆞ야國有民有辦別之際에此等地으山是封山리고一層注目之地也故不有界限之爭ᄒᆞ고互相守界爲料矣러니民이不幸於戊申陰十二月十一日夜에忽當自稱義兵者數十餘人之亂ᄒᆞ야如干産物과如干文券之所藏手帒을奪去故로卽報告于本郡警察署ᄒᆞ야廣告不得覓得則噫彼金幸述이가幸民之不幸ᄒᆞ야與券其傳來山訟文軸之遺失ᄒᆞ고適此山林測量之日ᄒᆞ야自來渠之界限外民之先山局內을肆然入側ᄒᆞ야仍作渠之所有云ᄒᆞ니究厥心腸컨대彼告之所犯은語將至於難言之境이라法無忌憚之行ᄒᆞ고地無彼此之有ᄒᆞ니世豈有於公於私所有之別乎잇가若使金幸述로一向若是ᄒᆞ야雖某山某地ᄅᆞ도先入測量ᄒᆞ고皆曰渠之所有云ᄒᆞ고尤慾廣占닛대公有民有之疆土가皆莫非渠之所有也라從後之肆弊가果何如乎잇가不勝痛寃ᄒᆞ와緣由擧槪ᄒᆞ야請願于明庭孝理之下ᄒᆞ오니參商敎是後에金幸述之肆然測圖件을推納官庭卽爲付丙ᄒᆞ옵고一以嚴繩其公私所有廣占之罪ᄒᆞ고一以使見奪先隴之民으로得保先隴ᄒᆞ야使守傳來之界限ᄒᆞ고以雪幽明間至寃之痛을千萬伏祝伏祝此是邊山封山全圖 [略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7년 김영서(金永西)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隆熙一年丁未十一月二十六日 畓主幼學金永西 隆熙一年丁未十一月二十六日 金永西 [着名] 3개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박병호, 『韓國法制史攷 : 近世의 法과 社會』, 법문사, 1974. 최승희,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1989.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HIKS_Z018_01_A00017_001 1907년(융희 1) 11월 26일에 김영서(金永西)가 임실군(任實郡) 남면(南面) 남악(南岳) 어상평(於上坪)에 있는 1.5마지기를 전문 100냥을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전답매매명문. 1907년(융희 1) 11월 26일에 유학 김영서(金永西)가 다른 전답을 사기 위해 전래해오던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김영서는 임실군(任實郡) 남면(南面) 남악(南岳) 어상평(於上坪)에 있는 여자정(呂字丁( 1야미 1두락 5승락지의 논을 100냥에 팔았다. 매입자에게 신문기 1장을 작성하여 넘겨주었으나, 매입자의 이름은 실려 있지 않다. 남악은 현재 임실군 오수면 대명리 남악마을에 해당하는 곳이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