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92년 최횡(崔鐄)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光緖十八年壬辰三月十▣ 幼學崔鐄 光緖十八年壬辰三月十▣ 崔鐄 [着名] 2개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박병호, 『韓國法制史攷 : 近世의 法과 社會』, 법문사, 1974. 최승희,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1989.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HIKS_Z018_01_A00017_001 1892년(고종 29) 2월에 최횡(崔鐄)이 남원(南原) 덕고방(德古坊) 남악촌(南岳村)에 있는 산지를 전문 130냥을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산지매매명문. 1892년(고종 29) 3월에 유학 최횡(崔鐄)이 남원(南原) 덕고방(德古坊) 남악촌(南岳村) 서쪽 기슭에 있는 산지를 130냥에 팔면서 작성한 명문이다. 관전(官錢)을 마련하는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이라고 그 방매사유를 기재하였다. 최횡은 그 전에도 몇 차례 산지를 팔았다. 이곳에 있던 조부와 부의 묘지를 남상진(南相鎭)에게 팔았고, 종조부의 묘지 전국(全局)은 일이 여의치 않아 진상록(晉相祿)에게 팔았다. 최횡은 매입자에게 이러한 전후 문기를 함께 건네주었으나, 매입자의 이름은 실려 있지 않다. 덕고방은 지금의 남원시 덕과면과 임실군 오수면의 일부를 관할하던 坊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以上缺)四戶幼學李得銓年三十八甲申本全州父學生 致脩祖學生 宗煥曾祖學生 檝外祖學生鄭復古本東萊妻金氏故籍蔚山父學生復祖祖學生世賢曾祖遺逸行景陽道察訪時▣外祖成均進士趙弘震本金堤率子幼學浩寅前名浩震年▣…▣婦沈氏年二十五丁酉籍豊▣(山)子浩根年十六丙午賤口 買▣(得)▣…五戶幼學李明銓年四十三己卯本全州父學生 致脩祖學生 宗煥曾祖學生 檝外祖學生鄭復古本東萊妻柳氏故籍瑞寧父通政大夫承政院左承旨▣▣(匡天)祖成均生員輝韶曾祖成均生員之采外祖學生金基祖本蔚山率弟幼學昌銓年▣▣▣(三十三)己▣嫂權氏年三十六丙戌籍安▣(東)率子浩榮年十六丙午(以下缺)[印][印][印][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南原山民吳顯奉吳顯義右謹言世或有偸葬變擧而未聞盜賣他人先山基址是遣盜買者方營掘去本主兒塚而入葬者乎民等祖父山在於 治下梧支面佛袈洞而當初定山之時果是有主之地故給准価買得後卽爲入山而定山直守護是乎所單白虎外邊有道上面裵山而分界則白虎嶝內民等守護是遣外邊裵山次知的宲而昭然載錄於賣買時文記?除良民山則大松簇立而裵山則稚松長養矣去辛酉年分裵山松楸發賣時白虎內民等次知大松與稚松犯斫太濫故欲爲呈官處之則上項裵道仁百般哀乞曰弊於私慾違理至此旣爲作罪則豈待官決日後則勿爲橫侵之意成手記以納而白虎內松価則樵軍等處沒捧之意亦書標來納故從其言以處而其年臘月良中民之十一歲從弟兒得病夭逝故往窆於白虎內短麓千萬意外道上面裵哥盜賣其埋兒短麓於張錫潤處而營葬之日在邇云此何前古所未聞之變恠乎渠之先山基址賣於他人而用山果是世變而況盜賣士夫山兒葬處乎不勝無據憤惋裵之前日手標與買得文記帖聯仰龥上項裵哥發差捉入 嚴査得正後裵哥盜賣士夫先山基址之罪重繩敎是遣違買山人張錫潤亦爲捉入勿爲當禁地入葬之意 嚴明決處俾此他邑士民伴護先壟千萬伏祝行下向敎是事谷城城主處分庚寅三月 日谷城官[着押][題辭]眞如所訴裵哥之他矣山斥賣曾所未聞之恠擧裵張兩人査問決處次捉來宜當事卄七日 進山主人(背面)與該面尊任眼同圖尺以來是矣境界詳細圖來宜當事卄日 背 將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8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0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寅正月初十日 生??? 新基村 鄭松齋先生 戊寅正月初十日 柳瑩業 鄭松齋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38년 1월 10일에 류형업(柳瑩業)이 광주 부근에 사는 송재(松齋) 정선생(鄭先生)에게 딸 아이의 혼례 날짜를 정해 달라고 부탁한 내용의 간찰. 1938년 1월 10일에 류형업이 光州 부근에 사는 松齋 鄭先生에게 딸 아이의 혼례 날짜를 정해 달라고 부탁한 내용의 간찰. *상태: 피봉 1건 점련. 간찰 내용과 무관한 피봉이 잘못 점련 됨. *추기: 戊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8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2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寅八月二十六日 査下柳瑩業 崔承琬孝座 和順郡面茶智 戊寅八月二十六日 柳瑩業 崔承琬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38년 8월 26일에 류형업(柳瑩業)이 아들 류증교(柳曾敎)의 사돈댁인 화순에 사는 최승완(崔承琬)에게 안부를 전한 간찰 1938년 8월 26일에 류형업이 아들 柳曾敎의 사돈댁인 화순에 사는 崔承琬에게 안부를 전한 간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경인년 고두현(高斗玄)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庚寅元月二十三日 甥高斗玄 庚寅元月二十三日 高斗玄 外叔父 전라북도 남원시 남원 둔덕 전주이씨가 전북대학교박물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朝鮮時代 南原屯德坊의 全州李氏와 그들의 文書(Ⅰ)』, 1990. 전북대학교 박물관, 『박물관도록 –고문서-』, 1998. 전경목 등 역,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HIKS_Z013_01_A00013_001 경인년 정월 23일에 고두현(高斗玄)이 그의 외숙부(外叔父)에게 보낸 서간이다. 경인년 정월 23일에 고두현(高斗玄)이 그의 외숙부(外叔父)에게 보낸 서간이다. 외숙부는 둔덕이씨가의 인물로 추정된다. 군앙(君央)이라는 사람에게 과부가 된 형수가 있었는데, 혼인 때문에 많은 빚을 져서 고두현의 외숙부에게 자신의 전답을 팔려고 하였다. 외숙부는 조카에게 이 매매의 거간 역할을 부탁하였으며, 이미 이와 관련하여 두 사람 사이에 얘기가 오간 것으로 보인다. 이후 과부 측에서 노비를 고두현에게 보내자, 고두현은 외숙부에게 굳이 이곳을 사고 싶다면 23필로는 값이 애매하니 3, 4필을 더 매겨서 전답을 사는 것이 좋겠다는 조언을 하고 있다. 그리고 만일 값이 비싸서 살 수 없다고 판단되면 노비를 다른 곳에 보내 팔도록 조치하겠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禀目爲行下事本壇土稅今月初十日沒捧之意各時作處通奇而其後數次下人送之是胡至于今日一無來納之人如是遲滯則未知何時捧稅故緣由玆敢仰 禀別般處分之地謹冒昧以陳丙戌十一月 日忠烈壇有司吳鱗泳 金禧佼使[着押][題辭]當自官申飭所納時作更爲修禀事卄日告李應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병술년 충렬단유사(忠烈壇有司) 안모(安某) 등 품목(稟目) 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정치/행정-보고-품목 丙戌十一月 安 吳 金 丙戌十一月 安某 南原府使 安[着名], 吳[着名] ,金[着名] 1개(흑색, 정방형), 5개(적색, 정방형) 남원 둔덕 함양오씨가 전북대학교박물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박물관도록 –고문서-』, 1998. 전경목 등 역,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HIKS_Z014_01_A00014_001 병술년 11월에 충렬단(忠烈壇)의 유사(有司) 안(安) 아무개와 오(吳) 아무개, 그리고 김(金) 아무개 등 세 사람이 남원부사에게 올린 품목. 병술년 11월에 충렬단(忠烈壇)의 유사(有司) 안(安) 아무개와 오(吳) 아무개, 그리고 김(金) 아무개 등 세 사람이 남원부사에게 올린 품목이다. 유사들은 충렬단에서 금년 가을의 향사(享祀)에 필요한 50냥 2전 9푼과, 대동소(大同所)에 납부할 17냥 5전이 필요하다면서 관에서 특별한 조치를 내려주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이에 대하여 남원부사는 기왕에도 충렬사(忠烈祠)에서 필요한 경우에는 사징전(査徵錢) 50냥을 준 전례가 있으니 제수비용을 지급하는 것이 마땅하다는 처분을 내렸다. 이어서 문서의 뒷면에 적힌 배제(背題)에서는 충렬사의 도조(賭租)로 충당할 터이니 담당자가 뒤에 처리하고 보고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8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1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人三月五日 從姪?? 京城府 本洞 町一一九番地 戊人三月五日 柳瑩業 柳朝桓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38년 3월 5일에 류형업(柳瑩業)이 경성에 사는 종숙 류조환(柳朝桓)에게 병을 위로하고 소식이 끊긴 정황을 설명한 내용의 간찰 1938년 3월 5일에 류형업이 경성에 사는 종숙 柳朝桓에게 병을 위로하고 소식이 끊긴 정황을 설명한 내용의 간찰. *추기: 戊十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南原儒生安貞晦謹齋沐▣拜上書于巡相閤下伏以鄕曲胥吏輩勒奪殘▣…▣近痼弊而蔑法犯葬者豈有甚於光陽吏屬禹鍾植▣…▣乎生去年十月良呈 營到付於本邑則自官庭納侤今二月內掘移手標是乎所限月將▣…▣則素無掘去之意是如若是▣…▣期掘移之日生之情地亦云慽矣生自山邊起訟後揆以首末則本邑就卞者六七次也呈 營鳴寃者▣…▣玆敢帖聯前狀仰瀆于 按節之下爲去乎特察惸獨無告之民情更爲嚴飭督掘之地千萬泣祝行下向敎是事巡相閤下 處分戊子二月 日都使[着押][印][題辭]禹也文移捉致嚴督掘移向事二十八日 兼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을묘년 향수물목기(享需物目記)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乙卯三月三日 乙卯三月三日 전라북도 남원시 남원 둔덕 함양오씨가 전북대학교박물관 HIKS_Z014_01_A00026_001 을묘년 3월 3일에 남원의 함양오씨 가문에서 작성한 향수물목기(享需物目記). 을묘년 3월 3일에 남원의 함양오씨 가문에서 작성한 享需物目記. 제사에 사용되었던 각종 제수와 수량, 그리고 금액이 적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60년 김세보(金世寶)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二十五年十一月日 兵曹 補充隊 金世寶 乾隆二十五年十一月日 兵曹 金世寶 서울특별시 종로구 行判書 金[着名], 正郞 柳[着名] 兵曹堂上之印 1개(적색, 정방형)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1760년(영조 36) 11월에 병조(兵曹)가 보충대(補充隊) 김세보(金世寶)을 근력부위(勤力副尉)로 임명하는 교첩(敎牒). 1760년에 兵曹가 補充隊 金世寶를 勤力副尉로 임명하는 문서. *우방서: 納布去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64년 최옥현(崔珏鉉) 등 상서(上書) 2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甲子十月日 道內 靈巖 儒生 權克壽, 黃{禾+宗}, 吳永周 等 巡相閤下 甲子十月日 權克壽 全羅道觀察使 전라남도 영암군 兼使[着押]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HIKS_Z017_01_A00016_001 1864년(고종 1)에 영암(靈巖) 유생(儒生) 최옥현(崔珏鉉) 등이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에게 올린 상서(上書). 1864년에 靈巖 儒生 崔珏鉉 等이 全羅道觀察使에게 올린 上書. *靈巖郡 西終面 茅亭에 사는 光山金氏는 左議政 光山府院君 金國光의 후예로 孝子 金益聖, 그 손자 金陽元, 증손 金亨敏 三世의 三孝를 이미 三綱錄에 기재되었고 公議 또한 모아졌으니 이 實蹟을 국왕에게 轉達해서 褒揚해 주길 요청함. *題辭(1일): 듣건대 매우 아름다우나 褒揚의 은전은 啓體가 지중하니 갑자기 의논하기 어렵다고 명함.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