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74년 이종환(李宗煥)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幼學李宗煥 南原府 李宗煥 南原府使 전라북도 남원시 風憲柳[着名] 1개(적색, 정방형) 남원 둔덕 전주이씨가 전북대학교박물관 全北大 博物館,『朝鮮時代 南原屯德坊의 全州李氏와 그들의 文書(Ⅰ)』, 1990. 全北大 博物館,『박물관도록 –고문서-』, 1999. 문현주, 「조선시대 호구단자의 작성에 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석사학위논문, 2008. HIKS_Z013_01_A00001_001 1774년(영조 50)에 이종환(李宗煥)이 작성하여 남원부(南原府)에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 1774년(영조 50)에 남원부(南原府) 북면(北面) 둔덕방(屯德坊)에 거주하던 이종환(李宗煥)이 작성하여 남원부에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이다. 당시 그의 나이는 71세였으며 그의 처 삭녕최씨(朔寧崔氏)는 73세였다. 그는 결혼한 두 아들 부부와 함께 살고 있었다. 이종환은 일찍이 이갑증(李甲曾)에서 이종환으로 개명하였다. 데리고 살던 노비가 수십 명 있었으나, 상당수가 도망노비들로 함양(咸陽)과 순천(順天) 등지에서 살고 있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병술년 충렬단유사(忠烈壇有司) 오인영(吳鱗泳) 등 품목(稟目) 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정치/행정-보고-품목 丙戌十一月 日忠烈壇有司吳鱗泳 金禧佼 禀別般 丙戌十一月 吳鱗泳 南原府使 使[着押] 남원 둔덕 함양오씨가 전북대학교박물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박물관도록 –고문서-』, 1998. 전경목 등 역,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HIKS_Z014_01_A00014_001 병술년 11월에 충렬단(忠烈壇)의 유사(有司) 오인영(吳鱗泳)과 김희교(金禧佼)가 남원부사에게 올린 품목. 병술년 11월에 충렬단(忠烈壇)의 유사(有司) 오인영(吳鱗泳)과 김희교(金禧佼)가 남원부사에게 올린 품목이다. 충렬단의 토세(土稅)를 이달 초 10일까지 징수하겠다고 소작인들에게 통지했지만 지금까지 아무도 납부를 하지 않고 있으니 관에서 특별한 조치를 취해달라는 내용이다. 남원부사는 이에 대하여 관에서 소작인들에게 엄중히 얘기를 할 터이니, 그래도 납부하지 않는 자들은 명단을 고쳐 적어서 다시 아뢰라는 제사(題辭)를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8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10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寅二月二十五日 査弟??? 李允燮宅 戊寅二月二十五日 柳瑩業 李允燮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38년 2월 25일에 류형업(柳瑩業)이 딸의 시댁인 이윤섭(李允燮)에게 우귀(于歸)의 일정에 대해 전달한 간찰 1938년 2월 25일에 류형업이 딸의 시댁인 李允燮에게 于歸의 일정에 대해 전달한 간찰. *상태: 별지 1점이 점련 됨. *추기: 戊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資憲大夫知中樞府事兼 世子右副賓客黃公諡狀公諱事孝字百源南原府長水縣人也始祖諱瓊仕新羅位至侍中後孫有諱公有事高麗明宗官至殿中監李義方柄國稔凶公有挈家移居于南原府今廣寒樓卽其舊基也又六世諱鑒平以節行聞於鄕里號逸齋先生逸齋曾孫諱石富 贈吏曹叅議生諱均庇 贈議政府左叅贊贊生諱君瑞事我太祖位至資憲判江陵府使 贈左議政博雅通敏號爲才臣於公爲曾祖考祖考諱喜相英陵致太平在政府二十四載謹守朝宗成憲不喜紛更處事循理規模遠大論者穪我朝賢相必以公爲首而勳業德量比宋之王文正公韓忠獻公文宗時配享世宗廟庭諡曰翼成考諱致身官至戶曹判書逮事七朝位望隆重生九子公其第六也少登第選拜集賢殿正字遷兵曺正郎移吏曺進集賢殿校理議政府舍人轉直提學擢承政院同副承旨遷成均館大司成集賢殿副提學擢嘉善大夫平安道觀察使明年召還拜司憲府大司憲擢資憲大夫工曺判書以知中樞府事兼世子右賓客卒于京享年五十七葬于交河金蠅里公爲人淸秀好文學當世宗之盛際出入 帷幄協贊治平之業世稱翼成有孫不幸早世位不滿德人皆惜之公娶慶州金氏郡守日知之女生三男三女長曰坦靖 國功臣長山君次曰塏副司直次曰堞司直女長適宋胤班次適康好仁適鄭舟臣謹掇公踐歷大略請諡于有司謹狀通政大夫行寧越都護府使李宜哲譔照訖付奉常寺戊寅七月 日堂上[着押]郎廳[着押][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謹拜上候狀初夏玉山之別甚感且悵而從后阻音{火+耳}{火+耳}之懷尤極艸艸伏未審庚炎靜體艮止後神相万重庇節一晏抱兒無恙以過耶渠母亡日且至豈有知覺哉惡懷如新切想非在遠者之識也仰慰溯不任憧憧弟宿病更苦世味將速之漸奈何眷多有憂悶尤難堪遣今年旱餘雨洽上瑞可得物情忭娛四聞同然飢腹更鼓甚樂甚樂餘都留不備謹狀禮上己丑六月旬三日弟林炳瑢二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신해년 오필환(吳弼煥)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辛亥二月望 弟吳弼煥 辛亥二月望 吳弼煥 남원 둔덕 함양오씨가 전북대학교박물관 HIKS_Z014_01_A00024_001 신해년 2월 15일에 오필환(吳弼煥)이 쓴 안부 편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86년 서성보(徐聲輔)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丙戌臘月念一日 徐聲輔 李守門將 丙戌臘月念一日 徐聲輔 李某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홍농 전주이씨가 전주역사박물관 HIKS_Z016_01_A00007_001 1886년(고종23) 12월 21일에 서성보(徐聲輔)가 이(李) 수문장(李守門將)에게 보낸 서간. 1886년(고종 23) 12월 21일에 徐聲輔가 守門將 李某에게 보낸 書簡. 지난 번 만나고 다시 슬퍼졌는데 편지를 받고 추위에 자신의 바램처럼 잘 지냄을 알았으며, 자신은 객회에 시름이 더하여 오래도록 막힌 고향 소식에 매우 우울하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64년 최옥현(崔珏鉉) 등 상서(上書) 1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甲子十月日 道內 靈巖 儒生 崔珏鉉 等 巡相閤下 甲子十月日 崔珏鉉 全羅道觀察使 전라남도 영암군 [着押] (적색, 정방형, 9.0×9.0)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HIKS_Z017_01_A00016_001 1864년(고종 1) 10월에 영암(靈巖) 유생(儒生) 최옥현(崔珏鉉) 등이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에게 올린 상서(上書). 1864년에 靈巖 儒生 崔珏鉉 等이 全羅道觀察使에게 올린 上書. *靈巖郡 西終面 茅亭에 사는 光山金氏는 左議政 光山府院君의 후예로 孝子 金益聖, 그 손자 金陽元, 증손 金亨敏 三世의 三孝는 이미 三綱錄에 기재되었고 公議 또한 모아졌으니 卓異한 행적을 국왕에게 轉達해서 褒揚해 주길 요청함. *題辭(4일): 듣건대 매우 嘉尙하다고 명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93년 안희진(安禧鎭) 원정(原情)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癸巳十一月 日 南原山民▣…▣鎭 城主閤下 癸巳十一月 日 ▣▣鎭 任實郡守 전라북도 임실군 任實官[着押] 3개(적색, 정방형)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박병호, 『韓國法制史攷 : 近世의 法과 社會』, 법문사, 1974. 최승희,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1989.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HIKS_Z018_01_A00001_001 1893년에 남원(南原)에 사는 안희진(安禧鎭)이 임실군수(任實郡守)에 올린 원정(原情)으로 자신의 산소 근처에 투장한 무덤을 파내주기를 탄원한 내용. 1893년 11월에 남원(南原)에 사는 안희진(安禧鎭)이 임실군수(任實郡守)에 올린 원정(原情)이다. 안희진은 이 원정에서, 자식된 도리로 부모를 예로써 장사지내고 의로써 묘를 수호해야 하는데, 누군가가 서른이 안되어 요절한 모친의 산소에 투장(偸葬)을 하여 모자간의 은혜마저 끊어지게 하고 있으니 이를 파내게 해달라고 탄원하고 있다. 원정의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그는 이미 여러 차례 소를 올려, 관에서는 해당 면임(面任)에게 신칙(申飭)하여 지난달까지는 묘를 파내려고 하였으나, 아무런 근거 없이 이 소동을 일으킨 당사자가 관령(官令)을 거역하며 아직도 묘를 파내지 못하고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임실군수는 투총자를 기필코 찾아와서 소를 올리라는 처분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全羅道南原民安貞晦右謹言哀迫之極必呼父母人之常情也恭惟城主父母敢不號寃於 明政之下乎▣…▣本府柳等也面新文里盤龍山東麓而今來省墓則民之八代祖不過三十步壓脉移掘之地有偸葬兩塚而問其爻象於族人則▣…▣前偸葬而旣有二次呈訴尙今無伐草之節東邊之塚昨年春間偸葬而亦無伐草之擧云云想必姦狡之人先爲埋標暗試殘孫之擧措矣若有子孫之塚則豈無伐草之理乎如此壓逼之地爲其子孫者視若尋常而歸則其先人之魂豈不陰怒於九原之下乎今父有疾痛爲其子者不顧其調養之方則爲其父者雖不凶人道其子之惡而中心有怒則積矣九原冥冥無知以陽界人事推之則可知其鬼神之情狀也民卽當掘去兩塚依律▣…▣保命之計厚冒深恥剜心爲紙瀝血濡墨陳此冤訴句句慄骨字字弸肺欲盡裏言則恐煩明燭謹止此伏願城主閤下哀憐 垂察以爲立明文掘去之地城主處分辛酉八月 日慶尙道金海使[着押][印][題辭]推覓後督掘事初一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88년 안정회(安貞晦)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戊子二月 日 南原儒生安貞晦 巡相閤下 戊子二月 日 安貞晦 全羅道觀察使 전라북도 남원시 都使[着押] 1개(적색, 정방형)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박병호, 『韓國法制史攷 : 近世의 法과 社會』, 법문사, 1974. 최승희,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1989.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HIKS_Z018_01_A00001_001 1888년 2월에 남원(南原)에 사는 안정회(安貞晦)가 우종식(禹鍾植)이 투장한 무덤을 파낼 수 있도록 해달라고 탄원한 상서 1888년 2월에 남원(南原)에 사는 안정회(安貞晦)가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에게 올린 상서이다. 광양군(光陽郡)의 아전인 우종식이 안정회의 선산에 투장을 한 데 대하여 안정회가 지난 해 10월 감영(監營)에 정소하였다. 이에 우종식은 관에 고음(侤音)을 바치고 금년 2월 안에 묘를 파내 옮기겠다는 수표도 써주었다. 그러나 우종식은 약속한 기한이 지나도록 묘를 옮기려고 하지 않았다. 이에 안정회는 산소가 있는 광양에 소를 제기하여 남원에서 대질하러 그곳으로 달려간 것만 하더라도 6〜7차나 되었다면서 그동안의 소장을 점련하여 올리니 묘를 파내게 해달라고 탄원하였다. 이에 전라도관찰사는 우종식은 해당 고을 관아에 공문을 보내서 잡아들이고, 투총은 감독하여 파내라는 제사를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79년 신용균(申用均)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己卯十一月念七日 申用均 李守門將 己卯十一月念七日 申用均 李某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 홍농 전주이씨가 전주역사박물관 HIKS_Z016_01_A00007_001 1879년(고종 16) 11월 27일에 신용균(申用均)이 수문장(守門將) 이모(李某)에게 보낸 안부편지. 1879년(고종 16) 11월 27일에 申用均이 守門將 李某에게 보낸 안부 편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74년 김익성(金益聖) 조(祖) 김기인(金起仁) 추증교지(追贈敎旨) 고문서-교령류-추증교지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三十九年月日 學生 金起仁 乾隆三十九年月日 英祖 金起仁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HIKS_Z017_01_A00004_001 1774년(영조 50)에 영조(英祖)가 학생(學生) 김기인(金起仁)을 통정대부(通政大夫) 형조참의(刑曹參議)로 추증(追贈)하는 고신(告身). 1774년에 英祖가 學生 金起仁을 通政大夫 刑曹參議로 추증하는 문서. *좌방서: 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金益聖祖考依法典追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모년 석초(石樵) 만장(輓章) 고문서-시문류-만사 종교/풍속-관혼상제-만사 南皐 李昇來 李昇來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모년에 남고(南皐) 이승래(李昇來)가 석초(石樵)의 영전에 바친 만장(輓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모년 임실(任實) 순흥안씨문중(順興安氏門中) 장사택일지(葬事擇日紙) 1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종교/풍속-민간신앙-택기 전라북도 임실군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HIKS_Z018_01_A00084_001 모년 임실(任實)의 순흥안씨(順興安氏) 문중에서 작성된 장사택일지(葬事擇日紙).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