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婚書)伏惟至寒尊體動止候萬重仰慰區區就親事旣承 柱單實恊願附涓吉仰呈 章製回 示如何餘謹宣伏惟尊察 謹拜上狀乙丑十一月初九日安東權泰淳再拜(皮封)謹再拜上狀鄭生員 下執事 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정축년 벽진이씨(碧珍李氏) 연길단자(涓吉單子)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碧珍李氏 査頓 碧珍李氏<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087_001 정축년 12월 8일 신부측인 벽진이씨가 신랑측에 보낸 연길 정축년 12월 8일 신부측인 벽진이씨가 신랑측에 보낸 연길이다. 혼례 날짜는 정축년 12월 13일로 정하여 보냈다. 이 사성단자와 노란색의 별지가 함께 전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涓吉單子)奠雁十月二十一日甲子原甲午九月二十五日月城崔[着名](皮封)鄭生員 下執事謹拜謝上狀 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계축년 정화(珽和)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珽和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계축년 10월 15일에 방촌 정화가 옥산의 동상댁에 부탁하신 민어포를 보내는데 품질이 좋지 못해 부끄럽다는 내용과 재상 집에 감사인사 하러 가는 일에 대해 여러 의견으로 나뉘어 개탄스럽다는 내용 등을 전한 답장 계축년 10월 15일에 방촌(芳邨) 정화가 옥산(玉山)의 동상댁(東上宅)에 부탁하신 민어포를 보내는데 품질이 좋지 못해 부끄럽다는 내용과 재상 집에 감사인사 하러 가는 일에 대해 여러 의견으로 나뉘어 개탄스럽다는 내용 등을 전한 답장이다. 달포 전에 보내준 편지에 대해 아직까지 답장을 하지 못하고 있어서 그리움만 간절했다는 내용, 서리 내리는 계절에 상대방 형제들과 가족들 모두 평안한지 안부를 묻고, 지난번에 상대방 조카를 만나 간략하게 소식을 듣고 매우 위로되고 그리웠다는 내용, 어버이 모시고 사는 자신은 예전과 똑같이 보내고 있고, 아이들도 각자 잘 지내고 있으며, 그 외에는 드릴 말씀이 없다는 내용, 흉년으로 괴로워 차라리 멀리 달아나고 싶다는 내용, 부탁하신 민어포를 보내는데 좋은 품질이 아니라서 부끄럽지만 너그럽게 받아주시라는 내용 등을 담았다. 서쪽에서 온 소식은 사람을 미치게 하는데 다행히 우리들로 하여금 다시 해를 보게 할는지, 재상 집에 감사인사를 하러 가야 하는데 논의가 여러 의견으로 나뉘니 개탄스럽다는 내용을 추신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省式言 月前惠書 尙未仰覄 只切懷想 不審霜令兄棣候動靖 連護湛和眷節勻善耶 向奉○令咸槩聞 慰溸之至 弟省狀依遣 兒少各保 餘無足仰聞者 而歉荒惱人 寧欲遠走 不在人間也 窃想日間兄或有南面省楸之行 必不致逝梁之怨矣 方懸榻而待耳 俯托{魚+民}脯 未爲善品 只增愧汗耳 幸或恕領耶 餘留 姑不備禮癸丑陽月望 珽和 弟 拜西來消息 令人走狂 幸使吾人復見天日耶 相門致謝之行 不可不有 而所議多岐 可歎可歎(皮封)玉山東上宅棣座 傳納芳邨 謝候狀 省式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인년 밀성박씨(密城朴氏) 사성단자(四星單子)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密城朴氏 郭生員 密城朴氏<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068_001 병인년에 신랑측인 밀성박씨 집안에서 신부측 곽생원댁에 보낸 사성단자 병인년 2월 11일에 신랑측인 密城朴氏 집안에서 신부측 곽생원댁에 보낸 사성단자(四星單子)이다. 신랑의 사주는 을사년 5월 8일 술시이다. 간지를 7번 접어서 그 복판에 신랑의 사주인 생년·월·일·시를 적었고, 봉투에 넣고 봉투 앞면에 '사성'이라 쓰고 하단에 근봉(謹封)이라고 썼다. 피봉이 함께 남아 있다. 이 단자는 박인곤(朴璘坤)이 자신의 조카 혼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작성된 문서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四星單子)乙巳五月初八日戌時原丙寅二月十一日密城朴[着名](皮封)四星 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갑오년 월성최씨(月城崔氏) 연길단자(涓吉單子)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月城崔氏 鄭生員 月城崔氏<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오년 9월 25일에 신부측인 월성최씨가 신랑측인 정생원 댁에 보낸 연길단자 갑오년 9월 25일에 신부측인 월성최씨가 신랑측인 정생원 댁에 보낸 연길단자이다. 혼례 날짜는 10월 21일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0년 김달오(金達伍)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羅州牧使 金達五 牧使<押> 羅州牧使之印(7.1x7.1), 周俠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096_001 1870년 나주목에서 호주 김달오에게 동년의 호적대장에서 해당 부분을 등서하여 발급한 준호구 1870년(고종 7) 나주목(羅州牧)에서 호주 김달오(金達伍)에게 동년(同年)의 호적대장을 토대로 작성하여 발급해 준 등본 성격의 준호구로 열서(列書) 형식으로 기재되어 있다. 김달오의 거주지는 나주목(羅州牧) 하의도(荷衣島, 현 전남 신안군 하의면에 속한 섬) 어은촌(於恩村) 오가작통 순번 제2통 7호이다. 직역은 한량(閑良)이고 올해 나이는 61세 경오생(庚午生)이며,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김달오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한량 성인(聖仁), 할아버지 한량 필봉(弼逢), 증조(曾祖) 한량 상건(尙巾), 외조(外祖) 한량 박득대(朴得大)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김달오의 아내 황씨(黃氏)는 나이 57세 갑술생(甲戌生)이고 본관은 장수(長水)이다. 황씨의 사조는 아버지 한량 석용(碩用), 할아버지 한량 헌(憲), 증조(曾祖) 한량 하지(何知), 외조 한량 정미(鄭美)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이외 가족 구성원으로 동생 의두(宜斗)가 있으며, 나이 44세 정해생(丁亥生)이다. 김달오(金達五)로 표기되어 있는 준호구에는 그의 생년이 모두 '경오생(庚午生)'이 아닌 '기사생(己巳生)'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외 가족사항 등의 내용은 달오(達五)와 달오(達伍) 모두 동일하다. 문서에는 나주목사(羅州牧使)의 관인(官印)과 서압(署押) 및 주협자개인(周俠字改印)이 찍혀있으며, 1867년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쳤다는 '정묘호구상준(丁卯戶口相凖)'이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婚書)伏惟孟冬尊體震艮萬重仰慰規規之忱第女阿親事敢承柱單私分之幸涓吉依敎錄呈 章製 回示之如何謹宣伏惟尊照謹拜謝 上狀庚午十月二十九日安東孫亮皓 再拜(皮封)謹拜謝上狀郭生員 下執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2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장례(葬禮) 일정을 정하기 위해 작성한 장택기(葬擇記). 장례(葬禮) 일정을 정하기 위해 작성한 장택기(葬擇記). 장지(葬地)의 방위(方位), 망인(亡人), 유족의 생년, 장례 일시와 절차 등을 기록. *亡人: 仙命乙丑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무신년 박준기(朴準基) 제문(祭文) 고문서-시문류-제문 朴準基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무신년 2월 2일에 박준기가 서상생(徐象生) 공의 영전에 바치는 제문 무신년 2월 2일에 박준기가 처사(處士) 서상생(徐象生) 공의 영전에 바치는 제문이다. 공은 연원(淵源)이 있는 고가(古家)이고 시례(詩禮)의 유풍이 있는 명문가에서 강직하고 단정한 기운을 품고 태어나 학문을 강마하여 명성을 떨쳐 사림의 모범이 되었으며 우리 족당(族黨)의 으뜸가는 어른이 되었다고 하였다. 공은 자신의 부친과 동갑이고 동지로서 10년을 끈끈하게 지내다가 부친이 세상을 떠난 뒤 공에게 의지하고 지냈는데 공마저 갑자기 세상을 떠났으니 애석하다고 하였다. 자신이 오랜 병으로 바깥출입을 하지 못해 반함(飯含)도 하지 못했고 장례 때에 집불(執紼)을 하지도 못한 채 세월이 지나 어느덧 종상(終喪)이 다가와 유감이 깊기에 제문을 지어 영결을 고한다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乾化命癸未木 祭主子癸亥水 孫戊子壬辰坤生命壬辰水 婦己巳木 甲午葬山辛兌龍辛入首辛坐乙向運正戊辰木 泊 令辛金洪同開土七月十八日壬辰巳時穴深從地宜取土丙丁方安葬同月二十四日戊時下棺申時啓殯冲壓癸卯甲辰甲戌戊辰生少遜停立丙丁方諸條擇根甲午金丁巳苗壬申金庚壬花戊戌木辛丁戊實庚申木庚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伏以移孝爲忠則士行之所當勵者惟孝爲大求忠必孝則王政之所先奬者亦孝是已孝爲仁本魯論著訓老老興孝曾傳揭說則觀感剡薦從由於衿紳之景慕而 旌褒勸厲莫非帝王之優典也惟我㕵家文治炳蔚倫綱畢叙八省列邑孝子之旌閣錯落相望其中卓異者加之以賜復惠之以 貤贈則斯豈非風動當世以勸來裔之一大經法也耶臣矣身等所居湖南地雖荒遠亦風化中一區而省內潭陽府近有出天呈異之孝敢此擔實以請命于 朝惟 聖明垂察焉盖臣等所擧者故學生臣李鎭玟是也鎭玟之孝自從髫㱓已知悅親不待勉强而能之則雖謂之根天實不爲僣語矣早失所怙稍長以不得養抱平生慟偏侍慈闈定省之節甘旨之供不敢少懈其母年耄長頹病褥甞糞甞藥祈斗願代等事實非一朝一夕之故一生如一日及至奮號哭踊搬擗之狀苟有血氣者孰不興感而下淚也喪而葬葬而祥一遵家礼遂不觧經三年如一日則此與不時斷指割股者豈可同日而語也其老慈平日所嗜惟山雉也而日夕需供極力營辦惟恐欠闕侍奠亦如之忽於練祀之日料外一雉公然飛入伏於几席之間誠孝所感天之效異何其速也殷之雊雉告箴也非孝也魯之馴雉尙化也非孝也斯可與鯉之躍氷雀之入戶同一感應者歟以省內言之徐孝子墮器之蛙孔孝子含虫之鵲著於㕵乘垂之野史寔至于今塗人耳目臣矣身等窃以爲鎭玟招雉之異當曰伯仲於蛙鵲之間而或可振作此來世爲人子者也且其孝源有自來矣鎭玟之八世祖學生臣蘅誠孝出天特自 朝家已爲 命旌其六世祖寅卿參錄 宣庙朝原從功臣其九世以上簮縷世襲亦可爲湖南望族豈可一一枚擧仰塵 乙覽也伏願 殿下以孝爲治深 覽鎭玟卓絶之孝 察臣等所言非誣明詔有司之臣丞 命 旌閣以彰 㕵家獎孝之化無任激切屛營今當 聖明之世誕敷孝理之政而苟有一孝則雖在遐荒之外猶且表章而 褒尙之 旌其閭而 贈其秩是白如乎臣矣身等實懼至孝之泯沒玆敢裏足相率籲天爲向置嗚呼潭陽故學生臣李鎭玟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四十八年 月日康津縣考癸卯式成籍戶口帳內古今島鎭里第 統第 戶待變軍官張大允年三十九乙丑本仁同奉父折衝武良年甲申故祖學生弘曾祖學生德龍外祖學生金愛賢本金海妻金姓年三十九乙丑本金海父渭載祖天碩曾祖愛明外祖鄭武賢本慶州率子啓得年十九乙酉等相准印行縣監[押][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四十八年 月日康津縣考癸卯式成籍戶口帳內古今島鎭里第 統第 戶待變軍官張大運年三十四庚午本仁同父折衝武良祖學生弘曾祖學生德龍外祖學生金愛賢本金海妻秋姓年三十四庚午本羅州父嘉善大夫尙連祖命金曾祖松伊外祖趙奉伊本平山率子啓哲年十甲午等前准印行縣監[押][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四十八年 月日康津縣考癸卯式成籍戶口帳內古今島鎭里第 統第 戶待變軍官張大銀年三十二壬申本仁同父折衝武良祖學弘曾祖學生德龍外祖學生金愛賢本金海妻韓姓年二十七丁丑本淸州父德永祖信載曾祖得戒外祖金尙元本金海等相準印行縣監[押][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五十一年 月 日康津縣考丙午式成籍戶口帳內古今島道音岩里第 統第 戶旗牌官張大彦年四十六辛酉本仁同父折衝武良祖弘曾祖德龍外祖金牙賢本金海妻李姓年四十六辛酉本慶州父重伊祖善用曾祖奉夏外祖金延分本金海率女阿只年十四癸巳次子延金年十一丙申等相準印行縣監[押][周挾字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五十一年 月日康津縣考丙午式成籍戶口帳內古今島鎭里第 統第 戶待變軍官張大允改名天翼年四十二乙丑本仁同父折衝將軍武良祖學生弘曾祖學生德龍外祖學生金愛賢本金海妻金氏年四十二乙丑本金海父渭載祖天碩曾祖愛明外祖鄭武賢本慶州率子啓得年二十二乙酉等前准印行縣監[押][周挾字改印]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