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903년 김현수(金顯洙) 관고(官誥) 고문서-교령류-관고 정치/행정-임면-관고 光武七年十二月十八日 議政府贊政 宮內府大臣 臨時署理 議政府贊政 成岐運 金顯洙 光武七年十二月十八日 議政府贊政 宮內府大臣 臨時署理 議政府贊政 成岐運 金顯洙 서울특별시 종로구 宮內府印 1개(적색, 정방형), 宮內大臣之章 1개(적색, 정방형)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1903년(광무 7)에 의정부찬정(議政府贊政) 궁내부대신(宮內府大臣) 임시서리(臨時署理) 의정부찬정(議政府贊政) 성기운(成岐運)이 김현수(金顯洙)를 관리서주사(管理署主事) 판임관(判任官) 8등(等)으로 임명하는 관고(官誥). 1903년에 議政府贊政 宮內府大臣 臨時署理 議政府贊政 成岐運이 金顯洙를 管理署主事 判任官 8等으로 임명하는 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71년 김익성(金益聖) 분재기(分財記)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경제-상속/증여-분재기 乾隆三十六年辛卯五月初十日 元財主父 四男一女 乾隆三十六年辛卯五月初十日 父 四男一女 전라남도 영암군 着名 5개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HIKS_Z017_01_A00004_001 1771년(영조 47) 5월 10일에 아버지 김익성(金益聖)이 4남 1녀에게 재산을 나누어 주며 작성한 분재기(分財記). 1771년에 아버지가 4남 1녀에게 재산을 나누어 주며 작성한 分衿都明文. *재주인 아버지 金益聖이 무릎이 아프고 시린 병으로 여러 달 신음하다 약을 여러 帖 먹고 조금 차도가 있었으나 생사를 알 수 없으니 선조로부터 물려받은 약간의 田畓과 자신이 買得한 전답을 祭位條를 제외하고 자녀에게 일일이 임의로 區處하여 발급하였다. 祖父母主, 父母主, 자신과 妻, 後妻, 無後三寸姑母主, 無後子 觀海의 祭位條를 제외하고 장자 龜海, 제2자 德海, 제3자 錬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무신년 김성후(金聖厚) 배관(背關) 등서(謄書) 고문서-첩관통보류-관 정치/행정-명령-관 戊申十月十九日 金聖厚 戊申十月十九日 金聖厚 남원 둔덕 함양오씨가 전북대학교박물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박물관도록 –고문서-』, 1998. 전경목 등 역,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무신년에 김성후(金聖厚)가 수영문(水營門)에 올린 관문(關文)을 등서(謄書)한 문서. 무신년에 김성후(金聖厚)가 수영문(水營門)에 올린 관문(關文)을 등서(謄書)한 문서이다. 당시 김성후는 관련 소지(所志)를 배서(背書)하여 함께 올렸다. 배관은 하급 관아에서 보낸 첩보(牒報)의 뒷면에 쓴 관문을 가리킨다. 판하사목(判下事目)에 따르면, 해문(海門) 30리 안에서는 국유이든 개인 소유이든 산에서는 마음대로 소나무를 벨 수가 없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간악한 무리들이 법을 무시하고 소나무를 베었으니 그 정상을 조사하여 죄를 범한 자들을 잡아다가 처벌하는 한편, 베어간 소나무의 수를 하나하나 헤아려서 모두 추징하되, 지체 없이 일을 처리하여달라는 내용이다. 문서의 끝에는 이 관문이 무신년 10월 19일자로 수영문에 도착했다고 적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67년 영광(靈光) 광산김씨가(光山金氏家) 공명첩(空名帖) 고문서-교령류-공명첩 정치/행정-임면-공명첩 同治六年九月日 幼學 同治六年九月日 高宗 幼學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HIKS_Z017_01_A00004_001 1867년(고종 4) 9월에 고종(高宗)이 유학(幼學) 아무개를 동몽교관(童蒙敎官)으로 임명하는 고신(告身). 1867년에 高宗이 幼學 아무개를 童蒙敎官으로 임명하는 문서. *좌방서: 孝行有士林薦 *상태: 공명첩 위조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798년 김달원(金達元)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嘉慶三年戊午正月日 靈巖郡 幼學 金達元 嘉慶三年戊午正月日 靈巖郡守 金達元 전라남도 영암군 行郡守[着押] 周挾無改印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HIKS_Z017_01_A00022_001 1798년(정조 22) 1월에 영암군에서 유학(幼學) 김달원(金達元, 54세)에게 발급한 준호구. 1798년에 영암군에서 幼學 金達元(1745~?)에게 발급한 准戶口. *주소: 靈巖郡 西終面 茅亭 第九統 第三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96년 안희진(安禧鎭) 원정(原情)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丙申九月 日 南原郡山民安禧鎭 城主閤下 丙申九月 日 安禧鎭 任實郡守 전라북도 임실군 任實官[着押] 3개(적색, 정방형)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박병호, 『韓國法制史攷 : 近世의 法과 社會』, 법문사, 1974. 최승희,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1989.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HIKS_Z018_01_A00001_001 1896년에 남원(南原)에 사는 안희진(安禧鎭)이 임실군수(任實郡守)에 올린 원정(原情)으로 자신의 산소 근처에 투장한 무덤을 파내주기를 탄원하였다. 1896년 9월에 남원(南原)에 사는 안희진(安禧鎭)이 임실군수(任實郡守)에 올린 원정(原情)이다. 투장(偸葬)은 나라에서 금하는 일이며, 신원을 하기 위해서는 법관의 심리가 반드시 필요한 일인데, 투장자를 4년 동안이나 찾았지만 그림자도 찾을 수 없으니 관에서 파내달라고 탄원하였다. 이에 임실군수는 투총자를 3년이나 찾으면서 기다렸는데도 한 장의 소장밖에 없는가라고 반문하는 처분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南原居山民安丙鎭謹齋沐上原情于城主▣▣▣以民之母山在 治下上東面旺方村北梭峙是乎所不意去月念間乘夜不知何人偸塚於民之母山內階間已爲 官掘之地是如▣帖聯前狀號寃於城主閤下孝理之下爲去乎 參商敎是後特下 處分以爲督掘之地千萬泣血祈懇是白齊行下向敎是事城主處分癸巳四月 日官[着押][印][印][印](題辭)塚主搜覓後更訴向事初二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87년 임실군수(任實郡守) 조성희(趙性憙) 서간(書簡)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丁亥六月十七日 記下 性憙 安碩士 丁亥六月十七日 趙性憙 安碩士 전라북도 임실군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HIKS_Z018_01_A00060_001 1887년(고종 24) 6월 17일에 임실군수 조성희(趙性憙)가 순흥안씨(順興安氏) 모인에게 보낸 서간. 1887년(고종 24) 6월 17일에 임실군수 趙性憙가 順興安氏 집안의 安碩士에게 보낸 서간. 답장이 늦어 송구하고 完營에 갔을 때 상대방의 동생을 만났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모년 안정회(安貞晦) 묘문(墓文) 고문서-시문류-묘문 개인-전기-묘문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HIKS_Z018_01_A00079_001 모년에 권재규(權載奎)가 지은 관산처사(管山處士) 안정회(安貞晦)의 묘표. 管山處士 安貞晦(1830-1898)의 묘표. 안정회의 자는 義敬이고 호는 管山이며 관향은 順興이다. 蘆沙의 門人이다. 權載奎가 지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1901년 안연생(安連生) 묘표(墓表) 고문서-시문류-묘문 개인-전기-묘문 光武五年歲舍辛丑仲秋節 長水黃玹 光武五年歲舍辛丑仲秋節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HIKS_Z018_01_A00079_001 1901년(광무 5)에 황현(黃玹)이 지은 안연생(安連生)의 묘표(墓表) 1901년에 黃玹이 지은 安連生의 墓表. 순흥안씨의 선조로, 묘표의 내용에 따르면, 회헌 안향이 '14세5세조'가 된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86년 정화지(鄭和之) 방매(放賣) 시장문기(柴場文記) 고문서-명문문기류-시장문기 경제-매매/교역-시장문기 光緖十二年丙戌十月日 柴場主鄭和之 光緖十二年丙戌十月日 鄭和之 전라북도 남원시 [着名]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박병호, 『韓國法制史攷 : 近世의 法과 社會』, 법문사, 1974. 최승희,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1989.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1886년(고종 23) 10월에 정화지(鄭和之)가 남원(南原)에 있는 시장(柴場)을 전문 5냥을 받고 팔면서 작성해 준 시장문기. 1886년(고종 23) 10월에 정화지(鄭和之)가 남원(南原)에 있는 시장(柴場)을 팔면서 작성한 시장문기이다. 정화지는 남원 안생원댁의 산소에 연접한 경계에 있는 이 시장을 5냥에 팔았다. 시장의 너비는 10파(把)이고 길이는 20파이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