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68년 기우번(奇宇蕃)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辰八月二十四日 奇宇蕃 戊辰八月二十四日 奇宇蕃 전라북도 임실군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1868년(고종 5)에 8월 24일에 기우만(奇宇蕃)이 순흥안씨(順興安氏) 모인에게 보낸 서간. 1868년(고종 5)에 8월 24일에 奇宇蕃이 順興安氏 집안의 누군가에게 보낸 서간. 안부를 묻고 민장(閔丈)의 죽음을 듣고 놀랐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8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15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寅五月二十七日 舍姪?? 三千浦 戊寅五月二十七日 柳瑩業 柳龜桓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38년 5월 27일에 류형업(柳瑩業)이 삼천포에 사는 숙부 류구환(柳龜桓)에게 안부와 구례 도산(陶山) 묘지 문제에 관한 소식을 전한 간찰 1938년 5월 27일에 류형업이 삼천포에 사는 숙부 柳龜桓에게 안부와 구례 陶山 묘지 문제에 관한 소식을 전한 간찰. *추기: 戊十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巳洞化民黃枰右謹言情由段遐土人心雖曰不淑豈有如李仁煥等乎民不勝憤惋擧槩仰陳伏乞細細垂察焉大抵以山家禁養松楸濫出橫慾非理好訟者渠之長技也民之弟哲養家先山在於李仁煥先山別麓他局而以境界言之自李哥之山之文景周塚越大野別局而稱以渠之案山累年起訟渠自落科是遣又生松楸之慾越文哥之境界欲奪民之弟養家山禁養呈 官呈 營掩匿不見所志而末乃得摘奸之題然終不起隻摘奸者把作渠之文券日後待時之計也彼此定山直守護禁養者積有年所而今始起鬧者有何奸計是喩以此言之李仁煥之橫出非理之慾奪人不當之禁養不卞可知因而置之則難測李哥等日後之奸計故緣由仰訴 叅商敎是後嚴明 題下卽爲摘奸無至禁養見奪之地爲只爲行下向敎是事城主 處分乙丑九月使[着押][題辭]李仁煥率來對辨事卄八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임진년 황재련(黃再鍊) 등 품목(稟目) 고문서-첩관통보류-품목 정치/행정-보고-품목 壬辰四月 日 見所谷化民 黃再鍊 吳泰烈 李相三 壬辰四月 日 黃再鍊 南原府使 전라북도 남원시 使[着押] 7개(적색, 정방형) 남원 대곡 장수황씨가 남원 무민공황진기념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박물관도록 –고문서-』, 1998. 전경목 등 역,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전북대학교 한국학자료센터, 『황진 장군 가문의 고문서』, 흐름, 2016. 임진년 4월에 남원 견소곡방(見所谷坊)에 사는 유생 황재련(黃再鍊) 등 9명이 남원부사(南原府使)에게 올린 품목(稟目). 임진년 4월에 남원 견소곡방(見所谷坊)에 사는 유생 황재련(黃再鍊) 등 9명이 남원부사(南原府使)에게 올린 품목(稟目)이다. 이들은 이 문서에서 견소곡방에서 맡고 있는 역참(驛站)의 역호(驛戶)를 구례(舊例)에 따라 이웃인 영계방(靈溪坊)과 공평하게 감면해 줄 것을 탄원하고 있다. 원래 역참에서의 영접과 환송에 따른 제반 경비를 견소곡방과 영계방이 똑같이 나누어 분담하고 있었다. 즉 영접 비용은 견소곡방에서, 환송 비용은 영계방에서 각각 분담하였다. 그런데 담당 아전이 이러한 관례를 무시하고 영계방은 역호의 수를 줄여주는 대신에, 견소곡방에 대해서는 줄어든 그 수만큼 합쳐서 부담을 시키자, 그렇지 않아도 남여(藍輿)와 거화(炬火), 치도(治道) 등 각종 공역에 시달리고 있는 견소곡방의 유생들이 이에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이들은 어떻게 한 고을 안인데도 차등을 두어 대우할 수 있느냐면서, 만일 공평하게 감면하지 않는다면, 앞으로 역참에서의 영접과 환송과 관련해서는 견소곡방에 책임을 묻지 않겠다는 완문(完文)을 작성하여 달라고 탄원하였다. 남원부사는 이에 대하여 이 문제와 관련해서는 이미 읍안(邑案)에 제사(題辭)가 나와 있는데도 이처럼 탄원을 올리는 관습이 개탄스럽다는 처분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水旨吳生員奴日老右謹陳所志段矣宅柴場二十餘年前給価五兩買得於此山無水場而定界昭然載錄於文券中是乎所逐年刈來矣甲乙以後以無井之致未得刈薪是遣因爲陳置禁養矣至於今年刈薪次上山是乎所豆洞居金哥爲名人素以頑悖行怪之類矣宅柴場限界上邊一麓肆然據奪此何頑習定界非但文記中昭載二十餘年刈取柴場空然見奪於他人極爲冤枉買得文券帖聯仰訴伏乞叅商敎是後上項金哥捉致案下有文卷柴場據奪之罪各別重治後從文卷依前限界刈薪以備御寒晨夕寒凍爲只爲行下向敎是事使道 處分丁丑八月官[着押][題辭]眼同來卞事初四日兩隻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8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06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寅 正月 十九日 族孫 瑩業 戊寅 正月 十九日 柳瑩業 柳濟千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38년 1월 19일 류형업(柳瑩業)이 일본 동경에 있는 족인 류제천(柳濟千)에게 가문 사람들의 소식을 전한 간찰 1938년 1월 19일 류형업이 일본 동경에 있는 族人 柳濟千에게 가문 사람들의 소식을 전한 간찰. *추기: 戊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8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07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寅 正月 二十四日 戊寅 正月 二十四日 柳瑩業 柳濟玉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38년 1월 24일 류형업(柳瑩業)이 족인 류제옥(柳濟玉)에게 새해를 맞아 안부를 전한 간찰. 1938년 1월 24일 류형업이 族人 柳濟玉에게 새해를 맞아 안부를 전한 편지이다. *무기: 戊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70년 이보응(李輔應) 고신(告身) 2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同治九年四月日 李輔應 同治九年四月日 高宗 李輔應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적색, 정방형, 10×10) 금구 도장 전주이씨가 전주역사박물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박물관도록 –고문서-』, 1998. 전경목 등 역,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전경목, 『고문서, 조선의 역사를 말하다』, 휴머니스트, 2013. HIKS_Z011_01_A00003_001 1870년(고종 7)에 왕이 이보응(李輔應)에게 내린 고신(告身). 1870년(고종 7) 4월에 왕이 이보응(李輔應)에게 조봉대부(朝奉大夫) 행 통례원인의(通禮院引儀)를 내리면서 발급한 교지(敎旨)이다. 조봉대부는 조선시대 종4품 하계(下階)의 문관에게 주던 품계이다. 통례원은 조선시대 국가의 의식을 주관하던 관청이었으며, 인의는 이곳에 근무하는 종6품 관직이었다. 한편 배면(背面)에 적힌 '吏吏吳相麟'은 이 고신을 작성한 이조의 서리 오상린을 가리킨다. 오상린은 이보응이 같은 해에 발급 받은 또 다른 고신에도 등장한다. 이이(吏吏)는 양반의 고신을 작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특정한 지방 명문 양반가들과 대대로 특별한 관계를 맺으며 인사 자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을 단골리라고도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李輔應爲朝奉大夫行通禮院引儀者同治九年四月 日[印][背面]吏吏吳相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李輔應爲通訓大夫行景慕宮令者同治九年十二月 日[印][背面]吏吏吳相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모년 광산김씨가(光山金氏家) 모인(某人) 시권(試券) 고문서-증빙류-시권 정치/행정-과거-시권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미상 연도에 광산김씨가 모인이 어느 과거(科擧)에 응시하여 작성한 시권(試券). 미상 연도에 아무개가 어느 科擧에 응시하여 작성한 試券. *詩題: 賦 豊年多黍多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22년 오진문(吳珍文) 위임장(委任狀) 고문서-명문문기류-위임장 경제-매매/교역-위임장 大正十一年旧六月二十四日 先山主吳珍文 朴云善 大正十一年旧六月二十四日 吳珍文 朴云善 1개(원형, 적색) 남원 둔덕 함양오씨가 전북대학교박물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박물관도록 –고문서-』, 1998. 전경목 등 역,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1922년 6월 24일에 고창군 석곡면 흥룡리에 사는 오진문(吳珍文)이 같은 면 장연리에 사는 박운선(朴云善)에게 써 준 위임장. 1922년 6월 24일에 고창군 석곡면 흥룡리에 사는 오진문(吳珍文)이 같은 면 장연리에 사는 박운선(朴云善)에게 써 준 위임장으로, 자신의 선산에서 양생한 시초(柴草)와 송추(松楸)를 331냥에 흥정하여 금액 전부를 수입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거래를 위임하였다. 문서의 끝에 김옥녀(金玉汝)와의 약속은 기한을 넘겼으므로 믿지 말라는 단서가 적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委任右ᄂᆞᆫ惟我先山에養生ᄒᆞᆫ柴草와松楸을価格은三百三十一兩에興成ᄒᆞ야高敞郡石谷面長淵里居ᄒᆞᆫ朴云善이로 右価額全部을收入ᄒᆞ기 爲ᄒᆞ야委任홈大正十一年旧六月二十四日高敞郡石谷面興龍里先山主吳珍文[印]金玉汝所約은過限勿信홈以上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