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87년 이교의(李敎儀)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光緖十三年十月 李敎儀 光緖十三年十月 高宗 李敎儀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적색, 정방형, 10×10) 영광 홍농 전주이씨가 전주역사박물관 HIKS_Z016_01_A00002_001 1887년(고종 24) 10월에 고종이 이교의(李敎儀)에게 통정대부(通政大夫) 행희천군수(行熙川郡守)로 임명하는 고신(告身) 1887년(고종 24)에 王이 李敎儀에게 通訓大夫行熙川郡守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敎旨. 교지의 배면에 ‘吏吏金熙奎’라고 적혀 있다. 별지에는 이교의를 포함하여 三望에 올랐던 사람들의 이름이 적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73년 김구해(金龜海)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三十八年十月日 金龜海 乾隆三十八年十月日 英祖 金龜海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HIKS_Z017_01_A00003_001 1773년(영조 49) 10월에 영조(英祖)가 김구해(金龜海)를 가선대부(嘉善大夫) 행(行) 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으로 임명하는 고신(告身). 1773년에 英祖가 金龜海를 嘉善大夫 行 龍驤衛副護軍으로 임명하는 문서. *우방서: 加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咸豊元年辛亥十月▣…▣前明文右明文事段要用所致伏在金海柳下面新文里佛加員丁字畓一夜味貳斗落只卜數肆卜伍束㐣價折錢文拾參兩依數捧上爲遣舊文記竝以宗中山位土永永放賣爲去乎日後子孫中若有是非之弊是去等以此文記憑考事畓主幼學安德權[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咸豊八年戊午十二月日 前明文右明文事段 當此歉歲生活無路傳來婢守連心一所生名順伊十伍歲身價折錢文肆拾貳兩依數捧上爲遣以新文記㱏張右前永永放賣爲去乎日後兄弟子孫中若有是非是去等以此文記告 官卞正事寡守 安氏[左掌]婢主 子童蒙鄭敬喆幼學鄭致錫[着名]幼學弟 致萬[着名]證叅幼學 許瀅[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년 임실(任實) 순흥안씨(順興安氏) 선산수호책(先山守護冊) 고문서-치부기록류-문중기록 사회-가족/친족-종중/문중자료 전라북도 임실군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박병호, 『韓國法制史攷 : 近世의 法과 社會』, 법문사, 1974. 최승희,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1989. 모년 전북 임실(任實)의 순흥안씨(順興安氏) 문중에서 보관 중인 선산(先山) 수호와 관련한 자료를 모아 놓은 7쪽 짜리 성책문서. 전북 임실(任實)의 순흥안씨(順興安氏) 문중에서 보관 중인 선산(先山) 수호와 관련한 자료를 모아 놓은 7쪽 짜리 성책문서이다. 언제 누가 작성했는지는 알 수 없다. 표지에 '先山守護冊'이라고 적혀 있다. '金陵先山守護錄', '南原幼生安某謹百拜上原情', '謁先墓有感 四絶', '盘龍先山龍氣論', '金陵懷古說'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금릉은 김해(金海)를 가리킨다. 별지에 '金海墓畓'이라는 글자가 적혀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先山守護冊金陵先山守護錄八世祖山直土畓陸土畓三斗地時祀畓海坼三斗地而已前者石餘土盡入얼孽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57년 신철구(申轍求)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丁巳中秋旬七 記末轍求 石洞 安生員宅 丁巳中秋旬七 申轍求 安生員 전라북도 임실군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박병호, 『韓國法制史攷 : 近世의 法과 社會』, 법문사, 1974. 최승희,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1989.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1857년(철종 8) 8월 17일에 신철구(申轍求)가 임실 석동(石洞)의 안생원댁(安生員宅)에 보낸 편지. 1857년(철종 8) 8월 17일에 신철구(申轍求, 1804년(순조 4)~미상)가 임실 석동(石洞)의 안생원댁(安生員宅)에 보낸 편지이다. 순원왕후(純元王后)가 승하한 그 달에 뜻하지 않게 상대방으로부터 편지를 받고 보낸 회답이다. 지난 봄에 헤어지고 나서 편지를 받으니 멀리 떨어져 있어도 지척에 사람을 대하는 듯하여 기쁘다고 말하고, 상대방이 건강하고 아들 또한 날로 학업이 발전하고 있어서 매우 기쁘고 그립다고 하였다. 자신은 항상 몸이 좋지 않은데다가 일 때문에 바쁘지만 뼈도 아프고 눈도 좋지 않아서 고생하고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가을에 열리는 과거가 연기되어 마음이 울적하겠지만 내년 봄에는 연기된 과거가 실시되고 경과(慶科)도 열리니, 열심히 공부하여 때를 기다리면 될 것이라고 과거 공부하는 자식을 둔 상대방을 위로하고 있다. 신철구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진명(軫明)이다. 본관은 고령(高靈)이며 충청도 청주(淸州) 출신이다. 1837년(헌종 3)에 식년진사시에 합격하였으며, 1850년(철종 1)의 증광문과에 급제하였다. 1861년(철종 12)에 서장관(書狀官)으로 임명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 사간원대사간(司諫院大司諫),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동부승지(同副承旨),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 호조참의(戶曹參議), 남양부사(南陽府使) 등을 역임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8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16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寅五月三十日 査弟 柳瑩業 李允燮 戊寅五月三十日 柳瑩業 李允燮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38년 5월 30일에 류형업(柳瑩業)이 딸의 시댁인 이윤섭(李允燮)에게 안부를 묻고 사위를 보내줄 것을 청한 내용의 간찰 1938년 5월 30일에 류형업이 딸의 시댁인 李允燮에게 안부를 묻고 사위를 보내줄 것을 청한 내용의 간찰. *추기: 戊十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見所谷化民黃 楠右謹言民之祖父山在於巳洞坊鄕約洞屢十年守護矣去庚子春梅內坊柳成泰爲名人偸葬於民山禁養之內前前 等內時圖尺就訟以步數之稍濶偸塚則雖不掘移禁養則民依前次知之意 嚴明題敎一付柳哥一付於民至今遵守而伊時處決在柳哥爲曠絶之澤於民爲切骨之痛矣民家素貧寒如干直土不足爲墓直之酬勞故今方發賣松枝買置直土計料是乎則彼柳成泰謂渠矣山近處乃敢沮戲云云是乎所不但前 官時斷案如彼昭然渠之偸葬後于今三四年別無山直不爲一草木禁伐則今忽作戲者荷杖之習滋長谿壑之慾無窮人皆若是則世豈有先山禁養者乎圖形題辭粘連仰籲 嚴題禁斷使柳成泰毋得售奸生慾之地爲只爲行下向敎是事城主 處分癸卯閏七月 日使[着押][題辭]渠雖入葬禁養則有主而前決昭然安敢▣…乎於松楸各別▣(禁)(背面)斷事 十九日洞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모년 황남(黃楠)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見所谷化民黃楠 城主 黃楠 南原府使 전라북도 남원시 使[着押] 1개(적색, 정방형) 남원 대곡 장수황씨가 남원 무민공황진기념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박물관도록 –고문서-』, 1998. 전경목 등 역,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전북대학교 한국학자료센터, 『황진 장군 가문의 고문서』, 흐름, 2016. HIKS_Z012_01_A00006_001 모년에 남원 견소곡방(見所谷坊)에 사는 유생 황남(黃楠)이 남원부사(南原府使)에게 올린 소지. 남원 견소곡방(見所谷坊)에 사는 유생 황남(黃楠)이 남원부사(南原府使)에게 올린 소지이다. 문서가 훼손되어 정확한 작성연대는 알 수 없으나, 관련문서들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경자년과 계축년에 남원부사에게 소지를 올린 황지순(黃至淳)의 아들로 추정된다. 남원 사동방(巳洞坊) 향약동(鄕約洞)에 있는 황지순의 친산(親山) 아래쪽에 매안방(梅岸坊)에 사는 유성태(柳成泰)가 투장(偸葬)을 하면서 일어난 산송이 그 아들 대에 이르기까지 계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황남은 이 소지에서, 사동방 향약동에 있는 자신의 조부산과 고모산 근처에 유성태가 투장을 하여 전임 성주에게 소지를 올렸으나 "앉아서 보나 서서 보더라도 투총이 보이지 않는다"라는 이유로 낙과(落科)하였다는 저간의 사정을 설명하고 있다. 산송(山訟)의 법이라고 하는 것은 비록 10보밖에 떨어져 있더라도 파내지 못하는 무덤이 있으며, 비록 바로 앞에 보이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마땅히 파내야 하는 무덤이 있다는 게 황남의 주장이다. 그러니 유가의 투총은 설령 천보가 떨어져 있더라도 파내야 마땅하고, 설령 그 투총이 보이지 않더라도 파낼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저 간사한 유가가 자신이 송사에서 이겼다고 생각하고는 금일에 이르러서는 한걸음 더 나아가 제멋대로 구획을 나누어 양계(兩界)를 정하고서는 황남의 조부산 섬돌 아래와 고모산의 용미(龍尾)를 자기 것인양 단단히 움켜쥐고 있어서 오래동안 금양(禁養)을 해 온 곳이 침탈당할 위험에 처해 있으니 이처럼 원통할 데가 어디 있느냐고 황남은 탄원하였다. 따라서 수령님께서 이러한 자신의 사정을 잘 살피셔서 유가가 투장한 죄를 엄히 다스려 감옥에 가두고 투총을 파내게 해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그러나 남원부사는 이 소지에 대하여 이미 처분을 내린 사안이니 다시 소를 제기하지 말라는 제사를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8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05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寅 正月 十九日 舍姪瑩業 戊寅 正月 十九日 柳瑩業 柳龜桓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38년 1월 19일에 류형업(柳瑩業)이 숙부 류구환(柳龜桓)에게 안부를 전하고 구례 운천(雲川)의 대지세에 대해 알린 간찰 1938년 1월 19일에 류형업이 숙부 柳龜桓에게 안부를 전하고 구례 雲川의 대지세에 대해 알린 간찰. *추기: 戊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4년 이보응(李輔應)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光緖二十年月日 行縣令 李輔應 光緖二十年月日 金溝縣令 李輔應 전라북도 김제시 行縣令[着押] 1개(적색, 정방형), 周挾 字改印 금구 도장 전주이씨가 전주역사박물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박물관도록 –고문서-』, 1998. 전경목 등 역,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문현주, 『조선시대 호구단자의 작성에 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석사학위논문, 2008. HIKS_Z011_01_A00001_001 1894년(고종 31)에 통훈대부전행양천현령 겸 남양진관병마절제도위 이보응(李輔應)이 금구현(金溝縣)에서 발급받은 준호구. 1894년(고종 31)에 금구현(金溝縣) 하서면(下西面) 제일도장리(第一都莊里) 제2호에 사는 당시 57세인 이보응(李輔應)이 금구현에서 발급받은 준호구이다. 이때 그는 홀아비로 있으면서, 동생 계응(桂應, 47세)과 제수 연안이씨(延安李氏, 32세), 그리고 아들 재욱(載彧, 33세), 며느리 의성김씨(義城金氏, 36세) 등과 함께 살고 있었다. 또한 2명의 노비 가운데 1명은 도망을 갔고 1명은 죽었다. 호주가 살았던 금구현 하서면 제일도장리는 현재 전라북도 김제시 도장동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緖二十年 月 日金溝縣考甲午式成籍戶口帳內下西面第一都莊里第 統第二戶鰥通訓大夫前行陽川縣令兼南陽鎭管兵馬節制都尉李輔應年五十七戊戌本全州父學生 景植祖學生 悳源曾祖學生 東發外祖學生劉宗翰本江陵率弟幼學 桂應年四十七戊申嫂李氏齡三十二癸丑籍延安率子幼學 載彧年三十三壬戌婦金氏齡三十六籍義城賤口奴一千逃婢粉容故行縣令[着押][周挾無改印][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74년 김익성(金益聖) 부(父) 김후석(金厚碩) 추증교지(追贈敎旨) 고문서-교령류-추증교지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三十九年月日 學生 金厚碩 乾隆三十九年月日 英祖 金厚碩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HIKS_Z017_01_A00004_001 1774년(영조 50)에 영조(英祖)가 학생(學生) 김후석(金厚碩)을 가선대부(嘉善大夫) 공조참판겸오위도총부부총관(工曹參判兼五衛都摠府副摠管)으로 추증(追贈)하는 고신(告身). 1774년에 英祖가 學生 金厚碩을 嘉善大夫 工曹參判 兼 五衛都摠府副摠管으로 추증하는 문서. *좌방서: 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金益聖考依法典追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