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幼學吳致學年五十九本海州居南原父學生 佑常祖學生 昌翊曾祖學生 彦基外祖折衝將軍行僉知中樞府事兼五衛將尹致永本南原八天八天 八天不中科故經術益明 賦羲觀光而用賓 豈易言夫書哉周比年而考藝 不亦悅乎學而科中規於用經 旣窮堅而不墜益之時義大矣 所文獻之足徵曰皇朝之中科 掌文學而一藝盖多出於明經 官博士而五更家東海而穿壁 天朝夕其納策人解頤於說詩 夫見屈而歸余名何遅於題鴈 開石渠而貢士業猶疎於述蛾 復何恨乎有司生此國而思皇 蘇刺服而不徒經有術於用科 董下帷而奚啻可匡傅而摭實 儀造秀於司馬經何由而得明 筮榮貴於點龍科之設而有規 文以補焉掌故夫何書之不讀 學而優則審博觀於經而多術 儀衛武之琢玉兪不中而兪篤 艶南容之磨圭經在玆而可徵 賴克生於多士科之故而明之 以使媚于天子魯思泮而薄採 伊豁然而貫通啇宅序而三居 蘊奧旨於瀜會無少大而從于 登澤宮而合藝自東南而來者 追辟雍而應製可靑編而潛思 文亹亹而顯哉仰先哲之玄謨 舜嵬嵬而欽若次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60년 김태성(金泰聖)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二十五年十一月日 兵曹 補充隊 金泰聖 乾隆二十五年十一月日 兵曹 金泰聖 서울특별시 종로구 行判書 金[着名], 正郞 柳[着名] 兵曹堂上之印 1개(적색, 정방형)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1760년(영조 36) 11월에 병조(兵曹)가 보충대(補充隊) 김태성(金泰聖)을 근력부위(勤力副尉)로 임명하는 교첩(敎牒). 1760년에 兵曹가 補充隊 金泰聖을 勤力副尉로 임명하는 문서. *우방서: 納布去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66년 권극수(權克壽)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丙寅三月日 全羅道 幼學 權克壽 等 大宗伯閤下 丙寅三月日 權克壽 禮曹 전라남도 영암군 禮曹[着押]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영암 모정 광산김씨 양간공파 HIKS_Z017_01_A00016_001 1866년(고종 3) 3월에 전라도(全羅道) 유학(幼學) 권극수(權克壽) 등이 예조(禮曹)에 올린 상서(上書). 1866년에 全羅道 幼學 權克壽 等이 禮曹에 올린 上書. *靈巖郡에 사는 光山金氏는 左議政 光山府院君 金國光의 후예로 孝子 金禮聖, 그 손자 金陽元(箕陽), 증손 金在敏 三世의 三孝가 이미 本道 三綱錄에 기재되었고 公議 또한 모아졌으며 營邑의 題音도 있었으니 이 實蹟을 국왕에게 轉達해서 褒旌해 주길 요청함. *題辭(28일): 卓異한 행적이 一門에서 모두 빛나니 진실로 欽歎하다. 이미 實蹟이 있고 公議가 드러났느니 어찌 闡揚하지 않을 수 있겠냐고 명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59년 이섭규(李燮奎) 고신(告身) 2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咸豊九年二月 日 李燮奎 咸豊九年二月 日 哲宗 李燮奎 서울특별시 종로구 1개(적색, 정방형) 임실 범오 홍주이씨가 전주 덕진 홍주이씨가 전북향토문화연구회편, 『全北地方의 古文書』1․ 2․ 3, 1993․1994․1995.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정구복, 『고문서와 양반사회』, 일조각』, 2002.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HIKS_Z019_01_A00001_001 1859년(철종 10) 2월에 철종이 이섭규(李燮奎)를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조지서별제(行造紙署別提)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 1859년(철종 10) 2월에 국왕이 이섭규(李燮奎)를 통훈대부조지서별제(通訓大夫行造紙署別提)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이다. 통훈대부는 정3품 문신 품계이며, 별제는 6품의 관직이어서 '품계가 높은 데 비해 관직이 낮음'을 의미하는 '행(行)'을 붙였다. 조지서는 종이 만드는 일을 관리·담당하던 관아로 별제는 이곳의 으뜸 벼슬이다. 교지는 왕이 신하에게 관직, 관작, 시호, 자격, 토지 및 노비 등을 하사하면서 그 증표로 내려주는 문서이다. 이섭규의 본관은 홍주(洪州)이며 자는 서오(瑞五)이다. 1817년(순조 17)생으로 합격 당시 임실(任實)에 거주하고 있었다. 그의 양부는 이병균(李秉均)이며, 생부는 이진균(李珍均)이다. 이섭규는 1852년(철종 3)에 식년진사시에 합격한 뒤에 음관(蔭官)으로 관직에 들어가 사헌부 감찰, 돈녕부 판관, 공주 진관, 장악원 주부, 상서원 주부 등을 역임했다. 그의 고신 12점이 홍주이씨 가문에 전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6년 서현선(徐顯善) 수기(手記) 고문서-증빙류-수기 경제-회계/금융-수기 丙戌十月 日 柴場主幼學徐顯善 南原安生員宅 丙戌十月 日 徐顯善 南原安生員宅 전라북도 남원시 [着名]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박병호, 『韓國法制史攷 : 近世의 法과 社會』, 법문사, 1974. 최승희,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1989.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1886년(고종 3) 10월에 서현선(徐顯善)이 안생원댁(安生員宅)에게 선산의 일부를 전문 3냥을 받고 팔면서 그 증거로 작성해 준 수기. 1886년(고종 3) 10월에 서현선(徐顯善)이 작성한 수기이다. 서현선의 시장(柴場)은 남원 안생원댁의 산소와 맞닿아 있었는데, 안생원이 몇 보의 땅을 누누이 간청하였다. 따라서 서현선은 부득이 너비 5파, 길이 6, 70파를 한정하여 안생원에게 3냥에 팔기로 허락하고, 이후에 문제가 생기면 이 수표를 근거로 하여 검토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手記 丙戌十月 日右手標事段鄙之柴場與南原安生員宅山所聯界而累累懇請數步之地故不得已右柴場廣五把長六七十把爲限以捧價參兩文許賣於右前爲去乎日後若有相佐之端以此標憑考事柴場主幼學徐顯善[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51년 안중섭(安重燮)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辛卯臘月旬三 族弟重燮 辛卯臘月旬三 安重燮 전라북도 임실군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임실 관기 순흥안씨가 박병호, 『韓國法制史攷 : 近世의 法과 社會』, 법문사, 1974. 최승희,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1989.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1951년 12월 13일에 족제(族弟) 안중섭(安重燮)이 보낸 서간(書簡). 1951년 12월 13일에 족제(族弟) 안중섭(安重燮)이 쓴 서간(書簡)이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상대방 아내의 상변(喪變)을 듣고 놀라 말을 못하겠다. 부부의 정의(情誼)가 두터웠는데 어떻게 슬픔을 감당하는지, 건강은 어떤지, 그때 상대방의 아들이 병중에 부음을 듣고 통곡하였는데 병이 심해지지는 않았는지, 장례는 그사이에 일정을 잡아 치렀는지 듣지 못해 우울하다고 하였다. 자신이 달려가 위로해야 하나 어머니의 병환이 3개월 동안 계속되더니 요즘 심해졌다고 하였다. 붓을 잡을 한가한 상황은 아니나 이 인편을 놓치면 해를 넘기게 되겠기에 잠깐 이 말씀만 드린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8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19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寅閏七月十一日 柳弟?? 文定鎬老兄 戊寅閏七月十一日 柳瑩業 文定鎬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38년 윤7월 11일 류형업(柳瑩業)이 문정호(文定鎬)에게 구례 운천리(雲川里) 등지의 벌채 문제로 보낸 간찰 1938년 윤7월 11일 류형업이 文定鎬에게 구례 雲川里 등지의 벌채 문제로 보낸 간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7년 이보응(李輔應)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光緖十三年月日 李輔應 行縣令 光緖十三年月日 李輔應 金溝縣令 전라북도 김제시 行縣令[着押] 금구 도장 전주이씨가 전주역사박물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박물관도록 –고문서-』, 1998. 전경목 등 역,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문현주, 『조선시대 호구단자의 작성에 관한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석사학위논문, 2008. HIKS_Z011_01_A00001_001 1887년(철종 24)에 통훈대부전행양천현령 겸 남양진관병마절제도위 이보응(李輔應)이 작성하여 전라도(全羅道) 금구현(金溝縣)에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 1887년(철종 24) 10월에 전라도(全羅道) 금구현(金溝縣) 하서면(下西面) 제일도장리(第一都莊里) 제1통 제1호에 사는 당시 51세인 통훈대부전행양천현령 겸 남양진관병마절제도위(通訓大夫前行陽川縣令兼南陽鎭管兵馬節制都尉) 이보응(李輔應)이 작성하여 금구현에 제출한 호구단자(戶口單子)이다. 이때 그는 홀아비로 있으면서, 동생 양응(陽應, 41세)과 제수 연안이씨(延安李氏, 36세), 그리고 아들 재인(載仁, 27세), 며느리 의성김씨(義城金氏, 30세) 등과 함께 살고 있었다. 또한 2명의 노비를 데리고 있었다. 호주가 살았던 금구현 하서면 제일도장리는 현재 전라북도 김제시 도장동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緖十三年 月 日金溝縣考戊子式成籍戶口帳內下西面第一都莊里第一統第一住戶鰥通訓大夫前行陽川縣令兼南陽鎭管兵馬節制都尉李輔應年五十一戊戌本全州父學生 景植祖學生 悳源曾祖學生 東發外祖學生劉宗翰本江陵率弟幼學 陽應年四十一戊申嫂李氏齡三十六癸丑籍延安率子幼學 載仁年二十七壬戌婦金氏齡三十籍義城賤口奴一千年丁巳婢粉容年丙辰戊子戶口相凖行縣令[着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南原居喪人李仁濟[手決]右▣(謹)言所志矣段叛奴玉▣(上)▣…▣狀自初至終去去益甚至以殺▣…矣其矣奸謀凶計節▣…▣狀詳悉仰訴爲去乎此漢▣…紀是乎矣無緣可乘▣…▣推刷時乘其機會乃呈叛▣…無意爭辨已作等▣…▣物是如乎同玉上妹夫次山亦民使喚奴子而▣…可▣(現)露之後恐獲被罪率其妻愛德其子女生龍亥難夜間逃去▣…捕▣(捉)無路是如乎今者叛奴玉上亦又生凶計上京誣訴圖出刑關曾前▣……▣是乎矣猶爲未足做出不測之說瞞呈議送爲乎矣其辭緣▣……▣難等乙無數亂打皆致殞命不知身體之去處亦云云爲有▣……▣▣▣(題音)導良本府査覈爲乎矣同愛德子生龍之妻銀陽▣(亦)▣……▣夫生龍亦今年二月初三日夜來到矣家誘與同去▣……▣居住及其矣父母妹安否則時在善山沙日里村▣……▣生龍來往厥妻之家是白遣玉上所云不知去處之▣……▣▣(是)白遣矣祖父生存時不打殺生龍母子之事亦爲明白▣……▣作隻成獄以至代死後已是去乙其時辨正官▣(庭)▣……▣▣▣(爲白齊)▣(大)槩殺人之事莫重大罪是去乙▣▣(叛奴)▣……▣▣(觀)火是去乎如此之人▣……▣▣(洞)燭宛[怨]痛情由同玉上乙爲先嚴囚依▣…行下向敎是事兼巡察使道 處分戊戌六月 日議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임오년 오자화(吳自和) 수표(手標) 고문서-증빙류-수표 경제-회계/금융-수표 壬午四月十日 標主吳自和 壬午四月十日 吳自和 標主吳自和[着名] 남원 둔덕 함양오씨가 전북대학교박물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박물관도록 –고문서-』, 1998. 전경목 등 역,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임오년 3월 그믐날에 오자화(吳自和)가 30냥을 빌리면서 매달 초하루에 5푼씩 이자를 지급하기로 약속하고 상대방에게 작성해 준 수표. 임오년 3월 그뭄날에 오자화(吳自和)가 30냥을 빌리면서 매달 초하루에 5푼씩 이자를 지급하기로 약속하고 상대방에게 작성해 준 수표이다. 오자화는 오는 7월 그믐에 장한촌(長漢村) 후록에 있는 금양산지의 시초(柴草)를 방매할 때에 본전과 이자를 함께 갚기로 다짐하였다. 장덕홍(張德洪)이 증인으로 참여하고 착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壬午壬午四月十日〔三月晦日〕右標事當此窮春各項所用萬分時亟故右處錢三十兩每朔五分例得用而報限七月晦內長漢村後麓禁養山地柴草放賣時並本利備報之意如是成標事標主吳自和[着名]訂人張德洪[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8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13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卽旋 弟柳瑩業 竹?和詞伯 卽旋 柳瑩業 李濟珏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38년 3월에 류형업(柳瑩業)이 구례 두동(斗洞)에 사는 이사백(李詞伯)에게 연꽃을 보내면서 여러 가지 소식을 전달한 간찰. 1938년 3월에 어느 날에 류형업이 구례 斗洞에 사는 李詞伯에게 연꽃을 보내면서 여러 가지 소식을 전달한 간찰. *추기: 戊十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57년 황엽중(黃燁中)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乾隆二十二年三月十九日 通善郞黃燁中 乾隆二十二年三月十九日 英祖 黃燁中 서울특별시 종로구 叅判臣南[着名] 1개(적색, 정방형) 남원 대곡 장수황씨가 남원 무민공황진기념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박물관도록 –고문서-』, 1998. 전경목 등 역,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전북대학교 한국학자료센터, 『황진 장군 가문의 고문서』, 흐름, 2016. 1757년(영조 33) 3월 19일에 이조(吏曹)에서 왕명을 받들어 통선랑(通善郞) 황엽중(黃燁中)의 품계를 통덕랑(通德郞)으로 올리면서 발급한 교첩(敎牒). 1757년(영조 33) 3월 19일에 이조(吏曹)에서 왕명을 받들어 통선랑(通善郞) 황엽중(黃燁中)의 품계를 통덕랑(通德郞)으로 올리면서 발급한 교첩(敎牒)이다. 통선랑은 문관 정5품 하의 품계이며 통덕랑은 정5품 상의 품계이다. 통선랑이었던 황엽중이 한 단계 높은 품계를 받은 것은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황진(黃進)의 손자로서 음가(蔭加)의 특전을 받았기 때문이다. 음가는 선조의 음덕(蔭德)으로 품계를 올려주는 것을 가리킨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