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3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4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癸酉 十二月 初三日 求禮 五美洞 柳瑩業 具敎仁氏 卽展 癸酉 十二月 初三日 柳瑩業 具敎仁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33년 12월 3일에 류형업(柳瑩業)이 순창군의 병가(病家)를 보성군에 있는 약국을 소개하는 문제로 구교인(具敎仁)에게 당부의 말을 전한 간찰 1933년 12월 3일에 류형업이 순창군의 病家를 보성군에 있는 약국을 소개하는 문제로 具敎仁에게 당부의 말을 전한 간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5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8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乙亥十二月二十七日 三從弟○○ 德山三從兄 乙亥十二月二十七日 柳瑩業 柳瑩進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35년 12월 27일에 류형업(柳瑩業)이 삼종형 류형진(柳瑩進)에게 그 어머니 종숙모의 상(喪)을 위문하면서 보낸 간찰 1935년 12월 27일에 류형업이 三從兄 柳瑩進에게 그 어머니 종숙모의 喪을 위문하면서 보낸 간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8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13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辰至月五日燈夕 婦弟 柳瑩業 金駽中大兄 省座回升 戊辰至月五日燈夕 柳瑩業 金駽中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28년 11월 5일에 류형업(柳瑩業)이 매제 김현중(金駽中)에게 안부를 전한 간찰 1928년 11월 5일에 류형업이 매제 金駽中에게 안부를 전한 간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6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3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丙寅十月十九日 從姪 瑩業 翠儂叔主前 京城樓下洞 百七番地 丙寅十月十九日 柳瑩業 柳朝桓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26년 10월 19일에 류형업(柳瑩業)이 경성에 사는 종숙 류조환(柳朝桓)에게 안부와 여러 가지 사정을 전한 간찰 1926년 10월 19일에 류형업이 경성에 사는 종숙 柳朝桓에게 안부와 여러 가지 사정을 전한 간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41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辛巳二月四日 舍姪瑩業 辛巳二月四日 柳瑩業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41년 2월 4일에 류형업(柳瑩業)이 남원중부 류인환(柳麟桓)에게 소득권이전과 관련하여 보낸 간찰 1941년 2월 4일에 류형업이 남원중부 柳麟桓에게 소득권이전과 관련하여 보낸 간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8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08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辰七月二日 內侄 柳瑩業白 戊辰七月二日 柳瑩業 李生員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28년 7월 2일에 류형업(柳瑩業)이 부근에 사는 서흥김씨(瑞興金氏) 아들의 혼처를 외숙에게 주선하면서 쓴 간찰과 피봉 1928년 7월 2일에 류형업이 부근에 사는 瑞興金氏 아들의 혼처를 외숙에게 주선하면서 쓴 간찰과 피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병진년 홍광만(洪光萬) 다짐(侤音) 고문서-증빙류-다짐 법제-소송/판결/공증-다짐 丙辰四月初十日 洪光萬 丙辰四月初十日 洪光萬 白[着押], 官[着押][着押] 3개(적색, 정방형) 남원 둔덕 함양오씨가 전북대학교박물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박물관도록 –고문서-』, 1998. 전경목 등 역,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병진년에 동음치 송운에 사는 홍광만(洪光萬)이 작성한 다짐 문서. 병진년에 동음치 송운에 사는 홍광만(洪光萬)이 작성한 다짐 문서로, 문서의 말미에는 그의 수결은 물론 수령의 서압이 있으며, 관인도 찍혀 있다. 홍광만의 산지가 오기부(吳淇富)의 대지(垈地)와 경계가 맞닿아 있어서 매년 풀을 벨 때마다 서로 다툼이 있어서 급기야는 도형을 작성하고 대질을 하여, 울타리를 설치하여 양쪽의 경계를 확실히 하고 다짐문서를 작성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丙辰四月初十日冬音此松云洪光萬年六十二白等矣身山地與吳淇富垈地接界而每▣(年)刈草時有所相詰之端至於圖形對卞之境而籬別矣身次知▣內吳淇富次知之▣兩隻並只納侤官▣日後如有更鬧之端以此告官卞正敎事白[着押]官[着押][着押][印][印][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8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14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寅 五月 九日 芒種 雨中 世弟 柳瑩業 李詞伯春圃 戊寅 五月 九日 芒種 雨中 柳瑩業 李濟珏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38년 5월 5일에 류형업(柳瑩業)이 구례 마산면 냉천리에 거주하는 이제각(李濟珏, 1883~1944)에게 정의(情誼)를 전한 간찰 1938년 5월 5일에 류형업이 구례 마산면 냉천리에 거주하는 李濟珏(1883~1944)에게 情誼를 전한 간찰. *추기: 戊十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모년 남원(南原) 둔덕(屯德) 전주이씨(全州李氏)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李安濟 李仁濟 南原府使 屯德李氏 南原府使 전라북도 남원시 남원 둔덕 전주이씨가 전북대학교박물관 全北大 博物館,『朝鮮時代 南原屯德坊의 全州李氏와 그들의 文書(Ⅰ)』, 1990. 全北大 博物館,『박물관도록 –고문서-』, 1999. 전경목 등 역,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HIKS_Z013_01_A00004_001 모년에 남원 둔덕에 사는 전주이씨(全州李氏)가 남원부사(南原府使)에게 제출하려고 작성한 소지(所志). 남원 둔덕에 사는 전주이씨(全州李氏)가 남원부사(南原府使)에게 제출하려고 작성한 소지(所志)이다. 문서가 훼손되어 정확한 작성연대와 작성자를 알 수 없지만, 그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이안제(李安濟)나 그의 형인 이인제(李仁濟)가 이인상(李仁相)과의 송사(訟事)로 인하여 남원부사(南原府使)에게 제출하려고 작성한 소지(所志)로 추정된다. 소지의 작성 시기는 1684년(숙종 10) 10월 이후일 것으로 보인다. 이안제는 이인제(李仁濟)의 동생으로, 1636년(인조 14) 12월에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나자 그의 가족들은 지리산(智異山)으로 피난하기로 결정을 하고서 양식과 살림살이 등을 산 아래에 거주하고 있던 노(奴) 덕수(德水)(일명 德守)의 집으로 미리 운반을 하였다. 덕수는 이안제의 조부인 이유형(李惟馨)이 그의 외가인 흥성장씨가(興城張氏家)로부터 물려받은 노(奴)였다. 물론 이때 가족 모두가 피난한 것은 아니었다. 아녀자들만 피난하였으며 이안제의 조부인 이유형과 그의 종조부인 이국형(李國馨) 등은 당시에 거의(擧義)를 준비하고 있었다. 그 후 청국(淸國)과 강화 조약이 맺어지자 이안제의 가족들은 둔덕방(屯德坊)으로 다시 돌아왔는데 이 때 덕수에게 양식과 집기 등을 돌려 달라고 하자 그는 이를 모두 잃어버렸다고 하면서 전혀 반환하지 않았다. 그래서 이안제 등은 덕수에게 이를 배상하도록 하였으며 덕수는 할 수 없이 자기 소유의 전답(田畓)을 이들에게 넘겨주었다. 그 뒤 1684년(숙종 10)에 광주(光州)에 거주하던 이인상(李仁相)(一名 李仁尙)이라는 사람이 덕수의 상전(上典)이라고 주장하며 덕수의 원래 상전이었던 위 흥성장씨가와 소유권 소송을 벌여 마침내 승소(勝訴)하였다. 그러나 당시에 덕수는 이미 사망하였으며 그의 아들 애룡(愛龍)도 다른 사람에게 투속(投屬)하였기 때문에 이인상은 덕수의 재산을 추심(推尋)하여 차지할 수밖에 없었다. (노비가 후사(後嗣) 없이 사망하거나 혹은 상전을 배반하고 다른 사람에게 투속하였을 때에는 상전이 그의 재산을 차지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인상은 재산을 추심하는 과정에서 덕수가 이인제와 안제에게 넘겨주었던 전답을 발견하고서 이들에게 이를 반환해 달라고 요청하였으며 이들이 이를 거부하자 이들 몰래 그 전답의 소작인(小作人)들로부터 소작료를 받아갔다. 이러한 사실을 뒤늦게 안 이안제는 남원부사에게 소지를 올려 덕수의 전답에 대한 이인상의 반환 요구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이인상이 소작인들로부터 거두어 갔던 소작료를 반환받게 해달라고 요청하였다. 이안제와 그의 형인 이인제는 이후에도 남원부사와 전라관찰사(全羅觀察使)에게 4차례나 소지를 올렸다. 그러나 결국 소작료 반환에 대한 명확한 결론은 얻지 못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문서는 바로 이 시기에 남원부사에 제출하기 위하여 작성된 소지의 하나로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684년 이안제(李安濟) 발괄(白活)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甲子十月 日 李安濟 南原府使 甲子十月 日 李安濟 南原府使 전라북도 남원시 使[着押] 3개(적색, 정방형) 남원 둔덕 전주이씨가 전북대학교박물관 全北大 博物館,『朝鮮時代 南原屯德坊의 全州李氏와 그들의 文書(Ⅰ)』, 1990. 全北大 博物館,『박물관도록 –고문서-』, 1999. 전경목 등 역,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HIKS_Z013_01_A00004_001 1684년(숙종 10)에 이안제가 남원부사에게 올린 발괄. 1684년(숙종 10) 10월에 이안제(李安濟)가 남원부사(南原府使)에게 올린 발괄(白活)이다. 이안제는 이인제(李仁濟)의 동생으로, 1636년(인조 14) 12월에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나자 그의 가족들은 지리산(智異山)으로 피난하기로 결정을 하고서 양식과 살림살이 등을 산 아래에 거주하고 있던 노(奴) 덕수(德水, 일명 德守)의 집으로 미리 운반을 하였다. 덕수는 이안제의 조부인 이유형(李惟馨)이 그의 외가인 흥성장씨가로부터 물려받은 노(奴)였다. 물론 이때 가족 모두가 피난한 것은 아니었다. 아녀자들만 피난하였으며 이안제의 조부인 이유형과 그의 종조부인 이국형(李國馨) 등은 당시에 거의(擧義)를 준비하고 있었다. 그 후 청국(淸國)과 강화 조약이 맺어지자 이안제의 가족들은 둔덕방(屯德坊)으로 다시 돌아왔는데 이 때 덕수에게 양식과 집기 등을 돌려 달라고 하자 그는 이를 모두 잃어버렸다고 하면서 전혀 반환하지 않았다. 그래서 이안제 등은 덕수에게 이를 배상하도록 하였으며 덕수는 할 수 없이 자기 소유의 전답(田畓)을 이들에게 넘겨주었다. 그 뒤 1684년(숙종 10)에 광주(光州)에 거주하던 이인상(李仁相, 一名 李仁尙)이라는 사람이 덕수의 상전(上典)이라고 주장하며 덕수의 원래 상전이었던 위 흥성장씨가와 소유권 소송을 벌여 마침내 승소(勝訴)하였다. 그러나 당시에 덕수는 이미 사망하였으며 그의 아들 애룡(愛龍)도 다른 사람에게 투속(投屬)하였기 때문에 이인상은 덕수의 재산을 추심(推尋)하여 차지할 수밖에 없었다. (노비가 후사(後嗣) 없이 사망하거나 혹은 상전을 배반하고 다른 사람에게 투속하였을 때에는 상전이 그의 재산을 차지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인상은 재산을 추심하는 과정에서 덕수가 이인제와 안제에게 넘겨주었던 전답을 발견하고서 이들에게 이를 반환해 달라고 요청하였으며 이들이 이를 거부하자 이들 몰래 그 전답의 소작인(小作人)들로부터 소작료를 받아갔다. 이러한 사실을 뒤늦게 안 이안제는 남원부사에게 소지를 올려 덕수의 전답에 대한 이인상의 반환 요구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이인상이 소작인들로부터 거두어 갔던 소작료를 반환받게 해달라고 요청하였다. 이안제와 그의 형인 이인제는 이후에도 남원부사와 전라관찰사(全羅觀察使)에게 4차례나 소지를 올렸다. 그러나 결국 소작료 반환에 대한 명확한 결론은 얻지 못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모년 조종풍(趙鍾豊)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臘月念七 罪弟孤哀人趙鍾豊 臘月念七 趙鍾豊 전라북도 남원시 남원 둔덕 전주이씨가 전북대학교박물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朝鮮時代 南原屯德坊의 全州李氏와 그들의 文書(Ⅰ)』, 1990. 전북대학교 박물관, 『박물관도록 –고문서-』, 1998. 전경목 등 역,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HIKS_Z013_01_A00013_001 모년 12월 27일에 조종풍(趙鍾豊)이 남원 둔덕에 사는 이모(李某)에게 보낸 서간이다. 모년 12월 27일에 조종풍(趙鍾豊)이라는 사람이 남원 둔덕에 사는 이모(李某)에게 보낸 서간이다. 상(喪)을 담한 몸에 연말은 다가오는데 빚을 갚을 길이 없는 막막한 자신의 처지를 호소하고 있다. 그렇다고 산으로 달아나자니 빚쟁이가 독촉할 일도 걱정이 된다고 하였다. 지난 24일에는 목상(木商) 편을 통해 융통하려고 했으나 목재 값이 두 배나 뛰는 바람에 그것도 수포로 돌아갔지만, 내년 정월 안으로 빚을 갚기로 선처를 받았고, 정월 보름 뒤에는 저자에서 환부(換付)할 요량이라고 하였다. 그러면서 편지를 받는 이모에게 진 빚은 정월 초 6일까지는 갚을 터이니 믿고 잠시 기다려달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禀目爲行下事本壇今年秋享用下錢爲五十兩二戔九分是遣大同所納爲十七兩五戔故緣由玆敢仰 禀特下處分之地謹冒昧以陳丙戌十一月 日忠烈壇有司 安[着名] 吳[着名] 金[着名][題辭]前日本院有用處有査徵錢五十兩故玆以劃給膺慶享需宜當事卄五日(背面)此亦本院賭租凖捧以本色後納告次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