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19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己未至念 五弟 柳瑩業 金主事性權氏 郡內面道洞 己未至念 柳瑩業 金性權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19년 11월 25일에 류형업(柳瑩業)이 주사(主事) 김성권(金性權)에게 혼사 문제로 보낸 간찰 1919년 11월 25일에 류형업이 김성권에게 혼사 문제로 보낸 간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0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6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庚申仲秋月卄八日 婦弟 柳瑩業 金仁兄 鉉中 潭陽大德面大山 庚申仲秋月卄八日 柳瑩業 金鉉中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20년 8월 28일에 류형업(柳瑩業)이 매부 金鉉中에게 위로와 안부를 전하는 간찰 1920년 8월 28일에 류형업이 매부 金鉉中에게 위로와 안부를 전하는 간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9년 송동면(宋東勉) 서간(書簡)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己巳正月十五日 弟宋東勉 己巳正月十五日 宋東勉 柳瑩業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29년 1월 15일에 송동면(宋東勉)이 딸 사돈 류형업(柳瑩業)에게 손자가 태어난 것을 축하하고 사위 류증효(柳曾孝)의 병환 소식을 물으면서 쓴 간찰과 피봉. 1929년 1월 15일에 송동면이 딸 사돈 류형업에게 손자가 태어난 것을 축하하고 사위 증효 의 병환 소식을 물으면서 쓴 간찰과 피봉. *추기: 己巳正月十五日出同念二日入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4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3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甲戌十月日 甲戌十月日 柳瑩業 羅州忠賢閣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34년 10월에 류형업(柳瑩業)이 나주 충현각(忠賢閣) 문중 어른께 대승공(大丞公) 류차달(柳車達)의 원우 창건의 일을 돕기로 했다고 알린 내용의 편지이다 1934년 10월에 류형업이 羅州 忠賢閣 문중 어른께 大丞公 柳車達의 원우 창건의 일을 돕기로 했다고 알린 내용의 편지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0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02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二月之旬八日 柳弟瑩業 二月之旬八日 柳瑩業 宋光勉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30년 2월에 류형업(柳瑩業)이 둘째 아들 증효(曾孝)의 사돈 송광면(宋光勉)에게 안부를 전한 간찰과 피봉 1930년 2월에 류형업이 둘째 아들 柳曾孝의 사돈 宋光勉에게 안부를 전한 간찰과 피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0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0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庚午仲春十八日 小弟 柳瑩業 庚午仲春十八日 柳瑩業 査頓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30년 2월 18일에 류형업(柳瑩業)이 둘째 아들 증효(曾孝)의 사돈댁에 안부와 혼사 중매를 위해 쓴 간찰 1930년 2월 18일에 류형업이 둘째 아들 증효(曾孝)의 사돈댁에 안부와 혼사 중매를 위해 쓴 간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6년 류형업(柳瑩業) 서간(書簡) 0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丙子正月二十日 求禮美洞柳○○ 具敎仁 丙子正月二十日 柳瑩業 具敎仁 구례 오미 문화류씨 운조루 구례 운조루유물전시관 1936년 1월 20일에 류형업(柳瑩業)이 곡성의 산지기 구교인(具敎仁)에게 세금을 독촉하기 위해 보낸 간찰 1936년 1월 20일에 류형업이 곡성의 산지기 具敎仁에게 세금을 독촉하기 위해 보낸 간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43년 황남(黃楠)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康熙四十三年四月初十日 見所谷化民黃 楠 城主 康熙四十三年四月初十日 黃楠 南原府使 전라북도 남원시 使[着押] 2개(적색, 정방형) 남원 대곡 장수황씨가 남원 무민공황진기념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박물관도록 –고문서-』, 1998. 전경목 등 역,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전북대학교 한국학자료센터, 『황진 장군 가문의 고문서』, 흐름, 2016. HIKS_Z012_01_A00006_001 1843년(헌종 9) 윤7월에 남원 견소곡방(見所谷坊)에 사는 유생 황남(黃楠)이 남원부사(南原府使)에게 올린 소지. 1843년(헌종 9) 윤7월에 남원 견소곡방(見所谷坊)에 사는 유생 황남(黃楠)이 남원부사(南原府使)에게 올린 소지이다. 지난 경자년(1840) 봄에 매안방(梅岸坊)에 사는 유성태(柳成泰)가 남원 사동방(巳洞坊) 향약동(鄕約洞)에 있는 황남의 조부산에 투장(偸葬)을 하여 지지난 수령 때 도척(圖尺)을 하며 송사를 한 결과, 선산과 투총 사이의 거리가 그리 가깝지 않다는 이유로 투총을 파내지않되, 선산 금양은 황남의 차지라는 처분을 받았으며, 그 제교(題敎)를 유성태와 황민이 한 부씩 나누어 가졌다. 이후 황남은 가세가 빈곤하여 가지고 있는 약간의 선산 직토(直土)로는 산지기의 노고에 보답할 형편이 되지 못하자, 선산의 송지(松枝)를 팔아 직토를 사려고 하였다. 그러자 저 유성태가 자기네 산 근처라고 하면서 훼방을 놓았다. 이에 황남은 남원부사에게 올린 소지에서, 지지난 남원부사가 처결한 제사가 분명히 있고, 지난 3, 4년 동안 산지기가 초목을 벌채하는 일을 한 번도 금하지 않다가 갑자기 이제 와서 유성태가 방해하고 나선 것은 적반하장이자 남의 선산을 가로채려는 끝없는 탐욕이라고 호소하고 있다. 황남은 지지난번에 작성한 도형과 수령이 내려준 제사를 점련하여 함께 올리면서 유성태의 잘못된 행위를 막아달라고 하였다. 이에 남원부사는 유성태가 비록 입장(入葬)을 하기는 했지만 선산의 금양(禁養)에 주인이 있고, 이를 처결한 수령의 제사가 분명히 있으니 송추는 황남이 각별히 처리하라는 처분을 내렸다. 이 문서에는 작성연대가 계묘년으로 되어있는데, 그가 남원(南原)에 거주하던 유학(幼學) 황지수(黃智洙), 황재수(黃再洙) 등과 함께 1825년(순조 25년) 9월에 남원부사(南原府使)에게 올린 상서('1825년 황지수(黃智洙) 등 상서(上書)'를 통하여 계묘년이 1843년임을 추정할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省式居諸易遒琴祥已過廓然靡逮之慟何以堪居伏惟哀候支將孤兒輩何以支過種種溯念未嘗警{火+耳}姻弟西行才還於月初而村冷剝床兒病尙痼悶慮中親候幸以安康而砭骨之慟尙此未抑日宵焦膓號泣筋力減削無餘地私情悶泣如何盡喩還山之日卽以奔哭此困西行前所料而來聞襄禮已過西忌逼熾慟矣旣失臨纊之哭又違執紼之禮幽明負憾己矣難洩而賤軀行餘呻囈一旬委席且忌西憂要俟更奇以發行而憑便無路時日漸久尙此未遂此新命下人事之不得任情而悵泣曷極差俟憂冗之乍間且聞痘忌之如何勇進爲計耳餘僉哀履支安不宣疏儀甲寅四月念八日姻弟服人東煥䟽上南菜二把送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883년 남원(南原) 둔덕방(屯德坊) 괴계안(槐契案)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사회-조직/운영-계문서 癸未正月初十日 幼學李鼎儀 李起烈 李起燮 癸未正月初十日 李鼎儀 전라북도 남원시 남원 둔덕 전주이씨가 전북대학교박물관 전북대학교 박물관, 『朝鮮時代 南原屯德坊의 全州李氏와 그들의 文書(Ⅰ)』, 1990. 전북대학교 박물관, 『박물관도록 –고문서-』, 1998. 전경목 등 역,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HIKS_Z013_01_A00017_001 1883년(고종 20) 정월에 이정의(李鼎儀), 이기열(李起烈) 및 이기섭(李起燮)이 모여 괴계(槐契)를 조직하고 작성한 계안(契案)이다. 1883년(고종 20) 정월에 뜻을 서로 같이하는 이정의(李鼎儀), 이기열(李起烈) 및 이기섭(李起燮)이 모여 괴계(槐契)를 조직하고 작성한 계안(契案)이다. 이들은 계의 운영 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각기 4냥 5전씩을 갹출하여 이를 기본금으로 삼고 식리(殖利)를 통하여 기금을 불려 나가기로 하였다. 문서 중에 나오는 응령택(應令宅)은 이정의(李鼎儀)를, 순창택(淳昌宅)은 이기열(李起烈)을, 그리고 회진택(會津宅)은 이기섭(李起燮)을 가리킨다. 이정의의 처가(妻家)가 남원(南原) 응령(應令)에 세거하는 삭녕최씨(朔寧崔氏), 이기열의 처가(妻家)가 순창(淳昌)의 울산김씨(蔚山金氏), 그리고 이기섭의 처가(妻家)가 회진(會津)의 나주임씨(羅州林氏)였기 때문에 그들은 택호(宅號)로 그렇게 불리웠다.(회진은 나주의 속현(屬縣)이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25년 김상휘(金尙輝) 고신(告身) 2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雍正三年十二月二十八日 金尙輝 雍正三年十二月二十八日 英祖 金尙輝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10x10, 적색, 정방형) 고흥 화장 김해김씨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HIKS_Z009_01_A00036_001 1725년(영조 1) 2월 28일에 영조(英祖)가 김상휘(金尙輝)를 통훈대부(通訓大夫) 행내자시주부(行內資寺主簿)로 임명한 고신. 1725년(영조1) 2월 28일에 英祖가 金尙輝를 通訓大夫 行內資寺主簿로 임명한 敎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45년 송병구(宋秉龜) 부의단자(賻儀單子)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乙酉七月六日 宋秉龜 宋生員 護喪所 乙酉七月六日 宋秉龜 宋生員 고흥 학림 여산송씨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1945년에 대서(大西) 화산리(禾山里)의 송병구(宋秉龜)가 동강면(東江面) 마수리(馬輪里)의 송생원댁(宋生員宅) 호상소(護喪所)로 보낸 부의단자와 피봉. 1945년 大西 禾山里의 宋秉龜가 東江面 馬輪里의 宋生員 護喪所로 보낸 부의단자와 피봉. *본문: 金參円也香燭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