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77년 신경운(辛慶雲) 차첩(差帖) 초(草) 고문서-교령류-차첩 정치/행정-임면-차첩 乾隆四十二年十月日 驪州牧使 忠義辛慶雲 乾隆四十二年十月日 驪州牧使 辛慶雲 서울특별시 종로구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77년(정조 1)에 여주목사(驪州牧使)가 충의(忠義) 신경운(辛慶雲)을 영릉(寧陵) 원정가관(元定假官)으로 차정하는 차첩(差帖)의 초(草). 1777년에 驪州牧使가 忠義 辛慶雲을 寧陵 元定 假官으로 차정하는 差帖 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740년 강혁조(姜赫祖) 의송(議送)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庚申七月日 靈光 幼學 姜赫祖 使道 庚申七月日 姜赫祖 全羅道觀察使 전라남도 영광군 巡使[着押] 全羅道觀察使之印 3개(적색, 정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13_001 1740년(영조 16) 7월에 유학(幼學) 강혁조(姜赫祖)가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에게 올린 의송(議送). 1740년에 幼學 姜赫祖가 全羅道觀察使에게 올린 議送. 靈光 愽山은 世葬한 산이며 雲提는 世居한 터로 睡隱 姜沆이 터을 잡았고, 산 아래에 孟子亭은 수은 강항이 직접 만든 정자인데, 乙卯年(1735, 영조 11)에 누군가 밤을 틈타 맹자정 위에 偸標하였으니, 설치된 偸標를 靈光郡에서 기한을 정해 掘去하도록 특별히 嚴題를 내려주길 요청함. *題辭(4일, 本▣): 과연 이는 대대로 지켜온 터인데 몰래 標를 설치하였으니 즉시 掘去하라고 靈光郡에 명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노양서원지(魯陽書院誌) 魯陽書院誌 魯陽書院誌 고서-사부-전기류 교육·문화-서원·향교-서원지 서원향교지 원문 魯陽書院誌 석인본 1 반곽 유계 11행25자 주쌍행 상2엽화문어미 곡성 영월엄씨 경와 엄명섭가 한국학호남진흥원 전북 정읍 풍소동에 위치하며, 1693년 창건하여 宋時烈, 朴世經 등을 배향한 노양서원의 서원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魯陽書院誌卷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孝宗大王密札 【御筆摹本】 昨於封啓內得一小封書辭意備悉若非卿之血誠何以至此予心欣悅不知所諭末端卿之不安恐懼之意又何以至此無乃不知寡昧之心乎君臣之間貴相知心今後勿爲外待之言務盡忠實是所望也密札賜敎之言尤合予意予久欲爲之而不知卿之意下如何趑趄未果今次此言實愜予意自玆以往論咨國事庶及其至誠所在不勝幸甚不勝幸甚不但國朝規例如此近日則人心分散故獨對之擧心甚惡之繼以做出不測之言將不利於國家其勢決不可爲之向日獨對之後察人之氣色則甚不悅如洪命夏箚子中措語卿亦領會乎其意可想今日之事不亦難乎以此言之則此路不可不開以通上下之心事也念第傳信之路極難萬般思量皆不得恰當故不得已使世子手傳也卿亦領會此意回札又傳於世子亦如是則可謂鬼神亦所不知也豈非萬全者乎小紙中事予當一皆施行卿須勿慮如論大事則大臣不可不知而今之大臣皆以一時之望循序以進也有幹局之人未易得原平不無其才而氣質素欠從容似難爲精細之事沈相賢而無才完南多病不出有智有慮識事務領相爲然而但不欲担當重事是可欠也而非此人則卿須知此意交結得其親而後可以次第論事矣西北事亦欲如是爲之而但西事尤難深慮不已也近日變怪至此憂慮罔極而其中三日雪變尤可慮也三月二十六日曉夢金賊自點提劒入予臥內予大驚作而叱退夢纔罷近侍報天雨大雪云是何怪惡之甚也此曾所未有之夢也又何不先不後而適於此際乎似非偶然也夢寐之事實涉虛無而此則似不可付之虛無也近日訛言亦非可怪之甚者乎暗中似有扇動者矣予當時不爲夢煩矣向日獨對時所言之事厥後別無可議者乎卿書中辭意詳審覆啓而此外可言之事亦皆言之母存自外之心俾盡衷曲以副至望眼患尙未盡瘳精細之書不但不能亦涉悤遽如是胡草殊無尊敬之意深用未安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孝宗大王密札跋 【正廟御筆摹本】 我孝宗大王於先正宋文正公禮待際遇後之人譬諸魚水之契爲所賜手札凡幾紙而原本其後孫納于朝置史室而中失今存者昂樣本也惟予仰聖祖有此良弼恨先正之不與同時命取而敬覽寶黙煌煌雲漢昭佪君臣之間與之明義理正事業之苦心至誠百載之下猶不禁想像而起予奉而屢閱不忍釋手略記數字以識曠感之意崇禎三丙申九月弘齊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華陽夫子簡帖 卽玆新春盛況如何此不幸前月遭子婦喪方謀埋葬悲撓度日耳日前留屬染汚已久而無便奉還今適因兵營便付去矣但前日所染半爲連山尹掌令敢去今不免代以他屬而品劣可愧然勝於筆則遠矣餘算新慶蔓茂不具甲辰臘月立春服人時烈阻闊頗久變思常懸玆於金秀才行承拜墜翰慰瀉如對不容名言此比年入處深山杜門省咎忽以姊疾出來桑鄕有日矣惠來屬鰒深荷眷意也未涯奉際春寒多愛不宣遠照丁未三月三日 時烈五花糖少許筆墨各一奉呈聖考賓天摧隕難勝忽於禠中承拜問書甚慰傾溯之忱第審有分炙之夏爲之慮仰此罪戾山積天怒大震昨者來詣湖圻界方此席藁未知出場之如何耳每念昔日遊從之樂今不可復得則只令人悵嘆也惠來十鰒良荷 鄭重餘病倩不宣情在 謝狀上甲寅十二月四日 時烈昔年所講心經今已精熟否當時病冗未得對討卒業常用茹恨也若於此書得力則爲賢何所不可顧此愧負一生爾華墨各一奉呈以資箚錄鬼事日迫不料其相聞也忽於便中承拜惠書如奉談晤極慰孤懷仍審侍奉之安此時所望豈外於是來薧此地所無病胃有賴良謝比患泄痢倩草不宣謹謝狀己未二月卄七日臘劑藥糖各少許略表得書極有慰然之意如使蘇長公見之則必撫掌以爲兒女情矣此間事欲言則長黙會斯可矣相見無期惟祈加珍病倩不宣遠照己未九月卄三日 纍人時烈濟而謝上狀時烈頓首再拜言思想常懸忽於匪意承拜惠書且奉賢胤謹悉比來 興寢之候旣慰且感無以爲兪時烈疾病支離生意僅僅正以此時召旨荐疊蹜蹙之伏難以名言時運不幸年事大矣塡壑之期不遠而邇公私之憂曷有其極祥期已迫伏況節哀順變以副遠誠謹奉疏伏惟鑑察不備謹疏壬戌八月二十三日 宋時烈疏上朴【缺】 哀前祝文華墨呈上大字字樣甚大故不能載於此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87년 진주강씨가(晋州姜氏家) 공명첩(空名帖) 고문서-교령류-공명첩 정치/행정-임면-공명첩 光緖十三年四月日 光緖十三年四月日 高宗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적색, 정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7년(고종 24)에 진주강씨가(晋州姜氏家)의 아무개에게 발급한 공명첩(空名帖). 1887년에 晋州姜氏家의 아무개에게 발급한 空名帖. *진주강씨가의 아무개를 資憲大夫 吏曹判書로 추증하며 발급한 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76년 강재윤(姜載潤) 녹패(祿牌) 고문서-교령류-녹패 정치/행정-임면-녹패 丙申 通訓大夫 行 禮賓寺直長 姜載潤 丙申 姜載潤 서울특별시 종로구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01_001 1776년(영조 52)에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예빈시직장(行禮賓寺直長) 강재윤(姜載潤)이 받은 녹봉 지급확인서. 1776년에 通訓大夫 行 禮賓寺直長 姜載潤이 받은 녹봉지급확인서. *通訓大夫 行 禮賓寺直長 姜載潤 姜載潤이 1776년(丙申)에 받은 녹봉지급확인서. *夏三朔: 丙申三月卄九日, 丙申四月卄七, 丙申五月卄九日에 4, 5, 6월에 해당하는 쌀(米) 13斗, 콩(太) 3斗 받음. *상태: 녹패 없음. 문서 일부 훼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734년 강진흥(姜晉興) 의송(議送)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甲寅九月日 靈光 喪人 姜晉興 巡察使 甲寅九月日 姜晉興 全羅道觀察使 전라남도 영광군 巡使[着押] 全羅道觀察使之印 1개(적색, 정방형) 영광 진주강씨 강항 종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A004_01_A00013_001 1734년(영조 10) 9월 일에 상인(喪人) 강진흥(姜晉興)이 전라도관찰사(全羅道觀察使)에게 올린 의송(議送). 1734년에 喪人 姜晉興(姜赫祖)이 全羅道觀察使에게 올린 議送. 이번에 祖母가 入葬한 집 뒤의 산을 禁養하고자 산의 龍尾 이상에 살던 洞內 中人 黃正源 등과 柴場을 田庫와 錢租로 相換하였는데, 지금 황정원이 자신의 시장라고 주장하며 刈柴하니, 황정원 등을 엄하게 다스려 士夫家의 산소를 禁護할 수 있도록 해주길 요청함. *題辭(19일, 本官): 入葬한 산은 取柴할 수 없으니 원하는 대로 相換하라고 靈光郡에 명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又 魯陽院築斗山東今日猶傳閩洛風南國士林會此地兩賢祭祀春秋同 後學瀛州李敬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五言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跋 斗南朴公世經我先祖尤菴文正公門人也公之後孫仁休自湖南之古阜齎公所得師門簡牘及大字數帒來尋舊誼其意甚勤余延見敍寒暄訖盥手奉閱其所齎者雖片言隻字間固有所感發人者而公之爲人與其爲學因亦可以想得矣蓋因材而篤是聖門敎人之法而程朱以來諸賢每以躐等爲戒於學者苟非公之篤志自修先生何以勉其精熟於心經而仍有得力於此爲聖爲賢何所不可之云耶公旣承此敎則其所奮勵尤當如何也且大字固有見逸不能全者而惟安貧守志四字亦可見期許之不草草矣此豈非後人之所不可不知者耶余方讀心經而衰頹已甚無復精熟得力之望玩繹此帖益愧其虛度壯年也遂略書感歎之意如此而仍爲朴君戒勗焉强圉赤奮若仲冬日恩津宋稚圭謹識魯陽書院誌卷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魯陽書院誌凡例 一建院顚末及兩先生事蹟合裒成編而題目書以魯陽書院誌焉一書院全圖附於編首一今日未能收錄者以待續誌之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魯陽書院全圖 子魯陽書院望瘞酉 內三門 卯山仰齋由道門午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