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902년 황우영(黃祐永) 관고(官誥) 7 고문서-교령류-관고 정치/행정-임면-관고 光武六年七月二十四日 議政府贊政外部大臣臨時署理 宮內府特進官俞箕煥 五品通訓大夫外部參書官黃祐永 光武六年七月二十四日 俞箕煥 黃祐永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HIKS_Z001_01_A00039_001 1902년(광무 6)에 의정부찬정 외부대신임시서리 궁내부특진관 유기환(俞箕煥)이 5품 통훈대부(通訓大夫) 외부참서관 황우영(黃祐永)을 영사관 겸임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관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계묘년 신여초(申汝初)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癸卯七月日 幼學申汝初 癸卯七月日 申汝初 전라남도 고흥군 申汝初[手決] 고흥 당곤 고령신씨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HIKS_Z003_01_A00003_001 계묘년(癸卯年)에 신여초(申汝初, 65세)가 관(官)에 제출하기 위해 작성한 호구단자(戶口單子). 계묘년 7월에 申汝初(65)가 興陽縣에 제출한 戶口單子. *주소: 道化面 堂昆里 *상태: 문서 윗부분 훼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愼黙齋金公墓誌銘【幷序】 粤昔戊午大喪後。愼黙齋金公箕璟。以白布笠皜素衣。迄二十年。若居憂然而沒。葬于長興有治面鼠谷艮坐原。距今十有三年。次房子在根。以幽堂銘屬余。余顧謏寡無文。自公考鶴軒公。世契甚篤。公每春暄秋。涼以藜杖法服。訪吾先人弦齋從叔晩翠堂。星眸皓齒。啞然而笑。磬折而入。盡日講話。溫恭自虛而和悅。可親余。於是役有不可辭者。公字子聲。愼黙齋號也。金氏光山人。鼻祖新羅王子興光。遯光山。自後入平章。世蹟昭于史。若文安文正文敏。諸公最顯。海陽君懷祖之子旰仕。本朝官判書。再傳而遯菴先生崇德。端廟初。以判書退居求志。是生錫童。逸察訪。寔公七世。高祖相精。著文行。曾大父楏大父。父時豊卽鶴軒。處事幹局。鄕人莫比。妣密陽朴氏在秀女。賢有德。洪陵丁卯六月九日。公生于綾州車洞第。幼穎悟。父母之志。承順無違。遇佳味不先口必獻。八歲從文龜巖頌圭。學日授百行。輸流誦念。通曉大義。文公才高學博甚愛。公欲成就旣沒。師鄭日新先生。周旋進退。恭而合禮。新翁亟稱。公謹敏有篤志。熟複經子書。務究蘊義。如先後天朞三百數。亦推步得其要初也。煙津塗睫而不交。晩來黙契。妙解而忘倦。雖新門多賢。而公蔚然爲高足。常晨興攝衣冠。夜分乃寢。奉親奉祭。依小學家禮。野人贈櫻不利疾。不進終身。不嘗內外艱。面墨繭梅。過古孝子。而無致悔。家甚貧一物不以干人。敎人誠心誘導。使入於善。處事坦夷。表裏如一。平生所爲。皆可以對人言。如崔勉菴奇松沙鄭艾山崔溪南鄭月波崔雲齋。往復講質。殆無虛歲。鄕里宿德。推詡傾心。公老而遠近長德。皆謝世。每願九原之作。戊寅二月十六日壽七十二卒。所著詩文。師門問答。合若干卷。在根方稡以營印焉。齊全州李氏父柄權。溫仁有閨範。有二男在模在根。三女濟州梁會京。河東鄭淳學。驪興閔宗植。在模二男。埰鉉昌璿。在根一男。方生育未艾。嗚呼。公謙恭而有操執。質實而斂浮華。務得於已而自樂。不求諸世而循人。傳所言多聞見闕疑殆。愼言行其餘。非公自扁而顧諟者歟。余嘗過金陵。有人稱公。爲吾師而問余名。蓋公愛余。而傳之過也。容人之量。又如此。公嘗客於金陵。敎授有恩義。故公沒未幾年。議設壇以祭云。生無以感於人。死何以慕於後哉。銘曰。公有遼東之志。而白帽不脫。無巨源之官。而祭社已得。尙正學崇名節。吾綾之文獻自足。謹用朱子語。納銘幽堂。以著聲烈於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晩湖金公墓碣銘【幷序】 高興之五福洞。金寧金氏世阡也。晩湖諱洪奎。四尺之封。以甲坐祔焉。孫炳起慕先克孝。琢石備陵谷之虞。遣子亨珍。以華族永一。所成行錄徵銘。謹按公字士賢。金氏羅麗奕甚。國朝晩池堂領。敦寧諱遵不赴。光廟徵南下高興佳山。爲莊陵完臣。享鳳巖祠。三傳而九龍兵參錄勳。配侑主簿慶立。壬辰擧義。贈兵馬使。寒泉德洙。武科著孝。公五世以上。曰正琱日漢。維別有銘曰權。贈通政曰斗成。贈嘉善四親諱也。妣贈貞夫人。木川張濂女。憲宗乙亥公生寒泉舊第。氣宇卓犖。端雅孝友。有事愉婉。經稟甘毳。畢具詩禮世業。敎子孫惇睦周至。接人溫洽。家力稍饒。用有常度。出入校堂。鄕儒致敬。蝸牛舊廬。十三世傳。守靑氈。及晩年。孤孫承家旡憂。敎訓後進。勉以孝弟之力。爲多後推。耆社覃恩。進嘉善。純宗戊申卒。壽七十。齊高靈申勝祿其父。有婦德。別葬五馬島先兆癸坐。擧一男一女。男鍾台。有文行。娶高興柳信浩女。無育。再娶靈光丁永贊女。生炳起炳泰炳模。女興陽李允洙。礪山宋有燮。銘曰。公有西河之慘。何其悲也。乃有子婦之賢。家其宜矣。寶樹挺生。瑤環珥瑜。不食之報。何以遺謨用是銘。公封塋益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南雲宋公墓碣銘【幷序】 南雲宋公。諱柱衡。出入任全齋。宋立齋門。屢造奇蘆沙。質疑講禮。松沙集有狀行。略曰。嘗侍先子膝下見公。進退周旋於函席間。雍容詳審。退而言談講辨。斤斤有頭緖。深恨公沒麗澤無地。公之爲公。槪可知己。公字平淑。南雲。全齋所賜號也。宋氏礪山著姓。高麗樞密副使。諱惟翊爲肇祖。礪良郞山。歷世分茅。參贊諱侃。莊陵末遯高興爲完臣。謚忠剛。忠襄公諱純禮。壬辰有勳勞。贈兵判。寔公十一世。高祖諱基甲。曾祖諱福欽祖諱鎭珏。考諱濟浩。妣珍原朴氏父禮彬。公生憲宗己亥二月干支。和厚端慤。早孤孤孑。叔父松湖公撫養如已子。勸學里塾。塾師奇其穎慧。敎有成法。行步安詳。語愼黙。自知劬書不待課督。內有賢母。勤於紡績。每訓公曰。女之紡績。男子爲學。怠慢同其無成。汝無憂我勤苦。勤業以安吾心。公遵而勿失。至公車。旣精而不屑進取。專心爲己。從當世長德。叩質經子。尤致力於心近諸書。訓迪後進爲己任。戊辰居母憂。柴毁。行素三年。月再哀。省喪餘致如在。沐浴整衣待朝。人有勸覓第求官。公辭以棲徑。知縣就問政要公以擧紀綱察民情。言之又曰。正供愆滯。蓋由歉荒。使緩刑敍力。知縣善其言。饋魚肉不受。丙申松翁擧義討復。宣諭使來諭罷兵。公素與宣使有雅慮。或蘗禍馳往。極力辨明。急人之風類此。享年六十三。以辛丑十一月二十六日卒。以禮月葬松江洞後庚坐。齊廣州李氏基元女。後公歿。葬炭浦中枚峯甲坐。二男禹燮瀅燮。壻安義洙李相柏任泰榮。禹燮三男。在東在珪在英。女金垠千。瀅燮旡嗣。以在珪後焉。謹按狀。高興之爲文學淵海。未始非公倡率之力爲多。以松翁高識推獎。公敏穎之姿。從師取友。以成德如此。若余謏聞何可妄加一言哉。然全齋祭酒手書二忠。雲仍。寒泉淵源以勗之。子孫世守。若尺蔡此一着漏狀。故表出以副。肖孫在珪之請銘。銘曰。忠剛遯荒。莊陵完臣。公生南徼。北學飭身。從師名儒。曉誘諄諄。縣紱問政。救解瘼民。宣使南下。義儒危濱。馳往辨白。其心孔仁。松洞四尺。山高嶙峋。我銘其石。昭視千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通政大夫承政院左承旨金公墓碣銘【幷序】 穆陵壬辰之亂。權都督李忠武。爲中興元功。羽林衛金公彦良。與弟防禦使彦恭。上書陳十二策。請討賊。上嘉之。命赴權元師幕。公從之討永川賊。丁酉進李忠武陣。贊畫方略。臨陣賈勇先登。每多斬獲時。蟾津古今島等地。賊勢鴟張。公鏖戰獻捷。以功授左承旨。階通政錄宣武勳。事載節義三綱錄縣道誌。公字國幹。慕義齋號也。金寧氏。其系甚遠。羅麗勳貴尙矣。入我朝。有諱遵官。領敦寧府事。莊陵末。秉義遯興陽之佳山。稱晩池堂先生。享鳳岩祠。再傳諱元慶。薦學行除持平不就。寔公五世。鳳溪諱九龍。兵參錄勳。配侑晩池公祠。贊成諱鐵柱。判官諱秀頊。僉正諱商傑。高曾祖禰。二妣淑夫人。大邱裵康祚慶州崔縣監忠溢。其考俱賢淑公。裵氏出天姿卓犖。膂力絶倫。兼鞱略。孝弟根天。性喜讀書遇古人。伏節死義。常擊節歎賞。明宗甲子。登虎榜。歷忠武衛副司直羽林衛。光海丙辰卒。距生中宗庚子。壽七十七。葬南面碑石洞先兆左子坐。配淑夫人高靈申氏父澣著閨範。墓公兆上同坐。三男百鎰千鎰主簿。萬鎰副司直宗智。號月谷。丙子擧義。慶智仁智。宗義主簿。宗曄奉事。仲房生啓仁義達。啓秋。壽嘉善。季房生。嗚呼。爲國輸忠。捍禦外亂。臣子職分。公上書。自薦竭誠。殲賊主將。上功聖主。嘉納親蒙。爵賞之典。臣職畢矣。獨其貤贈閼於身後。可勝惜哉。舊碑刓泐不可讀。今將改竪。伐石旣礱。後孫瑨錫文彬永萬。問刻于余。辭不獲。銘曰。臨亂折衝。爲國干城。以奏膚功。鐵券耀名。月岳幽宅。萃乎崢嶸。冠釼偉容。萬松擁立。千岩簇簇。矢石交集。戰陣之象。生死如一。滅敵之心。鬼神可質。我銘昭之。用詔無窮。樵牧知戒。過者鞠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忠武衛副司直金公墓碣銘【幷序】 我宣廟壬丁年間。島夷入寇。慕義齋金公。從權忠莊。義功大著。權公褒啓于朝。除承旨錄宣武勳。司直公諱萬鎰。寔其第三子也。承宣公勤王之日。公與仲氏主簿公千鎰。應務周至。及凱還。奉養篤孝。孝友益著。著名邑乘。以仁廟癸亥。告終。距生宣廟庚午。年五十四。高興南面碑石洞東麓壬原。幽宅托焉。後孫文彬與永漢亨彬。謀立石以余撰承旨公碣。知其世。申命以銘。公交誼已深强。老朽以敍之。公字子重。上祖高麗平章事文烈公。時興以敬順王七世孫。封金寧君。遂受貫。一世而元靖公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320ac6d1b.GIF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9pixel, 세로 48pixel。亦平章錄衛社勳。四世而貞簡公挺丙尙書。麗季罔僕贈判樞。入我朝莊陵完臣。領敦寧遵退遯于興。號晩池堂。享鳳岩祠。鳳溪九龍兵參。有勳以配焉。於晩池爲三傳。而於公卽五世。考彦良。是慕義齋。祖商傑僉正。曾祖秀頊判官。高祖鐵柱贊成。妣淑夫人高靈申澣女。有壼範。公少負文藝。孝天植。通韜略。投筆取。庚寅武科。調忠武衛副司。直進禦侮將軍。娶濟州梁氏。父生員崇澤。貞淑有禮。甲戌七月三日卒葬祔。三男啓仁義達著孝。啓秋壽嘉善長房孫。兌淑次房孫。兌華季房孫。兌精兌雄。壽通政。兌興兌益玄孫聲潤。壽通政。五世孫履俊。號碧山。俱有行義。銘曰。領敦寧孫。兵參後昆。四世聯啣。公亦武承。父忠錄勳。子孝載乘。以是慰冥。足合美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樵山白公墓碣銘【幷序】 朱夫子言。子夏易色章。義曰。人倫之大者。行之必以其誠。學求如是而已。故子夏言。有能如是之人。人或以爲未學。吾必謂之已學。以是聽言觀行。則樵山白公諱永龜。苟非生質得美。必其務學自至矣。肖似兌寅以族丈亨澤所撰狀。求余以阡銘。余病廢甲管。兌寅行不止再三。示明岡公所輯。先世三綱錄。請爲序。旣卒業家德已詳。謹按公幼聰悟不愧。爲明岡之子。蓋公家忠孝文學。自有所本。遂爲之序。公字中立。樵山號爾。其先出唐大司徒宇經。屢世至隋城伯天藏大顯中東。因貫水原。高麗寶文閣大提學莊。當我太祖定鼎。屢懲不起謪長水。而沒鄕人俎豆。四傳而繪生於長興岐山村。四子登庠。曾孫光城。亦司馬爲八文章之一。享岐陽祠。寔公十一世。諱思元。諱匡熙。諱基正。俱著文行。諱奉欽。卽明岡公也。外祖靈光金元八月奉光遠後及許嫁。共挽鹿車而歸。有孟德耀行。洪陵丁亥生公于岐山第。在襁褓異凡兒。上學誦書不倦。侍王父疾刀圭菽水竭力奉之。遵家訓。於學問思辨義理邪正之分。曉解通大義。尤於人倫眞知實踐。常曰。人之爲人。以其有彝倫。無比禽犢而已。弱冠遭喪。哀痛幾絶。方甦初終窆禮。奉遺命無苟。哀省風雨無廢。修齊有規。內紡織外耕耨。先隴竪碑。刊行先集。恩義洽。族戚貧窮。待以擧火。或使之立産作業。喪葬盜賊患難。必捐助曰。此藍田遺規。山水之樂。晩暮愈至召朋佩酒。登高舒嘯。淘瀉性靈。有淸快灑然之標。偶以痞氣潛肆。甲午九月十三日。大歸于正寢。享年六十八。葬月溪癸坐。配海南尹氏。習讀景佐後鵬植女。生二男三女。兌寅萬寅。冠山任泰奉。珍原朴永柱。咸平李啓喆妻。餘狀不錄。公氣骨淸秀。性度溫安。無遊戱競爭。味脫鄙俚。浮躁之習。幼年成就。已有人不及者。況其晩德何如哉。遂爲之銘。銘曰。東溪之孫。明岡之子。家風有自。式穀是似。豈曰無學。所行是學。拘拘文辭。未必愿慤。美銘貞珉。非我所琢。斯已多公。庶見立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通政大夫行通川郡守兼江陵鎭管兵馬僉節制使奇公行狀 沙上耕叟奇公。諱亮衍。字德水。一號六一居士。幸州氏。其先出殷太師。至馬韓末。始得姓。歷濟迄麗。代有將相勳戚。俱載國乘。爲東方巨族。至我朝判中樞諱虔。爲世宗文宗端宗朝名臣。光廟屢訪私第。欲致之托。靑盲自號。眩菴終身不起。錄淸白。諡貞武。子孫世著儒學。二傳而弘文應敎諱襸。以文章顯。贈大提學。諡貞烈。有五子。第二諱遠敦勇校尉。贈吏參。實服齋先生遵仲氏也。己卯禍。兄弟遯湖南之長城。因世其家。校尉生諱大有。亦校尉。贈判書。封高興君。生錦。江諱孝諫。遊金河西門。以副司果。贈參議。三傳諱震鐸。十八登。進士閔老峯。薦學行。屢擬洗馬。不調時論惜之。生松巖。諱挻翼。及宋尤菴門。尤菴以湖外正學。指南聞于朝。除寢郞不就。松菴伯氏諱挺夏。生諱泂。無嗣。松巖孫宗相爲後。嗣高興君之宗。擧行義。贈童蒙敎官加僕正。是爲公高祖。僕正有四子。第三諱泰恭。早世以季氏謹齋諱泰儉。長房諱在奎。爲後學䆳行高。號百忍齋。兩世幷上庠。生諱萬鎭早沒。曾祖祖禰也。妣蔚山金氏河西後。逸掌令壽祖女。貞靜端肅。有孝有禮。上庠諱鳳鎭。號晩圃。長澤高氏永鎭女。本生考妣也。高氏將有娠。金氏夢見大璧天降。瑞光玲瓏。遂以裳受納胸懷。高氏從傍請見而懷歸。旣覺謂高氏曰。君必生吾男。湏善保護胎敎焉。高氏以純祖辛卯六月十日壬午生公于謹齋公舊第。才百日。金氏伸前言晩圃公命。系伯父後。公有異質。八歲受小學書。日誦數百言。能屬文。從祖叔父蘆沙先生。見詩格。喜曰。吾家自六世祖進士公後。生員試居多。此兒可以詩爲庠生甫。成童觀光。購律典而來。百忍公曰。書肆許多。書奚取諸斯。公曰士當先知法律。百忍公奇之曰。汝抱執法治人之量乎。公薰化家庭。博涉群經。問質蘆翁。貫通奧妙。時德行經述之士。傾湖嶺而萃師門。公進而就正。退則講解。咸許以明心學達於用爲文。坦夷精鍊。執筆成章。理致兼備。聲譽豹蔚。世皆謂將爲大受器。哲宗戊午。登司馬聯璧。洪陵戊辰。廟堂薦才學。授厚陵寢郞。翌年拜龍驤衛副司。果宦遊十年。不作懆進。念全意事賢大夫。以資展拓。若金相國興根。趙心菴斗淳。洪汾溪淳穆。李桐溪相璜。諸大臣每眷眷禮遇。公益務崇深致遠。人非善不交。事不正不爲。一時士流。莫不欽仰風采。雖如國太公高位。亟稱公寬弘。長者且曰。吾擇官用人多矣。後日大用。有無如奇某者。親寫朱夫子與陳侍郞論講和書以與之。時經丙寅洋亂。太公斥和甚嚴。爲一善政。其意欲以與同懲毖也。辛巳階通訓。拜典設司別是旋。除司憲府監察。壬午移員外郞。尋還典設別提。遷義禁府都事。轉拜慶基殿令。俄除延豊縣監。朝論謂望重。南行不宜。差是郡移換井邑。乙酉陞通川郡守。上敎曰。奇某親老。家遠省養不便。移拜沃溝縣監。陞正三品兼江陵鎭管兵馬僉制使。公每下車。必嚴立約束。束吏如濕薪。使無敢違越。平斗斛薄稅歛。訟理公直。俾無寃枉屛奸猾。而興利除害。人莫不以穎川之趙。相州之魏。擬之在在刻石。有淸白之名。有爲善政。文以布之者。野人得兩穗麥。比古漁陽守。以歌咏。公曰余甚內愧于心。作解嘲詩以謝。鄕人士。以公治績爲湖南五十州之最。先爲立碑。後議生祠。終揭萬人傘重爲文稱賀。無慮百言。略擧其槩。則米肉遍鄕老。捐俸以修葺壞敗。建學崇師。武城絃歌。蜀郡文翁之化。同時幷蔚散牛稅。錢三千補民。還租蠲大同米八十餘駄以減。民役京債之赤邊越利。屯土之白地徵稅。爲積久錮弊者。或以本色永頉。或末勘淸刷。刮骨生肉。戶口日增。條列張皇。猶謂不能枚陳。是知公臨政處事。風行草偃。民不見吏。吏號神君。百萬黎胥。傘錦刺名。以蜀丹綵鳳。金鐵繡鴛。祝无量壽。圖報一二也。不寧惟是嘗自巡營。發令列邑。守宰出官。炮軍捕虎納骨。抗顔直言。猛虎日行千里。哮闞如雷。聖人不曰。莫之敢攖乎。雖以官力非容易可撲。旣發官軍。又驅民逐獵。憑公者營私。貪利者弄奸。其弊不可勝言。雖日賞五千文猶患民瘼。況懲贖其數於不準者如是。則巡相廉白之風掃。如國家宣化之義蔑矣。公論可畏。字牧之官。寧投印而去。實難擧行。於是巡相歛膝起敬改容慚謝。事遂已有術。人李姓者。以左道惑衆。四方趍走爭先輪。金帛無算。前倅邀于政堂。而稱神術。京宰聞之。紹公欲致之。公答曰。宰相不求經學孝廉之士。己失其職。反要惑世誣民。橫雜之類。而見之。將安用乎。旣謝之。卽日捉致嚴繩曰。記云執左道惑衆者殺無赦。汝當按法以正。王章因牢囚。其子訟寃公曰。汝父誕妄。汝不諫止。理合同罪。旣幷受服。求活甚懇。公曰聖王制法。罰不及嗣。今旣得情納悔。宥汝父子。開遷善一路。以觀來後。自是不敢復肆。聞者快之。公孝本天植。慈夫人性嚴。少不中意。正色不言。公洞屬侍奉。起孝敬使哀憐。而必致悅。豫湯患數十年添祟危篤。醫云鯉魚膏合效。時潦漲舟不行。莫可求。公叫天號泣。忽有盈數尺者。逐江如射矢。躍入所居堂下蓮池中。取供之。其病如失。人稱孝感。本生考妣。年高多疾。公奉專城之養。供饋盡歡。所居里許。晨昏唯喏。風雪不能行。老而惟勤。兩庭甘旨。躬進相繼。金夫人素嗜肝膾石花。及沒終身不口。承重及兩庭考妣喪衰。絰十五年。哭泣之哀。殮殯葬祭。曲盡情文。忌辰誠敬備至。至老不怠。病則俯伏狀席而擧哀。終身如有喪。燕居不脫冠帶。非有事不入中門。閨閤內外。肅然如朝廷。訓誨子姪。導迪後生。爲一樂。招延師表。而薰陶成就所弆。經傳子史。以至天文地理醫藥卜筮陰陽象數百家書。公所嘗涉獵知要者。近世東西諸國物産風土。六洲新說異敎。公皆閱覽者。辨析取舍。使初學正路逕而不惑。雖掌蹄書牘。必模寫爲少輩法。性愛人好施濟艱。容物有厄者救解。窮乏者恤。而不自德。尤篤於敦族。常言心先祖心窮親。冷族皆兄弟。計口數日而畫粮以數十斛。春秋均分爲四十年。年例凡幾十家。辛卯見時象日非。遂絶意斯世。就鷲嶺山中。築別庄以居。竹木周布。百果成列。公以藜杖角巾。逍遙泉嶽間。超然有出塵之標。昔曾王父生員公。以立年結齋河南。自號以立。隱居求志。公甲年別業署六一。而爲追先鞱晦。琴書消憂。或有疑忘世微諷。欲少改其爲者。公曰吾不願學今人。而與古爲徒。有採山釣水。生涯足。斯世何人。更起余之詩示永。矢不諼之意。甲午匪熾。嘯聚徒黨。掠民奪財。公不免被厄。禍將不測。有爲避害之計者。公曰死生有命。賊徒擧兵犯上。謀泄國情。交外寇作內倀而爲叛逆。未有如是而不亡者。士大夫。寧無負天地鬼神而死。豈可違理背命。乞憐求生乎。竟亦無事。乙庚之年。賊臣賣國。宗社已傾。公以三朝舊臣。恒歎克復之無人。家弟參衍。擧義殉國。家國之讐。不欲共戴一天。而公已癃矣。辛亥經夏秋患腫。遂却食廢藥曰。年踰八旬。忍見罔極之變。速死是分。子姪號泣進需。强數嚥而止。如是二旬餘。竟以十月六日易簀。八十一其壽也。踰月葬阿谷南山。淑夫人漢陽趙氏。考廷賓先公歿。鷲嶺南麓。由公命而葬。礪山宋氏。潤德後公歿。至癸亥三遷。公合葬于趙氏左。宋氏附趙氏右。爲三合封。有二男。長宇正龍驤衛副司果。次宇采。長房三男三女。男衡度成度昌度。女適羅州羅和均。濟州梁志訓。季未行。次房三男二女。男重度健度翼度。女俱幼。內外曾玄多不能盡記。嗚呼。公天姿隆厚。顔豊眉高。踈鬚緩頰。聲如洪鍾。氣凌山嶽。英明而雋偉。嚴整而愷悌。以寬弘之器。抱激勵剛果之勇。負豪邁之質。濟文學政事之材。遇事直行。無所回互。强禦者自戢。姦邪者自屛。暴慢不能售。狡僞不得逞。執政者殊遇。當國者期大用。而位止三品之官。官止百里之侯。是何足以展其所蘊哉。篤信謹守。本立於內。樂善好義。行成于外。帶職覲寧夙聞。愛君憂國之忠。佩符出郡。服行澤民利物之訓。方是時。聖主知名爲遷官。以便養朝士擬重。得轉任以分憂。濡首者遇之。宜沽龍榮身。患得者當之。必枉己苟容也。公則不然。脫名途而返初服。以四方之志。謂桑蓬已虛。讓樹功之地。謂鍾鼎非分。讀歸田賦。而樂林居之勝。看種樹書。而知木天之順。此尤非公高處也歟。然而江湖之憂。老而彌勤。枕戈之志。斃而後已。世自有知者知矣。令房宇釆氏。懼公懿行之泯。以行錄一通。馳命會甲爲狀。固陋無文。翁豈不知也。如果否者。有杖策必遂之。意謹比事屬辭。頗費商量。而實不能形容德美。惟竢闡幽之君子。究之言外而表隧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黃憲周爲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者光緖十年七月 日[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84년 황헌주(黃憲周) 고신(告身) 4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光緖十年八月 日 黃憲周 光緖十年八月 日 高宗 黃憲周 서울특별시 종로구 大將[着押] 1개(적색, 정방형)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전북향토문화연구회편, 『全北地方의 古文書』1․ 2․ 3, 1993․1994․1995.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정구복, 『고문서와 양반사회』, 일조각』, 2002.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HIKS_Z001_01_A00001_001 1884년(고종 21) 8월에 국왕이 황헌주(黃憲周)를 절충장군(折衝將軍) 강화부중군겸수성장(江華府中軍兼修城將) 토포사(討捕使)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 1884년(고종 21) 8월에 국왕이 황헌주(黃憲周)를 절충장군(折衝將軍) 강화부중군겸수성장(江華府中軍兼修城將) 토포사(討捕使)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이다. 절충장군은 조선시대 무신 정3품 당상관이며 1392년(태조 1) 7월 처음 관제를 정할 때 문산계에서 독립된 무산계 가운데 가장 높은 관계로 정하였다. 강화부는 수도 방위를 목적으로 강화에 설치되었던 특수 행정기관으로 1700년(숙종 26)에 강화부에 진무영(鎭撫營)이 설치되었다. 중군은 각 군영의 대장, 절도사, 통제사 등의 밑에서 군대를 통할하던 장수로 수성장을 겸임하였다. 또한, 토포사는 각 지방의 수령이나 진영장에서 겸임시킨 특수 관직으로 도적 잡는 일을 담당하였다. 황헌주는 조선 말기의 무관으로 본관은 창원(昌原)이다. 1877년(고종 14)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강화도 출신이지만 1894년 동학 농민의 봉기를 계기로 전라도와 인연을 갖게 된다. 그는 1894년(고종 31) 4월 강화도 수비를 맡은 총제영의 중군으로 있었다. 동학 농민군 토벌 임무를 띠고 전라도에 파견된 초토사 홍계훈(洪啓薰)의 증원군 파견 요청에 따라, 황헌주는 총제 영병 4초(400명)를 거느리고 4월 19일 기선 현익호(顯益號)로 인천을 출발하여 4월 23일 법성포에 상륙하였다. 그는 4월 21일 장성 황룡촌에서 벌어졌던 경군(京軍)과 동학농민군의 전투에는 참여하지 못하였으며, 4월 28일 전주에서 홍계훈 군과 합류하였다. 그는 그 뒤 동학 농민군 토벌에 참여하였으며, 그해 9월 동학 농민군이 재기하였다가 공주 우금치 전투에서 대패하여 수세에 몰리자 농민군 토벌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해 겨울에 황헌주는 그의 부하에게 지시를 내려 태인현 종송리(種松里)에 숨어 있는 농민군 지도자 김개남(金開男)을 체포하였다. 황헌주는 그해 12월 임실현감(任實縣監)에 임명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黃憲周爲折衝將軍江華府中軍兼修城將討捕使者光緖十年八月 日[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86년 대장(大將) 전령(傳令) 1 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정치/행정-명령-전령 丙戌八月日 大將 前中軍黃憲周 丙戌八月日 大將 黃憲周 大將[着押] 2개(적색, 정방형)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박병호, 『韓國法制史攷 : 近世의 法과 社會』, 법문사, 1974. 최승희,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1989.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HIKS_Z001_01_A00010_001 1886년(고종 23) 대장(大將)이 전 중군(前中軍) 황헌주(黃憲周)에게 내린 전령(傳令) 1886년(고종 23) 8월에 대장(大將)이 전 중군(前中軍) 황헌주(黃憲周)에게 내린 전령이다. 전 중군 황헌주를 진무신영(鎭撫新營) 영관(營官)으로 차정(差定)하면서 내린 전령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95년 대장(大將) 전령(傳令) 2 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정치/행정-명령-전령 乙未五月日 大將 任實縣監黃憲周 乙未五月日 大將 黃憲周 大將[着押] 1개(적색, 정방형)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박병호, 『韓國法制史攷 : 近世의 法과 社會』, 법문사, 1974. 최승희,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1989.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HIKS_Z001_01_A00010_001 1895년(고종 32) 5월에 대장(大將)이 임실현감(任實縣監) 황헌주(黃憲周)에게 내린 전령(傳令). 1895년(고종 32) 5월에 대장(大將)이 임실현감(任實縣監) 황헌주(黃憲周)에게 내린 전령(傳令)이다. 대장이 임실현감 황헌주를 류영장(留營將)에 차정(差定)하면서 내린 전령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傳令 任實縣監黃憲周留營將差定知悉擧行爲宜者乙未五月 日大將[着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모년 영사관(領事官) 황우영(黃祐永) 치부(置簿) 고문서-치부기록류-용하기 경제-회계/금융-용하기 黃憲周 黃祐永 黃憲周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전북향토문화연구회편, 『全北地方의 古文書』1․ 2․ 3, 1993․1994․1995.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정구복, 『고문서와 양반사회』, 일조각』, 2002.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황헌주(黃憲周)의 아들 황우영(黃祐永)이 외부의 영사관으로 활동하면서 해당 업무와 관련하여 지출한 경비를 기록한 문서. 한말 재외 공사업무와 관련한 경비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는 문서이다. 원소장처인 강화도 창원황씨가의 고문서들은 무신이었던 황헌주(黃憲周)의 교지를 포함한 관련 문서들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그의 아들 황우영(黃祐永)이 외부(外部)에서 외교관으로 활동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기록들도 적지 않다. 황우영은 외부주사(外部主事), 영사관(領事官), 외부참서관(外部參書官), 의약전권대신(議約全權大臣) 종사관(從事官), 외부주임관(外部奏任官) 등의 요직을 지냈는데, 특히 1902년에는 해삼위(海蔘葳; 블라디보스토크)의 통상사무(通商事務)도 맡았었다. 이 문서는 그가 외부의 영사관으로 활동하면서 해당 업무와 관련하여 지출한 경비를 기록한 문서로 보인다. 한말 영사 업무의 대략과 경비의 규모를 추정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 있는 자료이다. 항목을 보면, 봉급, 잡급, 경비, 교접비, 전보비, 여비, 수리비, 연회비, 고문관봉급, 고문통변 월급, 인천항비, 동래항비, 덕원항비, 경흥항비, 무안항비, 주일공관비, 주미공사관비, 영덕의공사관비, 아법오공사관비 등으로 되어있다. 인천항, 동래항 등 대외접촉 항구와 관련한 비용도 계상되어 있으며, 일본, 미국, 영국, 독일, 러시아, 이탈리아, 프랑스, 오스트리아 등 외국 공사업무와 관련된 비용도 적지 않다. 총 경비는 은(銀) 166,983원(元)이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梁雲圃傳 梁雲圃在鴻。字羽卿。其先耽羅人。我朝鮮中宗朝。經筵學士惠康公學圃先生。著己卯名節。九峯渭南。有丙子義蹟。八世而生吉默。吉默生在鴻。在鴻禀性剛亢。外柔心直。七歲受學于家庭。稍長師事族內華隱先生在海。通大義。洪陵庚戌年二十三。日本賊與本國賊臣。脅君合邦。八方義士延攬。群雄謀光復。湖南人募士者甚衆。公悉受之家。而爲團主。賣却百餘石之産。以資軍用。義兵四起。賊輩甌脫。星羅捕戮。日甚詗訊苛密。雲圃圖略十年。機事見泄。戊午年五月。日憲兵拏繫光州警務署。其父叱憲兵隊長曰。爾何捕吾兒也。戒在鴻以朝聞夕死。公比至署。賊喝脅甚棘。公瞋目大罵曰。汝雖犬羊不知君臣大義乎。汝是吾大韓人。天不供戴之讐也。君臣大義。華夷不異焉。忠君愛國之人。汝何犯天下公議。而乃敢盡劉乎。吾將以快釰利刀屠戮。汝無類雪吾國耻。反逮于汝。余拙謀可羞。因呼天大呌罵不絶。口賊酋曰。如此義氣人。我實初見。遂許大膽。而重律勘無期役。公乃誓死獄中。愈厲不摧。或被打血衣。則責獄吏之無嚴。日夜大讀蘇洵孟子。增百倍之氣。手卷爲之弊如是十年。至戊辰五月。勘在家律放出。而使不得經營四方。公始還忠養其父。倍前益孝初被逮。翌年己未。母文氏卒。而不得奔。至是以不能盡節於前者。伸於後。遭艱自盡人稱善居喪。服闋。猶日誦中庸大學。花辰令節。與故舊親戚。命詩酌酒浩歌狂舞。叙憤鬱慷慨之懷。或縱飮放聲呼。時日曷喪。因悽然泣下寓千古不平之氣。甲申八月二十三日。飮恨終命。年五十五。如假一年。可見讐退而未焉命也。夫臨命呼其弟在樠。語之曰。百忍百忍。忍之一字。不可斯湏忘于心。吾則死矣。吾家齊述先亶在于汝。又曰。耕讀士子事。工商工商事。以義爲利則利。以利爲利則不義。公若別無過人之勇。而體短聲長。頭圓目射。義猛自著。氣類自孚。初欲有爲於世。而不得。則欲立家道。而明義利之分。於將死之言。堅忍其性。果如是矣。外史氏曰。國朝仁義爲甲胄。忠信爲干櫓。五百年湖南爲忠義府庫。瀛州氏。自壬丙以後。不失爲十世忠孝之門。及丙午丁未間。有若華隱杏史。作於後先。雲圃在南冠十年。不屈於賊。不辱於身。不負家世義風。雖不能有爲於世。其心烈其節直。觀人者。豈可以成敗論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斗茂浦林女孝烈傳 林女珍島人。年十五嫁海南斗茂浦金姓家。一年而夫死。舅因喪。明林賃針春誠養。夫祥後。其父欲奪而嫁之。使人來語。病將死思一見。而訣林請覲。舅垂涕言。汝年方少無子。父欲紿女而召也。吾其不見汝而死矣。林寬慰之。乘船而行至。則果託疾設謀糾緊。林知不能脫佯。從之以安父心。昏夜抽身。向夫家來見。津頭無船。欲投海死。忽見家狗。啣衣而前。大海中斷成陸。一條路在。前隨狗到。家舅明燈獨坐林呼舅入門。舅開戶而應。瞽目忽明。喜甚言。汝來何速。深夜獨行。何事大海何渡也。林垂淚道父語言。畜狗導前。踏陸而來矣。舅大驚曰。狗在厨門鎻。何能渡海迎汝也。遂引見之。則大虎在庭搖尾。盖視虎類狗也。舅婦幷泣。謝虎不已。縣道交章。請褒朝家命綽楔。自是國人知其烈孝。里人修閭。歲春秋祀。尙說如昨日事。外史氏曰。小華文明。使輿民爲倫理綱常中人。以保天則。林氏以浦民之女爲浦民之婦。喪天而養舅。者陳孝婦。許嫁而自言。誓若夏候令女。柏舟靡他之志。感回天心。是陳夏候合成一人。而瞽目復明。虎兒渡海。不死其身。舅終天年。於古罕有也。爲女而生於海曲。使行人式閭海氓赴祭。莫非秉彝。不死之天也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80년 황익형(黃益亨)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康熙十九年閏八月初二日 黃益亨 康熙十九年閏八月初二日 肅宗 黃益亨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HIKS_Z001_01_A00001_001 1680년(숙종 6)에 숙종이 황익형(黃益亨)을 어모장군(禦侮將軍) 행오위도총부도사(行五衛都摠府都事)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