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鳳溪梁公墓表 吾綾之雲圃齋。爲百年詩社。鳳溪梁公諱相瑜出入。于族叔晩羲先生進永之門。與南中士友邀先生。居接于是齋。文酒講禮。風聲大振皆以公詞垣嵬望。家世爲主故也。嗚呼。世道寢降。文敎已絶。雲散圃墟。古蹟蒼茫。余將表見公一時之盛。昭揭于墓矣。公字仲誠。鳳溪號也。氏出濟州。羅麗世著顯閥。本朝有學圃先生諱彭孫。爲己卯儒賢配享竹樹書院。公先生第四子參奉應畢後也。參奉孫景容。官奉事五世。而時漢寔公曾大父。潤東憲永大父父。妣昌寧曺錫元女。公生而孝友醇篤。詩文屈儕流。鄕里矜式推重。從學者甚衆。癸亥八月二十五日卒。距生純祖己巳爲五十五。墓再遷于古峙溫水洞後巽坐。配慶州李寅復女合窆。慶州李鎭義女祔右。男桓黙益黙吉黙。敬黙女全州李基澤。桓黙男在河在潤。女廣州李基壽。益黙男在忠。吉黙男在俅。女金富潤金根奉竝金海。敬黙男在根。餘不記。公事行不以時收。嗣曾孫會文將表墓。問刻于余。余未及公之世。謹据鄕里故老傳誦。以徵百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黃憲周爲通政大夫者光緖十年七月 日因江華府留守金允植狀 啓都監蕫加資事承傳[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84년 황헌주(黃憲周) 고신(告身) 3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光緖十年七月 日 黃憲周 光緖十年七月 日 高宗 黃憲周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전북향토문화연구회편, 『全北地方의 古文書』1․ 2․ 3, 1993․1994․1995.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정구복, 『고문서와 양반사회』, 일조각』, 2002.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HIKS_Z001_01_A00001_001 1884년(고종 21) 7월에 국왕이 황헌주(黃憲周)를 절충장군(折衝將軍) 행용양위부호군(行龍驤衛副護軍)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 1884년(고종 21) 7월에 국왕이 황헌주(黃憲周)를 절충장군(折衝將軍) 행용양위부호군(行龍驤衛副護軍)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이다. 절충장군은 정3품 무신 품계이며, 용양위부호군은 종4품의 무관직이어서 '품계가 높은 데 비해 관직이 낮음'을 의미하는 '행(行)'을 관직명 앞에 붙였다. 용양위는 조선 전기 중앙군의 근간인 5위의 하나이며, 부호군은 이곳에 속했다. 교지는 왕이 신하에게 관직, 관작, 시호, 자격, 토지 및 노비 등을 하사하면서 그 증표로 내려주는 문서이다. 황헌주는 조선 말기의 무관으로 본관은 창원(昌原)이다. 1877년(고종 14)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강화도 출신이지만 1894년 동학 농민의 봉기를 계기로 전라도와 인연을 갖게 된다. 그는 1894년(고종 31) 4월 강화도 수비를 맡은 총제영의 중군으로 있었다. 동학 농민군 토벌 임무를 띠고 전라도에 파견된 초토사 홍계훈(洪啓薰)의 증원군 파견 요청에 따라, 황헌주는 총제 영병 4초(400명)를 거느리고 4월 19일 기선 현익호(顯益號)로 인천을 출발하여 4월 23일 법성포에 상륙하였다. 그는 4월 21일 장성 황룡촌에서 벌어졌던 경군(京軍)과 동학 농민군의 전투에는 참여하지 못하였으며, 4월 28일 전주에서 홍계훈 군과 합류하였다. 그는 그 뒤 동학 농민군 토벌에 참여하였으며, 그해 9월 동학 농민군이 재기하였다가 공주 우금치 전투에서 대패하여 수세에 몰리자 농민군 토벌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해 겨울에 황헌주는 그의 부하에게 지시를 내려 태인현 종송리(種松里)에 숨어 있는 농민군 지도자 김개남(金開男)을 체포하였다. 황헌주는 그해 12월 임실현감(任實縣監)에 임명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93년 황익형(黃益亨) 고신(告身) 1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康熙三十二年七月 日 黃益亨 康熙三十二年七月 日 肅宗 黃益亨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HIKS_Z001_01_A00001_001 1693년(숙종 19)에 숙종이 황익형(黃益亨)을 어모장군(禦侮將軍) 행호분위부사과(行虎賁衛副司果)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95년 대장(大將) 전령(傳令) 1 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정치/행정-명령-전령 乙未五月日 大將 任實縣監黃憲周 乙未五月日 大將 黃憲周 大將[着押] 1개(적색, 정방형)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박병호, 『韓國法制史攷 : 近世의 法과 社會』, 법문사, 1974. 최승희,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1989.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HIKS_Z001_01_A00010_001 1895년(고종 32) 5월에 대장(大將)이 황헌주(黃憲周)를 순초청(巡哨廳) 좌총순(左統巡) 임명하는 전령(傳令). 1895년(고종 32) 5월에 대장(大將)이 임실현감(任實縣監) 황헌주(黃憲周)를 순초청(巡哨廳) 좌총순(左統巡)으로 임명하는 전령(傳令)이다. 황헌주는 1894년(고종 31) 4월에 강화도 수비를 맡은 총제영의 중군으로 있었다. 동학농민군 토벌의 임무를 띠고 전라도에 파견된 초토사 홍계훈(洪啓薰)의 증원군 파견요청에 따라, 황헌주는 총제 영병 4초(400명)를 거느리고 4월 19일 기선 현익호(顯益號)로 인천을 출발하여 4월 23일 법성포(法聖浦)에 상륙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97년 황우영(黃祐永) 관고(官誥) 2 고문서-교령류-관고 정치/행정-임면-관고 建陽二年七月二十八日 議政府贊政外部大臣臨時署理議政府贊政學部大臣閔種默 外部主事黃祐永 建陽二年七月二十八日 閔種默 黃祐永 서울특별시 종로구 外部之印 1개(적색, 정방형)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HIKS_Z001_01_A00039_001 1897년(광무 1)에 의정부찬정 외부대신 임시서리 의정부 찬정 학부대신 민종묵(閔種默)이 황우영(黃祐永)을 판임관(判任官) 2등으로 승진 임명하면서 발급한 관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鶴雲朴公墓表 公幼一曰誦梁太傳疏。大人靜齋公喜甚曰擴充汝才門戶可寄公性靜寡欲。茅茨安於陶瓦。藜藿甘於粱肉。七十年淸儉素貧。有子有孫自成門戶。雖不展其才。可謂少償父志矣。復何願哉。公諱世東。字敬漢。鶴雲號也。朴氏肇祖。密城大君彦忱察訪蔚。入我爲中祖自是世襲官蔭監察枝樹。壬亂殉義。贈至參判。主簿天柱父子。旌忠孝俎豆。寔公十世以上也。父準珏卽靜齋。有文行壽通政。祖瑞鎭。曾祖孝友堂在坤。高祖亮煥號安亭。寶城宣景欽外祖也。公生而開悟端重。祖母梁氏最鍾愛。幼敎必端。晨昏怡愉。靜齋公晩年患咳。坐臥靡寧。公扶持以敬。睡涕不見。聞藥必致。事伯兄如奉嚴父。甲午東匪煽亂無辜戕害者多。或告避身之方。公曰。不顧父母之養。竄奔求活。無是理也。侍奉俱全。戊申庚戌連遭二艱時。邦域大亂村閭蕩殘。而送終如禮。哀隕皇皇。泣血終制。晩遭嬴博之痛。臨壙三周而呼曰。爾不葬我使我葬爾。此何舛也。食飮不下。疾祟潛滋。而㞃招命二子曰。汝兄有三幼孤。成就立家。皆汝兄弟之責。善爲撫育。慰汝父汝兄也。言訖而終。卽甲午正月四日也。距生洪陵己卯。壽七十六。葬于淨川案弁峯癸坐原。配晉州金斗相女。賢淑有德。先公一年歿。生三男三女。炳喜炳善炳翊。公州李洙煥。長興高長柱。全州崔秉樹。其子壻也。長房孫基千基升基斗。次房孫勛周勛基。季房孫龍寶。李載暉長壻出高光雲光表光佑光準。次壻出餘幼。嗚呼。公余之尊姑之次孫也。尊姑早寡有烈行立家冢。曾孫炳海終身盡誠於後事。尙有未就而沒。公衋傷痛心。亦未久而逝。豈不痛哉。所幸公歸侍泉下。以克昌厥後。告祖母之靈。庶莞爾而黙佑矣。炳善率循公遺敎。家道有方進之象。以追孝之誠心齎家狀。謁阡表之文。余曷敢不盡心哉。公安豊耕樵之餘。値淸夜月明之時。整襟危坐。輪誦論語半部出師表歸去來辭。及古文適意諸篇曰。前日熟讀。上口故常存諸中老。而無滯論古今史。至秦漢以後治亂興亡之事。而有西周之思。傷古所以悲今。余表出以書于墓。世之過此者。讀之有以知公慷慨之一志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管山安公墓表 管山處士安公貞晦。四尺之封。在任實縣新村案山子坐原。旣葬四十年。曾孫德洙謁狀。德于方壺子鄭琦顯。刻于松山處士權公奎。以表阡文。屬會甲。鄭公知甲濫不爲役。稱公行義曰。吾輩淵源同出。勿禮辭。遂按狀而敍。自夫蘆翁先生。倡道南服。學問道德之士。靡然從之。賢者識其大者。不賢者識其小者。吾道之明。如日中天。公竗年摳衣。終先生之世。於先生所論陰陽動靜之妙。人物性同異之體。與夫明德道心之奧。無不潛究箚質。多發精蘊。蓋其學以主理爲宗旨。體驗篤實要不失古人法度。嘗專門四子。以大學爲程曆。中庸爲總腦曰。學不由是。無以窺古人門墻。每擧以訓子誨人。又曰。吾早從師門。於曾思心肝。事得蹊逕不差。松沙先生倡義。爲宗社計。公仗釼從之。與家人訣無望生還。自言。吾雖老。當主辱臣死之日。豈可息偃在牀乎。舊袂之日。應赴之士。聞公辭氣凜激氣勇。自倍謂公。老益壯。竊謂公於古人門墻。師門心肚。得蹊逕不差。故其節烈。自學問中出來。嗚乎。此可以表其幽也。公字義卿。順興氏。遠祖文成公晦軒先生。倡明正學。配侑聖廟。歷文順文淑文惠公。至景質公。瑗生從約。仕本朝。文牧使贈吏判。屢傳而進士處經補長。水思齋處順卽其弟也。當貞愍公辛巳禍。公以其緦姪棄官。遯龍城。子孫遂世焉。父昌鎣。大父思璉。曾大父國礎。妣全州柳元八其考。純廟庚寅。公生于曦陽三尊里。自幼莊重且溫。上學自知勤着。嘗告其親謂。功令非爲己。請從事治心修身之學。一以踐履爲務。二艱遵禮終孝。篤友睦眷賑恤。庚申搬龍城北新寓。奠接多窘。而厚於急人。簿於自謀。寒者衣。飢者食。行路感恩。梓鄕頌德。甲午剡薦之議。發自全州。文到本邑公愕怡不樂曰。士雖有行自是常事。況虛名無實。非重吾過耶。令其弟往寢之。戊戌八月二十二日。以六十九終。公於丙申。慟哭歸山後。疾祟潛滋。自知不久於世。書安命着力。不得六字于壁。以常諟。噫其命歟。全州李得豊女配也。在基在河過房。在榮黃逸黙子壻也。曰禧鎭士鎭權在亨黃相黙妻。曰明鎭黃漢奎蘇在吉韓性鎬李景義妻。幷孫男女也。會甲若於生晩。雖未能升公之堂。覿公之顔。先祖學圃惠康公。與貞愍思齋。長水三公。同己卯黨禁十世。世誼自別。不恤人微。詔貞珉。數尺之封。垂後人永世之式。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廉將軍二世四忠傳 廉將軍傑字國忠。坡州人高麗忠敬公悌臣後。本朝禦侮將軍副司果仁亨子也。將軍生而峻整膂力絶倫。幼時吟蜂起花王將之以句。自擬平生。因受業于縣監金光俊。文藝大進。家素質貧好讀書。躬耕漁樵以養親。饑歲斥什物貿米穀。以供甁疉。夜群盜入室。將軍以墨水點衣背。翌朝悉得之。將軍時尙童子矣。及長遭二艱。盧墓三年。薦授同中樞府事。萬曆丁亥冬。倭酋平秀吉。使橘康光來求和。而實破盟。戊子夏。又使玄蘇通好意覘我。時朝野有識。皆知將有倭變。將軍深憂之。習騎射。有二弟曰瑞曰慶。有子曰弘立。皆驍勇武猛。敎戰述。鄕人幷稱廉將軍。壬辰倭大擧入寇。連陷東萊釜山。大駕播遷將軍所居。康津縣九十浦。賊船彌滿。將軍謂瑞慶弘立曰。賊欲甘心於我久矣。今果蔽海而來。吾與爾平日所業者。何事國有緩急赴義死。君臣子職耳。正吾輩效命之秋也。又募子弟甚衆。殼弩持滿。何以試賊。用寡敵衆。要害制勝之策。先已略定。時夜將半大霧漲天將軍曰。是天便我也。到海岸據賊船。一箭地鋪簟設柵。爲營壘。束草爲人列立以書約。矢射賊水寨曰。爾不聞廉將軍乎。狗鼠輩。安敢當我鋒也。因擊射之。鎧甲碎裂。水爲之赤。城大驚不敢出。將軍告于衆曰。賊旣不敢動。必將遁入山。若是則吾可得志矣。即入水淨寺洞口。父子夾東路左右。二弟及諸卒。控其西待賊兵。盡入寺門。大喊射矢發。無不中。死者數百餘賊。奔迸瑞慶邀擊之。慶爲賊所害。時年十四。將軍泣曰。吾當上爲國家殲賊。下爲亡弟報讐。誓不與賊俱生。益督勵其嚴。自是將軍威名。日著遠近。倚如干城時。沿海諸邑奔潰已盡。而獨金陵得保者。將軍之力也。賊問廉將軍何人。咸曰。有萬夫不敵之勇。知略超絶於人。其弟與子。皆熊虎之將也。賊曰。長興聞有黑面將軍。此又有三虎將軍耶。丁酉統制使李忠武公。聞而壯之。差爲義兵將。使之討賊。於是士爭來赴。兵威大振。時長興會寧鎭。大興郊賊兵充斥。將軍移擊之。見賊棄船上陸曰。彼陣中無智謀者。吾可破也。遂埋伏而待夜深。與瑞弘立。按釰列戰。使人從後放火。突入軍中。賊大亂相失。賊將方上馬指麾。將軍擊隕倒馬首下奪乘。突其陣大捷而還。餘賊悉奔。嶺南將軍追之。至忠武幕。忠武握手迎入曰。聞公之名。知公之心。日望相見久矣。與論機務及沒雲臺戰。與精兵三百人討賊。時忠武第三子。葂爲賊將馬希雍多齒。兄弟所害。一軍憤惋。將軍追賊。下匹船馬。單槍挺身勇鬪。禽致幕下。倭橋之役又有功。忠武以將軍前後捷報。都元帥權慄。元帥啓達。上特授將軍守門。將弟與子幷如之。忠武公每稱將軍諸將鮮有及者。及露梁戰。其勞有過於前。而忠武公沒。無上功者。將軍不以爲意。引兵到巨濟。賊勢甚張。將軍謂瑞弘立曰。馬革裏屍。男兒事耳。遂赴戰而死。瑞弘立誓。不滅賊不還竟俱。死軍中見聞莫不痛惜。家人矢復分。葬于康津帝堂山朝廷錄宣武原。從勳賜鐵券。命旌忠贈爵有差。將軍贈資憲大夫兵曹判書。瑞兵曹參議慶通政大夫承政院同副承旨。弘立吏曹議。外史氏曰。穆陵壬辰之亂。權元帥李統制二公。爲中興元勳。而廉將軍一門四忠。李公薦之。權公啓之。特除酬勞之職。在將軍及子弟得非榮歟。況與李公後先俱立慬旌忠。贈爵節烈煒煌百世。吁亦盛矣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77년 황익형(黃益亨)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康熙十六年三月十三日 黃益亨 康熙十六年三月十三日 肅宗 黃益亨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HIKS_Z001_01_A00001_001 1677년(숙종 3)에 숙종이 황익형(黃益亨)을 어모장군(禦侮將軍) 무신겸선전관(武臣兼宣傳官)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병자년 신달휴(申達休)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丙子式 行縣監 幼學申達休 丙子式 興陽縣監 申達休 전라남도 고흥군 行縣監[署押] 興陽縣監之印(적색, 정방형) / 周挾改印(흑색, 장방형) 고흥 당곤 고령신씨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HIKS_Z003_01_A00003_001 병자년(丙子年)에 신달휴(申達休, 59세)가 흥양현(興陽縣)에서 발급받은 준호구. 병자년에 申達休(59)가 興陽縣에서 발급받은 准戶口. *주소: 道化面 堂昆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903년 송갑회(宋甲會) 가사매매명문(家舍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가사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가사매매명문 大韓光武七年癸卯九月二十一日 家垈主宋寡婦 幼學宋甲會 大韓光武七年癸卯九月二十一日 宋寡婦 宋甲會 전라남도 고흥군 證幼學宋桂星[手決]筆幼學申重模[手決] 고흥 대서 여산송씨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1903년(광무 7)에 송과부(宋寡婦)가 송갑회(宋甲會)에게 작성한 가사매매명문(家舍賣買明文). 1903년 9월 21일에 宋寡婦가 宋甲會에게 작성한 土地賣買明文. *매매가격: 壹佰伍兩 *매매물: 大西面 禾場 冬栢亭 神字家基 草屋 四間 垈田 四斗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月下朴公墓碣銘 父慈子孝。天性也。天性。人皆有之。而能孝能慈者鮮矣。若月下朴公能孝。親而子孝故安其孝而稱之人無間言。蓋其子孝由父慈。而不失其天性也。公諱獻圭。字禮賢。月岳其所居山也。人以月下號焉。公平生以利物爲心。有德惠于人。鄕里至今感頌者。甚多焉。高宗丁卯正月七日。辛卯四月二十一日。公生卒也。壽八十五。葬南陽面東巨也里。後麓庚坐。公密陽人。文景公駱村先生。其十三世也。文景曾孫肅愍公。官至領相。領相五世孫。邦煥遯入于高興。子孫遂世居焉。屢傳至諱準容。寔公曾大父也。大父諱强來。父諱炳三。妣金海金氏昌洪女。配全州李進士景奎其考。墓合窆。一男鍾殷。余於公門內先識鍾萬。知其有家行。今於鍾殷之請墓文也。不以公行與事傳會。如誣親者。只錄世系生卒。而以州里所稱之一二寄之。可見其淳實無華矣。余老且病。固辭不已。不惟鍾萬之申託。鄙族之居。近來往者。稱公父子之孝。而傍督之。非止一再。終不忍恝。遂强意爲之銘。銘曰。密陽之姓。雲仍甚盛。駱村德位。節惠文景。傳至肅愍。退憂爲亭。上相之尊。卒至易名。子孫遠遯。盡海而止。惟公之生。安業沒齒。東巨之阡。有封四尺。庸備陵谷。銘之以石。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