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黃憲周爲禦侮將軍行訓練院僉正鎭撫新營營官者光緖十年三月 日[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雙淸軒李公行狀 公諱基瑜。字汝璋。雙淸其軒號也。李氏系出。廣州麗季判典校。諱集。有學問志節。與圃牧諸賢。道義爲交。本朝贈左贊成。號遁村享龜巖祠。自是世著卿相。爲東方巨閥。屢傳至養眞齋。諱秀莞。以內贍寺判官。戒滿南下。至寶之大谷里。作梅月堂。探玩經籍。金河西成東洲許畏友。子孫遂爲名家。諱惟昌彰信校尉。諱泰男。壬辰亂與從兄監正公。奮義勤王酬功。除大興縣監。諱敏臣進士。丙子從安隱峰擧義。贈寺正。諱重遠。贈左承旨。公六世以上也。曾大父諱廷璞。文司諫至執義。大父諱象休通德。父譚鎭圭。娶光山金聲燦女。哲宗丙辰十二月二十八日生公于堂村第。幼聰悟有才諝。三歲而孤哀憐鞠育。與二兄侍慈氏。喫貧艱苦。自能就學。藻思日進。稟資有奇格長老擬成材。戊寅冠。甲申喪仲兄。丙戌癘疫大熾。伯氏被染㞃。公晨夜救治。人懼之勸出避。公曰。吾性不畏病。尤用誠。竟不起。公號哭獨殮葬。尙無恙。世稱松柏之後凋。喪禍荐疊之餘。動忍捱度。仰慰慈念。菽水奉歡。益貧孑。無以成家。初聘家資送。僅備若干器物。母氏曰。福生於儉。新婦有德性。可興吾家。至是。公謂婦曰。厨供用陶匏。換斥器物。以買土尺寸後。當隨力可具。婦喜而從之。儻來田庄。益其一撮土之多云。辛巳遭艱。公毁幾滅性。附身附棺。誠信無憾。時隣族比屋素封。公期早晩與齊。執務有慤。稍稍贏餘。先世遺氈。爲人占有者。厚直償還。野耕水陸。換瘠以沃。連生三子。塔洞茅茨。僅比容膝。而族親日就客馬嘶門。論文論事。匏葉兎首。眞率有會。財粟裕如也。用度有常。豊嗇惟均。公紆策縉密。措置該備。兼以內助。其忘私守。正人多服之也。承旨公。舊廬在里右。世世歌哭。執義公。延榜受啣。皆於是就榮。而至九世。將至不有。公以乙巳冬購還。不忍見垣屋荒頓。辛亥迺重爲之堂構。先廟後室。廊庫畢落。書史盈架。果木成列。先世莬裘。干是盡復。公率性報先。比年有事。自所居鄕。至廣州永川漆谷水原等十餘邑。丘隴土田。天水轇轕之積年未刷。香火零替之歲久難周。指不勝屈。公間關赴急。一一整頓。衆裔之散居畿湖嶺。表者千里遠境。書論面宣。信孚豚魚。莫不趍走。承奉公言論風旨。幹辦氣局。遇事着手。綜理迎解者然也。推以至親知疏戚。慶吊如禮。救患輸義。文士之追逐族黨之愛。仰鄕邦之想望類多。人不及者。而公不自有。故時重撝而愈隆。聲光鏟而益彰。此豈偶得哉。公嘗言。士族家祖墓。必宮室之祭祀之闡幽之。追遠報本。求永久之道。又曰。奉先思孝。人道之大倫。秉彝之本性。立定門規。申之以敦宗修睦之義然後。十世以下。祭田祈廬。可以守成而有資。遂殫力經紀。大宗之家役。外祖之奉祀。先外氏墓齋。儒賢文集。皆倡論義助復。修葺書塾。而戒學者曰。口習不經之言。手弄猥雜之技。使勤實者怠慢。淳正者邪僞。其害爲甚。薰猶不可以同器。師長之外別置。任使者嚴立敎條。逐日糾察。善善惡惡。勸懲惕勵。使舍舊就新。賴而成業者多。從姪太會。敏而好學。公視之如子。勉以成家。先事大小或躬率。而遠近濟成。使之觀法裕後焉。公身不踰中人。氣完體實。年過六旬。齒髮烏晢。星眸漆黑。平居無感傷。呻囈之苦矣至。癸酉五月。偶嬰微恙。以二十二日。逌然觀化。壽七十八。訃出鄕里雪涕曰。善人亡矣。葬所居福內面陳大谷某山某坐。齊梁氏貫濟州。學圃先生彭孫後。埰默長女。貞靜著閫範。助夫子成家。後公歿。墓合封。擧三男一女。男奎會暎會任會。女奇南燮高峰先生大升後孫某某。嗚呼。公禀性篤確。操執堅忍。實而有華。樂善好義。務大而矜細。望遠而視明。謀慮所及。鬼神莫欺。誠心所致。金石可透。豪强化而輸款。頑愚振而興動。鄕黨頌其孝。宗族信其德。京鄕嶺湖之門。庶事叢集剖決。難於盤錯。時危勢格人心。險於山川。公不有位權。不用鞭策。而運筭如意聽言如流。克祗于成。詩云。終踰絶險。曾是不意。公實有焉。跡公百年。始也窮餓拂鬱。困心橫慮。中也經歷多。而權度得其長。淺湥酌而精明隨其機。終也聰悟心開。理致無忤。錙銖不遺。循致高明。李進士相悳。嶺右華族尊公。敬慕之湥稱一門。諸公曰。龍會氏幹諝綜明。正會氏端祥眞儒。友會氏鍊諳大小。事槩實際也。公互與知己兼濟。言議文字。相爲資長。而操縱弛張。一出於正。故花樹宗會。諸般施設。或剛果堅篤。或宣暢發榮。凜然風議。藹然和氣。聳動末俗。光輝門欄。而可否相得。有如是焉。公之於人。性於謀忠。長於容受。雖値危亂。不謀自全。不竭忠歡。以持其交。至吾家摯誼言。自東床入舘之日。氷淸玉潤。愛好彌久。蒹葭玉樹。往來交倚。老而愈切。嗣戚奎會。收公書詞百軸。車載以來。俾澄裁成稿。續謁狀行。欲以未死前卒役。會甲雖身癃思涸。不敢負公恩義。積月掃洗訖。第錄行治如右。罅漏百出。無以形容善美。庶表阡者。有所採擇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德巖李公行狀 公諱敬德。字聖甫。德巖號也。李氏系出公州恭肅公諱明德。事我太宗。歷翰林都丞旨。至判中樞。寔其中祖。五世祖諱韡生員號衋悔齋。師事隱峯安文康公。丙子從擧義。閔丹巖按本道。以忠孝兩全。文章餘事。褒啓于朝。再傳至石蓮居士諱萬蒔。以生員疏伸鄭松江及四大臣。又請尤春兩先生陞廡。卽公曾祖。祖諱旻齋僕正。考諱居垕。號華隱。壽承旨。妣曲阜孔氏瑞龍其考。公以英宗乙酉生于綾州車洞第。資質沈靜。氣宇持重。蚤廢學業。隱居行義。座右書大明日月崇禎遺民八字。以寓微意。遭艱致哀。情文備至。設宗契資奉先。結齋貯書。敎子義方。及門請業者。亦多成就。治家有法。勤儉蓄聚。分子姪有差。待宗族以恩。接貧友以禮。僮僕御有度。姻婭戚屬被其惠。荒年賑救貧乏寡。而惟均隣里。化之至。立碑頌德。性又飄灑。每春暄秋凉。與三四同志。逍遙風詠於德峯之下。翛然有出塵之標。時人稱之。以德巖處士。戊申正月十四日。以八十四告終。初以壽秩階嘉善大夫工曺參判。後贈戶判。墓新豊里後麓庚坐原。三夫人玄風郭氏无育。驪興閔氏德邦女。生一男三女。河東鄭氏匡垕女。生四男一女。男文岡文洙文白文翼。女適南平文範。河東鄭時奎。晋州金漢龜。昌寧曺馹淳。曰匡茂析茂馹茂。過房昊茂。閔泳壹文在亨吳在淳閔泳會。長房子壻也。曰馹茂孔漢圭。二房子壻也。曰楊茂重茂旭茂枝茂亨茂梁文煥。三房子壻也。曰珍茂梁在疆曺秉善。四房子壻也。曰昌茂文成浩閔允植。五房子壻也。鄭淳洪時奎出。金澈相柏相社相漢龜出。曺相泰相華馹淳出。內外曾玄多不能盡錄。噫。公言行不參以時收遺稿失於回祿。後人無以考其德。曾孫秉默。搜稡家庭所聞。參以譜牒。成家傳。屬余爲狀。顧寡陋不堪。而其所錄簡潔無剩語。且有戚誼。不可以終辭。略加櫽括。叙次若以是。謂盡公則淺之爲也。惟其後孫蕃衍。謹守遺風報施之。天有不可誣。公興家裕昆之謨。尙可以徵。謹以是告于當世秉筆者。爲表墓之一二取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遺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石田柳公遺事 石田柳公健永。往在己卯冬見。同姓婚壻養子。滅姓創氏之報。憤不欲生。遂長書詰總督。竟不問翌年七月。令限已屆。謟附脅從。一時靡然。若當爲事。其不從者削母。若妻若婦之姓。公曰我旣無隻手擎天之力。炯然雙瞳忍見魔鬼入室。穢氣薰天乎。遂手草遺書。置其傍。儼然整冠束帶。仰樂北首而隕。實是月二十四日也。公同堂弟壺石君泳廣受文。欲不朽公。今歲正元冒寒。南走三百里。要余撰公遺事。遺事所以著行狀之未備。狀旣備。顧不欲疉牀辱。公相知久。不忍以不文辭。謹按。公長書及遺書。略曰。人之所以異於禽獸者。以其人倫也。聖人之法。不許娶同姓。若婚於同姓。則夫婦之別亂矣。繼絶立嗣。聖人之大權也。婿雖女之夫。異姓也。異姓而子之是二本也。父子之親絶矣。同姓百世一家。由氏族之同也。若滅而創之。則骨肉之分蔑矣。亡人之國。猶爲不足驅率。小華國之民。一朝化入於夷獸之苙。是可忍乎。曰某千年古族。無才無命。猶是倫理中人。國亡而不能死。君害而不能死。托跡漁樵。不作生人事于玆三十年。髠我人斁我倫。日聞所不忍聞。日見所不忍見。然而忍之又忍。庶幾定我均賦之性。保我全生之身。卒報天地父母之恩。歸見先聖先王先師于地下矣。及至今日。欲永滅我血傳之氏姓。然則同祖聚麀。亦次第事滅國易姓。何代無之詎意。五千年文明遺民。遭此罔極之變乎。與其無國無君無倫無綱。而夷而獸而生。無寧一枕大寐。以古貌古心。歸見先聖王先祖師。而無愧矣乎。嗚呼。死生亦大矣。非有實見得。生不重於義。烏能至此。若文文山。當宋亡之日。披拘再逃。以冀天祚。及三年然後死。其自贊云。孔曰成仁。孟曰取義。平生讀書。所學何事。公平生所學不外乎倫理綱常。凜凜然。懼或入於罔生罔死之臼。亹亹焉。欲同歸於成仁取義之地。是豈襲而得之。一朝判命之比哉。由是而就考其雅言。有曰世衰道微。須是有氣節。方能擔荷道理。曰有耻而生。不若無耻而死。大丈夫當死而死。馬革之裹。溝壑之委。俱無不可。豈肯吟頭痛腹痛。死於兒女子手乎。曰凡事必有第一義。旣見實則誓不墜。第二義若先將。第二義。苟占便宜。則竟落在第十以外。又以高景逸語學問。而不氣節。這一種人爲世敎害不淺者。爲顧諟之資。若公可謂言行相。顧躬無不逮之耻矣。雖然公之死。今三年。公卿大夫儒士。庶徒觀變。而免夫者或多。公獨先死。議者其不謂匹夫溝瀆之諒乎。狀中以若是言者。命之以腦髓。已寒之物。又曰維持天常綱紀人道之權。不可以地之卑賤讓與別人。又曰快然自裁求卽乎。吾心之安。激吾同域之公憤。彼亦降衷中一物。由我之死。感動得萬一。惡可謂必無是理。嗚呼。是三者。寫得公肚裏出來。餘人之言。奚足有無哉。吾所說免夫者。亦公一死之力爲多。安知不固我之公憤。而自勵戢一理之通。而自沮其䲭張乎。始可以有辭於吾林明矣。由公之死。文城氏千年古族。無恙爲傳之家。上自高麗大丞文簡文正貞愼溫靖諸公。太祖佐命臣文城君諡忠景。下至判尹司正筍軒。義蹟守拙屛山。世負儒望。自不失爲南中望族。而公能無忝所生矣。父諱琫默。妣全州崔時燦之女。幷由公而顯其孝。又可稱焉。公字應燮。後改子强自號石田。洪陵癸未及庚辰。其生卒年也。二配咸陽吳氏基鉉。生二子根基根萬。羅州鄭氏父龍集。生三子。根垓根培根淡。孫男有若干人。方生育未艾云。公嘗出入于崔勉菴奇松沙諸先生之門。涵被奬與得浸灌於義理綱常節烈之敎。是以於勉菴玉川之役。公罔夜奔馳聞事未集而歸。安父母之養。湖嶺多士。葬松沙先師之時。公周旋於執禮賓相之間。人稱其謹。敏余亦得接公氣格風範後。嘗一二過公之里。巧値相左。恨未能從頌講討。荏苒三十年。遽以遺狀對愴悢。尤復何如哉。早知公身後之役。波到于余。公與余。何庸如是落落。使繞庭數月。不得一字語也。雖然公赴樂地怡然。進退乎先進長德舊常襲染之列。視此碌碌。東馳西奪於荊棘陳蕪之叢者。豈不矜憐哉余固不暇悲公。公先悲余矣。嗚呼想公言貌衣冠之容。余之雙瞳。亦炯然於暗中。俯讀公慷慨立命之蹟。頓覺勃勃然奮厲。顧今觸諱在門墻。不可放言述。公迺痛飮一斗酒。騰上屋後。高飛山放懷。寒松後凋林然後。吟歐陽公廬山高詩文。夫壯節似君。少歸而立。草瀉膽公細行。有不暇論。略叙其達生委命之一二。託壺石君與公之子根萬藏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902년 황우영(黃祐永) 관고(官誥) 5 고문서-교령류-관고 정치/행정-임면-관고 光武六年十月九日 六品通訓大夫黃祐永 光武六年十月九日 高宗 黃祐永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HIKS_Z001_01_A00039_001 1902년(광무 6)에 6품 통훈대부(通訓大夫) 황우영(黃祐永)이 정3품 통정대부(通政大夫)로 승진하면서 발급 받은 관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병오년 신영록(申榮祿) 준호구(准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丙午式 行縣監 幼學申榮祿 丙午式 興陽縣監 申榮祿 전라남도 고흥군 行縣監[署押] 興陽縣監之印(적색, 정방형) / 周挾改印(흑색, 장방형) 고흥 당곤 고령신씨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HIKS_Z003_01_A00003_001 병자년(丙午年)에 신영록(申榮祿, 59세)이 흥양현(興陽縣)에서 발급받은 준호구. 병오년에 申榮祿(59)이 興陽縣에서 발급받은 准戶口. *주소: 浦頭面 瑞龍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嘉善大夫金公墓碣銘【幷序】 晩池堂金公。以新羅敬順王七世孫。高麗平章事。金寧君文烈公時興。主鬯孫。官領敦寧府事。守莊陵完節。南下高興不膺。光廟徵命。遯荒沒世。享鳳巖祠。子孫世襲忠孝。屢傳至白巖九鼎。以行義授廟令。毅齋光鋏。壬丁樹勳錄。宣武原從勳。贈兵議。享金谷祠。僕正孟源嘉善成天。事載邑乘。諱廷三匡潤泰根。其三世也。諱在浚娶密陽朴氏。高靈申氏。申氏以哲廟丙辰生公。諱曰鳳。字允三。號鳳岡。性孝友。養兼志體。敬兄如嚴父。雖折箸以後。朝夕起居溫凊以禮。嘗有癠。刀圭罔效。思生魚。公胃雪剖氷。得銀魚以進。奄至皐復擗號。靡逮含襚。襄奉必致無悔。內艱亦如之。敎子義方。御家有法。宗族樂其睦。鄕里服其義。某甲六月二十四日。疾㞃托遺孤于配申氏而卒。墓豊陽面獐項村前艮坐。贈嘉善。申氏貫高靈學模女。自十七入門之初。禮事姑嫜。敬夫子。克孝謹。夫疾露禱。作花蛇膾。先嘗以供。及不可爲。遂曰。下從非難育幼遺戒遵行不易安可遂志苟延治情文兒長語寡婦子無見行人不爲友俾不墜家聲以未亡人。乙亥七月二十三日。始從而沒。葬同塋異兆。鄕里薦行。詳見孝烈碑。擧三男一女。男基南基采克繩家行基尙。女適朱鶴來鎭錫朴甲來。李吉東。長房子壻也。賢錫鍾錫吉錫。宋大岩次房子壻也。朱錫璟錫元錫允錫。朴日模孔炯錫季房子壻也。基采旣琢大碩人碑。重政墓碣。奉華族永一書來請。銘曰。雖知老病。此不可辭。雖極難相知己久。不忍恝。詞曰。先王治敎。彝倫是求。公結行之。兼有好述。立碑紀績。旣得闡幽。不待疊床。潛光匹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金東江文 東江金令公。以庚寅六月干支。易簀于梧峴宮。以世亂几筵移奉于公州之大田寓舍。始以越三年四月日。嗣子潤東通訃。湖南受知。濟州梁會甲。袖瓣香竭蹶。終祥前一日乙未。具薄奠再拜。文以告訣曰。嗚呼惟公。東國巨閥。世著襟紳。累公累卿。柱石名臣。有文有德。儒林上仁。血胚光禪。公禀性眞。自幼上學。超卓于人。鶴立鷄群。蕉心展新。十七陞庠。榜眼名掄。牛刀駒城。百里陽春。擢入承宣。下侃上誾。出納王命。趨班肫肫。之才之學。展布廩囷。經筵文衡。不次可倫。玉署翰苑。宜掌絲綸。吁嗟時艱。誰與埋輪。昌寧古宮。先業可遵。梧峴之樊。隱遁爲隣。博涉經史。肆力竭神。腹笥隨盈。胸言濃醇。出恭入孝。窮居養親。進退唯喏。謹勤晨昏。嗚呼噫嘻。鼎沈盤折。四海盪煙。席捲之勢。禍及齒脣。逆黨賣國。讐金自秦。彼以其爵。先府捐身。文山旣沒。元職免塵。峻辭嚴斥。秋霜凜嗔。狡强破膽。名節完純。守道林扃。文質彬彬。夏馥山中。鞱名志申。仁山白雲。金華嶙峋。當世之望。瑞鳳祥麟。戶屨日滿。全邦儒巾。秉筆立言。顯微陶甄。庶幾終歲。保嗇自珍。天不悔禍。靡孑周民。令公乘化。適丁此辰。埋骨靑山。神遊帝宸。俯視人間。陟降訴旻。活我國命。澤流八垠。祐我後人。運回洛閩。然乎否乎。仰蒼眉嚬。哭呼不答。肝膽蝕均。嗚呼哀哉。甲也蔑學。窮鄕沈淪。仰如泰斗。遙望漢濱。戊辰之歲。斯文役因。夤緣古道。答語諄諄。辛未隆冬。拜床志伸。屢書往復。年歲愈頻。戊寅首夏。先集咨詢。嘉惠殿文。珠玉㻞璘。增訂印板。病蟄封臻。自是落落。未承高論。晝雲夜星。瞻慕囈呻。壽朝善頌。遙馳羽鱗。有仁必壽。祝遐誠陳。詎料大限。迫在庚寅。孝子專書。首夏季旬。盥手追挽。先渡錦津。迨此終祥。言采澗蘋。腒䐹單觴。致侑享禋。昔時執爵。言笑旼旼。今我來奠。哭泣涕洵。嗚呼哀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黃景涵文 嗚呼蘆門。兩鄭老柏日新。克闡師道。開我後人。重軒依歸。吾無隱爾。是以悅服。無彼無此。才竭力肆。造詣愈密。群書群經。腹笥隨實。微辭奧旨。精覈深鉤。旁及諸家。滂沛如流。記疑以質。書堆案積。或可或否。均是受益。梁楚藉藉。令聞夙彰。朋來爲樂。不容庠舍。結社檃括。詩禮冬夏。與世抹摋。圓鑿方枘。任適晦養。小山叢桂。嘗謂松翁。東南山斗。新翁同德。實惟左右。松翁獎詡。乃誠羽翼。後生涵育。孰非其力。百世馨香。遺文是託。庚午設校。幷余以速。曰松曰栗。惟果與君。高明博雅。德不孤隣。觀楓白羊。餞友蓬瀛。悶余向隅。中途返行。聞癠夜奔。昏黑提撕。求餐濟飢。送行臨溪。翌春檢印。余在京城。時月不見。鄙吝已萌。棲棲六月。伴行啓程。漢山屹屹。鷺水洋洋。擧目山河。風雨感傷。輦路楓暗。宮庭草長。長歌慷慨。若醉若狂。昊天不復。淚劫滄桑。南門飮餞。火樹如烽。雲海千里。書雁嗈嗈。挈親離鄕。匪夷所思。瑞南瑞北。形神相離。春宵一晤。語多霰集。寄翰覆遲。郊報何急。桑梓暮雨。丹旌遽還。撫柩長痛。山鳥悲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2acbc0003.GIF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pixel, 세로 46pixel。窆葬歸來。餘淚潸潸。余實蒙昧。心渴麗澤。亦被不遐。謂余莫逆。慶弔遊衍。飮禮讀法。山榭水亭。無往不接。醉後擺脫。時有弛張。善笑善謔。風流一場。曩有增滋。疑余或貳。余何有是。躬造寬解。嗜痂逐臭。鳴情書寄。蚊對蛾撲。賡詩以致。鰲儒有歧。調劑以義。追與同往。保合後議。感我悃愊。許心輸志。究其大者。此猶小事。方今爲士。苟生可悲。陽秋在皮。講明義理。徐圖維持。抑陰扶陽。寧不在玆。莫謂獨善。無益於世。歲寒爲盟。晩暮托契。一朝風燈。蟬蛻塵間。喪朋孤立。樑月照顔。我不負子。子何恝焉。舍曰友道。以若篤恩。老慈臨年。哭無晝夜。胡忍瞑目。泉臺歸臥。架書無恙。其呇數十。肖子繼述。傳後汲汲。生死有友。新安獵臘。最行顯幽。不朽來百。非伊所屑。聊慰愴惻。嗚呼。昔來我飮。到手莫停。今我哭奠。卮盈不傾。始知幽明。無親無疏。寢門寂寂。凄風悲呼。典型已邈。抆淚仰吁。言短意長。靈其知無。嗚呼哀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孝婦淸州韓氏行蹟碑 冠山之北。長平面中。諸公擧本面龍岡里。宜寧南正祐。妻淸州韓氏。孝行將琢石表厥里。使白友亨喆齎。武城院儒通狀。而來問刻辭。非其人不敢筆。督愈勤。按狀。韓氏正言仁澤女也。正祐監司諱洽後。龍菴相參之子。韓氏著孝謹行無不備。其舅病百方救療。往求川魚。有雙鵝墮前尺鱧。躍入于篋。幷煎進。宿患快蘇。人稱孝感。其舅常言。我無報新婦恩。願使汝有子有孫。皆如汝。則吾門必昌大云。其狀儒使冠儒闡揚。故今有是役云。聞而感歎。然泯滅固不可。溢美亦不可据狀。敍次如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孝軒梁公墓表 綾州牧使題梁公諱憲永。鄕多士薦孝狀。爲之感歎曰。此人如此。他人如此。則不幾於一邑興孝乎。是眞闡揚之道也。實有望於此邑士林。以是按公實行。則公至誠養親。婉柔和順。溫凊推及諸父。父患瘧思雉肉。公登山遍野。穿雪履氷。日以捕獵爲事。每得數翎供旨。至六個月。而無一日闕。其病如失益壽。視古人一二事。孝感所致。其誠動爲倍焉。丁憂廬墓哭拜處。當膝成坎。士林屢薦請褒。事載湖南誌。公字乃華。不自爲號。時人尊之。爲孝軒而不名。我濟州氏。自始祖至羅麗爲望族。己卯名賢。惠康公學圃先生諱彭孫。國朝最顯子孫之盛。聞於湖南。第四男參奉應畢。有學行。孫景容官訓鍊奉事。四傳而井源時漢潤東曾祖禰。外祖南平文繼斗僉知。公以正宗甲辰生。甲寅二月五日卒。墓梨陽面秋峙長嶝中麓午坐。配昌寧曺氏錫元女。合窆。男相瑜。別有表。相浩相大相泰相馹相淇相德。孫曾多不能悉名。噫。公有孝未褒。實爲晟世欠典。子孫之恨久矣。竊恐事蹟無傳。伐石表阡。非徒陵谷之虞。將撮行爲徵信。玄孫會文屬余以文。謹表出爲昭視後人。此不幾於一邑興孝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高麗兵部侍郞綾城具公祭壇碑 程子曰。冬至祭始祖。立春祭先祖。朱子曰。祖宗雖遠。祭祀不可不誠。此歲一墓祀之所由起也。世遠先墓不幸失傳。則子孫報本追遠之誠。無以爲禮。故設壇望祭。此我東士大夫之家。所由而行也。綾城具氏。兵部侍郞。四尺之封。本在州治南靑龍里後麓。配昌寧曺氏祔焉。世久無徵。子孫以壬申之歲。設壇于通安里。蓋以子孫之所居與靑龍里。爲最近也。旣壇。則不可無碑。碑則不可無文。嗣孫齊相。後孫敎洛。實尸其役。敎完哲祐元祐。以門長老命。具書送敎賢元林。問刻于余。同鄕世好。不容以老病辭。謹按。公諱桓。字成天。號竹隱。平章事諱民瞻後也。曾祖諱孝長門下贊成事。祖諱定如禮賓卿。考諱中節副護軍訓練院正。妣南平文氏。縣令軾其考。公生于忠定王己丑。氣局峻直。胸懷豁如也。恭愍王壬子文科。行安東府使兵部侍郞。至大司成。見麗運將訖與鄭圃隱謀。復及社屋。與族祖左政亟鴻。俱全節。而公歸先山下。累徵不就。杜門鏟彩以沒世。三男恒茂文中朗將元富英祿。孫通訓郞得仁。曾孫將仕郞龍淵。幷長房後也。五傳而斗南號鰲峯。著文章道學進士。孝授參奉贈左承旨。七世而喜號淸溪。壬辰亂與崔忠毅公。殉節于晉州。贈贊成。其後文武職爲四十餘人。噫。公積善累仁之報。益著子孫。報本追遠之誠。尤至今。此一片靑山石。雖爲具氏一門之事。其有補于世敎。豈淺淺哉。盥水敬書。使之入刻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嘉善大夫行同知中樞府事梁公遺墟碑 我正宗大王十四年庚戌。梁公諱命龜。蒙點授通政大夫僉知中樞府事。越五年甲寅。陞嘉善拜同知中樞府事。初朝廷命擧士大夫。年八十以上。賜優老之典。全羅監司。啓中宗朝。儒臣梁彭孫。八世孫。某實合首。薦吏曹禀裁。上問銓長鄭好仁曰。此爲故應敎梁曼容族親乎。遂依允啣命追榮三世。竊伏念惠康先祖。己卯名節。據梧公藝文。西飛玉署。東壁聖鑑。攸屆而公爲名家。耆耈故。兪音丁寧也。公旣荷天寵。澤流不斬。豊口騰頌。固無待乎。遺墟有碑。而徽蹟可傳。然山河變異。典故已泯。後孫始懼。愈遠愈邈。將紀石以壽之。會善氏與玉承。命會甲以識之。不敢當不敢辭。謹按。公字靈甫。惠康公學圃先生長子。秉節校尉。諱應箕後也。生有異質。幼與群兒遊。昻然有鶴立鷄群之象。嘗聚沙號廩。分付施惠。自謂賑民官。指摩方略。抱鎭撫御。衆之量及長。不殖而滋。不謀而成。致貲累巨萬。慨然以濟世爲心。蓋積能散富好禮。非但慈善家類例也。公性善合道。禀受明爽。德器寬厚。沈重行已。淳謹淸儉。居常不設雕飾。而積中發外。無非子諒。本然之發。令聞令望。崢嶸一世。天然樸素之質。靜深堅確之貌。有錦絅日章之實。而施措言範。恂恂有長德風矣。皐唳聞天得疇。五三達之尊。天之培於材理也。人之食於報常也。孟子言修天爵要人爵。公修之無要人爵自至。是之謂良貴。又以修於身者。傳之世。名德相承。喬木十世之庄。二百年茂續。大著于域內。圃祖緖業賴而有裕。此非積累之發於公者然乎。公若早揚王庭。上可以惠洽仁政。下可以澤被生民。而晩通朝籍事業。不顯于世。後人但知爲一姓幈幪。而以當朝異數。謂思例覃命。則非矣。公卒於緋玉之歲十一月九日。距生肅宗庚寅壽八十五。及至葬挽誄。相續於道。一辭稱仁人君子。謹据其錄。爲敍而銘。銘曰。圃翁發跡。自我月谷。鵬圖南溟。鳳萃天目。校尉荷薪。克紹家學。九峯賢孝。褒旌丹雘。血光胚胎。公乃篤生。生禀寬綽。濟以剛明。天錫之福。德莫與京。令望崢嶸。化洽仁聲。壽躋八耋。聖主知名。頂玉自天。黃麻先榮。孫謨燕翼。祖武愈光。高士騈興。後祿世張。砥石泱泱。海望蒼蒼。遺風景仰。山高水長。水何忍廢。地何忍荒。昭刻貞珉。永世無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濟用監僉正金公墓碣銘【幷序】 公諱尙傑。字士英。系出金寧詳屢世先碣。國朝有晩池堂。遵遯于興之佳山。享鳳巖祠。世稱莊陵完臣。遂世爲縣人。是生瑾工議。寔公五世。考判官秀頊。祖贊成鐵柱。曾祖九龍兵參錄勳。配鳳巖祠。妣晉州河重武。其考有壼範。公生而有幹局。孝親養志。軆病致憂。喪致哀毁無闕禮。蚤業功令。仁宗朝授筆擢虎榜。除訓練院濟用監判官僉正陞通政。明廟癸亥卒。距生燕山主戊午。壽六十二。葬臥牛嶝先塋酉坐。齊淑夫人裵氏籍大邱父康祚。別葬占巖茅洞子原。再配慶州崔忠溢縣監女。祔公墓。二男彦良別有碣。彦恭金東江甯漢撰碣。彦良男三。百鎰千鎰主簿。萬鎰司直。彦恭男三。英達守門將。應達贈資憲。福達僉正。丁酉有勳。曾孫宗智汝珦俱有。丙子義蹟。吁公家世著武功錄勳享祠。譜不絶書。永哲徵文闡幽。奈無其筆。何强而後可。遂爲之銘。銘曰。孝父忠君。文武無間。公負幹局。投筆如班。進階通政。位非不崇。際時昏朝。沈晦以終。臥牛四尺。我銘其宮。松老石古。颯爽淸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83년 황헌주(黃憲周) 고신(告身) 3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光緖九年十二月 日 黃憲周 光緖九年十二月 日 高宗 黃憲周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전북향토문화연구회편, 『全北地方의 古文書』1․ 2․ 3, 1993․1994․1995.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정구복, 『고문서와 양반사회』, 일조각』, 2002.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HIKS_Z001_01_A00001_001 1883년(고종 20) 12월에 국왕이 황헌주(黃憲周)를 어모장군(禦侮將軍) 행훈련원첨정(行訓練院僉正)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 1883년(고종 20) 12월에 국왕이 황헌주(黃憲周)를 어모장군(禦侮將軍) 행훈련원첨정(行訓練院僉正)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이다. 어모장군은 정3품 당하관이며, 훈련원첨정은 종4품 관직이어서 '품계가 높은 데 비해 관직이 낮음'을 의미하는 '행(行)'을 관직명 앞에 붙였다. 훈련원은 군사(軍士)의 시재, 무예(武藝)의 연습(練習), 병서(兵書)의 강습(講習)을 맡은 관아로 첨정은 이곳의 책임자였다. 교지는 왕이 신하에게 관직, 관작, 시호, 자격, 토지 및 노비 등을 하사하면서 그 증표로 내려주는 문서이다. 황헌주는 조선 말기의 무관으로 본관은 창원(昌原)이다. 1877년(고종 14)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강화도 출신이지만 1894년 동학 농민의 봉기를 계기로 전라도와 인연을 갖게 된다. 그는 1894년(고종 31) 4월 강화도 수비를 맡은 총제영의 중군으로 있었다. 동학 농민군 토벌 임무를 띠고 전라도에 파견된 초토사 홍계훈(洪啓薰)의 증원군 파견 요청에 따라, 황헌주는 총제 영병 4초(400명)를 거느리고 4월 19일 기선 현익호(顯益號)로 인천을 출발하여 4월 23일 법성포에 상륙하였다. 그는 4월 21일 장성 황룡촌에서 벌어졌던 경군(京軍)과 동학 농민군의 전투에는 참여하지 못하였으며, 4월 28일 전주에서 홍계훈 군과 합류하였다. 그는 그 뒤 동학 농민군 토벌에 참여하였으며, 그해 9월 동학 농민군이 재기하였다가 공주 우금치 전투에서 대패하여 수세에 몰리자 농민군 토벌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해 겨울에 황헌주는 그의 부하에게 지시를 내려 태인현 종송리(種松里)에 숨어 있는 농민군 지도자 김개남(金開男)을 체포하였다. 황헌주는 그해 12월 임실현감(任實縣監)에 임명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84년 황헌주(黃憲周) 고신(告身) 2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光緖十年七月 日 黃憲周 光緖十年七月 日 高宗 黃憲周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전북향토문화연구회편, 『全北地方의 古文書』1․ 2․ 3, 1993․1994․1995.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정구복, 『고문서와 양반사회』, 일조각』, 2002.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HIKS_Z001_01_A00001_001 1884년(고종 21) 7월에 국왕이 황헌주(黃憲周)에게 통정대부(通政大夫)의 품계를 내리면서 발급한 교지. 1884년(고종 21) 7월에 국왕이 황헌주(黃憲周)에게 통정대부(通政大夫)의 품계를 내리면서 발급한 교지이다. 통정대부는 국가의 중요한 정책을 결정하는 데 참여하였으며 근무일수에 상관없이 능력에 따라 가자(加資) 또는 가계(加階)되었다. 관직에서 물러난 다음에도 녹봉(祿俸)을 받는 등의 특권을 누렸다. 이때 황헌주는 강화부유수(江華府留守) 김윤식(金允植)의 장계(狀啓)에 의거하여 도감동(都監董)으로 가자(加資)의 특전을 받았다. 『승정원일기』 고종 21년 3월 기묘일, 즉 같은 해 3월의 기록에 따르면 강화부유수 김윤식이 장계를 올려 훈련원첨정(訓練院僉正) 황헌주를 영관(領官)에 임명하여 군무(軍務)를 감동(監董)하게 하였다고 되어있다. 아마 이때의 공적으로 황헌주는 가자의 특전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교지는 왕이 신하에게 관직, 관작, 시호, 자격, 토지 및 노비 등을 하사하면서 그 증표로 내려주는 문서이다. 황헌주는 조선 말기의 무관으로 본관은 창원(昌原)이다. 1877년(고종 14)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강화도 출신이지만 1894년 동학 농민의 봉기를 계기로 전라도와 인연을 갖게 된다. 그는 1894년(고종 31) 4월 강화도 수비를 맡은 총제영의 중군으로 있었다. 동학 농민군 토벌 임무를 띠고 전라도에 파견된 초토사 홍계훈(洪啓薰)의 증원군 파견 요청에 따라, 황헌주는 총제 영병 4초(400명)를 거느리고 4월 19일 기선 현익호(顯益號)로 인천을 출발하여 4월 23일 법성포에 상륙하였다. 그는 4월 21일 장성 황룡촌에서 벌어졌던 경군(京軍)과 동학 농민군의 전투에는 참여하지 못하였으며, 4월 28일 전주에서 홍계훈 군과 합류하였다. 그는 그 뒤 동학 농민군 토벌에 참여하였으며, 그해 9월 동학 농민군이 재기하였다가 공주 우금치 전투에서 대패하여 수세에 몰리자 농민군 토벌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해 겨울에 황헌주는 그의 부하에게 지시를 내려 태인현 종송리(種松里)에 숨어 있는 농민군 지도자 김개남(金開男)을 체포하였다. 황헌주는 그해 12월 임실현감(任實縣監)에 임명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行狀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