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通訓金公墓表 高興金君東錫。冒寒四舍委顧敬跽而言曰。我曾大父。大父代有贈典墓。無牲石之刻。願識之。余逡巡不敢對。請益苦。余曰。二品三品之官。非寒士。表出濫不可爲也。敢辭。東錫示鄕里柳奐根所撰狀。使据以敍之否者。若無歸焉。噫。其不難恝哉。謹按。公進學之初。受讀孟子至堯舜之道孝弟而已。遂整襟危坐。改容良久曰。人子舍是。而學非爲己也。自是晨昏如禮。出告反面。凡忠養之誠。靡不用極。非天性醇孝。其開之易。行之篤。如是耶。公諱錫中。字敬中。金氏系出敬順。王至諱時興。封金寧。子孫遂貫焉。累傳諱遵。號晩池堂。我世宗朝。官至領敦寧。曰瑞萬。曰采崇。曰錘膺。高曾祖也。妣高興李氏義孝女。公以純祖癸生。亥幼而英慧。口無俚言。身無惰容。及就傅文義驟進。孝奉二親。務悅其心。病致憂。喪致哀。祭致敬。以義訓子。以和敦族。鄕里咸稱之。高宗乙丑八月十一日卒。享年六十三。墓本郡南陽坊楊湖村後枕子原。贈通訓。配淑人朴氏。籍密陽其考炳煥。先公一年歿。楊湖城馬山壬坐。其葬也。擧三男洛宇嘉義。洛鉉洛錄。長房孫基文敎官。基浩基鍾中樞。次房孫基玉。季房孫基順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80년 황헌주(黃憲周)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光緖六年十二月 日 黃憲周 光緖六年十二月 日 高宗 黃憲周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전북향토문화연구회편, 『全北地方의 古文書』1․ 2․ 3, 1993․1994․1995.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정구복, 『고문서와 양반사회』, 일조각, 2002.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HIKS_Z001_01_A00001_001 1880년(고종 17) 12월에 국왕이 황헌주(黃憲周)를 선략장군(宣略將軍) 행용양위부사과(行龍驤衛副司果)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 1880년(고종 17) 12월에 국왕이 황헌주(黃憲周)를 선략장군(宣略將軍) 행용양위부사과(行龍驤衛副司果)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이다. 선략장군은 종4품 무신의 품계이며, 용양위부사과는 종6품 관직이어서 '품계가 높은 데 비해 관직이 낮음'을 의미하는 '행(行)'을 관직명 앞에 붙였다. 용양위는 중앙군의 근간인 5위의 하나였는데, 후기의 오위는 무보직자(無補職者), 다른 군영 및 여러 관청의 잡직 등에게 녹봉을 주기 위한 기관으로 바뀌어 부사과도 이러한 여러 다른 직종이 무직을 지니고 속하는 경우가 많았다. 교지는 왕이 신하에게 관직, 관작, 시호, 자격, 토지 및 노비 등을 하사하면서 그 증표로 내려주는 문서이다. 황헌주는 조선 말기의 무관으로 본관은 창원(昌原)이다. 1877년(고종 14)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강화도 출신이지만 1894년 동학 농민의 봉기를 계기로 전라도와 인연을 갖게 된다. 그는 1894년(고종 31) 4월 강화도 수비를 맡은 총제영의 중군으로 있었다. 동학 농민군 토벌 임무를 띠고 전라도에 파견된 초토사 홍계훈(洪啓薰)의 증원군 파견 요청에 따라, 황헌주는 총제 영병 4초(400명)를 거느리고 4월 19일 기선 현익호(顯益號)로 인천을 출발하여 4월 23일 법성포에 상륙하였다. 그는 4월 21일 장성 황룡촌에서 벌어졌던 경군(京軍)과 동학 농민군의 전투에는 참여하지 못하였으며, 4월 28일 전주에서 홍계훈 군과 합류하였다. 그는 그 뒤 동학 농민군 토벌에 참여하였으며, 그해 9월 동학 농민군이 재기하였다가 공주 우금치 전투에서 대패하여 수세에 몰리자 농민군 토벌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해 겨울에 황헌주는 그의 부하에게 지시를 내려 태인현 종송리(種松里)에 숨어 있는 농민군 지도자 김개남(金開男)을 체포하였다. 황헌주는 그해 12월 임실현감(任實縣監)에 임명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83년 황헌주(黃憲周) 고신(告身) 1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光緖九年五月 日 黃憲周 光緖九年五月 日 高宗 黃憲周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전북향토문화연구회편, 『全北地方의 古文書』1․ 2․ 3, 1993․1994․1995.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정구복, 『고문서와 양반사회』, 일조각』, 2002.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HIKS_Z001_01_A00001_001 1883년(고종 20) 5월에 국왕이 황헌주(黃憲周)를 선략장군(宣略將軍) 행훈련원주부(行訓練院主簿)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 1883년(고종 20) 5월에 국왕이 황헌주(黃憲周)를 선략장군(宣略將軍) 행훈련원주부(行訓練院主簿)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이다. 선략장군은 종4품 무신의 품계이며, 훈련원주부는 종6품 관직이어서 '품계가 높은 데 비해 관직이 낮음'을 의미하는 '행(行)'을 관직명 앞에 붙였다. 훈련원은 군사(軍士)의 시재, 무예(武藝)의 연습(練習), 병서(兵書)의 강습(講習)을 맡은 관아이며, 주부는 문서와 부적(符籍)을 주관하였다. 교지는 왕이 신하에게 관직, 관작, 시호, 자격, 토지 및 노비 등을 하사하면서 그 증표로 내려주는 문서이다. 황헌주는 조선 말기의 무관으로 본관은 창원(昌原)이다. 1877년(고종 14)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강화도 출신이지만 1894년 동학 농민의 봉기를 계기로 전라도와 인연을 갖게 된다. 그는 1894년(고종 31) 4월 강화도 수비를 맡은 총제영의 중군으로 있었다. 동학 농민군 토벌 임무를 띠고 전라도에 파견된 초토사 홍계훈(洪啓薰)의 증원군 파견 요청에 따라, 황헌주는 총제 영병 4초(400명)를 거느리고 4월 19일 기선 현익호(顯益號)로 인천을 출발하여 4월 23일 법성포에 상륙하였다. 그는 4월 21일 장성 황룡촌에서 벌어졌던 경군(京軍)과 동학 농민군의 전투에는 참여하지 못하였으며, 4월 28일 전주에서 홍계훈 군과 합류하였다. 그는 그 뒤 동학 농민군 토벌에 참여하였으며, 그해 9월 동학 농민군이 재기하였다가 공주 우금치 전투에서 대패하여 수세에 몰리자 농민군 토벌에 적적극으로 나섰다. 이해 겨울에 황헌주는 그의 부하에게 지시를 내려 태인현 종송리(種松里)에 숨어 있는 농민군 지도자 김개남(金開男)을 체포하였다. 황헌주는 그해 12월 임실현감(任實縣監)에 임명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小山梁公行狀 公諱琠。字性玉。小山號也。吾梁之先肇基乇羅新羅時。渡海而朝。王大悅。賜星主王子爵改良錫。今姓麗史大顯。爲東方望族。我靖陵己卯惠康公學圃先祖。諱彭孫。與趙靜菴佐文明同禍。同享竹樹書院。第三子諱應鼎。文章達于中國。官大司成。號松川有四子。季諱山軸。壬辰亂與二兄生員忠愍公。禀命于母夫人林氏。從金健齋千鎰倡義旋歸養。丁酉再氛全家。避鋒于羅州三鄕浦。猝遇賊。朴夫人投海旣救。復立節與生員公同溺。殉孝皆旌閭。詳累世誌狀。有遺腹諱曼容。官西飛翰林。至應敎錄寧國勳。享五賢祠。生諱世南。孝除參奉。號龍江。生諱克家不仕。生諱夢旭。以經明行誼。除別提。寔公七世。高祖諱耉。曾祖諱萬永。祖諱相海。世著文行。考晩齋諱璿默。屢薦學行禮曺優奬。妣星州李氏敎豊女。以洪陵辛未四月四日生公于寶城可川第。容儀俊爽。目光炯明。五日不啼。三歲起步。五歲解語。晩齋公擬晩成大器。翌年受白首文。凝睇不讀。試叩之應對無滯。十歲左右讀通史小大學或問。成童通論孟詩書。識要旨。次年夏習公車于薪田外氏家。古風詩表推步。長者老宿稱賞。秋歸玩易二年間。探賾鉤玄。手不釋卷。十八入恩津宋都正憲岳甥舘。一時文士。見文藝夙就。動止安詳。幷許伯鸞淸高。壬辰以晩齋公命。移寓高山密坡谷。尋遷恩津禹基。湖中士夫。命子弟及門請學。黌舍不容。公常病罕接賢俊。無以展拓。贄謁于宋蘭谷金心菴二先生之門。得聞古人爲學之方。遂慨然曰。聞道有早晩。立志必堅固。庶幾入乎君子之域。不失爲篤學之流。自是倍加刻勵。循環經傳曰。沈究論孟。知聖人行道之心。出入詩書。陶陶如躬。自涵泳薰沐於王化之熙皥。又曰。如何而致吾君於堯舜。躋生民於唐虞之治。余於聖賢之言。雖無所得。猶知孝於親。悌於兄。信於友。然先聖言立揚顯親。顧無其道。於聖爲罪人。於親爲不孝。此皆公自得自道之言也。公雖遵命旅屑。每曰。思家徒步杜甫之月登山輒望。狄公之雲離違二十年。妄作三百里孤客惸惸。此懷誰與吐露乎。時月之間。書候不絶。癸卯乙卯。丁內外艱。聞癠馳至。湯藥親嘗。葬卒而不忍歸。伯氏公慰解之曰。湖西植姓。先考深意。君湏體念。言忠行篤。不失吾家法。雖在千里外。何孤而踽踽哉。果能遷喬悅。周公仲尼之道。吾父九泉之靈。必莞爾悅豫矣。强而後公揮淚而別。旣還朝而斫薪。暮而燃燭。矻矻用功。怡悅隴雲。歌詠叢桂。當諱忌之月。先期供需躬來獻賢。癃年不病不廢。以遂終身之孝。見世變日深。聖學爲人所諱。遂書師門曰。講磨典謨之訓者。歸之迃濶。誦說洙泗之言者。目以腐儒倫常斁。絶吾道榛塞吠雪之犬。狺齕猖獗。將置身何地。潔淨自守。無忝所生乎。蘭谷奬詡。以信道篤立志固公居。常訓門人子弟曰。親愛仁也。睦婣仁之推也。一人親睦。一家興仁。一家親睦。一國興仁。正倫理篤恩愛。爲家國之本。君臣父子。各有名分。名分正。則上下貴賤尊卑。有序而不紊。此所以維持國網振勵頹俗也。吾道興替。實由名分之正不正。今我鰈域。蹄跡交橫。冠屨倒置。儒風掃地。生民塗炭。寧不寒心哉。公枕水漱石。自是山中之幽人。談風哢月。只效洛中之吟社。或以詩暢懷。述文自警而已。聲望播於南北。雖樵叟街童。必稱小山先生。而敬尊之。公持身謹愼。坐必肩背竦直。有如喬嶽之象。及其接人。藹然如春和之容。平生無不悅於人。自悔於己。豈非季世淳儒哉。歲丙申壽八十六。以五月十九日。蚤起冠櫛。巳時就枕。恬然而逝。訃出護喪。儒林三百餘人。及葬挽誄百軸。家後東麓子坐。配宋氏同原。擧二男二女。男會康會。畢女適昌原黃祐容。淸州鄭知容。悳承正承。金一中。柳成熙。長房子壻也。鈏承銑承安承光承虎承。黃琯益。睦相春。次房子壻也。悳承男東吉。嗚呼。公以謹敏之姿。下篤實之工。內襲家庭。外受師友。南州名閥。湖西風化。兼濟一身。所尙者德義。所務者名敎。知見由是而高。文辭由是而達。案上淸篇。熟知芻豢之味。峽裏布褐。莫窺菽栗之歡。學子坌集。潜光表著。賓明論。文英華發。見公雖深藏不市。世自有知者知矣。念昔壬子冬。晩齋公。負門望鎭鑑。譜役公陪駕來臨。晨夕視饍。扶持洞屬。此猶公疏節。會甲有所警發者數月。翌年四月出遊沃川永同間。擬床拜未獲。替書鳴情。公寵答優之。勉學問繼家聲。感切猥越矣。其後風霜五十年。信息阻絶。邇來存沒之感深矣。公長姪會喆氏。八十之年。草行錄委命。櫽括爲狀。讓于門人。不獲案焉。踰年遂參公遺著。增訂貢愚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04년 강화군(江華郡) 육영계좌목(育英契座目)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사회-조직/운영-계문서 甲辰十一月日 黃斗碩 甲辰十一月日 黃斗碩 인천광역시 강화군 11개(적색, 정방형)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1904년(광무 8)에 황두석(黃斗碩)이 작성한 육영계좌목(育英契座目). 1904년에 黃斗碩이 작성한 育英契座目. 강화도 지역에서 유학의 발흥을 위하여 육영계를 조직하고 작성한 명단. 17명의 명단이 실려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94년 황익형(黃益亨) 고신(告身) 2 고문서-교령류-고신 정치/행정-임면-고신 康熙三十三年七月 日 黃益亨 康熙三十三年七月 日 肅宗 黃益亨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HIKS_Z001_01_A00001_001 1694년(숙종 20)에 숙종이 황익형(黃益亨)을 어모장군(禦侮將軍) 행충좌위사정行忠佐衛司正)으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교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農軒邢公墓表 綾之道莊里甘傍谷負巽原。農軒邢公甫烈四尺之封在焉。嗣子時億請表阡文。辭不獲。公上祖唐學士顒東來興文化侍中昉。尙書承緖。尙書左僕射。公美聯世大顯僕射。封晉陽君。遂爲貫。我中宗朝有自寬。歷南平河陽錄淸白吏。屢傳而野隱振元。有德行。竹圃學運薦孝。公祖父父。妣密陽朴氏考元鎭。哲宗壬戌生公。生而穎悟。形貌端重。器宇弘大。屹然有巨人象。言笑行止。無違規矩。從父兄晩悔道烈撫背。言此兒必大吾門。鄕里長老。不以童稚易之。松沙奇先生。訪鄭日新。道過公宗家。聞公讀書聲。稱才性過人愛之。誨誘無已。見者稱括目。公一生好德積而能散。待人接物。各適其宜。振家聲動鄕譽。皆許其秉彝率天。有疑難來問者。擧兩端分析。可謂片言決獄。蓋其辭理明白。自卑尊人無衿伐之色。故人多欽服愈親信。勤儉爲家。於義所當爲者。切不儉約。子姪或有忤於父兄長老。據理訓責。不以聲色加之。言無不入。故皆感服其德行。親戚鄕黨。愈敬畏之。辛丑十二月十三日卒。二配南平文氏思鴻女。有貞媛閨範。生一男時億。癸卯三月二十九日歿。墓合兆。淸州韓鍾采女。生二男三女。男時德時雲。女適密陽孫五會。金海金鍾萬。坡平尹定鎬。孫男相旭哲旭仁旭仁九。女晉州金東淳。南平文春根妻。長房出龍旭龍九龍乙。仲房出采旭。季房出噫。公自少著文學善行。內而晩悔公愛之。外而松翁奇之。同坊謹飭之士。如金望華榮斗。志氣相合。日夕從逐。言志講世時億。又與望華之子。禎奎有儒行親切云。其家風可見。族姪時伯撰狀詳悉。略加檃括爲阡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芝山金公墓表 余每過判書金公之閭。必式躬致敬。芝山海炫字永日。寔公十二世孫也。嘗與之同處。月谷三芝齋。殆歲餘見氣貌。若不揚言語甚寡訥。不以世間利誘搖奪。家牒所載淸白砥柱。無乃謂是歟。推此以往。不累世俗汚染。亦其次也。內行之慈孝友恭親戚。鄕里之稱歎。皆非過語也。歲辛巳。余過其廬。見老病侵尋。乃以翌年壬午十二月十七日卒。距生洪陵甲戌。爲六十九。葬州地淸豊面佳亭村後坤坐。金海氏。出駕洛首露王。歷羅麗至本朝。判書諱湜。甲子适亂。戰亡錄勳貤。贈旌忠。父相恒。祖瑞泰。曾祖命元。贈左承旨。外祖晉州蘇洙麒。齋南平文相休女。後公十二年癸巳。歿於七月二十二日。墓佛堂洞子坐。擧二男二女。男在忠在旭。女閔炳雲安澈洙。在忠男龍鎬。泰鎬在旭男萬鎬。一鎬閔春基閔勝基外孫也。餘不錄。在忠謁余表阡文。知生知死。同鄕之誼。豈忍以老病辭。强筆塞白。公能尙記。余賞此否。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902년 황우영(黃祐永) 관고(官誥) 2 고문서-교령류-관고 정치/행정-임면-관고 光武六年十月六日 議政府贊政外部大臣署理外部協辦崔榮夏 慶興監理兼慶興府尹黃祐永 光武六年十月六日 崔榮夏 黃祐永 서울특별시 종로구 施命之寶 1개(적색, 정방형)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HIKS_Z001_01_A00039_001 1902년(광무 6)에 의정부찬정 외부대신서리 외부협판 최영하(崔榮夏)가 경흥감리겸경흥부윤(慶興監理兼慶興府尹) 황우영(黃祐永)을 겸관해삼위통상사무(兼管海蔘葳通商事務)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관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693년 신여호(申汝豪)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康熙三十二年四月日 行縣監 申汝豪 康熙三十二年四月日 興陽縣監 申汝豪 전라남도 고흥군 行縣監[署押] 고흥 당곤 고령신씨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HIKS_Z003_01_A00003_001 1693년(숙종 19)에 흥양현(興陽縣)에서 신여호(申汝豪, 65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1693년(숙종19) 4월에 興陽縣에서 申汝豪(65)에게 발급한 準戶口. *주소: 道化面 第十 堂昆里 第統 第四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37년 신준극(申俊克) 홍패(紅牌) 고문서-교령류-홍패 정치/행정-과거-홍패 丁丑八月日 業武申俊克 丁丑八月日 [1637] 仁祖 申俊克 서울특별시 종로구 科擧之寶(적색, 정방형) 고흥 당곤 고령신씨가 고흥분청문화박물관 HIKS_Z003_01_A00021_001 1637년(인조 15)에 인조(仁祖)가 신준극(申俊克)에게 무과(武科) 병과(丙科) 제367인으로 합격했다고 발급한 홍패(紅牌). 1637년(인조15)) 8월에 仁祖가 申俊克에게 발급한 紅牌. *武科丙科第三百六十七人及第出身 *籤紙(前面, 황색): 業武申俊克武科丙科第三百六十七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松菴尹公墓碣銘【幷序】 人生天地之間。立身揚名。事親榮養。以竭爲子之誠。事君輸忠。以盡爲臣之義。不然投身閑曠。木食澗飮。讀好書做好人。甘作聖世逸民。豈不是終身事業。松菴尹公。諱鍾善。平生所誓。公事親。一擧足一出言。不敢違越其旨。愉婉之色。達於面貌。叱咤之聲。不及犬馬。志體兼養。平居終日危坐。對案看書。暗室整衣。念誦。夜分而寢。言忠信。行篤敬。正衣冠。尊瞻視。書揭左右。常目在諟雅言。此孔朱要訓者。不可須臾忘忽。若一時間斷心。便外馳莫知其鄕。晩年有林樊之趣。遯于大德山中。扁堂以松菴。自適於山水間。怡養於書史。做畢生究竟法。雖候蟲時鳥。自鳴自止者。寓情歌詠。以逸民終其世焉。公字允善。松菴其號也。尹氏籍海南。鼻祖諱存富。左議政諱桓。高麗司醞直長同正諱琠。皆其顯閥。屢傳至諱孝貞。號漁樵隱。受業于崔錦南之門。以成均生員。贈戶參。是生諱行。號拙齋弘文校理。歷八州牧陞同樞。六傳諱蓮。自海南始居靈巖。公高祖。曾大父諱道男。大父諱守堅。父諱敬錫。兩世稱好學篤行。妣河東鄭氏時夏其考。幽閑有婦德。以正廟甲辰重九前一日生公于龍盤村第。天姿淸粹。容儀端雅。自齠齡不戱謔。對儕兒口絶俚語曰。悖出者必悖入。差辱及父母。遇一美味必懷而獻之。甫上學。自知劬書。不煩師敎。成童才學日進。語黙動靜。不中禮者寡。聞有學問節行爲衆所推服者。不計遠邇必就正。乙酉移家于南平松基里。敎授生徒爲巳任。庚寅有翩然遐擧之志。入多鶴谷。耽玩經籍。凡芬華聲利。一切泊如也。壬寅積祟寢㞃。以五月十二日卒。年五十九。屬纊時。公雙親在堂。公歎曰。有子不孝。使吾親遭逆理之慘。他日泉下何顔承拜。招其子託善養老。言訖而逝。訃出師友莫不悼惜。葬于書堂洞負壬原。配密陽朴萬才女。孝舅姑執婦道。後公二十四年歿。墓合兆。擧四男福浩聖浩琪浩化浩。福浩無嗣。聖浩二男。柱甲系伯父後。柱模叔季幷無後。嗚呼。公以立揚顯親爲孝。輸忠畢義爲志。志行一出於自誓中。韓子曰。士不得於朝。則山林。公其流亞歟。曾孫淳夏恐其流光潛德。日遠就滅。追述以藏之久矣。玄孫在黙在奎在熙與宗孫在萬。謀伐石表隧。在熙抱其考所撰家狀與在萬同來。屬筆顯刻。顧人微文下不敢膺命。以余曾撰其考狀稔。家德督益至。謹撮爲銘。銘曰。漁樵有孫。松菴寔賢。孝父忠君。誓以兩全。得之不得。曰有命焉。放跡山水。寄想煙霞。木食澗飮。敦實斂華。幽鳥棲林。雲木吐花。讀我好書。做我好人。囂囂自樂。聖世逸民。多鶴之阡。昭刻貞珉。我揭銘詞。永裕萬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孺人金氏墓碣銘【幷序】 芝隱鄭公諱瑀欽。室孺人金氏。未五十而崩城。躬持門戶以致饒。育五子女嫁娶。壽九十七而終。長子漢丞。生能盡其歡。亡而事如存。軆髮全於混毁之世。喪禮行於旣壤之日。具冠裳曳杖而來余言。丈人旣表我先考墓。請銘吾先妣之碣。語多委曲惻然。不忍病辭。謹爲之役。孺人貫靈光月峯光遠後也。曰同知泰垕。曰夢極。曰尙潤三世也。郞州崔慶源其外祖。哲宗癸亥生。幼穎異。內奉母敎。外受父訓。幽閑有德。壬午歸芝隱。芝隱晉州著族。諱奎炳仁耆運忠邦燁。高曾祖禰。忠莊公苯其顯祖。金海金應吉女。其妣孺人。入門之初。見貧無以爲家。不作於意。孝舅姑敬夫子。恩不遺卑幼。義無咈娣姒。自以介婦恨不常侍舅姑。分家賜谷。三載奉養。柔婉晨昏。有善事之稱。芝隱有學有守。辛亥以時憂成祟危㞃。孺人血指。甦一晝夜竟不救。孺人痛不欲生。幼孤滿前奉。三喪如一。日執麻枲絲繭。勤紡績。量入計出。家勢稍溫。常戒其子曰。人情由儉入奢易。況由怠八勤乎。爾祖勤儉耕讀。以守先業。則吾死暝目。己亥二月六日。恬然而卒。葬所居自耕洞項越峴負丙原。二男漢丞漢烈。三女丁克壽黃祐哲安載京。長房孫麟采旻植。次房孫金植吉植。曾孫男熙晢燃澤麟采出熙國熙文熙泰金植出。餘不盡記。狀曰。孺人之孝之烈。不見知於世。雖無加損。而其懿行泯沒無傳。豈非子孫寃恨乎。今見其錄。足以起後人之敬。漢丞恢其母貲。除蔀屋結新舍。居移氣養移體。踰耄耄而康寧。庚庚兵火。負母避亂。入蓉山中。再更冬而還。見家宅半燬。葺理如昔。無恙十年。享壽仙化。莫非孺人善報。遂撮而爲。銘曰。府公合葬。據禮當然。地宜所從。卜此吉阡。子孫熾昌。報旋有天。苾苾芬芬。香火永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奇惺石文 嗚呼。惟我蘆沙老先生。先師松沙少先生。積德累仁。殆百有餘年。子姪之爲琪林玉樹。知善報之有天。宜受百綠。享壽無窮。何石堂兄以庚午卒。惺石老兄以辛未。玉蓮翁明居兄。又以去年壬申終也。天固難諶。而氣數之舛如是耶。況石兄與明兄。纔踰五旬而止。老兄與蓮丈。回甲前返。眞仁者必壽。理亦有不遂。而三年間如是未申耶。嗚呼。先師之與兄也。猶父猶子也。以宗姪也而遇之踰於已。似以父師也。而不以諸父事之。家德之美。前古罕比。後祿綿綿。受多福履。豈非理有可信天有可恃耶。嗚呼。老兄仁孝慈厚。性行淑均。謹勤端詳。處已溫溫。待群從如弟。友愛推恩。敎子有方。文足以賁身。白眉之賢。繼述家學。接人寬容。祖孫賓客。往來頻蕃。各輸款洽。非遵守先訓。益懋崇德。何以致得乎。且夫域內儒賢後孫。不爲歐氛所混者幾希。兄家子姪。以先王衣冠。父母膚髮翩翩。遵大路而有威。人莫不敬。其擩染扶植無忝。所生之義也。年壽未高。實惟所憾。而此一着足以報答先志。六十年行已之餘。亦合沒吾寧也。舊日從逐。如愚者。豈不有與榮耶。嗚呼。湖嶺章甫。校集澹軒。晨起灑掃。修補牕壁。以身率先。飢飽寒暑。周旋躬察。要使安寢。居適節宣。及夫美愼。經冬調藥。必於是曰。一息在喉。甘苦與同。同時而處。孰不感衷。每以此時摻。余手而言。猶父恩德。至死難忘。今將歸侍。若平日唱喏。君輩努力卒事。吾可暝地下之目。此雖謙恭自道一。心炳丹窺而可測。及在京館。千里相望。遙祝遐壽。他日歡娛。復如平昔。奄見訃書之忽迫。前言在耳。淚盈眶胸。欲塞牽務甚劇。沒不含葬不訣。仲秋一唁。古所謂弔也歟。千古之哀。百年之誼。不忍可說。制服之身。操文奠誄。非其日也。今纔以一盞野漉。設于素幄。逝肯適我。輒索飮而傾巵。今我來斯。庶不謂菲薄而歆玆。嗚呼哀哉。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