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900년 황우영(黃祐永) 관고(官誥) 2 고문서-교령류-관고 정치/행정-임면-관고 光武四年九月二十一日 議政府贊政宮內部大臣署理宮內府協辦尹定求 外部主事黃祐永 光武四年九月二十一日 尹定求 黃祐永 서울특별시 종로구 宮內府印 1개(적색, 정방형), 印 1개(적석, 정방형)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HIKS_Z001_01_A00039_001 1900년(광무 4)에 의정부찬정 궁내부대신서리 궁내부협판 윤정구(尹定求)가 외부주사(外部主事) 황우영(黃祐永)을 시종원분주사(侍從院分主事)로 임명하면서 발급한 관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後營將爲差定事束伍中部天摠差定爲遣閤下仰照驗施行須至帖者右下閑良金禎集準此嘉慶十四年二月 日差定營將[帖][着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79년 김재풍(金載豊) 소첩(小帖) 고문서-교령류-차첩 정치/행정-임면-차첩 光緖五年正月日 金載豊 光緖五年正月日 金載豊 전라북도 전주시 [着押] 1개 [印]정방형 7*7 3개, [帖]印 1개 고산 신평 경주김씨가 전주역사박물관 『경국대전』 전북대학교 박물관, 『박물관도록 –고문서-』, 1998. 전경목 등 역, 『儒胥必知』, 사계절, 2006.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08. 한국민족문화대백과(http://encykorea.aks.ac.kr/) HIKS_Z002_01_A00009_001 1879년 관찰사겸순찰사(觀察使兼巡察使)가 통정대부(通政大夫) 김재풍(金載豊)에게 소첩(小帖)을 발급하였음을 확인해준 문서. 1879년 1월에 관찰사겸순찰사(觀察使兼巡察使)가 통정대부(通政大夫) 김재풍(金載豊)에게 소첩(小帖)을 성급(成給)해 주었음을 확인해준 문서이다. 김재풍은 이 달에 나이가 90세가 넘어 법전에 의해 통정대부(정 3품)로 임명되는 고신을 받았는데, 관찰사겸순찰사가 이를 확인하는 의미로 발급한 첩이다. 이전 시기와 달리 고종 연간에는 이와 같은 노직으로 승차되는 사례가 많이 나타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東溪梁公文 嗚呼哀哉。惟公禀質。謹敏而醇。莊重簡黙。以禮律身。文學天成。齠齔成人。弱冠前後。聲噪鄕隣。初意功令。觀國之賓。得之有命。中途回輪。從吾所好。經傳之文。淡中求味。取實斂芬。晝或忘食。夜不就眠。學問宗旨。聖謨賢訓。究古爲己。激昻而奮。一原混瀜。二五交運。曰性曰命。理分氣分。主宰能所。四七之論。上道下器。人物偏全。矻矻用工。積數十年。曰我蘆華。近世大賢。洞見濃郁。折衷群言。苦我生晩。幼不及門。私淑何尤。道在遺篇。敬若神明。沈潛精硏。怳然有得。斯未信焉。如將有質。吾可執鞭。蘆山嫡傳。老柏日新。尊畏講辨。其樂誾誾。柏翁書獎。新翁答陳。幷載于集。可覰傾囷。公不苟從。究思極辛。剖析以正。求知其眞。咀嚼肯綮。言下津津。有書盈箱。後學之珍。營築新舍。先人之基。拮据卒瘏。獨苦寡知。述古裕後。畢生爲期。泣岐東西。世莫我師。飮水看書。終老於斯。素抱未展。白首永歎。卷懷以歸。其死也。安甲也蔑學。閫奧莫窺。口耳訓詁。多少質疑。永慕往課。枵未充飢。竹林數月。程督不辭。邀友天台。講經留詩。文酒習禮。有事必追。微文末節。非我思存。望公靈光。藍附素絲。精微未叩。去道遠而。收我桑楡。已忽失時。公遽棄我。放仰復誰。我且悲公。公將我悲。蕪詞致悃。敬奠一巵。幼明若通。感應不遲。嗚呼哀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又梅梁公文 嗚呼。惟公負豪爽而不羈。喜通曉而不局。氣岸也千人可往。風稜也百夫難折。甁無儲粟。千金之得失。不以介意。身在布衣。百怪之倡狂。不以爲刦。傲視一世。放曠自適。用能闊狹。不爲齷齪。如可得意必不止。尋常人物。誰知乘除相禪。芬芳易歇耶。及公中歲。一門父老。長弟零落。百凡不虞。層生鱗疊。與公禦侮。解棼曲突。雖小有異。亦不害爲。同歸于一焉。先集重刊。腐心營算。屈年行而往來。收卑微而混合。十箭湊束。一愚聽納。八耋疲癃。客京數月。還値歲儉。公心勞極。榮州繡板。余始措畫。公雖寢疾。喜形于色。誰知越五日而皐復。又一旬而窀穸泉下之目。必知未暝夙志之成。幸爾遂約。公不在座。事多轇轕。同志助成。共無遺策。嗚呼。夫子之家奴未出。先祖之事蹟未悉。古文之壁。始開蘭臺之秘可述。是足慰先祖在天之靈。子雲堯夫。不必待於後日。公雖不見集而歸。如得侍於泉裏。儻復以出於史者。質諸當日之行。果無爽實否。二界之幽明昧昧。一理之感通邈邈。弆新集而奉展。奠菲儀而洞酌。悲辭塞而淚迸。微意達而哭咽。嗚呼哀哉。尙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竹菴朴公孝行碑 昔先王之世。旌別淑慝。表厥宅里。有國盛典。而自洪陵甲辰以降。遂廢不幸。其何以樹風哉。挽近孝子慈孫。槪多立碑紀蹟。垂是無窮。是所謂義起也。謹按。高興校中。擧其郡朴公孝狀。通告光州鄕校。及湖南節義錄。刊所其褒獎。無有不至。公嗣子鍾夏。送其胤在淳。請文刻石。老廢窮山。無文無力。屢辭之。在淳言若不副則不歸。遂力疾以强之。公諱成圭。字曰周。竹菴號也。密陽人領相謚肅愍承宗。十一世孫炳七子也。生而剛直穎悟。耕讀養親。小學嘉言善行。誦如已言。與其妻淸州韓氏。躬執爨供甘旨。養兼志體。竭力盡誠。父廢憂懼。不離側。衾褥日三替代。呑吐食物自喫。不棄于地。遭故哀痛擗踊。喪葬以禮。三年居廬。不脫絰帶。不御酒肉菜果。昕夕省墳。失聲號哭。下山望楸。涕流如泉。其根天誠孝。可知也。公嘗於甲午東匪後。與申鳳南弘休。設呂氏鄕約。置善惡籍。春秋勸規。俗尙丕變。鄕黨欲薦公孝行于道伯者。累矣。公聞而止之。以公則謙讓。而身後公議。安得不起哉。且謂孝順還生孝順子。其家風已世矣。詩云孝子不匱。永錫祚胤。公子孫蕃衍。餘祿未艾。感歎而書之如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孺人靈光丁氏行蹟碑 夫死下從。未必以一槪論。死生各有所遇。舅姑在堂。夫爲長子而無嗣臨命之託。亶由孝友保家。婦當代修子道。守義終身。此於冠山李璋淳妻靈光丁氏薦狀見知矣。丁氏盤谷景達後炳一女。天性孝順。不哲不愚。有志操。母敎繡衿帶佩服治。女工甚勤。不有命不寢。聞古今孝烈。行斂容聽受。十八歸璋淳爲室。璋淳貫星山。父鍾韻。文景公稷。顯祖也。丁氏行不踰節。上堂起居。如事父母。禮敬其夫。夙興無違。及見疾祟駭。異蒼黃罔。指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30d5c0001.GIF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pixel, 세로 46pixel禳。願代其病。稍緩復肆。連所三指。延三日命。將至屬纊時。舅姑已老。夫弟琯淳尙幼。夫曰吾死無他備養。幼弟孤孑。惟君是恃。含淚而逝。丁氏幾絶還甦。喪葬衣衾奠需。誠信無憾。旣返虞。復絶食欲自盡。舅姑痛切。寬譬曰。吾今所賴惟汝。汝又如此。吾死無日。親戚驚救。丁氏强起視事。家素窶甚。機杼作業。菽水畢給。每食必具異。味舅姑皆以天年終。執喪盡禮。鄕邦輿論。許以雖士君子。無過于此。成娶琯淳。率其子相九爲夫。後敎之義。方克承家業。丁氏嘗曰。吾爲未亡人。由不絶李氏香火。今而後。夫託畢成已志。果伸旴可敬也。辛卯五月十日歿。距生庚寅爲六十二。坊里見聞齊聲。公議稱霜雪孤松氷玉。其身之操。褒薦成狀。而號籲無地。顧何以哉。相九念先蹟宜壽。公議難廢。謀勒石昭示。來永請余比事。屬辭謝病不獲。据狀備述以副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正齋集卷之十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希菴梁公墓碣銘【幷序】 希菴梁公。諱在慶。字汝正。濟州人。上祖新羅翰林學士洵。本朝學圃先生參奉應畢。其中世也。考松圃俊黙監役。外祖河東鄭承烈同樞。哲宗己未生。戊午至月二十七日卒。墓寶城彌力面隱谷壬坐。配竹山安。瑛煥女四男會寅會澈會國會淑。孫柱承鎬承桂承祉承。女閔鼎植寅。出吉承景承和承。女許城金在球魯炳允。孫永彩澈。出哲承烇承弼承琫承。女李容珍宣恭來宋泰福國。出兌承瑢承權承。女安秉石曺圭炯金榮洙淑。出柱承。男東錫東述東律東根。女鄭昌澤柳熙春浩承。男東燮。女李載榮。餘多不能盡名。柱承以宋後菴曾憲所撰墓表爲文多。不能刻。請余略敍世系生卒子孫。錄系之以銘。銘曰。德性溫和。志氣剛明。孝友忠信。述先畢生。就正淵勉。師聖友賢。紹興三義。立傳爲文。記事國朝。野史成編。華夷人獸。嚴辭明辨。君子小人。著說自勉。寒亭松柏。更明雲谷。貞操勵人。戒爾樵牧。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强菴廉公墓碣銘【幷序】 吾綾之風流峙。南山嶝負坤原。强菴廉公之藏。嗣子秉燮。齎家狀屬余顯刻。猥辭不獲。謹按。公四勿三省。書揭左右。取自强之義。扁以警省。卽此可知公矣。公諱馹洙。字雲瑞。廉氏系坡州。高麗太師烽城君。諱信若。謚孝文。曲城伯諱悌臣謚忠敬公最顯。松隱諱致中。同七十諸賢。入杜門洞。至我朝有諱順恭。世宗朝。以淸節聞。拜持平。不就遯羅州。講明理學。參奉諱浩。從靜菴趙先生遊。己卯禍作。遂還鄕家寶城。贈吏判諱世應。與朴竹川鄭蘭谷。講磿道義。龍蛇之亂。與弟世慶。赴任公啓英義。幕贊畫戎。務官主簿。贈禮判。十世以上也。贈監察宗咸。贈承旨仁厚。贈戶判在貞。高曾。若祖諱。考諱基鉉。號五山。壽躋九耋。以優老通政。耆社覃恩。升戶判。追榮三世。妣宜寧南氏鍾海其考。有婦德。哲宗丙辰九月十四日。生公于鳳德坊鰲山第。自幼孝爲天植。授小學灑掃應對出告反面。克遵無違冬夏晨昏。一如所學。家貧甚忠養。不計有無。晩年力稍敍。山海甘旨。需時必致。母有疾。焦遑色沮。祈斗冀感。夙夜匪懈。五山公。癃寒甚㞃。至誠合藥。夢寐間。若有神指。公胃雪入山。得靈芝奏效。遭二艱。初終祥禫。禮無闕儀。年方六旬。行素省墳。不以衰有間。同産有四人。友愛甚篤無間。二弟夭慘痛無已。撫孤姪同已出。先忌宿齊戒。親烹調滌漑必潔。雖老不廢。冠昏禮不徇俗。有鄕道薦狀。載郡誌云。公以癸酉八月四日告終。訃出親戚鄕里。悲之曰。孝子逝矣。配慶州李氏通政慶嘩女。文孝公蒨。後稱壼範。庚午二月八日歿。別葬鰲山辛坐。一男卽秉燮。二女。適李鍾萬金泰珍。秉燮二男。璟烈丞烈。李壻三男。石淳龍淳亮淳。金壻一男。正錫。璟烈一男。圭洪。丞烈三男。圭鍾圭尙圭馨。公事行足。爲後昆典範。而秉燮嬰病多。故恐不以時收貽。千古之恨。將伐石備陵谷。其孝可稱。謹爲之銘。銘曰。孝本天植。百行可推。生死葬祭。禮無所虧。三省四勿。座右常目。若公若行。衰季之特。風流楸檟。我戒樵牧。以母輕折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通德郞梁公墓表 吾綾之松石亭。南壽德谷負巽原。通德郞梁公。諱成鳳之藏也。公篤於孝友。博涉經史。精於大易陰陽之理。仲氏明川公成龜。自江亭。新設基鳳下村屋。向北避南。面以謹臣分。公同居湛翕。凡爲親具旨。雖鷄彘常饍携往。伯氏供饋。苞其餘還知味。明川公卒于京第。公返葬先塋。絜幼還撤。衡寒積崇。以丁未正月二十九日卒于家。距生英宗壬戌。僅四十六。嗚呼短矣。公字乃見濟州人惠康公學圃先生。爲九世祖。高祖禹甸號鰲峯。著文行之瀣。大夏曾若祖。考益相。鎭海縣監。妣黃州邊氏進士修孫致昇女。配恭人密陽朴敬和其考。別葬鳳下村後麓乙坐。男澤鉉。孫殷浩。曾玄益蕃衍。餘庥蓋未艾也。玄孫石塢公奎煥。殫誠鳩財。伐石將表墓。未就而卒。宗孫會百氏蕫諸宗。竣其役。命一言述行。欽慕不敢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戶曹參判邊公墓表 長城府長安里杜鵑洞巳座原。贈戶曹參判邊公諱得周之葬睪如。今距公沒百四十有一年。尙闕顯刻。玄孫鎭權。使族姪時淵。謁余表隧之文。老病不堪役。宿與時淵知。知其家德。遂据狀略書。公字文汝。邊氏出黃州。高麗泰川伯諱呂爲鼻祖。至諱靜官中軍司正。屢立戰功見忤賊旽。因南遯。遂爲長城人。國朝有諱德胤。遊金沙溪先生門。丙子恥南漢事。晦跡明亭山中。自號明山。有詩言志。崔遲川。屢薦于朝。除參奉不就。寔公五世祖也。諱益信。晩菴李相公。稱志節學識爲南中一人。鳳菴諱光孝。早入尹明齋門。著孝學行。遯菴諱佸。禀學韓南塘。亦以孝學行。屢入繡啓道剡擬洗馬都事。未蒙點。而沒人咸惜之。門人加麻者衆。贈僕正諱致賢。善文章隸書。屢魁鄕解。名登筆苑。贈左承旨。高曾祖禰也。高靈申夫人妣也。歸來亭末舟後鳳集女。英宗辛卯公生于長安里第。自幼勤學。遯菴公不加程督。公矻矻不已。以門戶計治。功令業精。而屢屈家貧。養親極誠。克孝友于篤至。與二弟別出資營辨。承旨公甲宴稱慶。未及日而卒。純祖癸酉三月八日也。年僅四十四。以子貴階嘉善參戶曹。齊二原州李氏早歿。光州金氏重鳴其考。葬三合窆。擧二男相眞壽同樞敬模。過房孫三男二女。瑞容采容通政。出后敬模載容。朴喆炫妻。崔遠妻。噫。公生父祖以上。世世出入儒賢之後。亦嘗劬工不懈。若假之年。充廣成業。幼學壯行卒。養致樂。宜各就所志天胡奪之速也。父壽子夭。雖各有定命。豈無所憾于天。然永錫祚胤。留孝于其親。父夭子壽。耆社追榮及於身後。以此恩銜刻之石。而賁于泉幽。孝孫之誠。亦可表也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77년 황헌주(黃憲周) 홍패(紅牌) 고문서-교령류-홍패 정치/행정-과거-홍패 光緖三年四月 日 勸武軍官黃憲周 光緖三年四月 日 高宗 黃憲周 서울특별시 종로구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전북향토문화연구회편, 『全北地方의 古文書』1․ 2․ 3, 1993․1994․1995.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정구복, 『고문서와 양반사회』, 일조각, 2002.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HIKS_Z001_01_A00001_001 1877년(고종 14) 4월에 권무군관 황헌주가 무과(武科) 병과(丙科)에 합격하여 왕으로부터 받은 홍패(紅牌). 1877년(고종 14)4월에 권무군관(勸武軍官) 황헌주(黃憲周)가 무과(武科) 병과(丙科)에 합격하여 왕으로부터 받은 홍패(紅牌)이다. 당시 황헌주는 제 212인으로 급제하였다. 권무군관은 조선후기에 훈련도감, 금위영, 어영청 등의 세 군영에 두었던 관직으로, 양반자제들을 위한 자리였다. 황헌주는 조선말기의 무관으로 본관은 창원(昌原)이다. 1877년(고종 14)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강화도 출신이지만 1894년 동학 농민의 봉기를 계기로 전라도와 인연을 갖게 된다. 그는 1894년(고종 31) 4월에 강화도 수비를 맡은 총제영의 중군으로 있었다. 동학 농민군 토벌 임무를 띠고 전라도에 파견된 초토사 홍계훈(洪啓薰)의 증원군 파견 요청에 따라, 황헌주는 총제 영병 4초(400명)를 거느리고 4월 19일 기선 현익호(顯益號)로 인천을 출발하여 4월 23일 법성포에 상륙하였다. 그는 4월 21일 장성 황룡촌에서 벌어졌던 경군(京軍)과 동학 농민군의 전투에는 참여하지 못하였으며, 4월 28일 전주에서 홍계훈 군과 합류하였다. 그는 그 뒤 동학 농민군 토벌에 참여하였으며, 그해 9월 동학 농민군이 재기하였다가 공주 우금치 전투에서 대패하여 수세에 몰리자 농민군 토벌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해 겨울에 황헌주는 그의 부하에게 지시를 내려 태인현 종송리(種松里)에 숨어 있는 농민군 지도자 김개남(金開男)을 체포하였다. 황헌주는 그해 12월 임실현감(任實縣監)에 임명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行狀 先生諱會甲。初諱會乙。字元淑。號正齋。梁氏貫濟州肇祖良乙那。新羅時有諱洵。翰林學士封漢拏君。賜姓梁。高麗贊成諱碩材最顯。至諱思渭。始仕國朝。官直長。諱湛司僕寺正。始居綾州。諱以河。號睡月軒。贈左承旨。享三賢祠。學圃先生諱彭孫。文科選八湖堂官修撰。與靜菴先生。協贊王猷。北門禍作。以校理罷歸。享竹樹書院。贈正卿。諡惠康。第二子諱應台。明宗朝。官春統至直提學。三傳諱斗南。安東府使。有丁卯義蹟。於先生爲十代祖。高祖諱柱震。曾祖諱相龍。自月谷移居草坊。祖諱虎默。號嘯巖。望重鄕邑。考諱在德。號弦齋。及淵齋宋文忠先生門。學䆳行高。妣竹山安氏文康公邦俊后平煥女。貞淑有女士風。以高宗甲申三月二日生先生于草坊第。禀姿頴悟。慷慨有器局。六歲受讀千字文。於嘯巖公。問霜字義。嘯巖公曰。不曰結爲霜乎。曰然則霜結爲氷乎。使詠乾柿。卽應曰。貫貫如竹節。十枝菊花黃。又詠鏡曰。一人對二人。何無言語通。就傅問天高地廣幾何。日月星辰大小幾何。塾師不能答。乙未嘯巖公。違世。隨長老。哭奠如成人。見者稱嘆。淵翁南遊月岳。遂省私弦齋。弦齋公使之謁見。淵翁甚奇愛之。問讀何書。對曰論語三卷。淵翁曰。古人十五入大學。汝十五讀大學了。方讀論語。能曉義否。因謂弦齋公曰。前頭有望可善敎焉。讀詩滿三百遍爲度。至節南山章。一朝若有得。自是文義滂沛。不煩師敎。出入于鄭日新。鄭月坡兩先生門。講質經義。嘗有志立揚。兼修擧子業。庚戌國恥後。抛揮之。反而求之於本原之學。甲寅春弦齋公。命往哭宋心石終祥。謁族譜序。於趙尙書鍾弼。因奉審深谷書院。拜止齋宋公於湖酉。秋往拜吾叔祖松沙先生。請校學圃先生年譜。是歲贄謁松翁請敎。答曰所示足見雅意。君子之可貴。小人之可賤。猶是常談邪說之可惡。爲今日急務。能言之力。及於餘人。則豈不爲大業在此乎。自是摳衣益勤。講近思錄太極圖說西銘等書。字求其訓。句解其意。反覆問質。劄記盈帙。潜思力踐。不知不措。先生亦知有傳授樂與之講討。丙辰秋遽値樑折。自初終至。襄奉誠信。勿懈酬應。各有條理。植齋奇公。每稱佳士。庚申秋赴先師緬襄于武夷山。是歲撰先師行狀。己巳遭內艱。哀毁盡禮。庚午士林營刋師集。諸儒咸慰存曰。沙溪先生。方居喪於栗翁。後事身臨規畫焉。子盍依諸且有親命。不得已往來校勘。甲戌建先師影堂于竹林精舍西。時倭政苛酷。凡係慕賢奬忠之事。一切沮止累被訊詰。而辭遜理直堂。遂免毁焉。癸未丁弦齋公憂。哀毁準禮。不以衰年而漸弛。乙酉倭撤歸。公喜曰。身見讐賊之退。快若披雲覩天。是歲冬影堂享祀。成額曰。高岡。乙未享蘆沙先生于北壁。配松沙先生于東壁。使域中多士矜式焉。且將晨夕瞻謁。爲依歸之所。辛丑七月十七日卒于正寢。享年七十八。葬村右卯坐原。配廣州李氏正會女。淸州韓氏宗錫女。二男長燦承次顯承。二女適羅州林鍾燕。珍原朴泰址。先生以敏贍之資。生於詩禮古家。陶化性情。又得賢師良友。培養其本原。故發軔旣正。造詣崇深。盖其爲學也。本之六經。所述者。聖賢之言。所造者聖賢之道。非辟之書。浮誕之行。未嘗近焉。居家也。本之孝弟。篤於近親。推及疏遠。皆有恩義。戶庭之內。和氣團洽。律身也。夙興盥櫛。對淸都明。窓棐几無一點塵埃。氣雖居虐政之日。守我法服。保我髮膚。扶竪已倒之太極。欲以拗過天運。於將來持心。則淸遐灑落。無芥滯猥。穰底意思。抖擻於或怠。澄淸於旣濁。要以不失性情中和之德。導迪後進。淳淳雅敕。各因材而勗之。不使馳騖於時程。常謂學者曰。今道術分裂。各立門戶。互相猜疑。甚庸慨嘆。吾儒旣不得有爲於世。則宜相同心協力。闡明義理。扶植綱常。以基剝底線陽。是今日急務。盖心性理氣之論。先賢有合言分言之殊。見其合言處。而立本。執其分言者。而主末。雖未得精一之妙。而其好善惡惡之大軆。未嘗不一焉。此義不可不知也。苟知得此理分明。則孔子言太極兩儀四象。周子言陰陽動靜五行四時。朱子言造化樞紐品彙根柢。皆一串貫事。又言自道理上出來。則道心。形氣上出來則曰人心。方道心之發。非人心藏在一邊。人心之發。亦非道心藏在一隅。各有主張也。亦非交肯幷出。雙立對峙。各別用事也。心之官思。思則得之。以御天下事。操則存存之。以立萬事之本。性情之德。中和之妙。莫非此心之爲也。嗚呼。先生所著。有文集八卷。風泉錄二冊。聖學源流十冊。藏焉。老章年後學淺。未足以窺造道之蘊奧。而我叔祖松翁門下。其能擔着斯道。終始不渝者。吾未見如先生焉。燦承草家狀一通要。余成狀。狀非吾敢而揆以先誼。亦不忍終辭。遂櫽括而叙次。以竢立言者裁擇焉。癸卯月日。後學幸州奇老章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春岡李公行狀 公諱禮善。字贊述。號春岡。李氏系出。璿潢讓寧大君有至德。諡剛靖。享至德祠。三傳諱緖。以秋城守。有風儀玉雪筆格鍾玉之稱。因金明胤誣獄。謫昌平縣。有夢漢之詩。賜環不歸。卜居潭州大谷里。子孫遂家焉。諱良秀諱珏。兩世禦侮將軍。諱湯年諱振馨。幷忠義衛。諱之龍諱廷吉。世業儒。寔公高祖以上也。曾祖諱致魯。德性純粹。器宇宏大。著孝友。无嗣取弟重老子彦容爲後。重老有文章德行。彦容孝奉俱至。生諱奎效性嚴。有威儀襲孝友。敎子有方。是爲公皇考。娶光山金氏玹彬女。不育。繼配昌寧曺氏南海女。著壺範。以洪陵辛未二月二十七日生公于潭之社倉里第。禀姿穎悟。才能言問。爲人子之道。八歲喪母。十二歲喪父。攀號三年盡孺子慕撫。幼弟勉戒曰。吾兄弟行或有失。必不免早孤不學之識。可不愼哉。雖與儕兒遊。言語必思而後發。人稱老成。愛庶母如所生。常行必咨而無自專。及長敬弆。平日所讀書帙曰。與其徒讀父書而無得。寧不如不改父道之爲愈也。必要躬行實踐。而力究之篤。守父祖家法。以牖後焉。每當先忌。前一日聞雞而起。灑掃庭除。滌器省牲。躬親而不使人。備泄終天之痛。家力稍溫。先置祭田。所與交遊。皆當世碩德之士。而與公同席。莫敢作怠慢之容。其見重於人如此。自庚戌無國以後。不復作當世意。杜門自靖。日以訓迪後進爲事。至丙申八月以佳午前三日。整衣冠理。杖屨而出。省累世先塋而歸。哭季弟靈筵。有若告訣于祖先及弟氏。示束裝遠行之意。葢他人不知也。翌朝蚤超。招子若孫。使跪坐膝前。諄諄戒之曰。人生於世。所事只有忠孝二者而已。言訖從容就逝。卽十五日也。權葬于所居里後麓壬坐原。遠近知不知助。奠柩前者。殆二百餘人。皆一時名家云。齊慶州李圭柄其考。文忠公益齋後。幽閒貞淑。自入門之初。喫貧樂業。先公十七年歿。葬公墓右麓壬坐原。生男女各一。男承煥。娶長興高箕周女。忠烈公霽峯後。女適文化柳喆重靖簡公石軒後。承煥生二男一女。男達秀昌秀女適新平宋昌秀。柳喆重有二男二女。餘幼不名。謹按。公生詩禮古家。資禀醇正。言行謹愼。早孤阨窮。自樹成立。以孝友爲政于家。井井有法度。喪致哀祭致敬。追叙蓼莪之痛。敎子課孫。勉守箕裘之業。余雖不接公典型。据其狀。可想像眞面。馳葭露之思矣。公沒才三朔。孝子承煥。恐公事行或湮。使鄕里通家朴友永鳳草狀。命達秀來余。請有以商其狀。余老朽無文。盍以已成者。乞銘于長德也。達秀督愈勤。朴友傍言之不已。同省世契不可孤。第念公以至德大君肖裔。當屋社之秋。雖有願忠之誠。徒切山河之憂。自不形諸言。而隱忍爲痛知大限。將至展拜先塋。整暇以善終。戒忠孝於子孫。示獻靖而歸。其志後人。必自有知者知矣。故以是表出爲狀。庶立言者。採擇闡幽之矣。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94년 전주 주진장(全州駐陣將) 전령(傳令) 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정치/행정-명령-전령 甲午十二月卄五日 完城駐陣將 高山公兄 甲午十二月卄五日 全州駐陣將 高山公兄 전라북도 전주시 完城駐陣將[着押] 3개(적색, 정방형)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박병호, 『韓國法制史攷 : 近世의 法과 社會』, 법문사, 1974. 최승희, 『增補版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1989.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HIKS_Z001_01_A00010_001 1894년(고종 31) 전주주진장(全州駐陣將)이 고산공형(高山公兄)에게 내린 전령(傳令). 1894년(고종 31) 12월 25일에 전주주진장(全州駐陣將)이 고산공형(高山公兄)에게 내린 전령(傳令)이다. 심진(沁陣, 강화도 유수영) 참모관(參謀官) 김상규(金湘圭)가 동학도를 체포하기 위해 군병과 포교를 거느리고 고산 지방에 잠행하니 괴수 체포에 조력할 일이 있으면 출력(出力)하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傳令 高山公兄沁陣參謀官金湘圭以匪徒捕捉事率其丁與捕校潛行汝矣官地方爲去乎須於魁首捉得之際如有助力之方是去等另爲出力無至疎虞之地宜當向事甲午十二月卄五日完城駐陣將[着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95년 황우영(黃祐永) 관고(官誥) 고문서-교령류-관고 정치/행정-임면-관고 開國五百四年閏五月六日 外部大臣金允植 黃祐永 開國五百四年閏五月六日 金允植 黃祐永 서울특별시 종로구 2개(적색, 정방형)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HIKS_Z001_01_A00039_001 1895년(고종 32)에 외부대신 김윤식(金允植)이 5품 통훈대부(通訓大夫) 황우영(黃祐永)을 외부주사(外部主事) 판임관(判任官) 3등에 임명하면서 발급한 관고.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