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7년 황헌주(黃憲周) 홍패(紅牌) 고문서-교령류-홍패 정치/행정-과거-홍패 光緖三年四月 日 勸武軍官黃憲周 光緖三年四月 日 高宗 黃憲周 서울특별시 종로구 강화 대산 창원황씨가 강화역사박물관 전북향토문화연구회편, 『全北地方의 古文書』1․ 2․ 3, 1993․1994․1995. 박병호 외, 『호남지방 고문서 기초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9. 정구복, 『고문서와 양반사회』, 일조각, 2002.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HIKS_Z001_01_A00001_001 1877년(고종 14) 4월에 권무군관 황헌주가 무과(武科) 병과(丙科)에 합격하여 왕으로부터 받은 홍패(紅牌). 1877년(고종 14)4월에 권무군관(勸武軍官) 황헌주(黃憲周)가 무과(武科) 병과(丙科)에 합격하여 왕으로부터 받은 홍패(紅牌)이다. 당시 황헌주는 제 212인으로 급제하였다. 권무군관은 조선후기에 훈련도감, 금위영, 어영청 등의 세 군영에 두었던 관직으로, 양반자제들을 위한 자리였다. 황헌주는 조선말기의 무관으로 본관은 창원(昌原)이다. 1877년(고종 14)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강화도 출신이지만 1894년 동학 농민의 봉기를 계기로 전라도와 인연을 갖게 된다. 그는 1894년(고종 31) 4월에 강화도 수비를 맡은 총제영의 중군으로 있었다. 동학 농민군 토벌 임무를 띠고 전라도에 파견된 초토사 홍계훈(洪啓薰)의 증원군 파견 요청에 따라, 황헌주는 총제 영병 4초(400명)를 거느리고 4월 19일 기선 현익호(顯益號)로 인천을 출발하여 4월 23일 법성포에 상륙하였다. 그는 4월 21일 장성 황룡촌에서 벌어졌던 경군(京軍)과 동학 농민군의 전투에는 참여하지 못하였으며, 4월 28일 전주에서 홍계훈 군과 합류하였다. 그는 그 뒤 동학 농민군 토벌에 참여하였으며, 그해 9월 동학 농민군이 재기하였다가 공주 우금치 전투에서 대패하여 수세에 몰리자 농민군 토벌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해 겨울에 황헌주는 그의 부하에게 지시를 내려 태인현 종송리(種松里)에 숨어 있는 농민군 지도자 김개남(金開男)을 체포하였다. 황헌주는 그해 12월 임실현감(任實縣監)에 임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