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十二年 月日康津縣考丁卯成籍戶口帳內古今島第一鎭里第 統第 戶軍官張武良年四十四甲申本仁同父弘祖學生德龍曾祖學生九田外祖金善安本金海妻金召史年四十四甲申本金海父愛連祖實曾祖延三外祖金元炳本金海率母金召史年八十九己亥率子泰彦年十四甲寅次子大彦年六壬戌次子聖彦年二丙寅等甲子戶口相准印行縣監[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緖二年 月 日 羅州牧考丙子成籍戶口帳內 新村面龍頭(前秋)里住第統第二戶幼學羅燾溢 年三十丁未 本羅州父學生厚集祖幼學時完曾祖學生聖采外祖學生李顯彬 本咸豊妻鄭氏齡三十丁未 籍羅州父幼學仁赫祖學生基杓曾祖學生麟運外祖學生梁錫圃 本濟州奉母李氏齡五十三甲申 籍咸豊仰役婢永德甲寅生等 丙子戶口自首者牧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九曲將窮眼豁然桑麻雨露見平川漁郞更覓桃源路除是人間別有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73년 나주나씨(羅州羅氏) 문안(門案)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羅州羅氏宗中事業推進委員會 羅州羅氏宗中事業委員會印 11顆(1.8×1.8)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3년 12월에 나주나씨 종중 사업 추진 위원회(羅州羅氏宗中事業推進委員會)에서 의연금을 낸 명단을 작성한 나주나씨(羅州羅氏) 문안(門案) 나주나씨(羅州羅氏) 유적지인 삼강문(三綱門) 및 금호사(錦湖祠) 개축(改築) 등 모선(慕先)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의연금을 걷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81년 동면각리식리전절목(東面各里殖利錢節目) 고문서-첩관통보류-절목 興陽縣監 東面 官<押>座首 宋 <着名>, 一別監 金 <着名>, 二別監 趙 <着名>, 戶長 李鎭祿 <着名>, 吏房 朴容德 <着名>, 承發 丁斗昊 <着名> [興陽縣監之印]15顆 고흥 동강면계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1년 5월에 흥양현에서 동면에 발급한 각리식리전절목 1881년(고종 18) 5월에 흥양현에서 동면(東面)에 발급한 각리식리전절목(各里殖利錢節目)이다. 주요 내용은 고을 백성들의 궁핍한 삶을 구제하기 위해 금전을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식리(殖利)하는 방안에 대한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庚午 隨行案2)都有司 朴烇3)高廷羽 柳在灌 金邦鉉 金聖錫 鄭潤成 崔來淳4)鄭東儒 奇象經 朴聖祿 鄭玖燦 高廷珪 柳榮錫 尹昇淵李志升 李洙鳳 金龜鉉 李鉉? 改名鉉求 金致浩5)宋守邦 朴聖? 柳東賢 朴聖達 李載燮 李圭鉉柳泰邦 高時赫 宋守大 閔震煥 高時億 朴聖三6)柳在洪 尹相鉉 李儒眞 柳相喬 奇師儉 李歸遠金璋鉉 金宗欽 朴東修 梁必泰 高時誾 崔有淳7)高時道 柳在瀛 金燦鉉 李箕疇 朴聖瀷 李景燮李圭? 高廷礪 柳東殷 李持安 柳弘喆 奇象龍8)朴孝鑑 朴良鉉 奇濟國 柳秉圭 李箕鑽 奇象春李志華 朴正鉉 金鉉圭 尹玉 金漢鉉 柳震圭9)朴海宗 李敦忠 高時珏 改名時新 朴履永 尹垣朴絢 朴澈休 高時瑜 李圭哲 朴孝燁 李斗鉉 朴泰休10)李東夔 李正浩 申宜祿 李惠疇 朴喆鉉 朴孝興李箕鈺 朴鼎植 奇師益 李基沃 李三鉉 朴世基11)執事李亨弼 吳相日 金重玉 金德瑢 朴宗燮 梁碩源宣始赫 吳相殷 崔相吉 白受鉉 千宗民12)崔昌翊 朴元祐 李達學 崔相八 程希明 姜周益金致鎰 李宸澤 金致鐸 鄭夢國 梁俊源 金載燁13)程東殷 宣快龍 崔得龜 朴學觀 金龍之 河成采李達周 黃廷元 盧鳳觀 鄭五哲 田光喆 全伯運14)白復觀 文仁弼 白守泉 金龍得 李圭采 金廷植河英 崔福淡 金振聲 李華伯 金元喆 金漢喆15)金贊應 陳繼漢 朴致榮 鄭夢昌 朴弼龍 林達永金廷福 權億得 孫得春 崔萬壽 崔在煥 車淡孫16)崔達國 金斗曄 安千碩 李廷龍 金大元 李元復崔鳳采 金石璜 尹成觀 程達天 鄭永祚 張賢邦17)李命祿 李興大 崔時宗 崔康壽 陳明漢 金載行梁達文 李正得 全尙文 李祐碩 黃聖吉 韓興文18)崔日鳳 金碩泰 白守甲 白洛哲 姜春班 朴龍宗崔壽甲 李華復 鄭寶培 李豆大原庚午四月二十日 都有司 高19)別有司 柳尹朴朴金鄭李掌議 朴色掌 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東面城堞節目[興陽縣監之印]2)同治十年七月日 城堞節目盖此本邑 三面環海 一條通陸 爲四鎭之腹心 爲列郡之咽喉 卽是湖海保障之地也 其所關防莫重 故築斯城也鑿斯地也 與民守之 無非爲國固圍 而較諸島陸戶報之多寡 稱此城堞 把數之遠近 刻其面名 定其字內使之隨毁修補者 古人之措劃 至矣盡矣是去乙 後之人 恬不遵行 一年二年 漸致頹圮之境 須無翰屛之意 則受百里之命者 豈不夙夜憂惧也哉 昨冬閏十月 招集吏民 爛商方策 鳩財輸石 經營始役 而分作八所 逐日監董 五里之城 七里之郭 一新修築 北水口先置石平橋上建北門 西南兩水口 亦置石虹橋 七閱月而始乃告功 旣有改視之效 可無備豫之謀 刻石分面 雖有舊3)界 各面戶數 多寡異苦 故島陸時戶數 更爲執報分排 自南門之東邊 刻面名于頑石 定其字內 此疆爾界 的有標準 上雨傍風 不無頹圮 則今發諸面之民丁 必自經界而隨毁修築是矣 仍後修築 雖責於民 而亦不可無助 故三百六十兩錢 某樣拮据 量其各面戶數把數之多寡 分排各面 擇定有司 存本取利以爲年年修補之資 而城堞塗灰所入役丁 療飢所費 取用於利條 而切勿割本是遣 至於役事? 許用民力之意 撰成節目 各該任掌 與各面戶數城堞把數 臚列于後爲去乎 遵而行之 毁而葺之 宜當者座首 申忠模[着名]兵房軍官 徐春大[着名]戶長 朴承殷[着名]吏房 申承模[着名]官[着押][興陽縣監之印]後城役都次知 都監座首 監官兵房軍官 色吏戶長使令都使令各面任掌 執綱尊位監役色吏 十二面則該面出員 三島則該島風憲 道陽則別定色吏 使之隨毁修築是矣 毋論某面道里距 城路遠則赴役時自來與雇立間 從民願施行 而至於城役錢段 戶長次知定有司 殖利年年 城堞隨毁修補之時4)塗灰所入療飢所費 取用於利條 而利條或有不足之時 切勿割本 不足條段 該面擔當是矣 塗灰所入雜物段發牌推捉於所産面里 而蜃灰每斗本價一戔 楡根皮每斗本價一戔 細沙每十斗本價五分 防灰石每十斗本價五分式 酌定是齊邑內 八十百〖八百〗二十二戶城 一百八把 自南門東距豆原 六百四十四戶城 八十五把古邑 六百七十三戶城 八十九把道陽 九百五十六戶城 一百二十六把道化 六百九十一戶城 九十一把浦頭 八百四十六戶城 一百十一把占岩 一千三十二戶城 一百三十六把南面 五百七十三戶城 七十六把南陽 三百四十三戶城 四十五把南西 三百七十四戶5)城 四十九把大西 三百二十六戶城 四十三把大口 三百三十八戶城 四十五把東面 三百八戶城 四十一把折尒 三百九十四戶城 五十二把羅老 三百四十五戶城 四十五把諸島 七百四十六戶城 九十八把合民戶 九千四百十戶城堞 一千二百四十把[興陽縣監之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정미년 돈원(敦源)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敦源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036_001 정미년 3월 15일에 중평에 거주하고 있는 돈원이 장산서원에서 재계 중인 상대방에게 편지에서 언급한 환자에 대해 이번에는 그냥 받아먹는 것 외에는 다른 대책이 없다는 내용과 감영으로 가는 날은 언제가 될지 모르겠다는 내용 등을 전한 간찰 정미년 3월 15일에 중평(中坪)에 거주하고 있는 돈원이 장산서원(章山書院)에서 재계(齋戒) 중인 상대방에게 편지에서 언급한 환자에 대해 이번에는 그냥 받아먹는 것 외에는 다른 대책이 없다는 내용과 감영으로 가는 날은 언제가 될지 모르겠다는 내용 등을 전한 간찰이다. 근래 소식이 끊겨 서운했는데 오늘 상대방의 편지를 받고서 상대방 어머니의 병환이 감기와 기침으로 여러 날 편치 못했다는 것을 알고 매우 염려스러웠다는 내용, 자신은 집안의 소식이 끊긴 지 이미 한 달이 되어 다소 마음이 쓰여서 찡그린 눈썹을 펴기 어려우니 어찌하면 좋겠느냐는 내용, 동각(東閣)의 병은 지금 완쾌되어 일상을 회복하였으니 다행이라는 내용, 상대방이 편지에서 말한 환자를 언급하며 지금에 와서 도로 거두라는 뜻을 전령하기에는 일의 형편상 어려움이 있으니 이번에는 그냥 받아먹는 것 외에는 다른 대책이 없다고 하니 어떡하냐는 내용, 3종의 산나물을 멀리서 차례대로 보내주셔서 마음이 매우 편하지 않아 소략하지만 맛있는 음식을 나눠먹기 위해 5근의 육고기를 보내니 정으로 받아 주시라는 내용, 감영에 갈 날이 언제 있을지 아직 모르겠다는 내용 등을 담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向候想應○下覽 便使有去無來 慕仰益勤 伏不審靜體動止 連護萬安 各宅諸節均安 仰溸且祝 不任下悃 通家生旅狀印昨 圓一兄亦客中一安 而所營事 始擬臨時圖成云者 草令近與李果川秉梯相議 先稟於雲峴 則此不可此時爲之分付 則此兄不可時日留連 使之急還然後 可免令駕之遠費 故玆欲急急治發而資斧無處辦得 此將奈何奈何 見甚愁歎也 草令之前後相議事必成之云矣 近日有道內紛紜事端 且有不然之事 此際如此則事不偕〖諧〗意 姑俟日後 亦何妨耶 此兄之遠地空費 見可歎也 且或京鄕間 言先事後 尤可遠慮 十分重愼如何如何 下生亦欲同發 而無分錢相資處 莫敢生意 如是則來月觀光後 可以有治還之道也 草令許所托事 歸時當另圖而去矣 ○下諒勿慮 如何都在此兄口達 擾甚姑不備上候禮己巳二月卄一日 通家生 李歧淵 拜手〈背面〉此兄勢不得已 置擔舁於主人家 跋涉治發 不但去者之喫苦 送者所懷 亦所不忍而雖如是發行 此行急去然後 可免○令駕之遠地虛費故耳 ○下諒如何 草令出二緡錢下生亦出一緡錢 助給治送耳 滿腔所懷 當有拜展之日 故書不盡情 而下生近以眩氣腰痛不能出入 此必喫苦餘祟 伏歎受氣之薄也無論某道院事 此際不可鳴寃 恭俟處分而已 則更不參此等論議 而營府出入 亦不頻爲但林泉看書 依舊作自好之士 老少得宜 以此下布於儕友 如何 下生以是心定 故仰告耳貴中誰作科行耶 承信則何幸何幸 ○季氏丈前所去書 同封送之 卽傳如何(皮封)玉山 靜坐 下執事 東上宅謹拜上候書 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省式 饕風吹雪 歲色垂窮 積阻懷緖 到此倍切謂襮獲拜惠翰 可敵積躄〖襞〗之衷而頓忘山川之脩阻也謹審侍餘棣樂可勝 區區拱慰允符願䎹 朞服弟自去月念四 忽得中風之症半身不收 精神莫察語言不通 今則少可 而蘇完無期 年將六旬 此何模樣 且中家門淺祚 春間遭舍妹之冤逝 悲痛情私 迄今如昨 而今初十 又遭季父喪變 哭妹之淚未乾繼沾叔父之淚 痛迫情私 如何盡言○惠饋三種味 可逼病中之味而無物表謝是豈人情耶歲餘不多 惟冀餞迓增祉餘伏枕倩草略此 姑不備謝禮壬臘念二 朞服弟 錫龍 拜(皮封)鄭○生員○下執事謹再拜○上狀 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갑진년 유수진(柳秀晉)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柳秀晉 郭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진년 11월 1일에 신랑측인 유수진이 신부측 곽생원댁에 보낸 혼서 갑진년 11월 1일에 신랑측인 유수진(柳秀晉)이 신부측 곽생원댁에 보낸 혼서이다. 유수진은 자신의 딸의 혼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내용은 성단(星單)을 적어 보내니 연길(涓吉)을 알려달라는 내용이다. 성단은 사주단자로 신랑의 생년월일시를 말한다. 신부집에서 허혼편지나 전갈이 오면 신랑집에서는 신랑의 사주와 정식으로 결혼을 신청하는 납채문을 써서 홍색 보자기에 싸 보낸다. 신부집에서는 사주단자를 받으면, 신랑 신부의 운세를 가늠해보고 혼례날짜를 택하여 신랑측에 통지하는데 이를 연길이라 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5년 김성인(金聖仁)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羅州牧使 金聖仁 牧使<押> 羅州牧使之印(7.1x7.1), 周俠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096_001 1825년 나주목에서 호주 김성인에게 동년의 호적대장에서 해당 내용을 등서하여 발급한 준호구 1825년(순조 25) 나주목(羅州牧)에서 호주 김성인에게 동년(同年)의 호적대장을 토대로 작성하여 발급해 준 등본 성격의 준호구로 열서(列書) 형식으로 기재되어 있다. 김성인의 거주지는 나주목(羅州牧) 하의도(荷衣島, 현 전남 신안군 하의면에 속한 섬) 어은촌(於恩村) 오가작통 순번 제2통 6호이다. 직역은 한량(閑良)이고 올해 나이는 58세 기축생(己丑生)이며,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김성인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한량 필봉(弼逢), 할아버지 한량 상건(尙巾), 증조(曾祖) 한량 연백(延伯), 외조(外祖) 한량 김절순(金節順) 본관은 김해이다. 김성인의 아내 박씨는 나이 50세 병신생(丙申生)이고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박씨의 사조는 아버지 한량 득대(得大), 할아버지 한량 경한(敬漢), 증조(曾祖) 한량 계춘(桂春), 외조 한량 임춘봉(林春逢) 본관은 나주이다. 이외 가족 구성원으로 아들 달오(達五)가 있으며, 나이 17세 기사생(己巳生)이다. 문서에는 나주목사(羅州牧使)의 관인(官印)과 서압(署押) 및 주협개자인(周俠字改印)이 찍혀있으며, 1822년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쳤다는 '임오호구상준(壬午戶口相凖)'이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十八年 月 日康津縣考癸酉成籍戶口帳內古今島鎭里第 統第 戶待變軍官張武良年五十甲申本仁同父武學弘祖學生德龍曾祖學生九田外祖金善安本金海妻金姓年五十甲申籍金海父愛連祖實曾祖延三外祖金元炳本金海率母金氏年九十五己亥率子大彦年十二壬戌次子聖彦年八丙寅等庚午戶口相准印行縣監[押][周挾無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二十一年 十月 日康津縣考丙子成籍戶口帳內古今島鎭里第 統第 戶待變軍官張武良年五十三甲申本仁同父武學弘祖學生德龍曾祖學生九田外祖金善安本金海妻金姓年五十三甲申本金海父愛連祖實曾祖延三外祖金元炳本金海率母金氏故率子大彦年十五壬戌次子聖彦年十一丙寅等前准印行縣監[押][周挾無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二十四年 月 日康津縣考己卯成籍戶口帳內古今島鎭里第 統第 戶待變軍官張武良年五十六甲申本仁同父武學弘祖學生德龍曾祖學生九田外祖金善安本金海妻金姓年五十六甲申本金海父愛連祖實曾祖延三外祖金元炳本金海率子大彦各戶次子聖彦年十四丙寅等丙子戶口相准印行縣監[押][周挾無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乾隆二十四年 月 日康津縣考己卯成籍戶口帳內古今島鎭里第 統第 戶業武張大彦年十八辛酉本仁同父武良祖學生弘曾祖學生德龍外祖武學金愛賢本金海妻崔姓年二十己未籍密陽父 祖 曾祖 外祖 等丙子戶口相准印行縣監[押][周挾無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私通 新里門中右私通事修譜明承派脉族有敦睦之事也此際開板將久 貴門中有何故而不夥單錢速收付送而爲其子孫之道事理當然右名單上送有日單錢名色至極緩惱延拖不到是何道理乎通到卽時不日收送以免葛藤之地幸甚辛丑三月初一日譜所[押]此亦中下去擧員貴家眼同來參毋至論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石谷面雲臥里戶口單子 七統一戶第戶良人崔東龍年五十三己巳本全州父學生 龜善祖贈嘉善大夫工曺叅判五衛都㧾府副㧾管聲南曾祖贈通政大夫工曺叅議錫壁外祖學生 吳泰位妻黃氏歲五十四戊辰籍長水父學生 慶河祖嘉善大夫 進相曾祖嘉善大夫 叙外祖學生 金老迪本光山奉母吳氏年八十二庚子本同福[官印]行縣監[署押] [周挾 字改印]辛酉月 日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