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李白村朴進士雨田【海龍】梁蘭圃【慶洙】同遊錄後 白髮三筇興不孤名山幾處醉相扶奇遊賴得烟光好不獨新聲是活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喜李圭峯見訪 一棹庚天溯碧溪衡門來訪小橋西呼童且買坊場酒鎭日風流儘不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憶白村 兩岸狂流失釣臺西隣長阻故人來開窓了罷悠悠夢空對鳳仙花爛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漫吟 蘆織風簾石作欄暮年栖息最平安誰憐薄土宜蕎麥幾合荒階種竹丹細雨每逢佳客飮靑燈常與故人看依依隣壁桑麻話又是溪翁竟夕歡愛此東皐屋數間幾回筇屐費躋攀樹邊酒旆雙巖水竹外官城十里山一壑一邱高士臥時風時雨野人閒高吟笑補空囊課慣踏村橋夕照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芝村權公追慕記 余自六歲時讀習字書於苟安室中苟安室者先考梅泉公隱居白雲山中萬壽洞築一小屋于巖間隙地迎遠近士友來訪及少年子弟之負笈讀書者講論習藝之所也時余甚幼騃不辨來往長老之爲何人及讀書人士之賢否但習聞其某字某號而己每春晩花濃諸子設盃酌於床簀之上酒氣微醺輒撫掌擊節談說迭宕而有貌厚而重年可卄二三者端坐正視久而後發言則諸子皆靜聽點頭無與爭論者余心異而恠之時梅泉公曳杖警咳而至諸子皆紛紛退避而俄之貌厚者獨正身起坐應對整肅余竊問知其爲權芝村也芝村名鳳洙字景韶景韶者梅泉公命之以字也經七八年吾家移于南岳之下月谷村距芝村公所居僅數里許時公已嶷然長者爾雖不舒卷讀書而時時來往于吾家講論文字一日先考閱新聞紙便面赤氣塞公亦唏唏飮涕蓋語及時事也自乙巳國變以後朝野傾蕩頓無挽回之術但以新敎育創設人民自覺爲主論梅泉公雖在草野亦唱新敎育之論門生諸子從而和之時公盡心力而助成之立私立學校於所居村中激勵後生三四年後庚戌八月之變梅泉公殉國公踽涼無所適維以梅泉公身後事爲責任其著述之刋布也遺志之繼承也皆盡瘁而經紀之數十年如一日竟以道中觸寒得疾而卒時庚辰三月也噫余安得不慕哉余自少壯時往來于公家而公沒後其孫女嫁于梅泉公之嗣曾孫某故益知公之制産業謹祭祀訓子孫皆井井有規度可以爲鄕邦後輩之典型而今公沒己數十年余亦皤然衰朽曠然四顧無所觀瞻因想先考之言曰從吾遊者亦多或文藝或辯給或簡傲有異於人者而原厚謹愨外柔而內剛可以托事者其景韶乎後果驗焉余又安得不慕也公之詩文二卷藏于家己久今其弟漢擧氏勸公之孫炳箕將刋之謂余曰吾先伯氏之生平君畧知之其遺集之刋也子無一言以署名乎余聞而懼然蓋懼余之早被公之奬勵而今無一事一行之可稱也卽以前日所常見聞書之如此其記錄之秩序工拙無暇論也至於遺集詩與文之洵正雅潔根於土壤己有鄭爲堂金曉堂之序與跋闡而明之余又何敢容嘴也然後之覽是卷者讀其書而不知其人可乎檀君紀元四千二百八十九年歲丙申端陽節黃渭顯謹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退仕後感吟 少壯太平日老衰戎馬時滄江有白鳥吾與爾相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次鄭五峯思悌韻 竹屋寒燈半滅明孤簷掛月樹無聲劇談共作新青眼綠髮猶存少壯形晩逐松雲陶野性肯隨浮世竸危名三溪春到花應發相就樽前更盡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松沙奇先生一絶請校勘先集 重來問道曝秋陽。浩浩鶉江入戶光。願集南豊金石錄。袖中一辨已藏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訪梁靑溪【大樸】林白湖【悌】亭址于鶉江上流感吟 溪翁湖老氣相如。結榭江干往蹟餘。薄採黃蕉將欲酹。涼風盡日訪遺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訪陰崖後孫于芝谷。臨發口呼 山暉初上野雲開。歌採仙芝訪隱來。望裏湖南千里遠。駒城此日故人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乙卯二月往沙村門下課吟二絶 函筵日夕警撕提。忍使諸生混獸蹄。文德巖巖臨屋上。威名當與此山齊。江南山水帶方佳。客子遊衍寄雅懷。滿袖春風長得得。瞻焉竹樹隔雲涯。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雨中卽事 蕭蕭雨入竹窓敲故揷長虹水草交欹岸漲翻紅鯉背空階溜滴碧桐梢場邊半壞牛羊圈籬角全添鸛鶴巢卽事硯前空覓句任他隣老野人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續吟七絶 千竿修竹一亭高剛喜人間暑可逃最是孤村殘照外禾田漠漠漲烟濤失志桑蓬臥薜蘿惟看方丈碧嵯峨靑囊不入長安市若比韓康我獨多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玉田齋夏日憶石田 閔處遲遲野外秋猶看空際火雲流匏花淡淡迷籬眼桐溜零零碎屋頭名酒何嫌常得醉佳詩旋恐未全收憶君京洛在何處徙倚涼軒空獨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興 壺陽有此好園林禾稼芃芃野逕深且效千秋元白社靑燈終不負初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跋 天下之術藝師各有法以授其徒弟子亦皆有所受法於其師梅泉之鄕人其學詩於梅泉者多矣雖其才力有不均所造之淺深亦異要皆矩度森然體裁如一望之可以知其來處蓋非他師弟子比也雖然余又觀古人論詩必肖其人情性以出蓋非獨情性雖其形貌聲笑亦可卽此以觀焉則形貌聲笑之於爲詩也其同於情性有不可誣梅泉吾嘗瞻其遺像矣得其情性矣鷹隼竦峙如將搏也薑桂氣辣百味廢也以故其詩皆巉刻奇峭若非人肝肺所出世徒誦其詩不知其詩之至此有因豈爲善尙論者哉其弟子之能詩者余識芝村權公公貌愨而性子諒溫惠出言若訥行己不苟皆有尺矱可法方公之無恙也余以其君子長者而敬之沒旣十餘年始讀其遺稿宛復見情性貌笑藹然行墨間殆不覺其久爲泉下人是知詩不可以假借貌襲而彼之剽竊李杜擬摹韋柳自詡爲工者卽使能工是亦優孟之似耳豈非可賤而不可貴者歟公爲詩固有所法而寧拙無夸寧隘無博雖其遊戲盃酒乏間絶無詩人虛曠之失而卽其眼前攄發胸中有韻有態可謌可詠又其誄祭家述之作非蘄爲文以耀人秖以曲寫衷臆而凄傷惻怛至誠可見總而論之公非詩人也法度人也非法度人也優於德之君子人也公之弟鴻洙氏亦能有好德有文收其咳唾將付公家孫炳箕刋之旣嘗就選於德川翁今又以命余閱畢謹書此爲跋語乙未孟秋之望光山金文珏書先兄芝村府君梅泉黃先生之高弟也儒雅文詞人咸敬重歿後蒐輯所著爲數卷先生弟石田公見而喜卽述狀寄書於鄭爲堂寅普得首簡之文仍勸鴻洙促刋然顧未洗塵兼遭世亂而未果間就鄭栗溪琦精選繼得金文珏曉堂撿訂始克成定本焉嗟乎是稿也於吾家祖先族親之狀銘祭文悉事行寫情眞亦足以當一部家史讀之感慕非尋常著述比也在他人則徒知愛其詩文而己在吾家則特愛文獻之足徵可傳今上梓也再從弟桂洙正洙之宣力多焉且重有感乎昔日石田黃公之衷勸玆幷誌之丙申五月十五日胞弟鴻洙謹書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