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王朝實錄節錄 乙末備邊司啓曰各道義兵之中郭再祐崔慶會在啓英所率之軍似才可觀此三人方在慶尚道令急急整率勤王慶尚道節度使金沔帶同全羅道義兵將任啓英與崔慶會等斬獲首級三十顆左耳一百三十三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宣朝實錄節錄 全羅左義兵將任啓英字弘甫號三島長興人宣祖九年別試文科丙科及第出宰眞寶縣解任歸鄕壬辰亂作與竹川朴光前紏合義旅公率千餘人向南原與崔慶會所率義兵合流擊破長水居冒峽川星州開寧之賊其後賊兵包圍晋州城使副將張潤率精兵三百餘名後援官軍公則調度粮械急爲追後城已陷下勝憤欝更以餘兵大破固城巨濟之賊亂定後歷任楊州定州海州淳昌牧使皆有淸德碑丁酉再亂更欲起兵以病卒于維摩寺中追贈兵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加贈兵曹判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別金明府【商翊】移莅潭陽 杏壇春風起儒雅合吾師有此眞不朽萬口自成碑仁風成活佛慈惠及流離寡淸傍學舍一擲萬金貲循吏名不沒碑古蒼苔滋疲病得調養仁術卽良醫士林感市義忍看玉堂饑秋風入江樹日暮蟬聲悲吾鄕山水好捨此欲何之潭陽秋月白兒童竹馬馳不無遮道願恐妨陞秩移廨舍官梅古可無水部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3년 이광수(李光秀) 영수증(領收證)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十二年二月十六日 潭陽郡昌平面會計員 朴在昊 昌平面 長華里 李光秀 大正十二年二月十六日 朴在昊 李光秀 전남남도 담양군 朴在昊(타원형), 潭陽郡昌平面長之印(1.8×1.8)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3년에 이광수가 담양군 창평면에 지세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1923년 12월 16일에 창평면(昌平面) 장화리(長華里)에 사는 이광수(李光秀)가 지세(地稅)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담양군(潭陽郡) 창평면 회계원(會計員) 박재호(朴在昊) 명의로 발행했다. 이광수가 납부한 금액은 1923년도 제1기분 지세 34전(錢), 지세부가세(地稅附加稅) 9전, 지세부가금 10전, 지세할(地稅割) 15전으로 총 68전이다. 이 문서에는 합계 금액을 기입하지 않았다. 영수증을 수령한 이광수(1873∼1953)는 본관이 전주(全州)이며, 자는 미중(美中), 호는 옥산(玉山)이다. 이광수의 아버지는 을미사변(乙未事變) 때 팔도에 격문을 보내어 의병을 일으킨 이승학(李承鶴)이다. 양녕대군(讓寧大君)의 후손이며, 기우만(奇宇萬)의 문인이다. 을사늑약 이후 5적(박제순, 이지용, 이근택, 이완용, 권중현)을 암살하고자 했고 1919년 3·1운동에 적극 참여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3년 이돈수(李敦秀) 영수증(領收證) 1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十二年十二月一日 潭陽郡昌平面長 高光淵 昌平面 長華里 李敦秀 大正十二年十二月一日 高光淵 李敦秀 전남남도 담양군 潭陽郡昌平面長之印(1.8×1.8)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3년에 담양군 창평면에서 이돈수에게 발급한 지세 납세고지서와 영수증. 1923년도 제1기 지세(地稅) 납부를 위해 담양군(潭陽郡) 창평면(昌平面)에서 창평면 장화리(長華里)에 사는 이돈수(李敦秀)에게 발급한 납세고지서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좌면에 납세고지서, 우면에 영수증으로 구성되었으며 담양군 창평면장 고광연(高光淵) 명의로 발행했다. 12월 1일에 발급한 납세고지서를 보면 이돈수에게 고지한 금액은 지세 3원(圓) 79전(錢), 지세부가세(地稅附加稅) 1원 2전, 지세부가금 1원 13전, 지세할(地稅割) 1원 74전으로 총 7원 68전이다. 납입기한은 12월 20일까지이다. 납세고지서와 영수증을 수령한 이돈수는 본관이 전주(全州)이며, 을미사변(乙未事變) 때 팔도에 격문을 보내어 의병을 일으킨 이승학(李承鶴)의 차남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4년 이혁(李爀) 영수증(領收證) 1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2,14 潭陽郡大德面會計員 金永龜 潭陽郡 昌平面 長華里 李爀 2,14 金永龜 李爀 전남남도 담양군 宋泰□ 2顆(원형)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5년에 이승학이 담양군 대덕면에 지세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1925년 2월 14일에 창평면(昌平面) 장화리(長華里)에 사는 이승학(李承鶴)이 지세(地稅)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담양군(潭陽郡) 대덕면(大德面) 회계원(會計員) 김영구(金永龜) 명의로 발행했다. 이승학이 납부한 금액은 1924년도 제2기 지세 7원(圓) 48전(錢), 지세부가세(地稅附加稅) 2원 1전, 지세할(地稅割) 3원 44전, 지세부가금 2원 24전으로 총 15원 17전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孔子歷代封諡 魯哀公誄孔子爲尼父○西漢平帝諡褒成宣尼公○東漢和帝封褒尊侯○隋文帝贈先師尼父○唐太宗升先聖○高宗贈太師○玄宗諡文宣王○宋眞宗諡至聖文宣王○元武宗封孔子爲大成至聖文宣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玄谷室夜擧酉堂話別 斗覺相知歲月深溪亭携手一高吟江湖久苦懷人夢風雨難爲送客心鴨永夕陽明遠棹龍山曉月在空林己知吟憵衰逾壯歸臥憐君尙惜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吳參奉致一 東南山似畫吾鄕信佳村伐石揚先蹟名家又孝孫妙年承世業已自類成人亦好風流事深盃任性眞憶昔城東路相逢好面開誰知風雨裏一別遽泉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大峙朴進士【勝稷】莊留吟 茅齋俯瞰石溪寒高屐籬根檞葉殘座上尙留佳客在卷中時與古人看門庭坐領雲山勝關塞休愁道路難竹外凍烟梅一樹且呼童子問平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李【敬吾】共賦 不曾一日與君違蠟屐相將竹外歸臥久松涼侵机席坐來螢爝墮巾衣風塵未解功名好畎畝寧嗟人物微自是閒居無俗事故敎苔色上柴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河春溪【琪鉉】白巖九曲韻【春溪居咸陽】 地方巖雙鶴晝眠松是知入山口別有地方巖遙看疑猛獸浴渦瀑落藤根石商量五尺泓令人堪澡浴可冠衆流中紅霞潭才說霞潭水猶能爽我心遙知有眞境會待一高尋龍巖龍巖龍已現何方可得馭好事置危亭亭廢人已去淸冷灘石竇喩石視作詩誇衆中淸灘此爲倖一日賴儒風臥瀑樹根靑黛石膩滑較琉璃時復傾晴瀑尤爲全嶺奇甑峯甑峯圓而秀秀氣出塵間自爲人所愛此己壓群山甑湫奔流承石壁誰摹釜甑圓噴沫拂崖樹濛濛不是烟石室窮源有石室頓覺累全虛轉好山燈下閒情檢異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林氏雲山丙舍韻 墳菴一日告新成認得羹牆感慕情知舊揄揚推世德兒孫耕讀繼家聲巖邊浴室噴溪冷松下齋房漏月明好是龍年乾淨地雲山端合署嘉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賀愼南岡【炳獻】回甲 搜勝林泉入畫中當年弧矢現斯翁幽居晩卜鐘山下壽曜煌煌夕望通無害無災雪滿顚生涯全仗卯君賢古家善報能如此不是尋常致賀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6년 이인선(李寅善) 영수증(領收證)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12,7 潭陽郡昌平面會計員 高光直 李寅善 12,7 高光直 李寅善 전남남도 담양군 朴烋汶印(1.2×1.2)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6년에 이인선이 담양군 창평면에 지세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1926년 12월 7일에 담양군(潭陽郡) 정면(貞面) 오례리(五禮里)에 사는 이인선(李寅善)이 지세(地稅)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담양군(潭陽郡) 창평면(昌平面) 회계원(會計員) 고광직(高光直) 명의로 발행했다. 이인선이 납부한 금액은 1926년도 제1기분 지세 19전(錢), 지세부가세(地稅附加稅) 5전, 지세할(地稅割) 8전, 지세부가금 5전으로 총 37전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賀梁稼隱【奎煥】六十一生朝 蘭庭春色不嫌遲已慶筵前上壽巵夙世知君多積善衰年食報更何疑渚田稻黍峽田棉遲日枌陰可適年看取農家如此樂傍人爭道地行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孔春圃【聖學】週甲壽詩 天挺人豪地毓靈風流文擧客如星尋詩東岳花迎屐載酒西湖月漾舲誠盡忠良新棟宇名高師友舊門庭遙知松栢岡陵外萬壽山光入戶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哭黃鼓巖【炳中】 萬笏雲山一草廬溪流曲折樹扶疏讀書談道人如玉邱壑年來屬幼輿鹿車賢婦入寒門憶昔君來抱我孫未判他時成宅相也應深念外家恩義鼓揚聲草木風君家兄弟最豪雄縱然入地含忠憤名姓長留野史中聞說年來閉戶眠名山瀑沛夢依然分明記得經行處應有新詩不願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十二代祖考通訓大夫行江界府使府君墓碣銘【幷序】 公諱世衡字汝稱我權系出安東以高麗太師諱幸爲始祖十一世至諱呾號夢庵謚文淸生永嘉府院君諱溥號菊齋謚文正子壻若孫若曾孫又有十謚十三封君門戶之盛古所罕焉玄孫將軍諱定柱麗季遯跡原州生諱希遂韓初官上護軍生司正諱曉世祖朝錄從勳不受遂落南自靖于淳昌南山臺後人稱南山晩隱建南山祠以享之於公爲祖考考諱以平博川郡守妣興陽宋氏諱得仁女繼妣井邑任氏無育公生有異質見義甚明成宗末將擬一命未及被用辛亥登文科以承文院博士出爲江界府使旋値燕山政亂賦歸田里韜晦以終墓于郡之南十里東山子原配鐵城李氏精女祔焉三男苓荇芑俱參奉二女金應弼丁彭老孫九德習讀尙德贈掌樂正崇德參奉俊德佐郞敏德種德苓出師德忠順衛懿德參奉明德主簿荇出大德文牧使永德直長芑出類文學孝義授其官霽峯高忠烈公敬命贈詩八絶觀于其中善事親善兄弟群從迭荀龍可知公生卒世遠不可考考之郡乘家牒如右是可傳公孰有加焉銘曰往燕山荒墜倫綱公投紼歸田于祖有光何其祖孫姱節前後相望置之殷周晉宋之間無媿夷齊與淵明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