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이광수(李光秀) 영수증(領收證) 3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年月二0日 東亞日報 昌平支局 李光秀 年月二0日 東亞日報 昌平支局 李光秀 전남남도 담양군 昌圭(타원형)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이광수가 동아일보 구독비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12월 26일에 동아일보 창평지국(東亞日報昌平支局)에서 이광수(李光秀)에게 발급한 11월 구독비 영수증이다. 이광수가 납부한 구독비는 1원(員)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4년 이혁(李爀) 영수증(領收證) 1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2,14 潭陽郡大德面會計員 金永龜 潭陽郡 昌平面 長華里 李爀 2,14 金永龜 李爀 전남남도 담양군 宋泰□ 2顆(원형)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5년에 이혁이 담양군 대덕면에 지세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1925년 2월 14일에 창평면(昌平面) 장화리(長華里)에 사는 이혁(李爀)이 지세(地稅)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담양군(潭陽郡) 대덕면(大德面) 회계원(會計員) 김영구(金永龜) 명의로 발행했다. 이혁이 납부한 금액은 1924년도 제2기 지세 3원(圓) 24전(錢), 지세부가세(地稅附加稅) 87전, 지세할(地稅割) 1원 49전, 지세부가금 97전으로 총 6원 57전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5년 이혁(李爀) 영수증(領收證) 2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一二,一四 潭陽郡大德面會計員 金永龜 潭陽郡 昌平面 長華里 李爀 一二,一四 金永龜 李爀 전남남도 담양군 潭陽郡大德面會計員印 2顆(1.8×1.8)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5년에 이혁이 담양군 대덕면에 지세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1925년 12월 14일에 창평면(昌平面) 장화리(長華里)에 사는 이혁(李爀)이 지세(地稅)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담양군(潭陽郡) 대덕면(大德面) 회계원(會計員) 김영구(金永龜) 명의로 발행했다. 이혁이 납부한 금액은 1925년도 제1기 지세 3원(圓) 25전(錢), 지세부가세(地稅附加稅) 87전, 지세할(地稅割) 1원 49전, 지세부가금 97전으로 총 6원 58전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遙賀崔愚石【亨九週甲】 關河歲云暮歸臥掩柴門到老眞夫婦承歡好子孫怡怡聯棣榭燁燁詫芝根諸福形歌詠臨風遞壽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首夏與社中諸彦遊泉隱寺 古寺相尋趁午暉松雲羃䍥雨㾗微橋邊細草侵鞋軟竹裏鳴泉灑砌飛佳果尙餘供佛卓深樽何惜典儒衣謾將賈島敲推事每到山門未易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族從炳懿大人嵋軒【恒植】 我祖南山遯跡遐雲仍一百有餘家就中赫赫方如此可奈塵寰生有涯二兄襴笏獨無官能與孤松耐歲寒自是滔天髠禍遠名山好葬舊衣冠十畝山田置義庄事功今獨有賢郞已知跨竈能如此冥路何須恨更長憶昔茅堂一盍簪深樽侑我古松陰他日經過籬邊路爭奈門庭異古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5년 이인선(李寅善) 영수증(領收證)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十四年度 潭陽郡昌平面會計員 朴在昊 李寅善 大正十四年度 朴在昊 李寅善 전남남도 담양군 朴在昊(1.2×1.2)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5년에 이인선이 담양군 창평면에 지세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1925년에 담양군(潭陽郡) 정면(貞面) 오례리(五禮里)에 사는 이인선(李寅善)이 지세(地稅)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담양군(潭陽郡) 창평면(昌平面) 회계원(會計員) 박재호(朴在昊) 명의로 발행했다. 이인선이 납부한 금액은 1925년도 제1기분 지세 20전(錢), 지세부가세(地稅附加稅) 5전, 지세할(地稅割) 9전, 지세부가금 6전으로 총 40전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高興文廟享祀位次 五聖位先聖大成至聖文宣王【正位南面】○兗國復聖公顔子【東位西向】○郕國宗聖公曾子【西位東向】○沂國述聖公子思【東位西向】○鄒國亞聖公孟子【西位東向】東從享位道國公周敦頥【東位西向下同】○洛國公程頥○弘儒侯薛聰○文成公安裕○文敬公金宏弼○文正公趙光祖○文純公李滉○文成公李珥○文元公金長生○文敬公金集○文正公宋浚吉西從享位豫國公程顥【西位東向下同】○徽國公朱熹○文昌侯崔致遠○文忠公鄭夢周○文獻公鄭汝昌○文元公李彦迪○文正公金麟厚○文簡公成渾○文烈公趙憲○文正公宋時烈○文純公朴世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文廟享祀位行蹟 先聖大成至聖文宣王姓孔氏諱丘字仲尼周靈王二十一年【魯襄公二十二年】庚戌八月二十七日庚子誕于魯昌平鄕陬邑【今山東省兗州曲阜縣】父叔梁紇娶顔氏禱尼丘山而生故因名丘字仲尼未生時有麒麟吐玉書於闕里其文曰水精之子繼衰周爲素王顔氏異之以繡紼繫麟角信宿而去誕生之夕有二龍繞室五老【五星之精】降庭也生有異質有聖人之表三歲父叔梁紇卒葬於魯東防山爲兒嬉戱常陳俎豆設禮容十九歲娶于宋之{八/开}官氏始仕於魯爲委吏生子鯉【字白魚】設敎闕里二十四歲母顔氏卒合葬于防山三十歲問禮於老聃訪樂於萇弘去周返魯弟子益進四十三歲在魯季氏强僭孔子遂不仕退修詩書禮樂弟子彌衆五十一歲在魯爲中都宰行政一年而四方諸侯則之遂爲司空又爲大司宼入太廟助祭每事問五十六歲爲大司寇攝行相事與聞國政魯國大治齊人畏之歸女樂而沮之且郊祭不致膰肉于大夫孔子遂行去衛適宋司馬桓魋欲殺之孔子微服過宋自葉返蔡長沮桀溺【隱者】耦而耕孔子過之使子路問津焉楚狂接輿【隱者】歌而過之孔子欲與之言趨而辟之不得與之語六十七歲夫人{八/开}官氏卒六十九歲子白魚卒時在魯魯君不能用孔子亦不求仕自周室微而詩書缺禮樂壞乃叙書爲百篇删詩爲三百篇時弟子三千身通六藝者七十二人孔子晩而喜易翌年顔淵死孔子哭之慟七十一歲因魯史作春秋擧十二公事行正王道明大法至於西狩獲麟遂絶筆平一時與群弟子講論道學著論語十四篇七十三歲壬戌二月十八日己丑寢疾而歿葬於魯城北泗上弟子皆心喪三年噫聖人返魯自知道之不行也乃退而刪詩述書讚易修春秋定禮樂以垂無窮之敎是聖人之不見用雖當時之不幸實來後千萬世之大幸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春秋祭享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時日 每歲仲春仲秋中丁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齋戒 祭前三日祭員俱會散齋二日不縱酒不茹葷不與穢惡事祭前二日沐浴更衣致齋一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陳設 前一日有司掃除祠之內外洗滌祭器牽牲詣祠門外祭官俱以常服省牲詣廚視滌漑各還齋所習儀有司設三獻官位於庭中北向西上諸生次之重行獻官以下位於東門外道南每等異位重行北向西上設洗于阼階之東【盥洗在東爵洗在西】罍在洗東加勺篚在洗西實以巾爵【巾拭爵】設香鑪香盒竝燭於神位前設祭器左四籩【鹿脯魚蘇栗黃乾棗】右四豆【鹿醢魚醢菁菹韭菹】左簠右簋在籩豆間【簠實稻簋實粱】俎一在簠簋前【實羔豚】爵三在俎前【有坫】尊二【一實玄酒一實淸酒】皆加勺羃在堂上東南隅設飮福位於東序西向設祝板於神位之右【有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宣廟中興志節錄 壬辰七月全羅道前府使崔慶會前縣監任啓英起義兵初高敬命戰亡後麾下士子召集散卒八百推和順人前府使崔慶會爲將以鶻字爲標建旗皷於光州崇表死節人柳彭老等勉諭士衆人多附之稱右義兵前縣監任啓英寳城人也爲衆所推立爲義將自本郡向南原行收兵數千以勇士前萬戶張潤爲副將以虎字爲標南原府使尹安性辦助粮械軍勢遂振人稱左義兵十月義兵將崔慶會任啓英進屯嶺南初慶會啓英連兵屯長水與茂朱屯賊相持至是兩湖諸屯賊皆合于星州開寧等地兩將遂引兵屯嶺南之居昌與金沔挾攻開寧賊未幾啓英移屯陜川與鄭仁弘挾攻星州賊十一月任啓英大破倭人於星州初任啓英崔慶會與星州開寧賊累戰不克精銳多折傷兩將悔不能成功謀移兵勤王仁同人張翰移書止之啓英進至星州城下挑戰賊出精騎邀擊義兵射倒前導數騎餘兵驚走入城賊將陞濠重傷賊衆恐動義兵氣自倍啓英遂與仁弘及官軍諸將刻期督戰十四日庚午啓英已出兵而仁弘負約不至賊背城輝啓英獨以其兵力戰副將張潤先登馳?戰久馬疲遂舍馬歩鬪勇氣愈勵日暮賊兵大敗積屍如山流血遍野遂至城底而還是役賊兵死者十七八賊遂閉城不出癸巳二月任啓英擊毛利輝元復星州開寧毛利輝元者賊之都帥也啓英與星州賊相持累月賊勢漸困初一日丁亥賊潜就開寧啓英覘知之設伏於扶桑峴掩擊大破之殺獲甚衆初十日丙申又遣張潤進擊毛利輝元於開寧潤一戰殺二百餘人奪被虜男女四百餘人後三日又戰殺二百人輝元撤兵走潤追擊至善山於是左道州郡盡復惟金海昌原爲賊所據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