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4년 이혁(李爀) 영수증(領收證) 9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十四年二月十五日 潭陽郡昌平面會計員 朴在昊代 長華里 李爀 大正十四年二月十五日 朴在昊 李爀 전남남도 담양군 □…□ 2顆(타원형)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5년에 이혁이 담양군 창평면에 지세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1925년 2월 15일에 창평면(昌平面) 장화리(長華里)에 사는 이혁(李爀)이 지세(地稅)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담양군(潭陽郡) 창평면(昌平面) 회계원(會計員) 박재호(朴在昊) 대리인 명의로 발행했다. 이혁이 납부한 금액은 1924년도 제2기분 지세 4원(円) 31전(錢), 지세부가세(地稅附加稅) 1원 16전, 지세할(地稅割) 1원 98전, 지세부가금 1원 29전으로 총 8원 74전이다. 영수증을 수령한 이혁(1898∼1977)은 본관이 전주(全州)이며, 아명은 병로(丙老), 자는 진명(進明)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8년 이승학(李承鶴) 영수증(領收證)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昭和三年度 潭陽郡 昌平面 會計員 朴烋汶 長華里 李承鶴納 昭和三年度 朴烋汶 李承鶴 전남남도 담양군 潭陽郡昌平面會計員(1.8×1.8), 潭陽郡昌平面長之印(1.8×1.8), 昌平面會計員 朴烋汶(흑색, 원형), 朴烋汶(타원형)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8년에 이승학이 담양군 창평면에 주세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1928년 12월 9일에 창평면(昌平面) 장화리(長華里)에 사는 이승학(李承鶴)이 주세(酒稅)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담양군(潭陽郡) 창평면 회계원(會計員) 박휴문(朴烋汶) 명의로 발행했다. 이승학이 납부한 금액은 1928년도 자가용주세(自家用酒稅) 20원(円)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高興鄕校誌【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沿革 文廟在縣西門外我 世宗辛酉始建 宣祖丁亥變主簿宋瑄與弟主簿瑛判官球從侄判官裕喜護衛校宫丁酉不幸被兵燹士林權奉 位版于縣東村洗馬李基隆舍亂平基隆獻納全庄七日耕而移居焉 孝宗乙未値營將白弘性變領袖金起秋齋任丁晳謫于北邊館儒上疏求解配士林長恨校宮陜隘請還舊址 肅宗乙亥儒生姜致武與兄翊武抵洛再䟽庚辰蒙 允儒生申樛宋萬澄宋薁倡發舊址重逮之議監司金時傑奉審縣監申湜相役儒生宋柱夏柳景起申漢遂宋莢李項董役而仍舊礎建焉繼建事蹟碑儒生宋枰申命涉尸役申命泓撰事蹟碑文 文廟煥然歲久頹剝士林咨嗟 純祖丁丑縣監柳民儉從士論修典祀廳曁養士齋戊寅縣監愼宜學葺東西齋及明倫堂惟 大成殿事巨體重尙未之葺戊子縣監趙存昇報營巡相李光文聞 朝香祀下來遂重修焉儒生宋碩欽宋陽吉蕫役滄溟柳日榮撰重修記 純宗庚戍變齋堂土地擧被倭賊之占奪倘無士林休息之所柳川申在求龍隱宋桂星倡論急建 大成殿之左右翼室壬子申在求收士論與儒生宋仁燮柳重洪等設尊聖稧葺祀廳買土奉享壬戍士林發論捐義自 大成殿以下至墻垣一新重修倡議者儒生申瑞求宋箕浩同勩者丁龍秀柳永毅助力者申澈休東江金甯漢撰重修記乙酉倭賊退逃山河光復朔望焚香士林大會而東西齋及養士齋甚爲頽敗捐義修理儒生宋璟燮主其事柳重埰申千休同其▣己丑建國初 位土盡役分讓癸巳儒生申良雨柳重益倡發尊聖契復舊之議宋有煥申學植大曾士林聲應就緖焉大成殿【三間奉安正配神位之所】祭器【簠簋六十籩豆一百二十犧尊一象尊一方器六十四圓器六十四鍮勺三十七香爐香盒各二十七燭臺五十四幣篚五視板一今不盡具】祭服【白衫靑衫紅衫各五裳梁冠獸{艹/布}各五佩玉方心曲領垂冠帶各五儒申三十五齊服五襪鞋五】書冊【四書三經各一帙朱子大全六十五局性理大全七局小學增解一帙禮記二十七局栗谷全書五局河西集八局濯纓集七局農山集五局漢書四十三局綱目三十九局宋鑑十五局麗史七十一局韓文八局歐文十四局蘇文二十三局王文六局曾文三局遜齋集二局五禮儀二局高興誌一局興陽誌二局興陽誌三局湖南誌綱錄八局興陽三綱錄二局靑襟案一局 肅廟寶錄七局宋名臣錄十六局 御製雲漢集 御製龜鑑各一局尊華錄三 外▣鎖書冊(不能盡錄)】垈地【三千五坪】田【略八段步】畓【十七町二段步盡沒分讓(現存三町)】儒班【齋長一掌議二色掌二都講長一講有司二面講長各一面講有司各一養士齋都訓長一別有司二居齋儒生九十校生三(校屬)殿直一首僕一庫直一庫子一今都有司一掌議二色掌二面掌議八殿直一】明倫堂【在大成殿南五間講明儒學立綱正俗之所】東齋【在明倫堂東二間儒林齊會所】西齋【在明倫堂西三間】司馬齋【在東齋北司馬案奉藏所今廢】養士齋【在明倫堂東十二間選士群居春絃夏誦今廢】典祀室【在西齋左三間藏祭器祭服之所今廢】冊庫【在東齋右三間藏書籍所今廢】庫直舍【在養士齋南四間】庫子舍【在明倫堂東南間今無】庫子舍【在明倫堂西南間今無】內神門【三間】中神門【一間】外神門【三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頊錄 一卷五聖與二十二賢位次長弟以錄繼編二十七聖賢行蹟及設位陳設圖禮笏祝文二卷學問德行深邃高尙爲世矜式者學行文學蔚郁言行正直者儒行而至 建陽元年【丙申】生存者依誌規輯編現今生存者決不許錄直員名義隆熙二年【戊申】創職乙酉驅倭建國後改以典校都有司掌議色掌亦據學儒例而現今生存者亦納單取錄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赴酉堂招飮 孤懷漠漠向誰開況復窮山歲色催好客久留溪上在孤村相訪月中來山窓夜靜聞風竹野屋天寒映雪梅己看丹靑工句法寒燈不覺首重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光陽宋西坡【夏燮】來訪信宿酉堂白村同吟 飛騰雲路夢難通只喜寒燈氣味同已有佳賓來海曲誰知高士在墻東寒松繞屋遲迎月亂竹鳴窓倒着風一飽朗吟無外事深樽滿說歲年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歟西坡復會愚川室 從古優遊怨夕暉此心曾不與君違汀洲漠漠孤鴻去籬竹蒼蒼凍雀飛棗栗東隣今日是車書萬國昔時非風塵聚首元難事休恠頻頻攬子衣歲暮東亭有客過寒燈促膝更如何冬暄梅信先春大野靜溪聲此夜多耽看硏前侵雪竹從敎洞口鎖烟蘿共將面面閒居事不妨樽前入浩歌欲別更携手彷徨亂竹間門前路何惡座上客多閒梅雪明三逕松雲暗四山慣是溪邊屋好伴水禽還落日溪村樹影稀憐君何事拂征衣連天漢水蒼茫外也與閒雲逐處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壺陽社邀酉堂白村西坡作 凍霧看從別澗垂閒雲喜與故人隨高松野屋相逢處暮雪江天欲下時浮世安危全付酒厄年愁病摠成詩寒燈忽動盆梅影半墮書床半墨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三島實記卷之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附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追賀李侍郞【舜夏】聾叟八十生朝 聾翁和易寔根天耄耋遐籌豈偶然宿望璿源膺顯列長歌汐社送餘年功名己致風雲際樵牧堪憐寂寞邊領取桑蓬多少事靑邱他日可無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題金蓮沙【澤柱】碧壺亭 風塵遊已倦歸臥此巖阿崖轉溪偏活屋成山更多違時藏釰譜忘味學絃歌知已有林鳥慣從簾外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李慵齋【彦雨】詩卷 夫稿婦刋今古稀幾回披讀盥薔薇飄如葉逐江風遠澹似雲隨野鶴飛始覺櫟翁眞種子還憐梅叟好傳衣夤緣序得滄公手垂示雲仍計未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曹束湖【秉魯】見訪同王藍山柳春汀梁鐘山及舍弟漢擧吟 谷口先霜樹影稀知君命駕不關扉時違管樂元無術才絶鍾王竟有歸座隘人淸詩境苦更闌枕冷酒痕微偏憐短燭牽幽興坐到閒庭曙鵲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王雲樵文 在昔川翁妙解聲詩階庭玉樹兩三其枝百年吾鄕風騷主持翹翹雲樵胚胎前光踵現藍田身短才長淹貫群書師表吾黨靡過不規靡善不奬是知友道叔世無兩隣里子弟勤於訓迪設以兩端如矢洞的是知師道古豈多覿兩世四賢著詩等身及我無述傳云不仁乃選乃刋嘉惠藝林是知厥孝逈出古今嗟嗟雲樵善報爽理五鬼纏綿疇能忍此我有圖書樂而忘飢猗厥芳隣年稍肩隨戚盡結社昕夕不離促膝談笑痛癢亦關盟深猿鶴棲遲窮山共保歲寒竚見河淸胡乃一朝虬駕遄征徽音遂絶舊緣難賡玆又歲月小朞適丁哀哀螟兒祀事孔明惟我於兄最感平昔匍匐溪路指點古宅蕭蕭茅棟爲位紙帟幢幢雙燭如兄在傍畧陳胸臆冀歆一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黃鼓巖文 嗚呼惟子天賦體不勝衣妙齡志學自與俗違抱贄淵門傍從艮叟諸所見聞盡爲己有歸而修齊以孝爲先少壯至老尤加勉旃前後居憂毁瘠盡禮辦置祭器于祖于禰餘力以學溯源春秋有時著書以效尊周如何所遭有如氷叔廢出山門參盟麋鹿曩也卯君樂以義名事雖無功足以聯芳恒言蓋棺名當不死子名不死寧不在此枉悲遊岱淚胡如傾我之小男於子爲甥甥病舅憂曷有其己倖重含飴盍卽報子顧坐命窮近哭西河每擬束蒭終如累何緬昔雲陽相逢茅屋細話更端氣旺淸瀑無酒則沽旣醉以還藐視崇愷襟懷愈閒才說及此依然眉宇直在我傍如哂如怒所致脯酒物薄情深容我愆弔尙庶來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再從弟泰居文 君之云亡忽己三霜儀形森森如在我傍惟玆恩情我實纏綿涕泗滂滂莫遏其然嗟君之生數盡六六父母在堂忍先就木又是男女已娶未嫁少男纔乳覆育誰藉哀哀琴瑟此恨莫喩可奈人生有如草露每一興言繼以號呼胡乃觸處轉感風樹君亡未幾又失所恃其眞運耶疇能忍此昔我先君壽不滿德仰事靡終永閟怡色男二女一違見新媳追惟茹痛窮天罔極今君之夭縱云可悲較我先君猶多一朞曩也撫棗良不違時差慰冥冥君知不知念君平昔心不自羈盃酒冶遊罔知攸規尋常債金自貽隱憂傷哉自今苦樂皆休縱有黃金泰山與際誰起君胔復遊斯世嗚呼哀哉尙饗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