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이광수(李光秀) 영수증(領收證) 2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年十二月二六日 東亞日報 昌平支局 李光秀 年十二月二六日 東亞日報 昌平支局 李光秀 전남남도 담양군 昌圭(타원형)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이광수가 동아일보 구독비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모년 1월 20일에 동아일보 창평지국(東亞日報昌平支局)에서 이광수(李光秀)에게 발급한 12월 구독비 영수증이다. 이광수가 납부한 구독비는 1원(員)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酉堂連示近體促和與雲樵鄭東谷【海德】刻鐘題二首 未耐閒愁慣據梧還將野鶴鬪淸癯空聞四海多奇事長恨人間有腐儒午夜相逢詩一束誰家數去酒千觴生憎溪上間雲影遮却花天月欲無微霜漸覺犯須眉此會孤村亦一奇數畝松篁人自遠空齋風雨夜還遲交遊到此能無酒幽興如君緦寓詩回首生平多少事淸晨秖自與衾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朴秘郞【海昌】 鄕隣瓜葛百年秋君去靑山喚我愁顔卜修文千載後遙知地下選名流名家華秩玉堂高虎谷門庭有鳳毛太息陽明何處去空山寂寂水滔滔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下山 不辨草中逕秖從鹿跡歸商量昨宿處惟有白雲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梁鐘山 是歲知君鐵樹春如何一日恨情新追思螢雪溪邊屋同學如今有幾人室中滾滾兒孫碩席上怡怡兄弟多尙有高堂垂鶴髮悠悠此恨奈君何菊籬浥露懷元亮松寺看雲倣俶倫他日詩樽蘭竹社風流不復有斯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趙省齋【樂模】壽詩 翠竹赬桐隔水村憐君新築讀書軒誰知父子光明燭欲破天衢夜色昏勤儉仙庄歲計饒門前稻黍過人腰老軀爲被閒愁絆負此高朋折簡招繞膝兒孫舞彩頻全家常帶太平春從今不作桃源夢平地神仙子是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4년 고일소(高日釗) 영수증(領收證)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十三年度 潭陽郡昌平面會計員 朴在昊 高日釗 大正十三年度 朴在昊 高日釗 전남남도 담양군 潭陽郡昌平面會計員印(1.8×1.8), 朴在昊(타원형)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4년에 고일소가 담양군 창평면에 지세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1924년에 창평면(昌平面) 장화리(長華里)에 사는 고일소(高日釗)가 지세(地稅)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담양군(潭陽郡) 창평면(昌平面) 회계원(會計員) 박재호(朴在昊) 명의로 발행했다. 고일소가 납부한 금액은 1924년도 제1기분 지세 33전(錢), 지세부가세(地稅附加稅) 8전, 지세할(地稅割) 15전, 지세부가금 9전으로 총 65전이다. 이 문서에는 합계 금액을 기입하지 않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고흥향교지(高興鄕校誌) 高興鄕校誌 高興鄕校誌 高興鄕校誌 고서-기타 서원향교지 원문 高興鄕校誌 孔夫子延降二千五百七年丙申三月 高興鄕校誌編纂所 孔夫子延降二千五百七年丙申三月 高興鄕校誌編纂所 전라남도 고흥 석판본 1 半郭 有界 12行23字 註雙行 上下向2葉花紋魚尾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한국학호남진흥원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읍에 있는 고흥 향교의 향교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奉命使者 禮曹佐郞宋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執事官 雲峯縣監孟養浩大祝○求禮縣監姜碩良兼奉香獻爵○玉果縣監尹有孫兼奉鑪奠爵○進士崔鳳儀執禮○進士李聖眞奉香祝○生員金瑞凝奉額板○生員張㥽奉額板○幼學崔與三謁者【導使者】幼學金成五贊引【導執事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書院上樑文【戊子○刊後追入】 正言黃暐伏以古來聖賢或出處行道之有異尋4)常否泰或死生取命之不同歸潔其身何害於義有若顧菴洪先生河岳間氣松筠異資5)精神得孟氏至剛養以直也節義守曾子大勇吾何慊乎諸賢起而盈朝佇廻6)三代之盛治群陰旋且蔽日慘見一網以打空所在置死焉旣明一體之辨凡可得生者何忍二者之兼直言凛凛若雪霜叫丹陛而不諱正氣烈烈乎金石蹈白刃而如歸投章九重奈聖鑑之不照繫索三絶諒天意之有知竹可焚而不改其靑7)玉雖碎而益著其白時乎所遇者不幸顧何有愧於成仁至如未能齋崔先生氣嚴中裕體邃外沖詩禮得之家庭初服面墻之垂敎道學接乎正派早被眉巖之起嘆擧世瀾趨己(已)8)獨見曹蜍之沫南都壁立斷不汚元規之塵盛德嘉謨朝廷望其大用玉堂鑾掖識者恨其已遲9)舟行岸移閱歲變於晩節霜降木落保貞操於歲寒終焉資孝之忠位不稱德誰云惟善是福壽且嗇仁則論公之平生百不一試而撰頌於今日十有九忘惜乎天未欲平歟嗟哉道之廢命也又若海西吳先生人今道古學老文雄瑩瑩襟懷眞可謂氷壺水鏡溫溫氣象卽之若和風慶雲孝友出天是父而有是子文章餘事憂道而不憂貧一第何事於功名大材竟至於埋沒我今10)懷矣窮路何之嗚呼三賢竝生于此土雖遭遇榮辱之殊塗衆理終歸於一源而心迹言行則同軌神交相感想無間於幽明好我從遊豈論世之先後士苟有志皆知德義之可尊汚不至阿每恨揭虔之無所幸賴地主令監胸襟彭蠡節槩秋霄一疏辨奸少日老泉之氣識寸心憂國百年袁安之慨慷出入大賢之門早知義理之本聯翩劇郡之亭必以儒術11)爲先故自下車之初軫此崇賢之政事必有待豈謂沒世可忘役不煩民蓋是因土得勝居若此近也皆幸出鄭公之鄕文卽在玆乎孰不薰晉鄙之德如聆謦咳共盡仰止之誠相與講磨獲遂瞻依之願仁山智水寓百世之傳心霽月淸風宛千載之眞面卽何斯文之不右庶幾吾道之更東敢效武城之歌同助脩樑之擧兒郞偉抛樑東母嶽層峯聳碧空靑草滿庭山雨後自家意思本來同兒郞偉抛樑西翠竹蒼松步步迷夜氣爽然淸籟警却疑天嶺可登梯兒郞偉抛樑南方丈晴嵐色正酣童子七人冠者六暮春佳節屬三三兒郞偉抛樑北水合三溪碧一色擇不處仁焉得智信知村號也稱德兒郞偉抛樑上須知小學做人樣齊家治國皆由此入則愛親出敬長兒郞偉抛樑下君子有如時雨化吾黨小子可述焉是亦聖人之徒也伏願上樑後絃歌不絶衣鉢相傳敬盡明薌洋洋乎如在左右禮行奠菜茫茫然每年春秋儒賢錄卷一 원문은 【缺一字】. 塘村集 卷之五 露峯書院上樑文에 의거 첨가. 당촌집에는 姿. 資와 姿는 통해 쓰기도 한다. 당촌집에는 回. 廻와 回는 통해 쓰기도 한다. 당촌집에도 淸으로 되어 있다. 玉雖碎而益著其白의 白과 호응하려면 靑이 알맞은 듯하다. 다른 한적 문헌에서처럼, 노봉서원유현록이나 당촌집에서도 已인지 己인지 구분하기 어렵다. 己로 본다면, 擧世瀾趨의 擧世와 己獨이 호응한다고 볼 수 있고, 已로 본다면, 斷不汚元規之塵의 斷과 호응한다고 볼 수도 있다. 원문은 知. 당촌집에는 遲. 知는 문리가 통하지 않고, 遲가 자연스러움. 당촌집에는 今我 원문은 述, 당촌집에는 術. 당촌집을 따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卷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傳令本道兵營虞候 當日到付慶尚右巡察使關內金海釜山之賊合勢長驅諸將潰散兵使退北二十五日已入昌原兵營等處內地闌入之患迫在朝夕賊勢鴟張衆寡不敵星州留賊方今窺覘居昌之路衝東擊酉之變不朝即夕彼賊方謀晋州宜寧山陰等地若此失守賊必直犯貴境事勢危迫南原近處軍兵乙良山陰等地順天等官軍人乙良晉州官以定將領送爲彌貴道兩義兵大將今陣南原是如乙仍于馳拔事移文爲去乎兩大將不分晝夜山陰宜寧之路以率軍馳到助戰事關是置有亦賊勢鴟張長驅犯此之患迫在朝夕各官軍兵火迫調發義兵一時合勢馳援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通湖南文 左義兵通文調度之急書以馳吿者屢矣曾未見答深用愧恠恐或中滯未八僉雅照故輒忘煩瀆更有所言夫擧義討賊專爲家國則饋餉一事無分彼此惟視緩急而已今者我軍所處乃是湖嶺咽喉而星山雄據之賊勢將充斥若此失守雲峯以下更無險阻可以控禦我道之危將不能救克復之基亦無所倚機關之重固不在此歟吾軰用是有事于此且戰且守擊殺居多殱醜之勢已在吾目中矣第以嶺南淪蕩之餘給餉無䇿吾軰所辦亦已吿匱垂成之功一朝將廢此豈吾輩獨任之憂同道有識所當寒心者也大抵食在兵先無食則兵不能自爲此所以興漢之功歸美於蕭何歟况今儒林擧事行者致力行間居者爲兵謀食一是公議臨機制勝我當其責不絶粮道誰任其重以諸賢公耳之心想必是究是圖廣收勤聚亦聞有設廳措備將有所待矣我軍之急旣如是諸賢所謀亦如是一心相濟機不可失當侘之時不敢有其身況敢有其財乎私財且不敢有況校院所有儒家公物而今置之於無用者哉伏願諸賢或公或私隨其所有電輸星送以解如渴之望則此事克終何莫非諸賢之力耶伏願諸賢詳察而勉圖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3년 이혁(李爀) 영수증(領收證) 3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十二年十二月六日 潭陽郡昌平面會計員 朴在昊 昌平面 長華里 李爀 大正十二年十二月六日 朴在昊 李爀 전남남도 담양군 潭陽郡昌平面長之印(1.8×1.8), 朴在昊(타원형)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3년에 이혁이 담양군 창평면에 지세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1923년 12월 6일에 창평면(昌平面) 장화리(長華里)에 사는 이혁(李爀)이 지세(地稅)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담양군(潭陽郡) 창평면 회계원(會計員) 박재호(朴在昊) 명의로 발행했다. 이혁이 납부한 금액은 1923년도 제1기분 지세 3원(圓) 66전(錢), 지세부가세(地稅附加稅) 98전, 지세부가금 1원 9전, 지세할(地稅割) 1원 68전으로 총 7원 41전이다. 이 문서에는 합계 금액을 기입하지 않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