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4년 이혁(李爀) 영수증(領收證) 7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十三年十二月十九日 潭陽郡昌平面會計員 朴在昊 昌平面 長華里 李爀 大正十三年十二月十九日 朴在昊 李爀 전남남도 담양군 潭陽郡昌平面長之印(1.8×1.8), 潭陽郡昌平面會計員印(1.7×1.7), 朴在昊(타원형)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4년에 이혁이 담양군 창평면에 지세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1924년 12월 19일에 창평면(昌平面) 장화리(長華里)에 사는 이혁(李爀)이 지세(地稅)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담양군(潭陽郡) 창평면(昌平面) 회계원(會計員) 박재호(朴在昊) 명의로 발행했다. 이혁이 납부한 금액은 1924년도 제1기분 지세 4원(円) 31전(錢), 지세부가세(地稅附加稅) 1원 13전, 지세할(地稅割) 1원 98전, 지세부가금 1원 29전으로 총 8원 71전이다. 이 문서에는 합계 금액을 기입하지 않았다. 상단에 붉은색으로 ‘감액지세삼십육전(減額地稅三十六戔)’이 추기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6년 이승학(李承鶴) 영수증(領收證) 06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15年9月19日 潭陽郡森林組合長 李承鶴 大正15年9月19日 潭陽郡森林組合長 李承鶴 전남남도 담양군 濟均(타원형), □…□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6년에 담양군삼림조합에서 이승학에게 발급한 조합비 영수증. 1926년 9월 19일에 담양군삼림조합(潭陽郡森林組合)에서 이승학(李承鶴)에게 발급한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담양군삼림조합장 명의로 발행했다. 이승학이 납부한 금액은 1926년도 조합비 3원(員) 90전(錢)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3년 이돈수(李敦秀) 영수증(領收證) 3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十二年十二月十六日 潭陽郡昌平面會計員 朴在昊 昌平面 長華里 李敦秀 大正十二年十二月十六日 朴在昊 李敦秀 전남남도 담양군 潭陽郡昌平面長之印(1.8×1.8), 朴在昊(타원형)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3년에 이돈수가 담양군 창평면에 지세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1923년 12월 16일에 창평면(昌平面) 장화리(長華里)에 사는 이돈수(李敦秀)가 지세(地稅)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담양군(潭陽郡) 창평면 회계원(會計員) 박재호(朴在昊) 명의로 발행했다. 이돈수가 납부한 금액은 1923년도 제1기분 지세 1원(円) 9전(錢), 지세부가세(地稅附加稅) 29전, 지세부가금 32전, 지세할(地稅割) 50전으로 총 2원 20전이다. 영수증을 수령한 이돈수는 본관이 전주(全州)이며, 을미사변(乙未事變) 때 팔도에 격문을 보내어 의병을 일으킨 이승학(李承鶴)의 차남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4년 이혁(李爀) 영수증(領收證) 3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十三年八月廿五日 大德面森林組合長 潭陽郡 昌平面 長華里 李爀 大正十三年八月廿五日 大德面森林組合長 李爀 전남남도 담양군 □…□(타원형)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4년에 대덕면삼림조합에서 이혁에게 발급한 삼림조합비 영수증. 1924년 8월 25일에 대덕면삼림조합(大德面森林組合)에서 담양군(潭陽郡) 창평면(昌平面) 장화리(長華里)에 사는 이혁(李爀)에게 발급한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대덕면삼림조합장 명의로 발행했다. 이혁이 납부한 금액은 1924년도 삼림조합비 4원(円) 35전(錢)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5년 이혁(李爀) 영수증(領收證) 3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十四年度 潭陽郡昌平面會計員 朴在昊 潭陽郡 昌平面 長華里 李爀 大正十四年度 朴在昊 李爀 전남남도 담양군 朴在昊(1.8×1.8)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5년에 이혁이 담양군 창평면에 지세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1925년에 담양군(潭陽郡) 창평면(昌平面) 장화리(長華里)에 사는 이혁(李爀)이 지세(地稅)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담양군 창평면 회계원(會計員) 박재호(朴在昊) 명의로 발행했다. 이혁이 납부한 금액은 1925년도 제1기분 지세 5원(圓), 지세부가세(地稅附加稅) 1원 35전(錢), 지세할(地稅割) 3원 30전, 지세부가금 1원 50전으로 총 10원 15전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釋奠祭笏 謁者引初獻官升自東階點視陳設訖還出○【參神】學生就門外位○執禮率贊者贊唱謁者贊引入自東門先就階間拜位○北向西上四拜各就位○贊引引學生入就位○謁者引五獻官俱就門外位○贊引引祝及諸執事入就階間拜位北向西上立○贊唱四拜○謁者引三獻官○贊引引分獻官入就位○謁者進獻官之左白請行事○五獻官及學生贊唱四拜○○【降神奠幣】謁者引初獻官詣盥洗位北向立搢笏○盥手洗手執笏○謁者引詣 大成至聖文宣王神位前跪搢笏○奉香者奉香盒香爐跪進三上香奠于神位前○祝以幣篚授獻官○獻官執幣獻幣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 次詣兗國復聖公神位前跪搢笏○奉香者奉香盒香爐跪進三上香奠于神位前○祝以幣篚授獻官○獻官執幣獻幣奠于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次詣郕國宗聖公神位前跪搢笏○奉香者奉香盒香爐跪進三上香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次詣沂國述聖公神位前跪搢笏○奉香者奉香盒香爐跪進三上香奠于神位前○祝以幣篚授獻官○獻官執幣獻幣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次詣鄒國亞聖公神位前跪搢笏○奉香者奉香盒香爐跪進三上香奠于神位前○祝以幣篚授獻官○獻官執幣獻幣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仍降復位○【初獻】謁者引初獻官詣 文宣王尊所西向立○執事者擧羃酌酒以爵授酒○謁者引詣 文宣王神位前跪搢笏○執事者以爵授獻官○獻官執酌獻酌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少退跪○祝就獻官之左東向跪讀祝文○獻官俯伏興平身○次詣配位尊所酉向立○執事者擧羃酌酒以爵授酒○謁者引詣復聖公神位前跪搢笏○執事者以爵授獻官○獻官執爵獻酌奠干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次詣宗聖公神位前跪搢笏○執事者以爵授獻官○獻官執爵獻爵奠于神位前○執笏俯㐲興平身○次詣述聖公神位前跪搢笏○執事者以爵授獻官○獻官執爵獻爵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次詣亞聖公神位前跪搢笏○執事者以爵授獻官○獻官執爵獻爵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仍降復位○【亞獻】謁者引亞獻官詣盥洗位北向立搢笏○盥手洗手執笏引詣 文宣王尊所西向立○執事者擧羃酌酒以爵授酒○謁者引詣 文宣王神位前跪搢笏○執事者以爵授獻官○獻官執爵獻爵奠于神位前○執笏俯伏?平身次詣配位尊所西向立○執事者擧羃酌酒以爵授酒○謁者引詣復聖公神位跪搢笏○執事者以爵授獻官○獻官執爵獻爵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次詣宗聖公神位前跪搢笏○執事者以爵授獻官○獻官執爵獻爵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次詣述聖公神位前跪搢笏○執事者以爵授獻官○獻官執爵獻爵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次詣亞聖公神位前跪搢笏○執事者以爵授獻官○獻官執爵獻爵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仍降復位○【終獻】謁者引終獻官詣盥洗位北向立搢笏○盥手洗手執笏○謁者引詣 文宣王尊所西向立○執事者擧羃酌酒以爵授酒○謁者引詣 文宣王神位前跪搢笏○執事者以爵授獻官○獻官執爵獻爵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次詣配位尊所西向立○執事者擧羃酌酒以爵授酒○謁者引詣復聖公神位前跪搢笏○執事者以爵授獻官○獻官執爵獻爵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次詣宗聖公神位前跪搢笏○執事者以爵授獻官○獻官執爵獻爵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次詣述聖公神位前跪搢笏○執事者以爵授獻官○獻官執爵獻爵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次詣亞聖公神位前跪搢笏○執事者以爵授獻官○獻官執爵獻爵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仍降復位○【分獻】贊引各引分獻官詣盥洗位北向立搢笏○盥手洗手執笏○贊引各引詣從享位尊所○執事者擧羃酌酒以爵授酒○贊引各引獻官詣神位前跪搢笏○奉香者奉香盒香爐跪進三上香奠于神位前○執事者以爵授獻官○獻官執爵獻爵奠于神位前○執笏俯伏興平身○次次行禮仍降復位○五獻官及學生贊唱四拜○【飮福受胙】執事者詣 文宣王尊所酌福酒○執事者持俎進減神位前胙肉○謁者引初獻官升詣飮福位西向跪搢笏○執事者進獻官之左北向以爵授獻官○獻官受爵飮卒爵○執事者受虛爵復於坫○執事者北向以俎授獻官○獻官受俎以授執事者○執事者受俎降自東階○執笏俯伏興平身仍降復位○祝徹邊豆各一小移故處○五獻官及學生贊唱四拜○興平身○謁者引初獻官詣望瘞位北向立○祝以幣篚取祝板降自西階置於坎置土半坎仍降復位○謁者進初獻官左○白禮畢○遂引五獻官出○祝及諸執事贊唱四拜而出○學生以次出○執禮贊者贊唱謁者贊引俱就階間拜位四拜而出○撤饌闔戶禮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巳日喜趙雲汀見訪 籬落靑靑草鎖烟晴窓孤坐意悠然今朝處處重三節明日家家寒食天野閣久空佳客座春江誰送故人船豫知溪路終成別苦待昏燈轉可憐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晤姜海樵【栢秀】限韻 篁籬石澗小橋通藥笈茶爐一座中烟暗柴門新葉細雨頻村落好花空誰知昨日靑衫客共對今宵白髮翁侵曉苦吟眠未得幾回仄席綠楊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諸益會飮于松川上 兩桁靑山一帶溪長歌濯足坐沙頭連宵苦雨湖邊宿盡日淸風松下遊此會非曾期膾鱖虛汀莫謾逐眠鷗呼童且覆樽中酒不到如泥不肯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歸壺校續吟 已謝淸遊石澗邊靑燈共作此留連濃陰漸隘園中地霽月偏寬竹外天戶小酒宜居客後才疏詩愧唱人前香茶曉煎靈山摘剩喜床頭攪我眠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行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高祖考府君行畧 府君諱德錘字明叟默亮有容儀妙齡承家業頗饒能曲恩婣睦款誠應接循循然老成人居常嚴密閨房之內坐有常處食時差晩則誠爨婢必使無違每飯後打烟籥少頃而起檢內外平生率以爲度中年病風濕瘡痍遍身猶篤於追遠雖値沍寒必就溪澡沐以奉祭祀年十六丁父憂奉柩於先塋恒念安得吉壤以安吾親乎夢有一神人來曰嘉汝孝子畀一地在山洞【舊南原地而現屬求禮郡】之望火山表以覆鼒其安向背則就決于山下位安里蔡某可也覺而異之之位安問蔡家安在里人曰無有累問或無掩埋傭丐之喪推時日吉凶姓蔡者乎曰人則固有之然此狐狸之與居旣勞君子之光臨而又奚庸見爲卽訪以携登至所謂望火山千章古木群虎虓然奔竄行數里無一坏塚果有一破瓦鼒傲然覆地遂卜日克葬時正祖己酉七月二十七日也又數日夢有神人曰孝子旣遵吾敎吾無以爲情出玉石二枚以與之先是府君娶全州李氏天默齋忠景公諱尙馨之後命欽女擧二男懿達文達後擧二男鍾達純祖庚午生員第三聖達二女陜川李錫儉居平羅彦燮鍾達一男成根聖達三男長昇圭出后伯父懿達次洪圭出后仲父文達次亨圭昇圭二男長錫年次錫瀅出后從叔成根洪圭三男嫡一庶二錫祜錫勳錫臣亨圭三男錫一錫五錫祚現在子孫無慮數十指實府君先後四男之聖達血續也人謂神人所贈玉石二枚一驗生員一驗子孫而況又府君夢時一枚寄李孺人以其月懷孕鍾達異哉然地學利後之說率皆誕妄無足徵信而以府君孝篤神爲呈兆如彼符驗天何也府君天姿夙成被人器重宗黨大有希期不倖宿疾增甚有母夫人在堂而未克終孝路人如悲姻舊姻舊如失左右所嘗遊從者亦極一時勝流今卽其誄辭弔祭之文咸稱善人殀矣山洞人亦名望火曰進士嶝蓋志府君孝思也故老有或承說者家乘載以孝行有聞而且以家庭所聞好文學饒識鑑多奇中云惜乎無以能詳其全德然常恐及今無述亦將幷此而泯滅故撮其梗槩擬謁當世大君子之文或不謂溢美乎府君權姓貫安東始祖高麗太師諱幸於府君爲二十八世祖十六世祖菊齋文正公諱溥始大顯四世封君其玄孫諱定柱官將軍麗季遯于原州以全節生諱希遂始仕本朝爲龍襄衛生諱曉修義副尉世祖朝錄原從功不受退居淳昌南山之陽同志有歸來申公末舟分占泉石以終老邦人號公謂南山晩隱云士林嘗建祠以享之生諱以平郡守郡守生諱世衡文科博士以晩隱公錄勳不受受知成宗將進爲殊用値燕山朝棄官歸隱生諱荇參奉自淳昌而居玉果生諱師德忠順衛忠順生諱鐄奉事奉事生諱好仁遂隱不仕於府君爲高祖曾祖諱瑞龜祖諱昌麗人稱介然君子至考諱重元又自玉而求禮立家産累百好義樂施有聲鄕里妣南原晉氏父諱邦爀府君生於英祖戊子五月六日以純祖甲子四月六日卒于川邊里第享年三十七五月二日葬於縣之白蓮洞西山坤坐之原李孺人不墜家道先府君四年而生後府君十八年壬午六月二十四日卒享年五十九十一月七日葬于丁莊先壠巽坐之原歲之壬子春正月初十日癸酉不肖玄孫鳳洙諱錫年長男也謹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行亞獻禮 贊引引亞獻詣盥洗位北向立搢笏盥水帨手執笏贊引引詣尊所西向立司尊擧羃酌酒以授奉爵引詣神位前北向跪搢笏奉爵詣亞獻之右以爵授亞獻亞獻執爵獻爵執事者受爵奠于神位前亞獻執笏俯伏興平身【各位皆倣此同儀】引降復位亞獻再拜【贊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行終獻禮 贊引引終獻詣盥洗位北向立搢笏盥水帨手執笏贊引引詣尊所西向立司尊擧羃酌酒以授奉爵引詣神位前北向跪搢笏奉爵詣終獻之右以爵授終獻終獻執爵獻爵執事者受爵奠于神位前終獻執笏俯伏興平身【各位皆倣此同儀】引降復位終獻再拜【贊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行飮福受胙禮 謁者引初獻官詣飮福位西向立執事者進酌第一位初獻酒詣初獻之左北向立初獻跪搢笏受爵祭酒啐酒奠爵執饌者以俎進減第一位胙肉詣初獻之左北向以胙授初獻初獻受胙授執饌者初獻取爵飮卒爵執事受虛爵復於坫執饌者以胙降自東階出初獻執笏俯伏興平身三獻官及學生皆再拜【贊唱】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