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5년 이돈수(李敦秀) 영수증(領收證)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十四年二月十五日 潭陽郡昌平面會計員 朴在昊代 長華里 李敦秀 大正十四年二月十五日 朴在昊 李敦秀 전남남도 담양군 潭陽郡昌平面長之印(1.8×1.8), □…□ 2顆(타원형)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5년에 이돈수가 담양군 창평면에 지세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1925년 2월 15일에 창평면(昌平面) 장화리(長華里)에 사는 이돈수(李敦秀)가 지세(地稅)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담양군(潭陽郡) 창평면(昌平面) 회계원(會計員) 박재호(朴在昊) 대리인 명의로 발행했다. 이돈수가 납부한 금액은 1924년도 제2기분 지세 1원(円) 15전(錢), 지세부가세(地稅附加稅) 31전, 지세할(地稅割) 52전, 지세부가금 34전으로 총 2원 32전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4년 이광수(李光秀) 영수증(領收證) 2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十三年十二月十九日 潭陽郡昌平面會計員 朴在昊 長華里 李光秀 大正十三年十二月十九日 朴在昊 李光秀 전남남도 담양군 朴在昊(타원형), 潭陽郡昌平面會計員(1.8×1.8), 潭陽郡昌平面長之印(1.8×1.8)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4년에 이광수가 담양군 창평면에 지세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1924년 12월 19일에 창평면(昌平面) 장화리(長華里)에 사는 이광수(李光秀)가 지세(地稅)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담양군(潭陽郡) 창평면(昌平面) 회계원(會計員) 박재호(朴在昊) 명의로 발행했다. 이광수가 납부한 금액은 1924년도 제1기분 지세 34전(錢), 지세부가세(地稅附加稅) 9전, 지세할(地稅割) 15전, 지세부가금 10전으로 총 68전이다. 이 문서에는 합계 금액을 기입하지 않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遙賀金滄山週甲 苟安高弟有斯翁才氣翩翩出衆中眞訣己從何處得文心自與古人通移家爲見終南月幷世及聞淮上風最是壎床梅影下如君花甲復誰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酉堂水竹軒韻 溪上幽軒萬竹陰幾番風調動詞林辭歸蓮幕餘雙屐步入藍田隨一琴密葉縈烟饒古色奔波挾雨發洪音海飛寧闔文昌眼高臥胡床不廢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咸陽大館林韻 聞道咸陽最上林蒼蒼鬱鬱境何深老根留帶千年蹟蜜葉濃成十里陰官道雷鳴車轂轉歌臺風動舞衣森溪邊石古如人立疑是孤雲抱膝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酉堂席上崔生【學林】携酒而來約以明日上巳會飮 一斗淸酤載片舟溪村來及午雲流明朝況値重三節肯負佳期竹裏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7년 정영옥(鄭永玉) 영수증(領收證)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昭和二年五月一日 潭陽郡森林組合長 長城郡 南面 三台里 鄭永玉納 昭和二年五月一日 潭陽郡森林組合長 鄭永玉 전남남도 담양군 潭陽郡森林組合長印 2顆(2.2×2.2)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7년에 담양군삼림조합에서 정영옥에게 발급한 조합비 납입통지서와 영수증. 1927년도 조합비(組合費) 납부를 위해 담양군삼림조합(潭陽郡森林組合)에서 장성군(長城郡) 남면(南面) 삼태리(三台里)에 사는 정영옥(鄭永玉)에게 발급한 납입통지서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좌면에 납입통지서, 우면에 영수증으로 구성되었으며 담양군삼림조합장 명의로 발행했다. 5월 1일에 발급한 납입통지서를 보면 1927년도 조합비로 정영옥에게 고지한 금액은 20전(錢)이며, 납입기한은 5월 20일까지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聖祀正配位設饌圖 神位魚醢 芹菹 鹽醢 黍簋 稻簠 魚脯 榛子 鹿脯筍菹 鹿醢 稷簋 粱簠 栗黃 芡仁兎醢 菁菹 韭菹 形鹽 乾棗 菱仁腥豕 羊腥俎 篚 幣 俎燭 香爐 香盒 燭爵 爵 爵祝坫 初獻 亞獻 終獻明水{月+羲}尊 醴齊{月+羲}尊明水象尊 盎齊象尊玄酒山罍 淸酒山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從享位設饌圖 神位鹿醢 鹿脯菁菹 稷簋 稻簠 栗黃腥豕俎燭 爵 燭象尊 象尊玄酒 淸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陳設 前釋奠一日有司掃除廟之內外設饌幔於東門外贊者設初獻官位於東階東南西向飮福位於堂上前楹外近東西向亞獻官終獻官分獻官位於初獻官之後稍南西向學生位於庭中北向西上設獻官以下門外位於東門外道南每等異位重行北向西上設望瘞位於睦坎之南釋奠日未行事前掌饌者帥其屬入奠祝板於大成至聖文宣王神位之右【有坫】陳正配位幣篚各一於尊所設香爐香盒幷燭於神位前次設祭器如陳設圖設福酒爵【有坫】胙肉俎各一於文宣王尊所諸執事盥洗位於獻官洗東南北向執尊罍篚羃者位於尊罍篚羃之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一靑軒唱酬【自庚午至癸酉每夏秋數月與尹酉堂王蘆山王玉泉梁鍾山朴愚川舍弟漢擧會川上之一靑軒或命題或無題限韻唱酬】 樵蘇同結杜哦咏到宵中驟熱難成夢開襟竹際風落日溪邊屋庭花晴更濃披襟增灑落竹外月生峯境好人誰在村貧客自疏溪童晩相集工綴細沙書茅堂涼似水來往一橋低屐齒莓苔石溪唇郭索泥萬樹溪邊路樵蘇對掩門風蟬偏作隊鎭日自生喧淸遊趁伏日溪畔一亭高坊酒醵已判午飧君更勞家家逢閏歲劇暑夏偏長稍喜階前樹遲遲送夕陽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續賦七絶石田適至 諸君澹泊我從容結交還憐氣味濃故倣斜川當日事長敎一夕一相逢楠樹當門門映池不堪殘暑座頻移紛紛向夕牛羊路薥黍原邊一短碑幽居曾卜此林崖休笑生平一草鞋慣是溪壇風雨裏逢君幾得瀉幽懷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嘉卯國白村見訪 槐樹風輕火酒盃籬邊移席是涼臺塵世難逢如此客柴門送別約重來相從日日摠閒身終古儒農接水隣縱道棲遲差可樂風塵還愧作詩人千峯潦盡破層雲野客東西已夕曛莫問溪亭誰是主芳醪待熟更逢君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王考府君家狀 府君諱昇圭字平汝姓權氏本貫安東始祖高麗太師諱幸十三世有諱溥號菊齋謚文正一門有九封君爲東方巨閥傳諱準號松齋謚昌和又傳至五世有諱曉修義副尉我端宗朝光廟使明國公實陪行及光廟卽位錄勳將大用公有棌薇志遂遁于淳昌之南山臺終身不復仕後人稱南山晩隱士林嘗建祠以享子孫仍居之傳諱以平郡守傳諱世衡文科博士以晩隱公之不受勳成宗時有旨將殊用値燕山昏亂棄官不出傳諱荇參奉自淳而居玉果於公爲九世祖六世以來宦業遂替猶世以儒業相承至諱重元又移於求禮公曾祖也祖諱德錘有孝行生諱懿達諱文達諱鍾達生員諱聖達諱懿達實公考而諱聖達爲本生考妣豐川盧氏父諱廷碩信古堂諱友明後本生妣瑞興金氏父諱相臣府君生於純祖乙酉二月十七日茂姿質有氣岸中年眇左目其至性自幼如成人考己早世本生考生長富膴忽家業蕩盡風雨環堵蔬食不慣肚府君或于溪打魚或于路要毳軟之物歸以充養必殫力而止嘗與二弟奉性母夫人遠卽百里以衣食虞諸姻戚及稍長謂季弟曰人情不食則饑仲弟與吾寧從事田畝此實得姓後所刱試汝其就學當兼人勤讀無失吾家緖爲馳季弟竟以文業有聞而産業亦稍得成者實公之力也汎愛衆好詞笑老幼咸得歡心尤敬文士見一藝則開懷款款聞一藝則向風眷眷買田先置祭田婚姻恥論財叔父進士公常曰吾門佳子弟吾雖有子身後將視汝爲歸未幾公之父子卽世從嫂尹氏早寡靡依遂於我迎來終始無間言其三女年將及筓則視猶己出擇門地良士而配焉居常勤儉凡有所爲必期久遠而其平生不忘孝思雖老白首對飯卓有異味輒嗚嗚孺慕以寓其終天之痛有疾沮家衆迎醫曰昔吾親之終也諸弟幼吾亦無狀旁無將伯之助病忽革蒼黃未及藥吾今身老限迫家衆乃以此重惹吾痛勿爾也以光武己亥六月二十三日卒于芝亭里古家見推於人曾祖諱重元又自玉而寓求禮治産致千金祖諱德錘有隱德考諱聖達外祖瑞興金相臣伯仲季三人公其季也伯仲各出爲伯仲父之後公八歲而孤値世業猝困伯兄諱昇圭吾祖也吾祖有古陳伯之風躬親耕田使公受業于川社王公錫輔之門公早穎悟於古書好讀魯論爲詩甚有逸調尤深於功令之學然當時科制漸弛見生員進士擧納錢入選遂絶意功名杜門理産補以儉嗇克免其艱祭先務致豐潔母夫人疾劇血指灌口以盡可爲之方爲人魁顔疏鬚性介潔好掃除居室臨溪澡手常移晷刻中年任藍田祠籩豆之事期滿將歸簿記餘租一石歸于伯兄曰倖充賓客之需此外?不欲附已也叔父成均生員諱鍾達素廉方士流推高尙嘉公爲人人亦無有間焉自少知易占往往多符驗所著詩有小嶼稿一冊藏于家小嶼公自號也生於純祖癸巳五月四日以太皇丙午二月二十八日卒翌月二十五日葬于丁莊先塋下丑原配南原尹致馨女其生卒爲後公二年乙未正月十六日公同年六月十日越三月九月九日別葬于沙磧洞艮原三男一女男長錫一次錫五次錫祚壻咸陽吳秉弼錫一男宅洙翊洙一女幼錫五男祥洙桂洙基洙昞洙昉洙壻竹山朴煥謨二女幼錫祚男道洙三女幼秉弼男孟植宅洙男寧植一女翊洙一男一女祥洙二女亦幷幼玆詳書之以待當世立言之君子丙辰二月四日從孫鳳洙謹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先考府君家狀 府君諱錫年字應弼我權貫安東曾大父諱德錘有隱德大父諱懿達本生大交諱聖達父諱昇圭勤儉立家鄕黨稱之母晉州姜氏諱允會之女餘己詳于所述本生從祖小嶼公狀以韓哲宗壬子五月二十六日生太上皇丙戌六月二十日卒始葬外山面上莘洞改葬于馬山面甲洞又不吉卒定于順天月嶝面幷雲村南負申之阡丙午二月二十九日其葬日也【後乙亥九月二十一日又移葬于丁莊先塋左麓丙原妣合祔】二男一女男長鳳洙次鴻洙女適淳昌趙鳳燮孫同植方植鳳洙出學植鴻洙出外孫二人餘幼府君體短而確貌燁而豐性少急而亦能慈仁通亮嘗從梅泉黃公玹同讀書于藍田王氏之山亭時王父以家業久困躬執耒耟以治生府君遂轍書佐治其事尤誠於奉養豫結網每霜朝雨夕瀕溪獵魚以供甘旨不使匱乏見人有求則不忍以無爲辭而必施之乃已戶小而嗜飮風流可愛人多樂爲之歸遇文士則曰今古精華也惡可以不加敬弱冠隨季父小嶼公赴場屋飯于店舍才數匕而匕爲物所觸業已折矣自嫌其見知於人遂藏之隱處卽厲聲呼店傭責以今日擧子之食卓汝敢闕匕以進傭自歸其過乞免僕僕其機敏亦類此配竹山朴琪鉉女以憲宗己酉四月一日生溫順淑茂年二十二歸于先君每吉凶有事治酒食以御內外上下無不鑿鑿中節又善造油果一家爭效之鄕里稱權氏定油果其源寔出於吾母今尙在堂初府君久苦虐疾逾年不瘳尙恐貽父母之憂稱以漸愈知舊亦謂如某之資稟宜延上壽竟添苦河魚至於大故天旣厚吾府君之才德而終閼其年獨何故焉嗚呼痛哉歲之丙辰二月十二日不肖孤鳳洙泣血謹狀芝村遺稿卷之二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芝村遺稿附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4년 이돈수(李敦秀) 영수증(領收證) 2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十三年度 潭陽郡大德面會計員 金永龜 潭陽郡 昌平面 長華里 李敦秀 大正十三年度 金永龜 李敦秀 전남남도 담양군 潭陽郡大德面會計員印 2顆(1.7×1.7), □…□(흑색, 원형)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4년에 이돈수가 담양군 대덕면에 지세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1924년 12월 20일에 창평면(昌平面) 장화리(長華里)에 사는 이돈수(李敦秀)가 지세(地稅)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담양군(潭陽郡) 대덕면(大德面) 회계원(會計員) 김영구(金永龜) 명의로 발행했다. 이돈수가 납부한 금액은 1924년도 제1기 지세 1원(圓) 38전(錢), 지세부가세(地稅附加稅) 37전, 지세할(地稅割) 63전, 지세부가금 41전으로 총 2원 79전이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