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1년 김치홍(金致弘)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적 辛卯式 幼學 金致弘 牧使 辛卯式 金致弘 羅州牧 牧使[押] 周挾無改印(흑색, 21.3×5.9), □…□(7.5×7.5)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C001_02_A00007_001 1891년에 金致弘(78세)이 羅州牧에 제출한 準戶口. *가족사항 : 妻 晉州河氏(78세) *추기: 二十九統五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辛卯式第 一戶幼學金致弘年七十五甲戌本金海父學生 允儉祖學生 鳳垕曾祖學生 重哲外助學生 鄭致成 本慶州妻河氏齡六十六甲戌 籍晉州父學生 順三祖學生 文淑曾祖學生 良海外祖學生 金尙玉 本金海賤口奴元禮故牧使[着押][周挾無改印] 1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89년 이귀선(李龜善)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己丑九月十七日 進士 李龜善 等 7人 昌平鄕中 己丑九月十七日 李龜善 昌平鄕中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9년 9월에 이귀선(李龜善) 외 7인이 창평(昌平)의 유림에게 유희춘(柳希春) 묘소의 범장(犯葬) 문제로 보낸 통문. 1889년 9월에 이귀선(李龜善) 외 7인이 창평(昌平)의 유림에게 유희춘(柳希春) 묘소의 범장(犯葬) 문제로 보낸 통문이다. 하리(下吏) 무리가 세력을 믿고 법을 멸시하는 변고가 있어 왔는데 심지어는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 선생의 묘소를 범장(犯葬) 하는 지경까지 이르고 말았다는 것이다. 미암 선생의 도학(道學)과 절의(節義)가 뛰어나 유문(儒門)에 공적이 있고, 윤강(倫綱)을 부지하여 밝게 빛낸 공적이 어제의 일처럼 선명하다는 것이다. 또 미암 선생은 다행히 호남(湖南)에서 태어나서 담주(潭州, 담양)에서 노후를 보내시어 그 흔적이 이 지역에 남아 있어서 여타의 사람들보다 그 사모함이 배가 된다고 하였다. 그런데 하리가 마음대로 범장하였으며, 또 범장한 지 일 년이 넘도록 소장(訴狀)을 진달하지 못하고 지금까지 지연시켰으니 담양의 선비 된 자가 그 책임을 면할 수 없으니 매우 죄송하다고 전했다. 이제 장성(長城)의 강소(講所)에서 장관(長官)에게 통지하여 여러 읍에 두루 알려서 이번 20일에 미암 선생의 묘소 아래에 모여 의논하여 소장(訴狀)을 올려서 한편으로는 범장한 묘를 파내게 할 목적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범장에 대한 죄를 물을 목적이 있다고 하였다. 또 이 일이 성사되지 않을 때는 대궐 문 앞에 가서 호소하는 것도 불사하겠다는 굳은 결심을 전하며 유림의 참여를 독려했다. 이 일을 유림에게 통지했으나 날짜가 얼마 남지 않아 듣지 못할까 염려되어 이 통문을 먼저 보낸다고 하면서 참여를 촉구하였다. 통문 피봉에는 창평의 각 지역명이 표기되어 있어서 이 통문이 창평의 각 면에 전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록된 지역은 삼천(三川), 수곡(壽谷), 유촌(柳村), 후산(后山), 교촌(校邨), 하북산(下北山), 성산(聲山), 선산(先山), 구읍(舊邑), 서면(西面), 성산(星山), 지곡(芝谷), 연천(煙川) 등이다. 유희춘의 본관 선산(善山), 자 인중(仁仲), 호 미암(眉巖), 시호가 문절(文節)이다. 전라남도 해남에서 태어났다. 그가 살았던 집 뒤의 바위가 눈썹의 모양이라고 해서 호를 미암(眉巖)이라고 지었다. 최산두(崔山斗) ·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문과에 급제해 대사성 · 부제학 · 전라도관찰사 · 대사헌 등을 역임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崇禎六年十月十五日褒忠祠有司前明文右成文事段有移居古內厢之計▣▣廢城內代田買占次以妻邊衿得耕食爲如乎柳等谷里旨坪伏在淡字畓二十二負三束稻種七斗落只庫乙同祠良中價折正木五十匹交易捧上爲遣永永放賣爲去乎後日或有雜談爲去等持此文券告 官辨理事畓主自筆學生朴思遠[着名]證同生弟學生朴思道[着名]證妻同姓五寸叔學生高傅敏[着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57년 성균관(成均館) 답통(答通)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사회-조직/운영-통문 檀紀四千二百九十年五月日 成均館長 金昌淑 綾州鄕校 儒林 僉君子座下 檀紀四千二百九十年五月日 金昌淑 綾州鄕校 儒林 成均館印 1顆(4.5x4.5), 成均館長之印 1顆(2.5x2.5) 전남도청(2019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7년 5월에 성균관장(成均館長)이 능주향교(綾州鄕校) 유림들에게 충효사에 대한 칭송과 함께 당부의 말을 써서 보낸 답통(答通). 1957년 5월에 성균관장(成均館長) 김창숙(金昌淑)이 능주향교(綾州鄕校) 유림들에게 충효사에 대한 칭송과 함께 당부의 말을 써서 보낸 답통(答通)이다. 통문의 내용에 따르면 지금 능주 유림들의 통문을 보고 옛 사헌부 감찰(司憲府 監察) 모봉(茅峰) 박지수(朴枝樹) 유적의 흠경함을 깨닫지 못하였다고 하면서 박지수의 충절과 아들 박천수의 효성을 간략히 서술하며 이들을 칭송하였다. 선조 때에 상대(霜臺, 사헌부)의 청직(淸職)을 맡아서 24명의 어진 동료와 함께 총마계회(驄馬契會)에서 시를 주고받으니 선조께서 이를 가상히 여겨 총마도(驄馬圖)와 시(詩)를 지어 주었고, 임진왜란 때 왕자 임해군과 순화군을 모시고 북관(北關)으로 피난하였으며 종사(宗社)가 위급함에 미쳐서는 분격(憤激)함을 이기지 못해 "그 나라가 망하고 몸이 사는 것은 몸이 죽고 나라가 있는 것만 같지 못하다."라고 하였다. 서약봉(徐藥峯), 정농포(鄭農圃) 등 제현(諸賢)과 함께 부의(赴義)하여 전투에서 싸우다 마침내 순절하고, 그 아들 주부(主簿) 회재(悔齋) 박천주(朴天柱)는 정성이 하늘에 근거하여 여막에 거쳐하며 읍혈(泣血)하니 망북현(望北峴) 쇄루암(灑淚巖)이 생겼다고 하였다. 한 집안에서 양세(兩世)에 충과 효가 나타나니 영지(靈芝)도 뿌리가 있고 예천(醴泉)도 근원이 있다고 말할 수 있는데도 이러한 행적이 드러나지 않아 울적하였는데 고종 때 정려와 증직이 내려져 다행이라고 하면서 또 성균관장의 조두문자(俎豆文字)가 미치니 지체할 겨를이 없다며 지금 겨우 사우(祠宇)를 세우고 배향했다고 하지만 대개 궁통(窮通, 빈궁과 영달)과 현회(顯晦, 유명해지는 것과 은폐되는 것)는 짐짓 그 때가 있다고 하면서 기강을 바로잡고 쇠퇴한 풍속을 격려하고 이같이 숭상하는 곳이 없으므로 앞으로도 계속 끊어지지 않기를 바란다고 당부의 말로 회고(回告)하였다. 충효사(忠孝祠)는 화순군 도암면 벽지리에 자리하며 박지수(朴枝樹)와 아들 박천주(朴天柱)를 배향하고 있는 사우이다. 1598년 건립되었고, 1868년 고종 때 대원군의 서원 훼철령으로 철폐되었다. 그 후 1924년에 우선 단(壇)으로 제향해오다가 1955년에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현재 밀양박씨 문중에서 보존 관리하고 있으며 2001년 7월에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2호로 지정되었다. 박지수(朴枝樹, 1562~1593)는 본관이 밀양(密陽), 자가 무중(茂仲)이고, 호가 모봉(茅峰)이다. 밀양군(密陽君) 박중손(朴仲孫)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찰방 박영걸(朴永傑)이고, 아버지는 사맹공(司猛公) 박억서(朴億瑞)이다. 자질이 빼어나고 일찍부터 강개한 뜻이 있었으며, 1580년(선조 13) 별시(別試) 문과에 병과(丙科)로 합격하였다. 1591년 사헌부 감찰을 제수받았으며, 동료들 24인과 함께 사헌부에서 서로 친밀한 관계를 맺고 시를 지어 주고받았다. 선조가 이를 가상히 여겨 「총마계회도(驄馬契會圖)」를 지어서 주었다. 임진왜란 때 특명으로 왕자 임해군(臨海君)과 순화군(順和君)을 호위하여 북도로 피난 도중 적병 수천 명을 만나 삼일간의 접전 끝에 온몸에 상처를 입어 회령에서 순절하였다. 그의 노복이 시신을 수습하여 고향에 돌아오자 부인 노씨가 남편을 따라 자결하였고, 이 광경을 지켜본 노비 근춘(斤春) 역시 자결하였는데 이에 일문삼절(一門三節)이 배출되었다고 회자되며 이들의 충절이 높이 평가되었다 한다. 부친 사맹공(司猛公)은 83세의 나이로 재산을 털어 군수를 보조하였다. 1869년에 좌승지에 증직되었으며, 1870년에 정려가 내려지고, 1892년에 좌참찬에 증직되었다. 충효사(忠孝祠)에 그의 아들 박천주와 함께 배향되었다. 박천주(朴天柱, 1578~1650)는 자가 경국(擎國)이고 호가 회재(悔齋)이다. 박지수(朴枝樹)의 아들로, 주부(主簿)를 지냈다. 효성과 우애가 독실하였다. 나이 10세에 부모님 상을 당하여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였는데 계속 부모님이 처음 돌아가신 때와 같이 변함없이 하여 주변 사람들이 모두 감동하였다. 정려(旌閭)가 내려졌다. 충효사(忠孝祠)에 아버지 박지수와 함께 배향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行奠幣禮 謁者引初獻官詣盥洗位北向立搢笏盥水帨手執笏引詣神位前北向跪搢笏三上香奉幣獻幣奠幣執笏俯伏興【各位皆倣此同儀】引降復位初獻官再拜【贊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5년 이광수(李光秀) 영수증(領收證) 3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12,4 潭陽郡 昌平面 會計員 朴在昊 李光秀 12,4 朴在昊 李光秀 전남남도 담양군 朴在昊(1.4×1.4)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5년에 이광수가 담양군 창평면에 지세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1925년 12월 4일에 담양군(潭陽郡) 창평면(昌平面) 장화리(長華里)에 사는 이광수(李光秀)가 지세(地稅)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담양군 창평면 회계원(會計員) 박재호(朴在昊) 명의로 발행했다. 이광수가 납부한 금액은 1925년도 제1기 지세 34전(錢), 지세부가세(地稅附加稅) 9전, 지세할(地稅割) 15전, 지세부가금 10전으로 총 68전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4년 이돈수(李敦秀) 영수증(領收證) 1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十三年度 潭陽郡昌平面會計員 朴在昊 長華里 李敦秀 大正十三年度 朴在昊 李敦秀 전남남도 담양군 潭陽郡昌平面長之印(1.7×1.7), 朴在昊(타원형)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4년에 이돈수가 담양군 창평면에 지세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1924년에 창평면(昌平面) 장화리(長華里)에 사는 이돈수(李敦秀)가 지세(地稅)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담양군(潭陽郡) 창평면 회계원(會計員) 박재호(朴在昊) 명의로 발행했다. 이돈수가 납부한 금액은 1924년도 제1기분 지세 1원(円) 15전(錢), 지세부가세(地稅附加稅) 31전, 지세할(地稅割) 52전, 지세부가금 34전으로 총 2원 32전이다. 이 문서에는 합계 금액을 기입하지 않았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6년 이혁(李爀) 영수증(領收證) 2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1,26 潭陽郡昌平面會計員 高光直 長華里 李爀 1,26 高光直 李爀 전남남도 담양군 柳炳吉(타원형)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7년에 이혁이 담양군 창평면에 지세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1927년 1월 26일에 창평면(昌平面) 장화리(長華里)에 사는 이혁(李爀)이 지세(地稅)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담양군(潭陽郡) 창평면(昌平面) 회계원(會計員) 고광직(高光直) 명의로 발행했다. 이혁이 납부한 금액은 1926년도 제2기 지세 13원(圓) 16전(錢), 지세부가세(地稅附加稅) 3원 94전, 지세할(地稅割) 6원 5전, 지세부가금 3원 94전으로 총 27원 9전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4년 이광수(李光秀) 영수증(領收證) 1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十三年十一月一日 潭陽郡昌平面會計員 朴在昊 昌平面 長華里 李光秀 大正十三年十一月一日 朴在昊 李光秀 전남남도 담양군 潭陽郡昌平面長之印 2顆(1.8×1.8)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4년에 담양군 창평면에서 이광수에게 발급한 연초경작세(煙草耕作稅) 납세고지서와 영수증. 1924년도 제1기 연초경작세(煙草耕作稅) 납부를 위해 담양군(潭陽郡) 창평면(昌平面)에서 창평면 장화리(長華里)에 사는 이광수(李光秀)에게 발급한 납세고지서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좌면에 납세고지서, 가운데에 영수증, 우면에 송달서(送達書)로 구성되었다. 납세고지서는 담양군 창평면장 고광연(高光淵) 명의로 발행했고, 영수증은 담양군 창평면 회계원 박재호(朴在昊) 명의로 발행했다. 11월 1일에 발급한 납세고지서를 보면 이광수에게 고지한 금액은 1924년도 자가용(自家用) 연초경작세 18전(錢)이다. 납입기한은 11월 30일까지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3년 이돈수(李敦秀) 영수증(領收證) 2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十二年十二月十四日 潭陽郡昌平面會計員 朴在昊 昌平面 長華里 李敦秀 大正十二年十二月十四日 朴在昊 李敦秀 전남남도 담양군 潭陽郡昌平面長之印(1.8×1.8)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3년에 담양군 창평면에서 이돈수에게 발급한 지세 납세고지서와 영수증. 1923년도 제1기분 지세(地稅) 납부를 위해 담양군(潭陽郡) 창평면(昌平面)에서 창평면 장화리(長華里)에 사는 이돈수(李敦秀)에게 발급한 납세고지서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좌면에 납세고지서, 우면에 영수증으로 구성되었으며 담양군 창평면장 고광연(高光淵) 명의로 발행했다. 12월 1일에 발급한 납세고지서를 보면 이돈수에게 고지한 금액은 지세 23전(錢), 지세부가세(地稅附加稅) 6전, 지세부가금 6전, 지세할(地稅割) 10전으로 총 45전이다. 납입기한은 12월 20일까지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孔子歷代褒崇典章 魯哀公立孔子廟俾百戶守之○西漢高祖過魯以太牢祀孔子○元帝命太師以所食八百戶祀孔子○東漢光武過闕里命大司空以太牢祀孔子○明帝詣孔子宅御講堂命皇太子諸王說經○西晋靈帝詔置鴻都門學畵先聖及七十二弟子像○武帝詔魯國四時祀孔子及弟子帝親釋奠以顔子配享○唐高祖令有司於國學立周公孔子廟四時致祭○太宗詔別祀周公州縣皆立孔子廟○高宗詔以周公配武王特祀孔子○玄宗詔國子監及諸州孔子南面坐被王子服釋奠用宮懸○宋太祖詔祀孔子用永世之樂○明朝成化間詔天下孔子廟祀加樂舞八佾籩豆十二東國則麗朝時享祀焉兗國復聖公顔子名回字子淵魯人也邾武公伯顔后鄕士無繇子受學於孔子娶齊姜氏魯昭公二十九年戊子十一月丙申生顔子少孔子三十八歲幼有異質甫成童遂從孔子受學楚子以書社地欲封孔子時令尹子西不可且以顔子輔相之才而沮之乃止返魯安貧樂道魯哀公十三年己未八月丁巳卒得年三十三孔子哭之慟哀公弔爲葬于魯防山南顔子得淳和之氣禀上智之資善問好學孔門弟子身通六藝七十二人中以德行首稱而但與聖人未達一間耳觀其喟然歎曰仰之彌高鑽之彌堅瞻之在前忽然在後之言可謂深得聖人之道者矣唐貞觀二年詔稱先師配享文廟元文宗至順元年贈兗國復聖公明嘉靖九年改稱復聖顔子東國則自麗朝已配享焉郕國宗聖公曾子名參字子輿魯南武城人鄫世子巫后點子父曾點學于孔子魯定公五年丙申生曾子少孔子四十七歲年十六以父命從學于孔子事之十餘年學業大成義不苟仕大夫之門家貧嘗弊衣力耕以養其親魯君聞之致邑而固辭不受及親老不欲遠遊齊聘爲卿亦不就故在聖門最以孝行聞要之其學以誠篤審問反躬守約爲貴曾子獨受孔子之傳統觀其稱孔子曰溫而勵威而不猛恭而安又曰江漢以濯之秋陽以曝之皜皜乎不可尙己則可謂善形容孔子道德者也逮至晩年所見益高所守益篤及有疾召門弟子啓手足易簀而後卒作孝經述大學唐徽宗改和元年封武城候配享 文廟元至順元年贈郕國宗聖公明嘉靖九年改稱宗聖曾子東國則享祀在我朝 太宗七年沂國述聖公子思名伋子思即其字也孔子孫伯魚子生有異質嘗聞聖祖之訓自任以負荷之重乃受業於曾子窮性命之原極天人之辦以誠心敬身尊道爲貴故能眞得孔子之傳而大學之心法所由授受中庸之微言所由闡明觀其中庸有曰仲尼祖述堯舜憲章文武上律天時下襲水土之句深知厥祖而能形容者也故雖窮困終身而立節伸道以求無忝於厥祖如魯繆公以餽問求與之友而不可得衛田子方餽以狐裘與乘馬皆不受享年一百十餘歲而卒葬于祖墓南麓承先師之意而著述中庸焉唐徽宗崇寧元年封泝水候配享文廟元至順元年贈泝國述聖公明嘉靖九年改稱述聖子思東國享祀在我朝 太示七年鄒國亞聖公孟子名軻字子輿鄒人也魯孟孫氏之后父激公宜母仇氏生三歲而父激公宜卒母有賢德其舍近墓每戲嬉踊躍築埋母曰此非居子也乃居於城市其戲嬉常爲賈衒其母曰此非居子也乃徙舍學宮之傍其戲嬉常陳俎豆設禮容母曰此眞可以居子也遂居之世稱孟母有三遷之敎旣長受業於子思之門人嘗曰孔子聖之時者也我所願則學孔子也道旣通遊於齊梁之間不得見用乃與萬章之徒難疑答問作孟子七篇自敍其終曰由堯舜至湯五百有餘歲由湯至文王五百有餘歲聖人之世若此其未遠也然而無有乎爾云則可見其自任以斯道之重而又以俟後聖於無窮者矣及卒葬于其鄕四基山之陽宋元豊六年封鄒國公配享 文廟元至順元年贈鄒國亞聖公明嘉靖九年改稱亞聖孟子東國享祀在我朝 太宗七年道國公周惇頤初諱淳實字茂叔號濂溪宋道州人先生聞道甚蚤博學力行遇事剛果有古人風嘗作太極圖易設易通數十篇在南安時年少不爲守所知洛人程公珦攝通守事視其氣貌非常因與爲友且使其二子往受學焉在郴時郡守李公初平知其賢與之語而嘆曰吾欲讀書何如先生曰公老無及矣我請得爲公言之於是日聽先生語二年果有得在邵州時廣昌學校以敎其州民子弟及使嶺表以洗寃澤物爲己任未究所爲而病以歸矣廬山之麓有溪焉發源於蓮華峯下潔淸甘寒先生樂之因寓以濂溪之號而築書室於其上太史黃庭堅作詩而序之曰茂叔人品甚高胸中灑落如光風霽月後封爲道國公我朝則 肅宗甲午陞配豫國公程顥字伯淳號明道宋河南人三司使珦子熙寧遷晋城令斷獄如神明尤務德化凡民以事至縣者必告以孝弟忠信使之相助相恤而姦僞無所容神宗素知其名數召見每退必曰頻求對欲常常見卿前後進說甚多大要以正心窒慾求賢育材爲言以誠意感悟主上爲務王安石議更法方怒攻者甚先生赴議事徐曰天下事非一家私議願平氣以聽安石爲之愧屈嘗論時政有曰興利之臣日進尙德之風漸衰尤非朝廷之福遂乞去安石猶敬其忠信哲宗立召爲宗正丞未行而卒享年五十四資性過人充養有道門人交友從之數十年未嘗見其忿勵之色遇事優爲雖當倉卒不動聲色嘗言曰道之不明異瑞害之也是皆正路之蓁蕪聖門之蔽塞闢之而後可以入道旣歿也文彦博爲題其墓曰明道先生其弟頤序之曰周公歿聖人之道不行孟軻死聖人之學不傳先生生于千四百年之後得不傳之學於遺經使聖人之道煥然復明於世蓋孟子後一人而已有文集後封豫國公我朝 肅宗甲午陞配○洛國公程頤字正叔號伊川明道先生之弟也與兄同受學於周茂叔年十八上書闕下勸仁宗以王道爲心生靈爲念黜世俗之論期非常之功哲宗嗣位司馬光等上其行誼于朝其略曰河南處士程頤眞儒者之高蹈聖世之逸民道德純備學問淵博有經天緯地之才有制禮作樂之具俾當勸講必能輔養聖德兼掌學校足以變斯文授國子監條制乃請制尊賢堂以延天下道德之士鐫鮮額以去利誘省繁文以專委任勵行檢以厚風敎及置待賓吏師齋立觀光法當時人士歸其門者甚盛而先生以天下昌明道學自任論議褒貶無所顧忌由是同朝之士有以文章名世如蘇東坡軾輩甚疾之與其黨類巧爲謗詆而終不見屈意又復宣義郞以老致仕遷居龍門之南止四方學者曰尊所聞行所知可矣不必及吾門也至寢疾而卒享年七十五後封洛國公我 朝肅宗甲午陞配徽國公朱熹字仲晦號晦菴宋婺源人進士松子幼穎悟甫能言父指天曰天也先生因問天之上有何物父異之就授以孝經一閱題其上曰不若是非人也嘗從群兒戱沙上獨瑞坐以指畫沙卽八卦也年十八登進士孝宗卽位詔求直言先生上封事言聖躬雖未有闕而修攘之計不可以不早定仕於外者僅五十年先生徧交當世有識之士惟師延平李侗其爲學窮理以致其知反躬以踐其實嘗謂聖經之旨不明而道統之傳始晦故著有易本義啓蒙與詩集傅大學中庸章句或問論語孟子集註太極圖通書小學書通鑑綱目家禮近思錄程氏遺書伊洛淵源錄一日疾㞃〖谻〗手書屬其子在及門人范念黃幹奉奉以勉學修正翌日正坐整衣冠就寢而逝享年七十一平生爲文凡一百卷生徒問答凡八十卷別錄十卷也黃幹曰道之正統待人而傳由孔子而後曾子子思繼其微至孟子而始著由孟子而後周程張子繼其絶至朱子而始著後封徽國公諡文我朝 肅宗甲午陞配弘儒候薛聰字聰智慶州人僧元曉子元曉嘗爲沙門淹該佛書一日元曉風顚唱歌云誰許沒柯斧我硏〖斫〗支天柱新羅眞平王聞之曰此師殆欲得貴婦産賢子之謂矣國有大賢利莫大焉時瑞石宮有寡公主勅宮吏覓元曉已自南山來過蚊川稿遇之墮水中濕衣袴吏引於宮遞衣{目+良}〖㫰〗矖〖曬〗因留宿焉公主果有娠而生先生元曉旣失戒易俗服自號小性居士先生生而明銳旣長博學能以方言解九經訓導後生至今學者宗之又能屬文而世無傅南地或有所製碑銘剝落不可讀爲神文王所請作花王論高麗顯宗時贈弘儒候從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祀文廟 文昌候崔致遠字孤雲或云海雲慶州人新羅憲安王戊寅生史傳泯滅不知其系精敏好學年十二入唐求學其父曰十年不第非吾子行而勉之僖宗元年擧進士乾符元年及第賜紫金魚帒從都統使高餠〖騈〗討黃巢亂草檄文黃巢落瞻墮床文章名聲喧動天下年二十八有歸寧之意僖宗知之詔書來聘留爲侍讀兼翰林學士守兵部侍郞知瑞書監其後多疑忌不能容返故國爲太山郡太守以遭亂無復仕進意逍遙自放山林之下江海之濱營臺榭植松竹嘯咏風月率家隱於伽倻山而終老爲紅流洞石壁詩曰狂奔疊石吼重巒人語難分咫尺間常恐是非聲到耳故敎流水盡聾山高麗太祖作興孤雲知必將受命開國因致書問有鷄林黃葉鵠嶺靑松之句顯宗庚申追封文昌候從祀文廟有文集文成公安裕字士蘊號晦軒順興人密直副使孚子高麗高宗癸卯生自幼不妄言笑旣長好學文章夙就元宗庚申登文科補校書郞忠烈王戊寅累薦至國子司業至是累經兵燹學校頹敗禪佛熾昌士不知學儒風不振先生獨慨然作詩曰香燈處處皆祈佛簫管家家盡祀神獨有數間夫子廟滿庭春草寂無人己丑從王如元時朱子書未及盛行先生在元始得見之心自篤好知爲孔門正脈手錄其書摹寫孔朱眞像而歸築精舍於居第後奉安二夫子眞像朝夕瞻謁以寓敬慕嘗曰晦菴功足以配仲尼欲學仲尼先學晦菴仍號晦軒忠宣王如元先生以修文殿太學士從往留燕京謁文廟學官問東國亦有聖廟耶曰我國文物祀典一遵華制豈無聖廟耶仍辨論性理合於朱子說學官驚嘆曰此東方朱晦菴也歸陞中贊元學官差使來請謁文廟時國子監累經兵燹只餘數間屋禮官乃指先生宅後精舍謂爲聖廟引詣展謁元使以殿宇隘陜失伴宮制度勸王新之先生卽獻宅移居納土田藏獲百口以供學徒送博士金文鼎于江南奉先聖及七十子像購祭器樂器六經諸子史朱子新書以來忠烈王丙午卒享年六十四諡文成公忠肅王己未從祀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