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禮服圖說 【(文武官冠服)接國恤中享祀文廟則借吉各院祠則用白衣白巾】忽【笏四品以上用象牙五品以下用木】【冠一品五梁二品四梁三品四品至六品二梁七品以下一梁幷角簪】衣面【衣以靑羅爲之】衣背【說見上衣面說】中單面【中單以白紗爲之皀領線】中單背【說見上中單面說】裳【裳以赤羅爲之】蔽膝【蔽膝爲赤羅爲之】方心曲領【方心曲領爲白絹爲之】革帶【革帶二品以上用金三品至四品用銀五品以下用銅】大帶【大帶以赤白羅合而縫之】綬【級二品以上以黃綠赤紫四色(三品同四品至六品黃綠赤三色七品以下以黃綠二色)綠織成雲鶴(三品盤鵑四品至六品練鵲七品以下鷄鷘)花錦下結靑絲綱施以雙金環(三品至四品用銀環五品以下用銅環)】佩【佩二上設衡以銅鉤次以重衡中以兩旁琚瑀下有衡牙雙璜在重衡之兩旁又雙同在衡牙之兩旁穿以藥玉珠其衡琚瑀雙璜衡牙滴子幷以珉玉】襪【襪以白布爲之】履【履以黑皮爲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陳設圖 釋奠正配位【縣則不用羊 腥】右八豆 神位 左八籩魚醢 芹菹 醓醢 魚鱐 榛子 鹿脯筍菹 鹿醢 簋黍 簠稻 栗黃 芡仁兔醢 菁菹 韭菹 簋稷 簠粱 形鹽 乾棗 菱仁豕腥 幣篚 羊腥俎 俎燭 燭 燭爵 爵 爵○ 初獻奠此 亞獻奠此 終獻奠此祝坫明水 犧尊 犧尊 醴齊明水 象尊 象尊 盎齊玄酒 山罍 山罍 淸酒【每位籩八在左爲三行右上○第一行形鹽在前魚鱐次之第二行乾棗在前衆黃榛子次之第三行菱仁在前芡仁鹿脯次之○豆八在右爲三行左上○第一行篚菹在前醓醢次之第三行菁菹在前鹿醢芹菹次之第三行兔醢在前筍菹魚醢次之○俎二一在籩前一實以稻粱粱在稻前簋實以黍稷稷在黍前○爵三在簠簋前各有坫○正配位各犧尊二○第一行犧尊弟二行象尊第三行山罍皆加勺羃在殿上東南隅北向西上○配位尊在正位酒尊之東】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釋奠從享 右二豆 神位 左二籩鹿醢 鹿醢靑菹 簋黍 簠稻 栗黃豕腥俎燭 爵 燭玄酒 象尊 象尊 淸酒【每位左二籩栗黃在前鹿脯次之○右二豆菁菹在前鹿脯次之○簠簋各一在籩豆間簠在左簋在右簠實以稻簋實以黍○俎一在簠簋前實以豕腥○爵一在俎前有坫○殿內及兩廡各象尊二一實玄酒實一淸酒皆加勺羃在仁外之在○兩廡則在廡內】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五聖位及宋朝四賢事實略【附東國十入賢】 孔子名丘字仲尼魯人魯襄公二十二年庚戌十一月庚子生哀公十六年壬戌四月己丑卒魯哀公誄尼父西漢平帝謚褒成宣尼父東漢和帝封褒爲尊侯隋文帝贈先師尼父唐太宗陞爲先聖高宗贈爲太師玄宗謚爲文宣王宋眞宗謚爲玄聖文宣王改至聖文宣王元武宗封大成至聖文宣王顔子名回字子淵魯人魯召公二十九年戊子十一月丙申生哀公十三年己未八月丁巳卒唐高宗封兗公宋眞宗封兗國公元加尊復聖 太宗七年配文廟曾子名參字子輿魯之郕人魯定公五年壬午生後封郕國宗聖公 太宗七年配文廟子思名伋子思字也孔子孫魯哀公二年戊申生周安王四年己酉卒年六十二【張氏璿王按高子略孔甲問答載子思?孔子問答語則孔子時子思已長然孔子卒時距穆公之立逾七十年則六十三豈八十二之誤歟○子思之年雖不可考以魯世家校之決不止六十二歲張氏之說或可從也】宋徽宗封沂水侯度宗封沂國公元加尊述聖宋徽宗配孔子廟度宗陞爲五聖位 太宗七年配文廟孟子名軻字子輿鄒人後封鄒國亞聖公 太宗七年配文廟周子名敦頤字茂叔宋人丁巳生熙寧六年癸丑卒嘉定庚辰謚元公淳祐辛丑封汝南伯元改道國公 肅宗四十年享文廟程伯子名灝字伯淳宋人明道壬申生元豊乙丑卒嘉定二年諡純公淳祐辛丑封河南伯元改豫國公 肅宗四十年享文廟程叔子名頤字正叔明道弟明道癸酉生大觀丁亥卒嘉定八年諡正公淳祐辛丑封伊川伯元改洛國公 肅宗四十年享文廟朱子名熹字元晦宋人建炎庚戌生慶元庚申卒嘉定元年諡文公三年改徽國公 肅宗四十年享文廟薛聰字聦智慶州人僧元曉子新羅神文王時爲翰林高麗顯宗十三年壬戌贈弘儒侯從祀文廟又享慶州西岳書院崔致遠號孤雲又曰海雲慶州人新羅憲安王元年戊寅生十二歲入唐僖宗乙未擧進士官至承務郞侍御史憲康王十年乙巳歸國官至翰林學士後隱于伽倻山而終高麗顯宗十一年庚申贈內史令從祀文廟十四年癸亥追封文昌侯又享于慶州西岳書院安裕後名珦字士藴號晦軒順興人密直副使孚子高麗高宗三十年癸卯生登文科官至僉議中贊大學士忠烈王三十二年丙午卒年六十四諡文成忠肅王六年己未從祀文廟又享紹修書院【安裕後名珦字犯我文宗諱顯宗四年癸卯因禮曹啓之初名裕字改題八道縣校位版】鄭夢周字逹可號圃隱延日人成均生員瓘子高麗忠肅王後六年丁丑生登進士文科官至侍中益陽君洪武壬申殉于國時年五十六朝鮮贈領議政諡文忠 中宗十二年丁丑從祀文廟又享開城崧陽書院金宏弻字大猷號寒暄堂瑞興人司勇紐子 端宗二年甲戌生中生員試以遺逸拜參奉官至刑曹佐郞燕山甲子被極刑年五十一 中宗時贈右議政諡文敬光海君二年庚戌從祀文廟後贈領議政又享玄風道東書院鄭汝昌字伯勖號一蠧河東人虞侯六乙子 世宗三十二年庚午生登進士文科官至安陰縣監燕山十年甲子賜死年五十五中宗時贈右議政謚文獻光海君二年庚戌從祀文廟後贈領議政又享咸陽灆溪書院趙光祖字孝直號靜庵漢陽人監察元綱子 成宗十三年壬寅生以遺逸徵拜司紙登文科官至大司憲 中宗十四年己卯竄綾州受侯命時年三十八後贈領議政謚文正光海君二年庚戌從祀文廟又享龍仁深谷書院李彥迪初諱迪字復古號晦齋驪興人生員蕃子 成宗二十二年辛亥生登進士文科歴仕 仁宗明宗兩朝官至右贊成 明宗八年癸丑卒于謫所年六十三後贈領議政諡文元光海君二年庚戌從祀文廟又享又慶州玉山書院李滉字景浩號退溪眞寶人進士埴子燕山君七年辛酉生登進士文科官至右贊成大提學 宣祖三年庚午卒年七十贈領議政諡文純配享 宣祖廟廷光海君二年庚戌從祀文廟又享禮安陶山書院金麟厚字厚之號河西又號湛齋蔚山人參奉齡子 中宗五年庚午生登進士文科官至弘文校理 明宗十五年庚申卒年五十一 正祖二十年丙辰贈領議政諡文正從祀文廟又享長城筆巖書院李珥字叔獻號栗谷德水人監察元秀子 中宗三十一年丙申生登進士文科官至右贊成大提學 宣祖十七年甲申卒年四十九贈領議政謚文成配享 宣祖廟庭 肅宗八年壬戌從祀文廟又享白川文會書院成渾字浩原號牛溪又號默庵昌寧人縣監守琛子 中宗三十年乙未生以遺逸薦官至右參贊 宣祖三十一年戊戌卒年六十四贈領議政諡文簡 肅宗三十年甲戌從祀文廟又享坡州坡山書院金長生字希元號沙溪光山人大司憲繼輝子 明宗三年戊申生以遺逸徵歷仕 宣祖光海 仁祖官至刑曹參判 仁祖九年辛未卒年八十四贈領議政諡文元 肅宗四十三年丁酉從祀文廟又享連山遯巖書院趙憲字汝式號重峯白川人應祉子 中宗三十九年甲辰生登文科官至奉常僉正 宣祖壬辰殉節于錦山年四十九後贈領議政謚文烈 高宗二十年癸未從祀文廟又享金浦牛渚書院金集字士剛號愼篤齋光山人文元公長生子 宣祖七年甲戌生以遺逸徵官至判中樞府使 孝宗召拜禮曹判書 孝宗七年丙申卒年八十三贈領議政諡文敬配享 孝宗廟廷 高宗二十年癸未從祀文廟宋時烈字英甫號尤庵恩津人景獻公甲祚子 宣祖四十年丁未生魁生員試以遺逸徵官至左議政 肅宗十五年己巳受後命于井邑年八十三後贈領議政諡文正配享 孝宗廟庭 英祖三十二年丙子從祀文廟又享驪州江漢祠宋浚吉字明甫號同春堂恩津人郡守爾昌子 宣祖三十九年丙午生中進士以遺逸徵官至吏曹判書 顯宗十三年壬子卒年六十七贈領議政諡文正 英祖三十二年丙子從祀文廟又享尚州興巖書院朴世采字和叔號玄石又號南溪潘南人弘文校理漪子 仁祖九年辛未生中進士以遺逸徵官至左議政 肅宗二十一年乙亥卒年六十五諡文純配享 肅宗廟庭 英祖四十年甲申從祀文廟又享長連鳳陽書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4년 이승학(李承鶴) 영수증(領收證) 02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十三年二月一日 潭陽郡昌平面會計員 金永龜代 昌平面 長華里 李承鶴納 大正十三年二月一日 金永龜代 李承鶴 전남남도 담양군 李彦秀(1.0×1.0), □…□(타원형)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4년에 이승학이 담양군 창평면에 지세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 1924년 2월 1일에 창평면(昌平面) 장화리(長華里)에 사는 이승학(李承鶴)이 지세(地稅)를 납부하고 받은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담양군(潭陽郡) 대덕면(大德面) 회계원(會計員) 김영구(金永龜) 대리인 명의로 발행했다. 이승학이 납부한 금액은 1923년도 제2기 지세 8원(円) 18전(錢), 지세부가세(地稅附加稅) 2원 20전, 지세할(地稅割) 3원 76전, 지세부가 2원 45전으로 총 16원 59전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伯父東淮公遷葬文 嗚呼伯父棄世今幾年所滄桑嬗變世故多緖赫赫門闌欻焉以替庭蘭階玉摧殞相繼藐爾孫支僅綿後嗣盛衰之理窅冥難知或慮幽宅神道靡寧卜彼湍阜改營佳城靈輀遠駕暫住江澨彷像平生號叫莫逮煙濤浩淼星月交輝一斝來奠泣血沾衣嗚呼痛哉小子生晩猶及伯父瞻依愛敬一如所怙夙承提撕先訓是勅啓發昏蒙資其知識顚頓末路幸免大戾庇庥于今而誰之惠風流綿邈典刑難追昔時童幼今老且衰俯仰人間生趣索然哀我孤煢何辜于天官嬰法拘躬未臨穴瞻望丹旌肝肚欲裂嗚呼痛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전라남도관내도(全羅南道管內圖)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사회-지리-지도 전남도청(2019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全羅南道管內圖. *축척: 5,000,000:1 *형태: 상단에 제목 있음, 우측 상단 우리나라 전도에서 전라남도를 표기한 지도, 중앙에 濟州島를 포함한 전라남도 관내도가 있고 '道界', '郡界', '面界' 등이 표기되어 있음, 좌측 하단에 凡例표, 우측 하단 모서리에 府郡島里程標가 인쇄되어 있음. 가장자리에 木浦府全圖, 光州市街全圖, 自動車運轉里程標가 수록 *상태: 낱장, 컬러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判書汾崖申公墓誌禮曹判書汾崖申公神道碑銘【竝序】 肅宗大王十二年汾厓申公以原任禮曹判書分司江都明年十二月二十二日疾卒于官舍享年六十訃聞上震悼輟視朝二日特下哀旨令所經邑護送其喪薦紳大夫士以至民庶婦孺莫不咨嗟曰賢宰相亡矣謹按公諱晸字寅伯汾厓號也系出平山遠祖崇謙翊麗祖統合三韓竟以身殉節入本朝右參贊夷簡公諱瑛最顯子諱承緖開城都事寔生諱欽領議政文貞公號象村文章德業爲宣仁朝名臣卽公祖考也考諱翊全禮曹參判娶楊州趙氏領敦寧昌遠女生公於崇禎戊辰在娠母夫人有夢龍之異及㝃果魁碩不凡伯父東淮公翊聖每稱吾家有人參判公爲賊烓所陷將詣遼瀋虜譯鄭命壽見公不覺屈膝戊子中司馬兩試時賊臣自點陰結後宮趙氏趙女爲自點孫婦勢益張而公妹爲趙子婦公左右參判公深自畏約及自點與趙俱以逆誅公從兄冕以與自點親密杖死而公家獨免以此公議多參判公而亦歎公識慮深遠不可以年少易之云顯宗甲辰以氷庫別檢擢文科鄭相國太和爲上賀得人上亦喜分隷槐院選入史局兼說書轉注書又以說書陞禮曹佐郞爲持平正言遞爲京畿都事兵曹正郞入玉堂爲修撰校理選三字銜公在臺閣力持風裁按治橫閭里者都人慹伏徐判書必遠素不悅尤菴宋文正公因事詆斥使之不安去公劾之時諸駙馬第宅多踰僭宋公言人臣不當處宋公去朝明日上命仍處其第公啓爭之貞陵旣復將祔太廟上以事關先朝難之公疏論甚晳復合啓申請竟得允倭酋尙成來請移舘朝議不許成怒至於拔劍傷人朝廷患之屢易儐接及於公公以一言折服遂不敢言移舘事辛亥大饑公在玉堂上箚條陳四事又言春宮嘉禮多侈費非遇災貶損之道上嘉納之拜吏曹佐郞先時參判公戒子孫避遠銓柄公引此辭不就陞應敎移司諫執義兼輔德承命廉察嶺南郡邑還上便宜十餘策多見施行獻納尹敬敎疏斥首相許積上震怒遞其職公力救上愈怒特遞公竄敬敎公於是大忤上意不復入三司久之拜司成還玉堂湖南災擢公爲方伯以治之入貳兵戶二曹轉承旨尹鑴輩欲嫁禍廷臣與逆宗枏通謀嗾宗人翼秀言孝廟陵石有罅又嗾嶺南人張應一投章危動公以大司諫極言凶悖狀上卽命竄應一羣小流言不止上頗入其說連斥黜金公萬重李公選李公䎘閔公鼎重公又疏救之公於是時三長諫院再長國子間爲禮吏二曹參議吏則力辭不拜會有西顧憂擢拜平安監司公前在南臬聲績大著及是益自奮勵修樓櫓盛鶴列凡所施設皆可爲挈令有妖言惑衆與挾虜售奸者竝斬以徇人皆股弁公爲治惠而有威淸嚴簡重人至比張詠之鎭蜀肅宗新卽位邪黨用事素忌公首彈而去之自後低徊冗散或退處湖上公爲人骯髒有氣義視世之齷齪嵬瑣者殆不欲交語喜飮酒酒酣談論意無傍人見邪黨乘時跳梁面斥不饒時加嘲侮雖內恨恥之亦無如公何也時有妖僧詣闕自稱昭顯子上命公卿集議相積懷邪持兩端羣奸環坐目攝耳語公直入坐顧謂積黨曰君輩何其壹似傳法羅漢也卽引雋不疑事正色折之索紙書奏議擲筆而出積等大惡之尹鑴伐禁松作舍公暴其狀爲鑴黨所劾罷己未鑴等欲鏺士類募人投凶書錄舊宰六七人指爲同謀公亦與焉時公在江舍與弟曄對酌賦詩子啓華疾馳至涕泣不能言公笑曰死命也毋怯仍足成一篇卽待命闕下鄭公知和亦以名入凶書待命公就見曰適得佳句請爲公誦之鄭公搖手曰非所也公擊節高吟意氣自如後得投書者事遂已公自乙卯後連拜工戶兵禮四曹參判漢城右尹都承旨同知中樞兼副摠管同知義禁多移病不仕間以敦匠勞陞嘉義至是出知安邊府庚申權奸逬黜召公拜大司憲兼承文提調俄差副价使燕往在顯廟庚戌逆枏使燕歸言虜主謂我國臣强語無證人頗疑之至甲寅顯廟上賓吳始壽以枏內兄儐虜价左虜譯以實枏說上下驚痛將發使辨誣許積寢其事及是枏誅上命公以始壽言質譯譯卾至指天證無是言蓋羣小欲藉此禍士林而事敗露始壽遂以誣先王伏法還長兩司以星變疏陳消弭策上深加嘉奬仁敬王妃喪差都監堂上以左尹兼備局有司成均同知用都監勞陞資憲自後五六年間拜大司憲者五左右參贊禮曹判書者四判尹知樞者二工曹判書者一癸亥拜吏曹判書四疏固辭得遞乃已士論美之公工書文甚典則詩爲鄭東溟斗卿所賞以題主寫冊監修國史屢進階正憲崇政至崇祿亦嘗撰進碑冊再膺廐馬之錫歷拜兩館提學屢薦擬文衡前後兼知經筵義禁府春秋館事都摠管及躋崇品拜判義禁間出爲開城留守又出江都方築城濠敹戈甲爲陰雨備而遽以柩歸公篤於行母夫人嘗闕食泣請自鬻供具時纔五歲人奇之事參判公忠養備至疾革刲股友愛諸弟妹不欲暫離好施予家不餘財屢典膏沃一無所潤仇者亦稱之識鑑通明洞見幾先當朝議分貳不示雌黃渾渾若弛置及少輩排尤庵卽戒子弟勿隨衆攻斥以逆宗杭爲甥而不受點累介特又如此見時事日非輒命酌引滿詠鄭圃隱此身死復死之歌歌竟泣數行下嘗被人訐奏彝酒罷其職夷然不以爲意公旣力避要膴甘就閒屛官位雖高實未能究其用晩入枚卜而公已病矣嗚呼其可惜也用仲子從勳贈領議政葬驪州安平里後十六年遷厝于利川水井里以前後二夫人祔前夫人靑松沈氏校理煕世女後夫人陽川許氏判官暹女俱有婦德子男女十二人男徵華瑞華府使啓華承旨鎭華尙華別提錫華郡守宅華從華女適縣監李碩亨進士李翊夏奉敎洪重益士人李世規三男一女前媲出餘皆後出瑞華男魯前任弘文校理繼徵華後承公祀晳應敎罹辛丑禍沒于謫庶出智啓華男邁廸尙華男晛曦暉錫華男埜生員壆宅華男晉奉事普從華男坦魯生景顔景閔景雍仲後於晳邁生景稷景益廸生景夔景夏壆生景行普生景尹幼而未名若外派諸出多不能盡錄銘曰世降衰末人鮮志槩梔言蠟貌以飾其外厭厭蜍志又何足計孰如申公磊落俊偉不樂要權不染朋比崇資峻級視若泥滓託興杯樽深衷故在彼婉孌者竊竊自媚妄欲惎詆焉測涯涘大道却曲我坦其履繇初訖終名節卓佹蓋惟文貞寔垂哲軌春官翼翼亦存炯戒甄心奉持不隨世靡惟德之詒允矣濟美我撮靑編上下卅載歷選廚及非公疇擬風流寖遠典刑不沬摛詞紀蹟刻示無止凡百君子挹此標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1866년 감결(甘結) 초(抄) 고문서-첩관통보류-감결 정치/행정-명령-감결 巡營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6년에 巡營으로 온 감결 抄本. 경기 근해에 서양 세력이 침범하여 각 도에 소모사를 임명했으니 그들을 중심으로 의병을 규합하라는 내용 *상태: 문서 중간에 공란이 있고 끝부분에 全州李氏 종인들에게 의병 모집 격문을 보낸 判宗正卿 李敦榮 등의 명단이 거꾸로 부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寄舍弟書華邨便書計日則已得見矣書發時難定歸期以八日卜日而七日所約事不入料更以十日爲言而又不如意又以今日爲限而此日事不知將如意否也緣此而費盡歲月則卽今中路改眼之節爲難且此事自此結末可以浩然而一番誤着無事葛藤至此甚哉苐又思惟吾之常初出脚雖是妄想到此久留之餘前頭數朔間事可謂關係而卽今徒歸無益梁奇兩兄旣與之同處又爲之伴行作定而今皆坐停爲過夏計吾則前頭會試雖無意想抛過亦難不得已留待七月計而其間數朔之費亦是朝三暮四況今 陵行後又爲增廣云云則似非虛傳若然則這間往來亦難非但此也以式科言之下不出七月歸家家事之狼狽吾之不自謀且家運也汝輩勿以專爲深憂也百口計活雖是可惧可慮處吾豈不知而爲此長遊乎今年是大限定終若不利則亦長往不返計也姑試之而已此則吾自專故耳家中事汝雖百般苦況忍過忍過課農課讀副此付梅之意見今春夏間早夏太甚而下鄕則間有添洽時耶生在乾坪此是苐一可宜眼前百難雖有無犯手於谷種爲可龍國兄便書得抵否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90년 이승학(李承鶴) 간찰(簡札)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庚寅陽月七日 父 寄家兒 庚寅陽月七日 李承鶴 李光秀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0년에 이승학(李承鶴)이 아들 이광수(李光秀)에게 공부에 대한 당부를 전하고 본인의 안부를 적은 내용의 간찰. 1890년 10월에 이승학(李承鶴)이 아들 이광수(李光秀)에게 공부에 대한 당부를 전하고 본인의 안부를 적은 내용의 편지이다. 서울 길을 나선 지 한 달이 지나는데 남쪽의 소식을 들을 길 없어 막막하다는 말로 편지를 열었다. 이어 조모(祖母)에 대한 안부를 묻고 공부의 진척과 여러 가지 당부 등을 담았다. 이승학은 아들에게 '크게 역량을 키워야 많은 사업(事業)을 도모할 수 있다'라고 하면서 역량을 키우는 공부를 열심히 하도록 독려했다. 또 집안 문제는 제부(諸父, 부친의 항렬인 가까운 친척)과 여러 숙부가 담당할 것이니 간섭은 하지 말되, 다른 사람의 일처럼 여기지 않도록 하라고 하며 집안에서 아들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일러두었다. 또 오로지 학문에 힘써서 가문의 명성을 실추시키지 않도록 하라고 강조하였다. 이어 이승학 본인의 안부를 전하면서 속마음을 내비쳤다. 본래 이번 행차는 과거 시험 등의 이해 때문이 아니라 중국을 유람하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이승학은 식재(植齋) 기재(奇宰, 1854∼1921)형과 함께 이달 보름쯤에 인천(仁川)으로 가서 화륜선(火輪船)을 타고 중국을 유람하려고 했으나 가족들을 놀라게 할까 염려하여 계획을 포기한 것이라고 전했다. 그리고 내년 봄쯤에 귀가할 계획이니 마음졸이며 기다리지 말라고 안심시켰다. 편지 끝에 이승학은 아들에게 거듭하여 공부를 강조한 내용이 보인다. 가문의 명성을 위해서라도 부지런히 공부하여 멀리 있는 아버지의 기대에 부응해 달라는 것이다. 이광수(1873~1953)의 호는 옥산(玉山), 자(字)는 미중(美中)이다. 부인 죽산안씨(竹山安氏)와의 사이에 외아들 혁(爀, 1898~1977)을 두었다. 노사학파의 일원인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의 문인이다. 1900년에 경의문대(經義問對)로 성균관박사(成均館博士)가 되었으며, 계몽운동가인 양한묵(梁漢黙) 등과 교유하면서 신학문에 뜻을 두고 개화(開化)에 앞장섰다가 송사에게 파문(破門)을 당하기도 했다. 일제의 강제 병합을 목격하고 고향에 돌아와 후학을 양성하며 여생을 보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5년 김치홍(金致弘)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적 乙酉式 幼學 金致弘 牧使 乙酉式 金致弘 羅州牧 牧使[押] 周挾無改印(흑색, 21.3×5.9), □…□(7.5×7.5)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C001_02_A00007_001 1885년에 金致弘(72세)이 羅州牧에 제출한 準戶口. *가족사항 : 妻 晉州河氏(72세) *추기: 九統一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8년 김치홍(金致弘)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사회-인구/호적-호적 戊子式 幼學 金致弘 牧使 戊子式 金致弘 羅州牧 牧使[押] 周挾無改印(흑색, 21.0×5.9), □…□(7.5×7.5)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C001_02_A00007_001 1888년에 金致弘(75세)이 羅州牧에 제출한 準戶口. *가족사항 : 妻 晉州河氏(75세) *추기: 二十七統五戶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99년 이승학(李承鶴) 간찰(簡札) 2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己亥四卄四日 父 寄家兒 己亥四卄四日 李承鶴 李光秀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9년 4월에 이승학이 아들 이광수에게 전한 간찰. 집안 일을 잘 단속하라는 당부와 본인의 소식을 상세히 전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天啓七年八月日光山縣立案右立案爲屬公事節到付縣接良女守今使議送據良女唜德果相訟爲如乎田畓幷七庫所必于守今曾祖父梁柳守已於是喩良置其矣祖母延玉其婦丁會等多人乙已爲分衿爲有如何丁會身(然)後其父柳守率養其姪女唜德丁會已於傳係云則在家一一爲從祖父衿付田畓而難可應推是探唜德段置梁叔家姪女以一家同居事段一族等皆云其的實爲良置傳係文記失火稱云只納一丈立案而所不氣論其梁家傳得辭說何可段信乎永葬祭祀時設或看護是如爲良置同居姪女永非分外之事而況一族朴之則等招也所示分明見甚是如言說爲去等更何可以此決給乎從祖父相訟間已於以家今旣不當決給而異文奏侍養田畓乙唜德又不當應得則兩邊旨爲不當爲案以上項丁會衿付田畓幷七庫段依法屬公爲良結報使書目內依所報施行向事回送是乎等用良同田畓庫如後錄褒忠祠書院良中永爲屬公爲遣復禁▣...以合行立案者行官[着押]後丁會衿付屬公食字畓九斗落只十七卜六束又卞 秃山別字畓三斗落只九卜七束同字畓二斗落只六卜三束代字畓一斗落只三卜四束闕字田八斗落只二十六卜九束 所書玉字田三斗落只十二卜七束化字田五升落只三卜四束 示九山印 已上七庫[官印 5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88년 이승학(李承鶴) 간찰(簡札)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子正月卄三日 少弟 李承鶴 戊子正月卄三日 李承鶴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8년 1월에 李承鶴이 지인에게 보낸 간찰. 남쪽에 독감이 유행하고 있다는 내용, 지난번 못 보낸 돈을 보낸다는 내용, 增廣試 시행 여부를 묻는 내용 등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