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文廟享祀圖 文廟享祀圖文宣王西廡 東廡程 顥 西位 東位 周敦頤朱 熹 曾子 顔子 程 頤崔致遠 孟子 子思 薛 聰鄭夢周 安 裕鄭汝昌 金宏弼李彦迪 趙光祖金麟厚 李 滉成 渾 李 珥趙 憲 金長生宋時烈 金 集朴世采 宋浚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기타

祭器圖說 【〇朱文公釋奠儀云諸祭器祭服破敝不仕修葺者申換器則埋之服則焚之委官監視】籩【釋奠儀云籩以竹爲之口徑四寸九分通足高五寸九分深一寸四分足徑五寸一分〇詩禮器圖說云竹爲之薦果核容四升】豆【釋奠儀云豆以木爲之高下深淺口徑足徑拜依籩制〇詩禮記圖說云木爲之薦菹醢容四升】鉶【禮書云鉶鼎所以實羹者鉶羹所以具五味也自羹言之則曰鉶羹自器言之則曰鉶鼎】俎【釋奠儀云俎長一尺八寸闊八寸高八寸五分漆兩端以朱中以黑〇詩禮記圖說云木爲之以載牲醴】簠【釋奠儀云簠用銅鑄造幷蓋重一十三斤二兩通蓋高七寸深二寸闊八寸二分腹徑長一尺一分〇後凡言重者皆銅屬】簋【釋奠儀云簋幷蓋重九斤通蓋高六寸七分深二寸八分闊五寸腹徑長七寸九分闊五寸六分〇詩禮器圖說云瓦器以盛黍稷容斗二升方曰簠圓曰簋】篚【釋奠儀云篚以竹爲之通足高五寸長二尺八分闊五寸二分深四寸蓋深二寸八分用於薦物而有飾焉者也】爵巾下段【釋奠儀云爵重一斤八兩通高八寸二分深三寸三分口徑長六寸二分闊二寸九分兩柱三足有流有扳金〇詩禮器圖說云飮器受一升上兩柱取飮不盡之義戒其過也(木爵玉爵同制)】巾【用綌玄被纁裏圖一幅】坫【釋奠儀云祝版坫重重二斤九兩縱廣九寸二分三禮圖以坫以致爵亦以承尊今版載祝詞爵備酌獻必審所處而置焉示欽勤祀事之意有占之義故謂之坫也今範金之其體四方措諸地而平正爵坫同】羃【釋奠儀云三禮圖布之幅一尺有二寸而圜之今以布一幅取方爲之周禮圖云八尊獻天地故用疏布巾尙質也六彝裸宗廟故用布巾之精者其畫雲爲文與特牲】犧尊【釋奠儀云犧尊重九斤一十兩通足高六寸一分口徑二寸四分頭至足高八寸二分耳高二寸一分五釐耳闊八分五釐深三寸七分〇禮書云犧象周尊也牛大牲膏薌宜於春象大獸産於南越此先王所以用祠禴也】象尊【釋奠儀云象尊重一十斤通足高六寸八分口徑一寸八分耳闊一寸二分耳長一寸九分深四寸九分餘見犧尊說】山罍【禮書云山罍尊也刻而畫之爲山雲之形謂之罍者取象雲雷博施如人君下及諸臣山罍夏后氏之尊也〇周禮圖云畫山雲形一盛玄酒一盛盎齊】龍勺【釋奠儀云龍勺重一斤勺口徑闊二寸一分長二寸八分深一寸一分柄長一尺二寸九分酌獻盥洗皆以勺挹之】盞【銀鍍金滿鏤臺盞俗祭用之〇陵則爵】尊【畫龍沙尊俗祭用之〇陵則山罍】卓【禾黍饌卓俗祭用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25년 최갑효(崔甲孝) 등 상서(上書)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乙酉三月日 南原幼學 崔甲孝 等 71名 巡相閤下 乙酉三月日 [1825] 崔甲孝 巡相閤下 都巡使[着押] □…□ 5顆(8.0x8.0) 전남도청(2019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25년(순조 25) 3월에 남원(南原) 유학(幼學) 최갑효(崔甲孝) 등 71명이 순사또(巡相)에게 안신손(安信孫)의 충절에 대해 표창해 주길 청하는 상서(上書). 1825년(순조 25) 3월에 유학(幼學) 최갑효(崔甲孝) 등 71명이 순사또(巡相)에게 안신손(安信孫)의 충절에 대해 표창해 주길 청하며 올린 상서이다. 남원 유학 최갑효 등 71명의 유생들은 남원부(南原府) 주부(主簿) 안신손(安信孫)의 정유재란 때 의병활동 사실을 서술하면서 그의 충의(忠義)가 탁월한 공적에 대해 포증(褒贈)해 주기를 요청하였다. 같은 해 2월에 이미 전라도 유생 64명이 안신손의 충절에 대한 표창을 요청하기 위해 전라도관찰사에게 소장을 올린 바 있다. 따라서 이 문서는 남원부사에게 올린 소장의 처분에 따라 전라도관찰사에게 다시 올린 것이다. 이상과 같은 요청에 순사또는 13일에 안주부(安主簿)의 충절은 영문(營門)에서 이미 듣고 흠앙하여, 그 포양하는데 있어서 어찌 대수롭지 않게 여기겠는가라고 하며 때가 아니니 진실로 매우 한탄할 일이라는 처분을 내렸다. 안신손(安信孫, 1567~1608)의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후원(厚源), 호는 풍와(楓窩), 문성공 안향(安珦)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충순위(忠順衛) 안벽(安璧)이다. 정유재란 때 남원이 적에게 포위되자 가동 50여 명과 군량 40석을 가지고 남원성에 이르렀으나 성이 이미 함락되었다. 이때 전라도관찰사 홍세공(洪世恭)이 그를 조정에 천거하여 유진장겸지군향사(留鎭將兼知軍餉事)에 임명하였다. 영남과 호남을 돌아다니며 약탈하고 있는 적을 막으라는 명령을 받고 곧바로 부임하였다. 부임 후 군사와 군량을 모집하고 성을 손질하고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는 유민들을 불러 모아서 성을 지킬 계책을 세웠다. 또한 성묘(聖廟)를 수호하고 초하루와 그믐에는 분향하며 경내의 민심을 어루만졌다. 이후 정유재란 때의 공적을 전라도관찰사가 계문(啓聞)으로 올리고자 하였으나 그가 사양하며 올리지 말도록 하였다 한다. 상서(上書)는 조선시대 민원서(民願書)인 소지류(所志類)로 그 서식은 다른 소지류와 약간 다르다. 이 문서는 관찰사·수령·암행어사 등에게 올리며, 그 내용은 산송(山訟)과 효행(孝行)·탁행(卓行)의 정려(旌閭)를 위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인원이 많은 경우는 연명하여 올리기도 한다. 이 상서는 전래되고 있는 것이 많으며, 시대는 대개 조선 중기 이후에서 말기까지의 것이 대부분이다. 상서를 접수한 관찰사나 수령은 이를 검토하고 그 처분을 문서의 좌편 하단의 여백에 써놓는다. 이것을 제음(題音) 또는 제사(題辭)라 한다. 이와 같이, 처분한 내용을 써서 상서를 올린 사람에게 돌려준다. 그러나 수령에게 1차 올려서 일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2차, 3차 계속 올리며, 그래도 해결되지 않으면 관찰사에게 올리게 된다. 이러한 상서는 당시의 사회사정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南原幼學崔甲孝李正銓等謹齋沐百拜上書于巡相閤下伏以殫誠報 國臣子之常分 褒忠闡幽 朝家之盛典而本府故主簿安信孫之忠節尙未蒙 褒贈之典此非但士林之紆鬱抑爲 昭代之欠典故生等爲先擧槩齊龥於本官城主是乎則題內如此忠義之卓節尙未蒙 褒贈之典此非但士林之抑鬱闡揚之責亦在士林而尙令湮沒豈勝慨歎枚報時脫姑待歲抄事行下是如竊伏惟 壯巡相閤下以忠孝之淵源闡揚之權衡承綸 北闕宣化南服生等玆敢齊瀆于 旬宣之路伏乞 閤下細細垂察焉奧在丁酉島夷再猘本府圍急朝暮其勢智士捲舌武夫投戈之際主簿安公以疾風之勁草頹派之砥柱擊釼奮發獨倡義擧率家僮五十名輸軍糧四十石直抵城下則城已陷矣八忠死之公大慟曰彼亦臣子我亦臣子而彼同死報 國吾終不得與焉歟遂與再從侄判官嗣悌追倭轉戰斬䤋無殺于時本道伯洪公世恭慮其守成之無人慱採人望以公素有忠節膽略直啓于 朝特除留鎭將兼知軍餉事旣職事有繫則不敢離次夙宵警惕殫竭心力修城池繕器械募兵粟招流亡控守嶺湖之咽喉屹爲東南之保障一邊守護聖廟朔望焚香一如舊儀一府之不至搶攘百姓之終底妥帖盡是安公之力此非但湖南老夫之傳誦昭然載在於節義錄是如向使安公若無 朝廷留鎭之命而任行其志則雙烈可三八忠可九以一時一體之忠節安公一人獨未蒙 褒豈不寃哉豈不惜乎噫安公卽文成公晦軒裕十一代孫其後有文淑公牧文惠公元崇副提學祖同皆以文學名世公之忠節亦有所發源高祖貴行以陽城縣監當端宗遜位日投紱屛跡於南原之白波正宗己未贈大司諫鄕人立祠於藍田嗚呼安公倡義之擧始於壬辰而終於丁酉者有所然而然者伏乞 閤下更加垂察焉逮夫壬辰島夷猖獗公欲擧義殲賊而母夫人七耋沉病不忍離側母氏知其意勸赴 國難曰忠孝本無二致而亦不可兩全豈以病母之故不念 君父之蒙塵乎公雖知戰陣武勇非孝之道而顧念病母之扶護亦乏其人因痛哭而止越明年癸巳母氏病終纔經襄禮遂以墨衰起義時卽甲午夏四月也朝廷適有罷義兵之命故公不勝憤念居常悒悒及夫丁酉果以王命留鎭本府猶未洩滿腔忠憤是公餘恨然吏盖此留鎭乃是王命之有重當時之急務則其於報 國之道不可以生死異日而論也亂已不復留意於仕宦固辭道伯之抄 啓鞱晦以終焉若忠義之卓功績之懋尙未蒙 褒贈之典士林之抑鬱愈往而愈深故彛性攸好擧槩仰龥伏乞 採實轉達丹扆以蒙 褒贈之典矜式瞻聆敎化幸甚乙酉三月 日幼學 崔甲孝 李正銓 韓用大 梁復奎 金仁鑑 尹致永 金樂麒 宋鍵 梁奎煥 黃?洙 崔寬賢 李致文 張(火+允) 崔遇澤 尹鼎鉉 崔綱範 韓百祚 盧䄷 崔光翼 金慶行 尹鼎錫金星彦 李亨祿 盧錫瓚 尹成鉉 黃處洙 陳聖鉉 崔羲澤 丁昌崑 盧錫胤 金永文 尹致華 盧錫民 金郁鑑 李鍰 尹致遠 宋益濂 金世鑑 崔龜河 許曣 金仁達 盧錫贇 金萬喆柳東奎 金星爀 黃達洙 尹摯鉉 金百鑑 盧錫相 崔光河 梁雨集 盧學中 金星應 梁顯光 洪濂 金止鑑 韓允祚 金鐸 盧光潤 金洵組 陳錫龜 韓喆祚 吳夏翼進士 金洙 幼學 房有相 金漢東 柳學濂 金漢忠 李行權 尹榮錫 吳顯奎 等都巡使[着押](題辭)安主簿忠節營門雅已聞之常所欽仰 其所襃揚之道豈或歇後而式年已過啓聞非時誠甚嗟歎事十三日[官印]5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皮封]倉坪服座柳下重侍案稽顙近聞重闈愼節比苦就日來則差減否今逢忠道而亦未聞其詳憫切慮仰慮仰且間春風多厲重侍履增重無損耶亦餘願聞罪記末祥期餘無幾日慟隕無以形喩舍弟姑未來□耳切欲委伻而僅指無暇未能遂意今於忠道之歸略付數字荒迷不次二月十九日罪記末知通頓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民幼學柳榮沃等謹齊沐上書于城主閤下伏以本州古稱多俊異之其間忠義節行之彬彬輩出而褒忠㫌節爲 國先務激勸世道扶植人心苟有可褒之忠可㫌之孝則豈以世代之久遠置而不論哉故逸主簿李公惟誨卽補祚功臣咸平君克明之玄孫敵愾功臣咸城君從生靖國功臣咸豊君宗義之從孫討平倭寇陞北兵使 贈參判宗仁之孫高峰奇先生之門人也孝友出天德行名世累以孝廉薦入洗馬副率之望而爲弘瞻輩所沮而當昏朝隱德不仕公之事蹟大略皆著於本州三綱錄與邑誌當壬辰倭亂召其子止得曰 國憂如此豈可坐視我今老矣汝須勉哉李公止得志節俊邁以別薦爲內乘聞 大駕播遷馳赴 行在時兵糧竭之募穀納饋餉廳還船南下與義士張景弘等戰于興陽浦斬倭石綻等數十級與義士張景弘同日中丸而死事蹟大略昭載於節義錄三綱錄止得之弟秉節校尉止衖當其亂負老母避亂于錦城山中城陷之日賊徒猝至欲害其母公哀乞代命翼蔽其母身被鋒刃流血淋漓倭奴憐而書話孝子給母粮六字令公佣之曰如有後至者則視之云云而去賊又大至母子俱不屈而死三父子忠孝大略俱昭載湖南節義錄三綱錄與本州邑誌而且道內儒生前後營邑呈狀如是昭然更不必一一懸錄而三父子之忠孝一義士之忠節如是卓異久未蒙 褒㫌節惠之典其爲子孫者生無顔於世而忠魂義骨死不杇於地矣幽明之間寧不寒心哉伏願閤下勿以循例渾同亟報 營門登聞于 天俾伸累百年鬱結之寃千萬祈懇之至城主閤下 處分癸巳四月 日幼學柳榮沃 柳榮實 柳榮采 柳榮洙 柳復 參奉柳昶 崔升翰 幼學崔圭鉉 崔羽鉉 崔錫翰 崔貴翰 崔基峻 崔基中羅燾元 羅燾休 羅燾允 羅東健 羅恒集 羅應集 林基洪 林相禧 林荷洙 林獻圭 林肯圭 林炳壽 朴圭鎭 朴齊璜 朴寅陽 朴鼎陽進士羅東綸 幼學羅徽瑞 羅瑢碩 羅允煦 監役羅秉軾 幼學梁相衡 梁相泰 吳繼洙 吳禎善 吳俊善 吳滋善 鄭㯙 鄭守烈李東圭 李東植 李鍾仁 李炳壽 張景載 張永載 金泳懿 金宗鉉 金聖圭 金鐵煥 裵煥瑢 裵煥慶 裵瑜基 裵恒根 鄭鴻基李奉夏 李璟植 張彦垕 張彦三 張顯日 張龍奎 張勉奎 高濟豊 洪祐敦 閔璋鎬 奇秉根 奇周鉉 崔宅欽金光錫 金光載 崔原相 崔洛璿 崔琪相 崔洛圖 等巡使[着押](題辭)李公三父子卓異之忠孝張公布衣華義同日立節之事莅玆邑已有所詳見於湖南節義錄本州三綱錄與邑誌而未嘗不三復掩卷欽歎而思矣今觀此狀久未蒙褒㫌節惠之典而至今湮沒其間子孫之零替士林之拂鬱可知而此有大關於樹風揚美之道卽當報營登聞向事初九日[官印] 3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정유년 박예환(朴禮煥) 등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丁酉十月日 西二上面化民 朴禮煥 等 3名 城主 丁酉十月日 朴禮煥 綾州牧使 使[着押] [綾州牧使之印] 1顆(7.0x7.0) 전남도청(2019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정유년 박예환(朴禮煥) 등 3명이 능주목사(綾州牧使)에게 올린 소지. 정유년 10월에 화민(化民) 박예환(朴禮煥) 등 3명이 능주목사(綾州牧使)에게 올린 소지(所志)이다. 문서에서 박예환 등은 자신을 화민(化民)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화민은 자신이 사는 고장의 수령이나 조상의 산소가 있는 고장의 수령에게 일컫는 자칭이다. 문서에 따르면 능주목 서이상면(西二上面)에 사는 박예환, 박재경(朴在璟), 박재호(朴在浩)는 자신들의 9대조 찰방공(察訪公)과 8대조 감찰공(監察公)의 묘소가 서일면(西一面) 월곡(月谷) 안산(案山)에 있어 수백 년 간 산지기를 두고 금양(禁養)하였다. 이달(10월) 7일 밤 산 아래 사는 민치만(閔致萬)이 사인(査人) 홍씨의 무덤을 선산 청룡등(靑龍嶝)에서 가까운 거리에 투장하자 자신들이 이를 알고 소송할 뜻을 비치니 민치만이 스스로 이달 29일에 굴거(掘去)하겠다고 하였으니 이후 이 땅에 타인이 범장(犯葬)하는 일이 없도록 관에서 입지(立旨)를 성급(成給)해 주기를 요청하였다. 이와 같은 요청에 능주목사는 다른 사람이 뫼를 쓰지 못하게 금하는 땅에 장례를 치르는 자가 있으면 송변(訟卞)하라는 처분을 내렸다. 소지(所志)는 관부(官府)에 올리는 소장(訴狀)·청원서·진정서. 발괄〔白活〕이라고도 한다. 소지는 당시 사람들의 생활 가운데 일어난 일 중에서 관부의 결정과 도움을 필요로 하는 모든 종류의 민원에 관한 문서이므로 그 내용은 아주 다양하다. 또한 소지는 소지를 올린 사람들의 이해관계와 직결된 것이었기 때문에 그 가문에서 소중히 보관해, 현존하는 고문서 가운데 토지문기(土地文記) 다음으로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 소지를 수령이나 관계 관부에 올리면 해당관원은 소지의 내용을 살펴본 뒤 그 소지에 대한 판결을 내리게 되는데, 이를 '뎨김〔題音〕' 또는 '제사(題辭)'라고 한다. 뎨김은 소지의 왼쪽 아래 여백에 쓰며, 그 여백이 모자라면 뒷면에 계속해서 쓰기도 하고 별지를 붙여쓰기도 하였다. 뎨김을 적은 소지는 그 소지를 올린 사람에게 돌려주어 그 판결에 대한 증거자료로서 소중히 보관하도록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家兒見臨時抵海吉書得聞消息而歲後無聞心鬱未知新元旅況平吉課工勤做主宅諸節各得萬祥耶願聞父去臘卄三日以感氣痛臥矣卄七日遭不測之變伊時未得攝養卄九日更爲痛臥矣自昨日起動祖父主及祖母主亦自去臘間欠寜矣祖父主僅僅起動祖母主尙今委席汝慈亦經一痛而此莫非驚㥘之所致也今則俱是向快而但祖母主患候伏悶交耳家中如是無況中度了故使汝婦留京解産則勿促下鄕焉初料則吾亦率來下鄕而解産計矣亂麻未定之此時豈可率來耶勿使催促下鄕焉西台從祖尙留潭警而日間送于光州檢事局云自此精神鑑定後果是眞狂則不久出來不然則四五年徵役不可免也然如吾意則不久出來而若歸來則後日之措處一大問題也餘多不具甲戌正七日父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家兒客中游學未必非好事於汝爲太早計恐無實見得徒費好箇光陰如始料早之圖歸雖以通家若父兄子侄非吾見及處皆是優途況復多年輩日事戱笑則將何益於身心哉蚤夜警惕須防此而知戒惧否才不可以强能惟見識篤行可礪而至莫限才薄行益力可也近留下沙乎莊山乎先述終始同進退逢海亦得同處否二枝中洞間修人事今將發行乎來時入廣里見汝內從覓山擇而從容袖來訪見李生員向者虛費精力謝過焉餘不一一壬菊晦父書蓮花五朶蓮葉五斤求來焉此是昌平宅藥材所托緊急云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08년 기우만(奇宇萬)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申元卄日 奇生宇萬 戊申元卄日 奇宇萬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8년 1월에 奇宇萬이 보낸 간찰. *상태: 상단이 찢김 *원문: 白斯文省几回納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08년 기우만(奇宇萬)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申仲秋十七 奇宇萬 戊申仲秋十七 奇宇萬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8년 8월에 奇宇萬이 보낸 간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622년 광주목(光州牧) 입안(立案) 고문서-증빙류-입안 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天啓二年三月初吳日 牧使 守直僧 太令智 天啓二年三月初吳日 光州牧使 太令智 牧使[着押] 光州牧之印 3顆(7.0x7.0) 전남도청(2019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622년 3월에 광주목사가 포충사(褒忠祠) 수직승(守直僧) 태령지(太令智)에게 발급해 준 입안(立案). 1622년(광해군 14) 3월 초5일에 광주목사가 포충사(褒忠祠) 수직승(守直僧) 태령지(太令智)에게 발급해 준 입안(立案)이다. 입안에 따르면 광주목사는 포충사 수직승 태령지에게 본 고을의 승역(僧役) 및 기타 잡역을 영구히 면제해 주도록 하는 입안을 발급해 주었다. 당시 광주목사는 박유장(朴有章)으로 1622년부터 1623년까지 근무하였다. 이 밖에 포충사와 관련하여 1614년 광주목 입안, 1627년 광산현 입안, 1633년 토지매매명문이 있다. 포충사는 의병장 고경명(高敬命, 1533~1592)과 고종후(高從厚, 1554~1593)·고인후(高因厚, 1561~1592) 3부자와 유팽로(柳彭老, 1544~1592), 안영(安瑛, 1564∼1592) 등 5위를 배향한 사우이다. 1601년(선조 34) 호남 유생들이 광주 제봉산(霽峯山) 아래에 사당을 건립했고, 1603년(선조 36)에 박지효(朴之孝) 등 문인과 후손들이 사액을 청해 '포충(褒忠)'이란 액호를 받았다. 포충사는 사액 사당으로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 철폐 때에도 장성의 필암서원과 함께 훼철되지 않았던 사우이다. 입안(立案)은 관에서 발급한 일종의 공증서(公證書)이다. 조선시대에는 가옥이나 토지 및 노비 등을 매매하거나 양자(養子)를 들일 때 원칙상 관에 신고하여 공증을 받아야 했는데 이때 관에서 발급한 공증서가 바로 입안이다. 이외에 효자와 열녀 및 충신에게 정려를 내어줄 때 그리고 백성들이 청원한 사실을 공증해 줄 때에도 이를 발급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27년 공문(公文) 기록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사회-역사-역사기록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7년 5월 9일에서 23일까지 세금 및 조합비 등의 공문. 세금 관련된 공문이나 지출 사항과 관련된 것을 날짜별로 표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27년 공문(公文) 기록 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사회-역사-역사기록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7년 5월 24일에서 7월 19일까지 세금 및 조합비 등의 공문. 세금 관련된 공문이나 지출 사항과 관련된 것을 날짜별로 표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이승학(李承鶴) 만시(輓詩) 고문서-시문류-만사 종교/풍속-관혼상제-만사 地上友 李承鶴 李承鶴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이승학(李承鶴)이 1918년에 작고한 춘담(春潭) 기동준(奇東準) 선생을 위해 지은 만시(輓詩). 이승학(李承鶴)이 1918년에 작고한 춘담(春潭) 기동준(奇東準) 선생을 위해 지은 만시(輓詩)이다. 만시의 앞 구절은 송사(松沙) 기정진(奇正鎭) 어른의 죽음 뒤로 다시 춘담형을 위해 곡(哭)을 하게 되었으니 스승을 잃은 남쪽 유림의 덕이 외로워지고, 후생들도 돌봐주는 스승이 없어 서글픔이 깊다는 내용을 담아, 이승학을 비롯한 호남 유림의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뒤 구절 내용은 몸은 옷조차 못 이기는 듯 말은 더듬는 듯하고, 지(志)는 기(氣)를 잘 통솔하여 경(敬)을 실정으로 삼았으며 평생토록 신근(辛勤)의 뜻을 수립했으니 그 영향력이 우산(牛山)으로 떨어져 명월(明月)로 우뚝하다는 것으로, 춘담 선생의 평소 인품을 찬탄하고 그 영향력이 영원할 것임을 드러낸 구절이다. 우산은 우산정사(牛山精舍)를 가리키는 듯하다. 이 정사는 현재 광주(光州) 효령동 종방마을에 있는 정사로 송은(松隱) 기정륜(奇梃崙, 1663~1740)이 학문을 가르치던 곳인데, 후손인 춘담이 이곳에 기문(記文)을 남겼다. 기동준(1869~1918)의 본관은 행주(幸州)이며, 자는 평중(平仲), 호는 춘담(春潭)이다. 1860년 기대승(奇大升)의 후손인 창현(昌鉉)의 아들로 광주(光州) 광곡리(廣谷里)에서 태어났다. 18세에 기정진(奇正鎭)의 문하에 들어갔다. 1880년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과 만났으며,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을 기리는 모임에 참여하는 등 유림 활동에도 활발했다. 1894년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여 진사(進士)가 되었으나 벼슬에 뜻이 가지지 않고, 후진 양성에 전념하여 많은 제자를 배출했다. 이승학(1857∼1928)의 본관은 전주(全州)로, 양녕대군의 후손이며, 자는 자화(子和), 호는 청고(靑皋)이다. 전남 담양 장전리(長田里)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기정진(奇正鎭)의 문인인 진사 이최선(李最善)이고, 이승학 본인도 기정진의 문하에서 배웠다. 아들 이광수(李光秀)는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의 제자이다. 을미사변(乙未事變) 때 팔도에 격문을 보내어 의병을 일으키기도 했다. 문집으로 ?청고집(靑皋集)? 4권을 남겼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