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48년 이성구(李性九) 영수증(領收證) 5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李性九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48년 8월 19일에 이성구(李性九)가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18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50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6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海南郡 三山面 李時同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0년에 10월 20일에 이시동(李時同)이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650원을 납부한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근현대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50년 이시동(李時同) 영수증(領收證) 7 고문서-증빙류-근현대문서 三山面 維持自治委圓會 李時同 2顆(원형) 해남 여주이씨 이대휴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0년에 방축리(方丑里)에 거주하는 이시동(李時同)이 납부하고 발급받은 영수증(領收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97년 오충사(五忠祠) 초방(初榜)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五忠祠 여수 오충사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97년부터 2021년까지 오충사(五忠祠)에서 작성한 초방(初榜) 1월 15일 춘기석채례(春期釋菜禮)와 7월 15일 추기석채례(秋期釋菜禮)를 거행할 때에 참석한 제관(祭官)의 명단 초헌관(初獻官), 아헌관(亞獻官), 종헌관(終獻官), 전사관(典祀官), 집례(執禮), 예상(禮相), 축관(祝官) 등의 명단을 기록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8년 김성인(金聖仁)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羅州牧使 金聖仁 牧使<押> 羅州牧使之印(7.1x7.1), 周俠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Z999_99_A01096_001 1828년 나주목에서 호주 김성인에게 동년의 호적대장에서 해당 내용을 등서하여 발급한 준호구 1828년(순조 28) 나주목(羅州牧)에서 호주 김성인에게 동년(同年)의 호적대장을 토대로 작성하여 발급해 준 등본 성격의 준호구로 열서(列書) 형식으로 기재되어 있다. 김성인의 거주지는 나주목(羅州牧) 하의도(荷衣島, 현 전남 신안군 하의면에 속한 섬) 어은촌(於恩村) 오가작통 순번 제2통 6호이다. 직역은 한량(閑良)이고 올해 나이는 61세 기축생(己丑生)이며,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김성인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한량 필봉(弼逢), 할아버지 한량 상건(尙巾), 증조(曾祖) 한량 연백(延伯), 외조(外祖) 한량 김절순(金節順) 본관은 김해이다. 김성인의 아내 박씨는 나이 53세 병신생(丙申生)이고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박씨의 사조는 아버지 한량 득대(得大), 할아버지 한량 경한(敬漢), 증조(曾祖) 한량 계춘(桂春), 외조 한량 임춘봉(林春逢) 본관은 나주이다. 이외 가족 구성원으로 아들 달오(達五)가 있으며, 나이 20세 기사생(己巳生)이다. 문서에는 나주목사(羅州牧使)의 관인(官印)과 서압(署押) 및 주협개자인(周俠字改印)이 찍혀있으며, 1825년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쳤다는 '을유호구상준(乙酉戶口相凖)'이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雨後寒事漸弛 歲且垂窮 懸戀尤勤 卽承惠墨 備委湯憂彌留 奉想○焦悶 曷勝慮溯 記末竟蒙內移之恩私 今始收拾行李 日間登途 新春芝園 大讀歸來賦一遍 優游泉石 佔畢墳典 可爲兩得 此生之至願 只此而已 見今○解帶無暇何以握別乎 從此一面極不易 旋用悒悒 餘祝○彩歡迓新增慶 不備謝是日 石芝 歸窮煩逋 拜悚(皮封)玉山 侍座 回展石芝歸窮謝書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기축년 이종익(李鍾翼) 혼서(婚書) 1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李鍾翼 鄭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축년 9월 28일에 신랑측인 이종익이 신부측인 정생원 댁에 보내는 혼서 기축년 9월 28일에 신랑측인 이종익이 신부측인 정생원 댁에 보내는 혼서이다. 혼인이 결정되어 집안의 경사라고 인사를 전하였고, 겸하여 사주단자를 보내니 속히 성례(成禮)를 했으면 한다는 내용이다. 신부집에서 허혼편지나 전갈이 오면 신랑집에서는 신랑의 사주와 정식으로 결혼을 신청하는 납채문을 써서 홍색 보자기에 싸 보낸다. 신부집에서는 사주단자를 받으면, 신랑 신부의 운세를 가늠해보고 혼례날짜를 택하여 신랑측에 통지하는데 이를 연길이라 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婚書)伏惟菊秋尊體震艮萬重仰慰規規就親事旣蒙頷可私楣之幸玆修剛儀兼呈柱單從速成禮伏望餘謹宣伏惟尊照 再拜 上狀己丑九月念八日月城李鍾翼 再拜(皮封)謹拜上狀 謹封鄭生員 下執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外舅主 前上書謹伏未審新正氣體候迓新萬福伏溸區區不任下忱外甥親候如前此是新歲之第一幸事外何伏達白伏聞近有弄璋之慶云此是貴宅貽後之兆朕不勝獻賀耳進拜之期在於今月望內以此下諒勿爲下責千萬伏望伏望餘伏冀氣體候迓新萬安不備伏白甲辰正月初二日 外甥玟容再拜上書(뒷면)張生員宅 入納新里 月復洞 謹候書 [謹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逢別以後消息久阻瞻仰不已謹未審秋令孝中體候何以堪支仰溸區區無任且祝 弟省事如前外何盡言就拱去年所托小斧一介勤而望望之日多矣然不期然而然也是悶奈何而買用而否姑不買得耶姑不買得勿謂失信來往便更求之有言則吾雖不敏百事除之買送爲計餘不備禮丙午八月十一日 弟朴甫奎 拜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稽顙拜言謹未審季秋孝中氣候何以支否遠溸區區不已弟省事姑依他何盡喩就拱前月所托吾雖不敏相無信然之情何有泛然之事乎不其然而自然也勿爲失信來三四日間付送千萬大望耳餘不備疏禮丙午九月十六日 弟朴甫奎拜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文秀氏座下除禮白示中所請之事非他則有緊急之端故不顧體禮ᄒᆞ고仰告ᄒᆞᄂᆞᆫ것은自少以來吐情之査間이라無廉恥ᄒᆞ고送兒ᄒᆞ니雖百難之中이나某錢이라도貳拾円을極力周旋ᄒᆞ시와幸免葛等之地千萬幸望或力不及커든但幾円間이라도極望홈餘言日後面告不備上壬子三月日 査生友益拜上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石谷面雲臥里丙子戶口單子 八統四戶戶 幼學崔德連年二十八己酉本全州父學生 東龍祖學生 龜善曾祖贈嘉善大夫工曺叅判五衛都㧾府副㧾管聲南外祖學生黃慶河本長水妻朴氏歲二十九戊申籍密城父幼學 光旭祖學生 璟曾祖學生 茂春外祖學生張時燁本安東賤口婢尙元 癸酉相凖印 [周挾無改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貳年 月 日和順縣考壬午成籍戶口帳內東面住第十一水冷川里第六綂第一戶幼學金啓鉉年六十三庚辰本光山父學生 日海祖學生 錫三曾祖學生 自光外祖學生朴仁森本密陽奉母朴氏齡八十二辛酉妻李氏齡六十三庚辰籍全州父學生 萬榮祖學生 遇春曾祖進士 旭外祖學生金大白本義城子 東學改名在宇年二十五戊午婦金氏齡二十五戊午籍慶州[周挾無改印]賤口婢惡春年二十一壬戌己卯戶口相凖印[官印]行縣監[署押]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