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祖妣貞敬夫人遷葬祭文 孫生於癸亥五年之後到今顚毛已種種矣世故嬗變家患荐臻孤露人間生趣都盡而身縻官守遊宦四方歲時丘墓久曠展掃當茲啓窆之日亦未得躬薦一爵嗚呼此何人理此何人理至情無文而哀纏痛結洩此胸臆鑑茲忱誠庶有降格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先府君行狀 府君諱某字某自號東江申氏系出全羅道之谷城縣至始祖壯節公某翊麗祖有統合三韓之功竟以身殉節賜籍平山其後遂爲平山人入本朝有諱某弱冠魁大科爲司諫院右正言言事不合退居幸州自號西湖散人屢徵不起伯氏寅齋公槩相英廟身致太平而篤論者稱公名德出寅齋上寔府君之六代祖也高祖諱某有潛德爲己卯諸賢所推重初授王子師傅官止社稷署令贈吏曹判書曾祖諱某議政府右參贊少振華聞踐歷省部蔚有公輔之望贈左贊成諡夷簡公祖諱某文行具茂蚤卒官止開城府都事贈議政府領議政考諱某領議政贈諡文貞公配享仁祖廟庭文章德業俱載國乘妣全義李氏高麗太師棹之後節度使諱某之女淑德懿行楷範閨閫以皇明萬曆乙巳八月初三日乙巳生于漢城府之西部養生坊第稟質純正弱不好弄至光海癸丑誣獄大起文貞公亦被逮放歸田里府君隨往侍側沙溪金先生適來訪文貞公命府君出拜之時府君甫十歲大夫人手自梳洗戒之曰金公乃一代師表汝宜敬事之無忽府君謹受敎應對如成人金先生亟加嘉奬期以遠到自是恒居必整衣危坐講讀不怠文義大進文貞公嘗治左氏春秋府君從傍抽閱能洞解無礙遂請徧讀一部嘗觀太極圖指其第二圈曰此陽中有陰陰中有陽文貞公大奇之間作句語有奇趣文貞公作詩以志喜時年十二也庚申娶楊州趙氏卽國舅漢原府院君諱某之長女也時府君已博涉群書游刃藝苑而遭時昏濁絶意赴擧唯以飭躬居業爲樂癸亥正月丁大夫人憂仁廟反正悉召先朝耆碩文貞公以冢宰文衡赴朝丙寅秋擢丙科未唱名榜罷蓋文貞公時宅右揆有殿試讀卷官之命而親屬中解額者八九人文貞公引嫌辭不獲及折號府君與姪子俱上第適考官趙璞子違限製呈亦得參憲官因浮議論罷其榜一時公議囂然稱冤而府君略不介意戊辰六月丁文貞公憂丙子朝廷以六條選士贊成李公德泂薦府君學行人問李公曰公薦申某素知其爲人乎李公曰吾非有一面雅而聞其守靜讀書操履純實眞佳士也時淸陰金文正公秉銓首擬齋郞上嚴辭責之至有問啓之敎蓋府君曾在黌舍疏論章陵追崇事而上怒猶未已也金公以文才見識捐棄可惜爲對而竟靳天點是年冬復擢別試丙科値虜兵東創丁丑秋始唱名被選槐院旋入翰苑拜檢閱陞待敎奉敎戊寅春例陞成均館典籍屢拜司諫院正言夏移兵曹佐郞時宮閽不嚴掖庭人族屬男女交通往來無復防禁府君申嚴符信繩以一切之法公事外雖殿內供給者亦不得任其出入闕庭爲之肅然秋拜司憲府持平時淸陰金公酷被群壬所螫秉銓者實尸其論引一傾巧喜事者爲郞僚以自助乘機擅弄恣其好惡士流之稍秉正者屛黜殆盡推挽黨類至不避親嫌府君謝命之日首論堂郞循私無忌之狀上亦嘉納士論快之冬遞拜典籍旋入弘文館爲副修撰無何以臺啓下理蓋府君在騎省時杖一郵卒久之因他病致斃憲官之黨銓官者搆誣請拿實嗛府君駁正銓曹而爲中傷計也按驗爽實上特命全釋俄牌召不進罷職敍拜成均館直講己卯春拜弘文館校理被選知製敎轉司諫院獻納遞付司直拜修撰坐微事罷秋敍拜獻納副校理冬差書狀官時經大亂邦憲墮弛使行員役輩挾禁物無忌往往生釁彼中府君到灣之日撿括私橐發其犯者科以重律有舌官之昵鄭虜命壽者知其罪投入虜館不肯出府君竟拿治之一行盡慴鄭虜因此大恨而府君不少撓庚辰春復命翌日與副价下理杖配平丘驛蓋辭朝時上命圖兩大君往返輪遞而事未得諧只許世子來覲上疑使臣不遵敎旨有所擅請特加嚴譴及世子入京卽命放宥差備局郞敍拜校理辛巳春轉獻納旋移世子侍講院文學將入瀋朝廷以搆怨鄭虜慮其肆釁有命勿遣遞付司果摠戎使李公時白辟爲從事兼春秋館記事官冬斥補居山道察訪時素忮者握銓柄售其修郄計也李公以新掌戎務請留不許府君猝見遠貶擯棄荒裔而略無幾微色赴任之後闢池上小齋左右圖史吚唔不輟時命駕獨造於海澨巖谷之間嘯詠竟日而返翛然有出塵之想壬午冬李烓在虜中以枎植中朝告府君兄弟及數三名宰事將不測蓋府君爲書狀時與上价崔相國鳴吉過祭箕子廟大有感慨忌諱語烓以此爲辭府君在任所聞之卽入京已而被虜使押去窘辱百端夷然不爲變賴世子呈文見釋先是府君與烓同入試院瞯其慝狀於微處終不與言退語人曰是夫也姦回不正將無所不至烓聞而銜之至是終被其搆捏而人益服府君先見癸未春還朝除文兼宣傳官秋拜副修撰冬陞校理甲申春復拜副修撰轉議政府舍人弘文館副應敎冬遞拜直講轉司諫院司諫遞拜副校理兼世子侍講院弼善俄陞副應敎乙酉春拜舍人四月昭顯世子薨逝與春坊諸僚上章請行朞服差墓所都監都廳秋竣事復命拜副校理以董役勞加通政階冬拜光州牧使曁莅任慨然以爲京職淸要雖或黽勉固有不敢展志者若此一州之任可以盡吾力夙宵殫勞斤斤不替諸軍伍流來闕額者盡括瘦隱而補之糶糴累萬斛太半逋欠勑邑中期日畢輸使不得後而其流亡絶戶患及族隣者以耗穀代塡遂焚其簿民初憚輸者後皆稱便節省浮費儲積羨餘以濟民不時之役大修學舍輪直諸生日有所程課邑人追思立石至今頌德戊子春報瓜夏拜承政院同副承旨遞拜刑曹參議移禮曹拜兵曹參知己丑春陞參議旋降參知書世孫敎命文拜廏馬之賜移拜左副承旨五月仁祖上賓以禮房掌喪禮入侍斂襲秋遞拜戶曹參議冬移左副承旨書諡冊文加嘉善階陞左承旨轉至都承旨遞付副護軍庚寅春拜戶曹參判兼五衛都摠府副摠管自後屢帶焉復拜都承旨四月遞拜戶曹參判差義順公主護行副使赴燕秋復命拜禮曹參判轉兵曹辛卯春兼同知春秋館事參修仁祖實錄夏拜漢城府右尹時有主家奴怙勢犯科逃匿不出府君發卒捕致之居間者引形迹動以危言府君奮然曰法官治犯科人豈論形迹耶竟置徙邊律聞者韙之拜松都留守松都當西門孔道北入徵求倍蓰他邑而悉辦於府底市民積數十年財力漸凋府君莅任之初聚父老詢其疾苦盡除之且請于朝出度支銅鐵萬餘斤分授市廛資其本業取子母息以裕用公私俱賴本府以民戶差其等次稱以大同逐月徵米癃疾瘝寡亦在其中而諸色工匠及宮家奴屬爲官府所庇護獨逭其役至是悉括出而均之會朝廷用錢中輟其貨盡流本府貨賤無以洩市民大失其業府君令月徵米及凡諸納官者代以錢民大悅至今遵而爲式先是府官私需皆出於大同仍成流例府君謂大同所以爲民設也府官自有俸祿豈可擅用公儲遂守以畫一雖祭祀香燭之類擧皆私貿而用之未數月府庫充羨累蠲徵米而官用不乏府俗爭利好訟訴牒紛紜府官或稽滯不決往往有賄貨取謗者府君三朔之內斷大訟二十餘度而皆決於日中摘抉微隱覈其情僞使屈者無辭而退府民同聲稱頌以爲閤下時不可以非理干壬辰春引病辭府民懼其將去扯遏齎狀人於中塗不得則又輒隨至備局願以千金借留焉曁離府士女傾城遮擁有咨嗟不忍捨之意後勒石寓慕時已有羸疾不堪陳力力求外得密陽府使專以淸靜爲治日引邑諸生親加講誨且詢訪邑中忠臣孝子烈婦行蹟之卓異者悉新其掉揳廩其子孫以示嘉奬邑人大悅秋以姊夫觀察使趙公啓遠親嫌遞歸冬拜同知中樞府事癸巳春移戶曹參判秋轉都承旨冬遞拜右尹兼同知義禁府事後亦再兼焉甲午夏拜禮曹參判乙未冬復拜松都留守府民聞府君至加額出迎莫不歡抃府君益諳習本府民情惠政愈著士民至今不忘子弟時過府界必相率來見或有涕泣追思者丙申夏北使出來以前任金吾時査事承召入京置對館所上慮其還路有作梗之患命遞之俄拜禮曹參判丁酉春轉兵曹秋移刑戶二曹戊戌春復移禮兵二曹冬提調宗廟署己亥夏拜左尹以獻官祈禱得雨拜廏馬之賜五月孝廟上賓府君自數年來疾益甚尫羸換脫而及遭大恤哀疚特甚六日進粥累月食素氣力益大憊子弟請進滋味而輒却之語及先王必欷歔隕涕冬書哀冊文加嘉義階庚子二月聞顯廟眼患猝劇遂詣闕下留宿日三問安府君時處散班所寓冷薄或勸在家往來府君曰上候如是安敢退處私室停問安始還自是體益不佳添感寒疾二十七日壬子棄諸孤壽僅五十有六上命弔祭致賻如儀嗚呼痛哉初葬永平居士洞以宅兆不利辛丑十月權厝于楊州德淵之上戊申八月十八日甲申移奉于忠州西面仰巖中房里酉坐卯向之原與先妣合窆後以長男某仲女郡夫人貴及季男某從勳累贈至領議政妣贈貞敬夫人府君凡育男五人女三人男長某文科禮曹判書次暹進士官止氷庫別檢次㫤次曄文科應敎次昂未娶夭女長適大司諫李嵇次適王子崇善君澂次適士人尹之贇某前娶校理沈某之女生三男二女男長徵華次瑞華縣監次啓華文科修撰女長許嫁夭次適參奉李碩亨後娶判官許某之女生六男三女男鎭華次尙華錫華宅華從華遇華女適士人李翊夏次適進士洪重益一女幼暹娶縣監柳誠吾之女生三男長志華次處華次夢華㫤娶寺正李䆄之女無子以暹之次子處華爲后曄娶生員任垕之女生二男二女女長適士人洪重聖餘幼李嵇生一男曰喜濡崇善生二男四女男長東平君杭次幼女長適士人尹世鼎次適尹廷虎次適安壽鼎次適趙鳴鳳徵華娶左尹李翔女無后瑞華娶奉事權誨女生二男一女啓華娶牧使李敏章女生一男二女鎭華娶府使金壽增女生一男一女竝幼志華娶大司諫兪櫶女無后處華娶縣監宋光洵女夢華娶柳瑗女無后喜濡娶徐坦履女無后東平娶郡守朴世樟女生一女幼府君孝友之性根於天得自幼少時不離文貞公側代勞服勤不委僕御婉容婾色感動傍人文貞公每稱以孝子及遭憂動遵禮節哀毀成疾見者莫不愍然危之而未嘗以病故或曠朝夕拜奠每遇喪餘攀號若初或在外未參祀事則設位以哭悒懓如將見至老不衰事伯氏東陽公一如文貞公愛敬備至日必往拜終夕而還雖値風雨不廢或一日不拜則東陽公亦輒思之曰無乃有疾病耶事無大小必稟而後行及其寢疾半歲府君晝夜侍傍憂形於色易簀之後哀戚特甚與諸孤同處殯側卒哭後始還家有季妹嘗嬰痼疾浹歲沈綿日往視疾親自調藥時府君已衰且病人或憂其添劇府君曰吾同氣八人獨此妹在耳今妹疾如此吾雖衰病何心退坐只遣人問候而已耶翌年春府君先下世姑母對諸孤涕泣言之如此府君早受家庭之訓平居儼然自持甚謹粗俗之辭不出於口惰慢之色不設於容少時有號勝流者群戲隣比挽府君欲入而終不肯由是衆嘲譁然獨樂靜趙公錫胤常稱沈靜好善無如某公者深加敬重嘗直玉堂覽薛文淸讀書錄有警惕於心者自是悉取古今性理諸家如近思錄心經等書潛心玩索會其歸趣尤喜讀易以爲人間至樂無以易此公務之外端坐讀書日有程課不以外物經心雖家無그림입니다.石而不知也人有好權柄急進取者恒爲之蹙頞通籍以來雖歷遍華膴而常有逡巡退避之意及仁廟末朝論岐異益不樂在朝求補光州牧途中次陶徵士歸來辭以寓感自光還見世道日非且婚連宮禁深自畏約杜門斂迹罕與人接於時事是非常存括囊之戒而賢邪之別則未嘗不嚴愼齋金文敬先生以橫議去朝館學諸生將陳疏請留而時或有異趨者府君以爲先君嘗謂士剛君子人也請留君子人不亦可乎特遣子弟往參最惡人之阿附權貴在光時自點居相府爲其孫駙馬之婚抵書求助遺以梳具數部人或議其太簡府君聞之曰郡邑豈爲權貴設耶辛卯之獄禍連一家而府君之忠信巽默爲上下所知訾謗之言一無所及一時以爲身處危疑之際能超然自保者府君與李公時白而已鄭相國太和以詩挽之曰身名自保危疑地恭謹終爲福地基者以此也閨門之內和氣藹然雖子弟有過必諄諄然誨諭不以詬責加之接物之際謙恭平坦絶去畦畛唯恐傷人之意而及其當官任事操守確然人莫能奪其志立朝論議州縣設施槩亦可見也於文章早得蹊逕少時述作大爲文貞公奬賞及至釋褐之後勤厲彌篤詩取唐杜文範班韓亦頗染指於皇明諸大家造詣旣深而素性謙抑未嘗以一字一句向人揚扢誇詡故世鮮知府君有文惟澤堂李公植見課製諸作極加稱賞謂東陽公曰季公之文氣力雖少遜於公典雅則殆過之每擬薦入於湖堂之選以時事草創未果洪相國瑞鳳於文少許可見應製文亦嘖嘖不容口謂其堂姪洪公命夏曰吾死之後賜祭文必須托諸某甫及卒洪公果屬諸公撰進如其言趙公錫胤亦謂府君合處文苑薦擬藝文提學終未拜小楷草行亦有法東陽公嘗謂行筆古雅頗得漢魏間遺意累書哀諡及敎命等文名公卿墓道之刻亦多府君所書焉嗚呼古人有言先代無美而稱之是誣也有善而不知不明也知而不傳不仁也不肖孤旣懼不仁尤懼於誣略述行蹟不敢浮辭溢美庶幾立言君子有以裁擇而無愧辭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醉後漫吟 黃花欲綻傲霜枝白首頻傾到手巵堪笑此翁聊適意世間功業付群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蔚珍守吳貫之柬 世故紛紛苦未休自驚霜雪已盈頭東來一札開心眼稍慰衰人寂莫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醉中忽憶堂姪啓明 半夜篝燈話依然一夢中九原難更作頭白泣秋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飮 屛跡辭煩累無心解客嘲厭厭成獨酌山月掛松梢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香山韻 雌伏由來學守愚白頭牢落斷招呼生涯淡薄關心少節物推遷觸眼殊乘興不妨携玉友爲官何必執金吾他時惠好同歸去林下風流可庶乎【纔遞判義禁故中聯及之】平生歷落任如愚到處逢場只醉呼事業已無當世望襟期還與俗人殊春來白髮渾成老夢裏靑山不負吾莫說通衢開闊步人間蜀道轉危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皮封]節山 僉座 執事長田謹候狀伏惟霜令僉起居候百福苐鄙鄕柳眉巖先生墓所本府下吏犯葬之變想已聞知矣本府儒士不卽擧狀遷延至此知罪知罪今者自長城起通長官列邑莫不齊擧以再明日道會于墓下各邑章甫與遠近知舊咸集一以掘去一以請罪有不得則又將叫閽爲料貴門幾員亦宜來參而日迫恐未及知故使鄙中卽速相告耳凡在冠儒服儒孰不齊憤伊日爛量同力千萬千萬伏惟僉照亮不備狀禮己丑九月十八日生李承鶴拜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90년 이승학(李承鶴)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庚人至月二十四日 舍兄 聖疇 庚人至月二十四日 李承鶴 李承龜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0년에 이승학(李承鶴)이 동생 이승구(李承龜)에게 안부와 여러 가지 사정을 전한 간찰. 1890년에 11월에 이승학(李承鶴)이 동생 이승구(李承龜)에게 안부와 여러 가지 사정을 전한 간찰이다. 이승구(李承龜, 1860~1942)의 자(字)가 성주(聖疇)이다. 이최선(李最善)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숙부(叔父) 이원선(李元善)의 양자로 들어갔다. 이승학과는 집안의 세세한 사정 등에 대해 의논하는 친한 형제이다. 편지 본문에서는 이승학 본인의 형편 및 집안 사정 등을 담고 있는데, 이는 이승학 가문의 구체적인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기록이기도 하다. 편지에서는 우선 3달간의 객지 생활에 대한 고충을 전하고 가족의 안부를 묻는 내용이 먼저 나온다. 이어 넷째 형수의 우례(于禮)가 너무 빨리 치른 것은 아니냐고 아쉬워했다. 여기에서 우례란 며느리가 처음으로 시집으로 들어가는 예식을 말한다. 계속해서 이승학의 객지 생활로 이승구 등이 집안일들을 감당하느라 고생하는 심정을 생각하니 눈물이 흐른다는 말로 위로의 말을 전했다. 또 숙질(叔姪)이 과거 시험을 보았고, 수중(壽重)은 무과(武科) 초시(初試)에 합격했다는 소식을 전했는데, 여기서 수중은 아마도 무과에 합격한 이승학의 동생 이승한(李承漢)을 지칭하는 한 것으로 추측된다. 또 이승학의 경제 환경을 알 수 있는 대목도 나온다. 이승학은 편지에서 담양읍의 상인 국영진(鞠永趁)에게 260냥을 집전(執錢), 즉 곡식을 돈으로 환산하여 받기로 했는데, 이를 다시 엽전으로 환산하면 91냥이 된다는 것이다. 이승구가 떠나 올 때 국영진에게 올해 안에 줄 것을 재촉할 것을 당부했다. 용석(龍石)과 정춘(丁春)을 보내면서 대략적인 이야기를 전한다는 말과 이승학의 아들 광수(光秀)의 공부를 잘 봐주기를 덧붙였다. 용석과 정춘은 노비로 보인다. 또 문서 앞쪽에 추신으로 이사에 관한 내용과 누이동생의 혼사에 관한 말이 보인다. 이승학(1857∼1928)의 본관은 전주(全州)로, 양녕대군(讓寧大君)의 후손이며, 자는 자화(子和), 호는 청고(靑皋)이다. 전남 담양(潭陽) 장전리(長田里)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기정진(奇正鎭)의 문인인 진사 이최선(李最善)이고, 이승학 본인도 기정진의 문하에서 배웠다. 을미사변(乙未事變) 때 팔도에 격문을 보내어 의병을 일으키기도 했다. 문집으로 ?청고집(靑皋集)? 4권을 남겼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633년 포충사 유사(褒忠寺 有司)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崇禎六年十月十五日 畓主 自筆 學生 朴思遠 褒忠寺 有司 崇禎六年十月十五日 朴思遠 褒忠寺 有司 朴思遠[着名], 朴思道[着名], 高傅敏[着名] 전남도청(2019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633년 10월에 박사원(朴思遠)이 포충사(褒忠祠) 유사(有司)에게 작성해준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1633년(인조 11) 10월 15일에 답주(畓主) 박사원(朴思遠)이 포충사(褒忠祠) 유사(有司)에게 논을 팔면서 작성해준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이다. 박사원은 이거(移居)할 계획으로 폐성(廢城) 내 대전(代田)을 매점(買占)하기 위해서 처가로부터 상속받아 갈아먹던 유등곡리(柳等谷里) 지평(旨坪)에 있는 담자답(淡字畓) 20부 3속 볍씨[稻種] 7마지기[斗落只]를 포충사 유사에게 정목(正木) 50필을 받고 팔았다. 이 거래에는 증인(證人)으로 박사도(朴思道)와 고부민(高傅敏)이 참여해 문서를 작성하였다. 증인으로 참여한 박사도(朴思道)는 박사원의 동생이고, 고부민은 박사원 처가 오촌숙(五寸叔)이다. 이 밖에 포충사 관련한 문서로는 1614년 광주목 입안, 1622년 광주목 입안, 1627년 광산현 입안이 있다. 박사원(朴思遠)은 본관이 충주이고, 아버지는 박시영(朴時英)이며 눌재(訥齋) 박상(朴祥)의 후손이다. 배우자는 장흥고씨이다. 박사도(朴思道)는 본관이 충주고, 아버지는 박시영(朴時英)이며 형은 박사원(朴思遠)이다. 고부민(高傅敏, 1577~1642)은 자가 무숙(務叔)이고, 호가 탄음(灘陰)이며, 본관은 장흥이다. 어려서는 강항(姜沆)의 문하에서 공부하였고, 김장생(金長生) 문하에서 성리학에 몰두하였다. 1627년에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삼종인 고부립(高傅立), 종제인 고부필(高傅弼) 등 동지 수십 인과 호남의병장인 재종숙 고순후(高循厚)의 막부에 들어가 군량을 모으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병자호란 때에도 동지 오천여명을 규합하고 군량을 모아 남한산성으로 향하던 중 청주에 이르러 정부의 강화로 적이 퇴거하였다는 말을 듣고 통탄하며 향리에 돌아와 은거하면서 시를 읊어 뜻을 보이며 여생을 보냈다. 포충사는 의병장 고경명(高敬命, 1533~1592)과 고종후(高從厚, 1554~1593)·고인후(高因厚, 1561~1592) 3부자와 유팽로(柳彭老, 1544~1592), 안영(安瑛, 1564∼1592) 등 5위를 배향한 사우이다. 1601년(선조 34) 호남 유생들이 광주 제봉산(霽峯山) 아래에 사당을 건립했고, 1603년(선조 36)에 박지효(朴之孝) 등 문인과 후손들이 사액을 청해 '포충(褒忠)'이란 액호를 받았다. 포충사는 사액 사당으로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 철폐 때에도 장성의 필암서원과 함께 훼철되지 않았던 사우이다. 명문(明文)이란 어떤 권리를 증명해 주는 문서로 흔히 토지와 노비, 가옥 등을 매매하는 문서명으로 쓰인다. 토지매매명문은 파는 사람이 작성하여 사는 사람에게 주는 것이다. 여기에는 대체로 매매 연월일과 매수자(買受者), 매도사유(賣渡事由), 매도물(賣渡物)의 소재지, 양안상(量案上)의 자(字) ․ 번(番), 결부(結負), 복속(卜束)과 두락(斗落), 배미[夜味] 등 매매 대상물의 정보와 가격, 그리고 매도인(賣渡人)[財主], 필집(筆執), 증인(證人) 등이 기록된다. 그러나 시대와 작성하는 사람에 따라 이들 가운데 일부가 생략되기도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15년 오준선(吳駿善)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乙卯十月二十五日 吳駿善 乙卯十月二十五日 吳駿善 전남도청(2019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15년 10월 25일 오준선(吳駿善)이 보내는 간찰. 1915년 10월 25일 오준선(吳駿善)이 보내는 답장편지이다. 편지 내용을 보면 상대방의 아들이 찾아와 편지를 전해주니 위로되고 매우 감사함을 이를 데 없다고 하면서 근래 추위에 건강하시다니 다행이라며 안부인사를 전하였다. 이어서 자신은 하늘에 잘못을 얻어 근래 상을 당해 차마 말 할 수 없는 지경이며 입산의 계획은 단순히 결신(潔身)을 하기 위함이 아니라고 하였다. 또 상대방이 과장(過葬)이라니 도리어 서운함과 부끄러움이 깊고 질병으로 인해 나아가 안부를 살필 수 없어 더욱 송구스럽다는 마음을 전하며 나머지는 어지러움이 심하여 편지를 마친다고 하였다. 오준선(吳駿善, 1851~1931)의 자는 덕행(德行), 호는 후석(後石), 본관은 나주이다. 아버지는 오항규(吳恒圭)이며, 생부는 오하규(吳夏圭)이다. 노사 기정진의 제자로서 방대한 저술을 남긴 한말의 유학자이다. 그는 1910년 망국(亡國) 직후 일제가 양반을 회유하기 위해 지급한 이른바 은사금(恩賜金)을 거부한 것으로 유명하다. 의병에 직접 가담하지는 않았으나 훗날 의병전(義兵傳)을 저술하였다. 1910년 나라가 망하자 성리학적 도와 의리를 지키려는 노선을 지향하였다. 그는 자신의 뜻을 후세에 전하기 위해 용진정사(聳珍精舍)를 짓고서 후학양성에 매진하여 6백여 명의 제자를 배출하였다. 유집으로 ?후석유고(後石遺稿)? 25권 13책이 있는데, 1934년에 간행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무술년(戊戌年) 박해룡(朴海龍) 모숭재기(慕崇齋記) 고문서-시문류-기 교육/문화-문학/저술-기 戊戌二月淸明節 朴海龍 戊戌二月淸明節 [1958] 전남도청(2019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무술년 2월에 박해룡(朴海龍)이 쓴 김해김씨 묘재(墓齋) 모숭재(慕崇齋)의 기문(記文). 무술년 2월 청명절에 응강(凝江) 박해룡(朴海龍)이 쓴 김해김씨 묘재(墓齋)인 모숭재(慕崇齋)의 기문(記文)이다. 모숭재는 저술자 박해룡의 고우(故友)인 김해김씨 김경식(金景煶)의 할아버지 백은(栢隱) 김해연(金海淵)의 묘재이다. 문서에는 기(記)를 작성하게 된 연유, 김해김씨 가계 내력, 김해연(金海淵)의 행적 등이 기록되어 있다. 기문의 내용에 따르면 월아산(月牙山) 금선봉(琴仙峰) 아래 지곡산(芝谷山)에 통덕랑 백은(栢隱) 김공(金公) 해연(海淵, 자는 정여(晶汝))과 배우자 진주 강씨(晉州 姜氏)의 무덤이 있다. 하루는 김씨 제군자(諸君子)들이 선대의 무덤이 상곡(上谷)에 있은 지 지금 거의 수백 년이 되었는데도 아직까지 묘재(墓齋)가 없는 것은 자신들의 책임이라고 하면서 조상을 받드는 도리에 힘쓰지 않을 수 없다고 하였다. 이에 지난 무자년에 이르러 묘재의 역(役)을 마치고 고우(故友) 김경식(金景煶)이 와서 자신의 할아버지의 묘실을 완성하였으니 그것에 관해 기록해 주기를 청하였다. 그러나 사양하며 응하지 못하고 있던 중 불행히도 김경식이 갑자기 죽게 되었는데, 지금 그 아들 기수(基守)와 그 친족 기옥(基玉)이 소매에 백은유사(栢隱遺事)를 가지고 와서 두세 번 간청하니 그 뜻이 매우 근실하였다고 하였다. 대개 얻지 못하여도 그치지 않았으며, 이미 그 아버지의 청을 져버렸는데, 차마 그 아들의 효성을 져 버릴 수 없었다고 하면서 기문을 쓰게 된 연유를 적었다. 김해김씨는 금관가락(金官駕洛)의 후예로 모암공(慕庵公) 김극일(金克一)은 부모를 섬김에 지극한 효를 다하였으며 사시(私諡)가 절효(節孝)이다. 모암공의 여섯 아들 중 넷째 김순(金順)은 진사공으로 5대조이고, 고조는 백망(伯望)이며, 증조 용필(甬弼)은 문과에 급제하여 황산찰방을 지냈고, 조부 원복(原福)은 청송부사(靑松府使)를 지냈다. 아버지는 휘(輝)이고 어머니는 월성 최씨(月城 崔氏)이다. 을미년에 태어나 성품이 효렴공직(孝廉恭直)하고 일찍부터 집안에서 학문을 익히고 시예(詩禮)를 복습하였다. 임진왜란 때 백동(柏洞, 경남 진주시 금산면)으로 피신하였다가 난리가 평정되자 산수가 맑아 거주하게 되었다고 한다. 戊巳년의 화(禍)를 깊이 경계하며 충효근검(忠孝勤儉) 4글자를 잠언으로 썼다고 한다. 자식들에게 선조의 묘소가 청도에 있으니 그곳을 잘 돌보라는 말을 남기고 광해 임자(1612)일에 78세로 돌아가셨다. 백동에서 살기 시작하는 것은 할아버지 김해연으로부터 비롯되어 재실을 짓는데 후손들이 각자 일을 분담하여 맡은 바 업무에 정성을 다해 무사히 완료되었음을 서술하였다. 김씨 제군자께서는 절효선생 모암공이 부모를 사모하던 마음으로 조상을 사모하는 마음으로 삼았으니, 세세자손이 그 사모함이 오래되고 온화하구나라고 하면서 선조에서 받은 것이 있으므로 능히 자손에게 줄 바가 있다고 하였다. 앵산(鶯山)이 이지러지지 않음과 같이 존중하고, 유천(柳川)이 마르지 않음과 같이 그리워하며 모숭의 편액이 영원히 사라지지 않고 무궁하기를 기원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1924년 이승학(李承鶴) 영수증(領收證) 09 고문서-명문문기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영수증 大正十三年十月二十九日 潭陽郡農會長 李承鶴 大正十三年十月二十九日 潭陽郡農會長 李承鶴 전남남도 담양군 柳炳吉(타원형), □…□(방형)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4년에 담양군농회에서 이승학에게 발급한 농회비 영수증. 1924년 10월 29일에 담양군농회(潭陽郡農會)에서 이승학(李承鶴)에게 발급한 영수증이다. 이 문서는 담양군농회장 명의로 발행했다. 이승학이 납부한 회비는 5원(員) 12전(錢)이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근현대문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물목(物目) 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物種과 비용을 기록한 문서. 石魚, 靑魚, 大口 등 11개 어패류 물종이 기록, 물종 아래에는 가격이 표기되어 있으며 11개 물종의 총액이 4원 9전으로 기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이진사(李進士) 간찰피봉(簡札皮封)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長田謹候書 齋洞 洪都事 李進士宅 洪都事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담양 장전의 李進士宅에서 洪都事에게 보낸 간찰의 피봉.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