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醉贈李斐仲仍示香山 好風吹送故人來不待寒暄擧酒杯大醉狂歌仍共臥終南山色正崔嵬【好風送故人乃中華俚語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疊次前韻 素性厭世紛無忮亦無好如何墮名繮馳逐長安道萬事已忘情從他化翁造駸駸逼暮景頭雪安能掃有酒輒昏冥有詩且狂噪焉能嬰俗務徒使神精耗時逢二三子把臂相傾倒終南雪初霽萬壑同一皓風光入吟哦屢蒙瓊琚報惠好有舊約掛冠嗟未早寄言西河翁且勉香山老春江漲新綠一帆歸意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乙丑早春余抱病閑居東床李生國弼來言靑鶴洞乃先祖容齋公之舊基而景致勝絶將欲架數椽屋以爲游息之所余聞而喜之便忘沈痾在體卽命駕與李生携一壺酒往訪舍弟及子姪皆隨之挹翠之孫朴君元伯亦挈榼來會冠童竝十五人于時殘雪初消陽煦煽和席地吟嘯居然有出塵之想使兒輩秉筆題詩以寓半日偸閒之趣 鶴洞名勝區德水文章子結廬在此間迥然隔塵累同好有翠翁玉樹相依倚聲華擅一代勝跡傳詩史風流已寂莫百年餘舊址東床有雅操堂搆乃其志盛說丘壑趣使我聞之喜相携卽命駕雙屐不待理煙霏鎖石逕松檜攢深翠入洞便開豁宛似桃源裏陰壑雪初消決決鳴溪水冠童十餘人左右俱列侍況有兩家裔觴詠繼舊事地僻意自靜還忘近城市偸得半日閒自詑具四美留連任驩謔倏然暝煙起悤悤返遊騎悵望情無已人生貴適意何必紆靑紫仰慕泝上詠緬懷山陰記佇待春服成於焉更一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附原韻 燈焰靑熒冷敝幃病眸看字苦生疑前非點撿秋風後舊約尋思夜雨時不必多金同季子要須散髮逐鴟夷賢豪處世如龍虎肯受人間絡與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崔完陵後亮壽席韻 積慶綿綿相國門芳辰賀客簇高軒當筵彩服聯雙璧滿樹繁花映列樽寵溢西樞卿月煥祥凝南極壽星尊人間幸覩難逢事孤露餘生淚有痕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主簿朴公墓表悔齋朴公天柱孝子也公自孩提頗有老成風度纔十歲俱失怙恃常抱徹天之痛及長以其考遺衣合祔于其妣壙右襄奉饋奠一遵禮制六年㞐廬日必省墓北望叫號淚濕階石世所稱望北峴灑淚巖孝子里者此也服關常着蔽陽子以不見天日爲誓每當諱辰哀痛益罔極必巖齋戎以殫如在之誠平居以悔省其所居座右常寓目自警至於詩之蓼莪每讀感淚爲其追遠之慕風樹之憾出於天性而終身不懈篤行爲人之本以孝經家體爲律身之要領也公有至行則宣爲世之大用而隱倫林泉只得先務郞禮賓寺主簿而止可勝惜哉公字擎國密城人也自新羅曁 我朝世襲簪纓密城君彦忱其先祖也至諱蔚官察訪寔公之五世祖也副護軍永傑司猛億瑞其曾若祖也監察枝樹臨亂殉節 贈貞夫人咸平魯氏察訪延齡女有烈行卽公之考妣而倂 贈爵褒㫌公生于 宣廟戊寅卒于 孝廟庚寅得年七十三墓綾州碧山村後德峯下亥坐原配宜人光山金氏孫世女某年生某年卒祔公墓生三男以素壽僉樞成素宗素曰泰英泰馨泰彬奉事長房出也曰泰炫泰興仲房出也曰守海季房出也曾玄蕃不錄嗚乎公孝誠純篤以不得供養抱寃至恨沒身不衰公可謂孝思不忒者也沒後二百餘年儒論始發上章于 朝得蒙棹楔之典公之後事於斯無憾然曾無墓道顯刻久而泯沒爲懼公后孫奎鎭源東命其族人俊東仁周請余以樹經之文余雖無似淚感公之孝畧敍如右使世之人以爲矜式焉成均進士德殷宋哲憲 謹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유명조선국양왕자기적비(有明朝鮮國兩王子紀蹟碑) 탁본(拓本)1 고문서-기타-서화 교육/문화-예술-서화 崇禎紀元後五乙丑月日 崇禎紀元後五乙丑月日 전남도청(2019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有明朝鮮國兩王子紀蹟碑 탁본(전면). 이 비는 임진왜란 때 일본군의 포로가 된 두 왕자 臨海君과 順和君의 사적을 기록한 것으로 禦侮將軍行咸鏡北道兵馬評事兼監市御史 李鍾正이 撰하고, 嘉義大夫咸鏡北道兵馬水軍節度使兼鏡城都護府使 李南軾이 글을 썼으며, 崇禎紀元後五乙丑(고종2, 1865)에 세웠다고 쓰여있음 *상태: 전후좌우 4점의 탁본으로 이루어짐 *연결문서: 탁본 후면, 좌측, 우측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박천주(朴天柱) 묘표(墓表) 고문서-시문류-묘문 개인-전기-묘문 成均進士德殷 宋哲憲 [19세기 말~20세기 초] 宋哲憲 전남도청(2019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송철헌(宋哲憲)이 찬술한 주부(主簿) 박천주(朴天柱)의 묘표(墓表). 성균진사(成均進士) 송철헌(宋哲憲)이 찬술한 주부(主簿) 박천주(朴天柱, 1578~1650)의 묘표(墓表)이다. 문서의 제목은 '주부박공묘표(主簿朴公墓表)'라 하였으며, 작성 시기는 송철헌이 사마시에 합격한 1888년 이후로 추정된다. 송철헌은 문서에서 묘표를 작성하게 된 이유를 후손들이 묘도의 비문이 없어 오래되면 자취가 없어질까 하는 걱정으로 박준동(朴俊東)과 박인주(朴仁周)가 자신에게 찾아와 부탁하여 찬술하게 되었다고 한다. 박천주는 화순 출신으로 임진왜란 때 왕자 임해군과 순화군을 호위하던 중 순절한 모봉(茅峯) 박지수(朴枝樹, 1562~1593)의 아들이다. 묘표의 내용에 따르면 박천주는 자가 경국(擎國)이고, 호가 회재(悔齋)이며, 본관은 밀성(密城)이다. 효자로 10세 때 부모를 잃고 6년 동안 거려(居廬)하면서 날마다 성묘할 때 북쪽을 바라보며 부르짖으며 눈물을 흘려 계석(階石)이 젖으니 세상에서 망북현(望北峴) 쇄루암(灑淚巖) 효자리(孝子里)라고 불렸다고 하였다. 그는 임천(林泉)에 은둔하며 다만 선무랑예빈시주부(先務郞禮賓寺主簿)를 받았고, 1578(선조 11)년에 태어나 1650년(효종 1) 73세의 나이로 마쳤으며, 묘는 능주(綾州) 벽산촌(碧山村)에 있다. 배우자는 광산김씨(光山金氏) 손세(孫世)의 딸이고, 세 명의 아들 소수(素壽), 성소(成素), 종소(宗素)를 낳았다. 박천주는 효성(孝誠)이 순독(純篤)하고 효사(孝思)가 어긋나지 않았다고 하며, 사후 200여 년 뒤에 유론(儒論)이 일어나 조정에 글을 올려 정려의 표창을 받았다고 하였다. 찬술자인 송철헌(宋哲憲, 1870~1924)은 송시열(宋時烈)의 후손으로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원명(原明), 호는 지재(止齋)이다. 아버지는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 1836~1905)이고, 어머니는 전주 이씨이다. 1870년 5월 27일에 심석재(心石齋) 송병순(宋秉珣, 1839~1912)의 장남으로 태어났는데 출계하여 송병선의 후사(後嗣)가 되었다. 1888년 2월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문집으로 『지재집』 13권 3책이 남아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雲卿韻 關外分携奄隔旬眼中花事一時新佳期已負樽前月別意空愁榻上塵書到塞垣知曠日詞傳郢曲摠驚人歸來莫誤城南約猶有芳菲殿暮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復次雲卿韻仰呈拙翁求敎 衰齒居然邁五旬慣看兒戲逐時新殘生只合投田里宦跡何緣脫世塵頭白已無身外念眼靑唯憶意中人園花寂寂鸎聲晩誰共芳尊餞晩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拜參贊有感【高祖夷簡公官至四宰】 五十殘齡鬢髮鮮分甘丘壑送餘年淸朝濫被陶甄力慙愧官名比祖先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靑嵐精舍上樑文 余病臥南澗書室金君延之自華陰庄眷歸京洛致書於余曰白嶽西支有小洞面勢爽塏可家可臺今方經營蝸室遂名之曰靑嵐臺蓋華陰屋後之山曾取退溪詠淸平靑嵐無跡遣浮榮之句名之爲靑嵐今又取周子濂溪之義而名新居斯居也東對景福後苑傍有聽松堂遺址西近白雲洞思庵有石逕筇音宿鳥知之句南則木覓如在几案萬家煙樹歷歷眼底北則白嶽小岡爲屋後主峯松林蔥鬱幽邃敻絶願得君拋梁之文以賁斯居余喜其閒曠之趣使兒輩援筆口呼而書之率爾搆拙必無當於具眼也岳麓右界京洛勝區傍接三淸怳聞笙鶴之響前臨九陌猶隔車馬之塵白石靑莎步步可坐淸泉茂樹處處宜家異矣城郭朝市之間有此山林丘壑之趣惟茲嵐臺之幽奧最合隱者之盤旋主人翁白璧藏輝朱絃含韻魏仲先之恬素絓組忘情向子平之恢奇煙霞成癖遐心夙超於物表高躅厭託於人間空谷幽蘭淸芬未沫小山叢桂雅操常存纔營葛令之丹砂遽結董生之白社栽花夾岸桃源之物色依然採桑盈筐鹿門之閒趣自足逮茲桑楡之晼晩念切棣萼之分離乍別東皐言歸北洛閒雲出峀自卷舒之無心流水辭源固淨潔之有性棲心於埃壒喧卑之外選勝於杖屨逍遙之餘卽此誅茅於焉得所山嵐岳翠目寓而怡顏澗響松聲耳得而澄慮却將新居之勝槩仍稱故山之嘉名濂溪之宅已移舊號猶揭於廬阜武夷之勝殊絶幽賞詎間於寒泉鎖巖扉於山阿囂塵自屛棲雲物於洞裏風景不殊對碁彈琴處一室而自樂吟風哢月鎭四時而長閒境與神凝地因人勝聯床聽雨昆弟有唱酬之驩扶杖探春冠童共風詠之趣平生志業自有石室遺風晩歲優游恰追楓溪故事允矣羲皇上人便作城市大隱爲述斯干之頌以助匠石之功兒郞偉拋梁東苑樹蒼蒼接遠空傍有碩人龍臥處秪今松籟灑淸風兒郞偉拋梁西白雲深洞隔靑溪筇音半夜驚山鳥石逕參差高復低兒郞偉拋梁南木覓嵯峨擁翠嵐簾箔捲來看氣色萬家煙樹望中參兒郞偉拋梁北國鎭雄蟠撑北極秀色悠然自可飧有時乘興來攀陟兒郞偉拋梁上風露凄淸天宇爽雲間一點少微星夜夜晶光來入望兒郞偉拋梁下喜無俗客窺精舍北闕于今休上書東山自可供高臥伏願上梁之後泉石增輝花竹無恙相如之室四壁不厭生計之蕭條樂天之屋三間足詑閑居之瀟灑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姪子夢華文 伯父汾厓翁銜哀茹痛以觴豆之奠哭于亡姪第三郞之靈曰嗚呼汝父棄余邁邁如遺汝兄又從而逝使我平居忽忽無生趣此汝所常見而痛之者汝何忍棄余邁邁又如汝父與汝兄乎汝雖不我念老母在堂弱妻在室惸惸孑孑而無所依此尤人理之所不能堪者汝何忍竝與此而不少念耶汝自幼有子諒之心雖見他人之喪亦必衋然而悲之今胡恝然而反使人悲之耶余之哭汝父汝兄也心肝固已蝕矣猶以汝兄弟無恙且汝頗有才行可以繼汝父之緖業故以是自慰今汝又至於斯將何以慰此懷耶余之尤所痛怛不能自抑者汝父以曾閔之行年未强而死於孝天道有知必不使無其後而汝與汝兄不幸無子而夭汝仲兄出繼汝叔父而又無嗣續設令吾家孫行繼汝之後從今十數年之間汝父將作無祀之鬼此何理此何理耶汝雖戢爲一木如有不昧者存能無慘怛痛迫之情耶余以此晝夜疚懷寢食俱廢時以杯酒瀉懷而醉必涕泣號咷此汝兄之所見也汝則冥然漠然不能見我此狀耶以汝葬於汝叔汝兄之傍將遷汝父於其山此可以慰汝之懷耶汝懷雖慰汝母汝妻與汝伯父之心將何以慰之耶遠期將迫聊奠一酌汝或彷彿而知之耶嗚呼痛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醉贈韓中丞肯世 款款罇前話平生不盡情虛堂蟋蟀詠擲地有金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魚監司【震翼】挽 黌舍追遊久朝端接武頻能恢容物量咸服掇皮眞玉節官纔擢銀臺迹已陳傷心洛東會無復老成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感吟 分外榮名不自期人間五十亦支離朱輪華紱非吾志歸臥雲山可展眉底事雲山可展眉草堂閒睡懶相宜煙霞迥隔東華路枕外紛紜摠不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尹監司嘉績挽 春臺仙榜折名時月窟爭推汗血姿一路澄淸官已顯强年奄忽理難知秋深海岸丹旌遠日暮萱堂白髮垂多少平生親愛客哭君誰不淚交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壺谷日涉亭韻 淸名當世幾人完羨子翛然意自安剩得賓筵新釀熟從他兒戲古屛看壺天日月供間興栗里松篁保歲寒莫道小亭如蒻笠四時佳景好憑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箕城贈人序 關外馳情阻兩地之消息天涯會面共一場之團欒忘却他鄕樂哉今夕惟君塵中落魄物外棲身甯戚悲歌誰憐白石之曲孟浩多病已斷靑雲之心居然轉蓬之行忽作浮萍之會回靑眼於阮籍留飮霜天悲皓首於馮唐共惜白日于時窮陰已盡一陽初生臥刀斗於轅門南樓月白凝香煙於燕寢北海樽傾彩筆如椽詞華劘屈賈之壘雄劍在匣晶光射斗牛之墟相將氣岸之憑凌不覺玉山之傾倒聯床此夜縱喜自遠方之來分袂明朝可堪無故人之歎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祖考文貞公遷葬祭文 粤自捐館四紀于茲中間患故家事變移慮無不至幽宅斯遷咷號奉櫬唯有曾玄不肖無狀猥受藩寄關河敻絶久隔塚隧逮茲啓窆躬未奠爵拭血緘辭冀垂降格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