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鴨江送北使有感 肩輿催出小東門宿靄初收曙色分堪笑此生身已倦白頭羞殺鷺鷗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1956년 충효당(忠孝堂) 상량문(上梁文) 2 고문서-시문류-상량문 경제-토목/건축-상량문 孔夫子誕降二千五百七年丙申四月十四日 瑞興 金奎泰 孔夫子誕降二千五百七年丙申四月十四日 金奎泰 전남도청(2019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56년 4월에 충효사(忠孝祠)를 신축하면서 지은 상량문(上梁文) 1956년 4월에 충효사(忠孝祠)를 신축하면서 지은 상량문(上梁文)이다. 표제는 "충효사상량문(忠孝祠上梁文)"이며, 문체는 변려문(騈儷文)으로 작성되었다. 상량문을 쓴 사람은 서흥(瑞興) 김규태(金奎泰)이다. 내용과 형식은 같은 해 같은 날에 후손 박도동(朴道東)이 쓴 충효당상량문(忠孝堂上梁文)과 비슷한다. 박지수(朴枝樹), 부인 노씨(魯氏), 아들 박천주(朴天柱)의 행적을 적고 이어서 사우에 대한 내력을 간단히 서술한 뒤 상량송(上梁頌)을 적고 마지막 부분에 상량한 뒤에 충군친애(忠君愛親)의 도리를 익히고 항상 영백(英魄)이 엄숙히 임함을 생각하여 나라가 좀먹는 것을 끊고 자신의 사사로움을 돌아보고 장차 경박한 세태에서도 변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을 적었다. 김규태(金奎泰, 1902~1966)는 본관이 서흥(瑞興)이고, 호가 고당(顧堂)이다. 아버지 김봉운(金捧運)과 어머니 광주 노씨(光州 盧氏) 사이에서 4남1녀 중 장남으로 경북 달성군 현풍 지동에서 태어났다. 율계(栗溪) 정기(鄭琦, 1897~1950)의 문하에서 공부하였으며, 26세이던 1927년 스승 율계 선생을 따라 전남 구례로 이거하였다. 35세(1936)에 구례군 토지면 금내리에 용암재(龍巖齋)를 짓고 스승의 뜻을 받들어 후생 교육을 시작하였다. 이후 후학 양성과 저술에 주력하다가 1966년 9월 17일 6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시부(詩賦)와 서예(書藝)를 잘했다. 1970년에 간행된 시문집 ?고당문집?13권이 있다. 충효사(忠孝祠)는 화순군 도암면 벽지리에 자리하며 박지수(朴枝樹)와 아들 박천주(朴天柱)를 배향하고 있는 사우다. 1598년 건립되었고 1868년 고종 때 대원군의 서원 훼철령으로 철폐되었다. 그 후 1924년에 우선 단으로 제향해 오다가 1955년에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현재 밀양 박씨 문중에서 보존 관리하고 있으며 2001년 7월에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제2호로 지정되었다. 박지수(朴枝樹, 1562~1593)는 본관이 밀양(密陽), 자가 무중(茂仲)이고, 호가 모봉(茅峰)이다. 밀양군(密陽君) 박중손(朴仲孫)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찰방 박영걸(朴永傑)이고, 아버지는 사맹공(司猛公) 박억서(朴億瑞)이다. 자질이 빼어나고 일찍부터 강개한 뜻이 있었으며, 1580년(선조 13) 별시(別試) 문과에 병과(丙科)로 합격하였다. 1591년 사헌부 감찰을 제수 받았으며, 동료들 24인과 함께 사헌부에서 서로 친밀한 관계를 맺고 시를 지어 주고받았다. 선조가 이를 가상히 여겨 「총마계회도(驄馬契會圖)」를 지어서 주었다. 임진왜란 때 특명으로 왕자 임해군(臨海君)과 순화군(順和君)을 호위하여 북도로 피난 도중 적병 수천 명을 만나 삼일간의 접전 끝에 온몸에 상처를 입어 회령에서 순절하였다. 그의 노복이 시신을 수습하여 고향에 돌아오자 부인 노씨가 남편을 따라 자결하였고, 이 광경을 지켜본 노비 근춘(斤春) 역시 자결하였는데 이에 일문삼절(一門三節)이 배출되었다고 회자되며 이들의 충절이 높이 평가되었다 한다. 부친 사맹공(司猛公)은 83세의 나이로 재산을 털어 군수를 보조하였다. 1869년에 좌승지에 증직되었으며, 1870년에 정려가 내려지고, 1892년에 좌참찬에 증직되었다. 충효사(忠孝祠)에 그의 아들 박천주와 함께 배향되었다. 박천주(朴天柱, 1578~1650)는 자가 경국(擎國)이고 호가 회재(悔齋)이다. 박지수(朴枝樹)의 아들로, 주부(主簿)를 지냈다. 효성과 우애가 독실하였다. 나이 10세에 부모님 상을 당하여 3년 동안 시묘살이를 하였는데 계속 부모님이 처음 돌아가신 때와 같이 변함없이 하여 주변 사람들이 모두 감동하였다. 정려(旌閭)가 내려졌다. 충효사(忠孝祠)에 아버지 박지수와 함께 배향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5년 박지수(朴枝樹) 행장(行狀) 고문서-증빙류-행장 정치/행정-조직/운영-행장 崇禎后四旃蒙單閼泰月下澣 尙質 張憲周 崇禎后四旃蒙單閼泰月下澣 張憲周 전남도청(2019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55년 음력1월에 장헌주(張憲周)가 찬술한 모봉(茅峯) 박지수(朴枝樹, 1562~1593)의 행장(行狀). 1855년(철종 6) 음력1월 하순에 장헌주(張憲周)가 찬술한 모봉(茅峯) 박지수(朴枝樹)의 행장(行狀)이다. 문서의 제목은 '조산대부행사헌부감찰모봉박공행장(朝散大夫行司憲府監察茅峯朴公行狀)'이라 하였다. 행장에 따르면 박지수의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무중(茂仲), 호는 모봉(茅峰)이다. 고조는 첨정(僉正) 박맹성(朴孟誠)이고, 증조는 부호군(副護軍) 증이조참의(贈吏曹參議) 박영걸(永傑官)이며, 아버지는 통정대부 부사맹(通政大夫副司猛) 박억서(朴億瑞), 어머니는 숙부인 동복 하씨(同福河氏)이다. 가정 임술(嘉靖 壬戌, 1562)에 능주(綾州) 월곡(月谷) 모산리(茅山里)에서 태어났다. 그는 자질이 빼어나고 일찍부터 강개한 뜻이 있었고, 1580년 무과에 합격하였으며 1591년에 사헌부 감찰을 제수 받았다. 동료인 약봉(藥峯) 서성(徐渻, 1558~1631) 등 24인과 함께 「총마계회도(驄馬契會圖)」를 제작하였으며, 서로 시를 창수(唱酬)하였다 한다. 임진왜란 때 특명으로 왕자 임해군(臨海君)과 순화군(順和君)을 호위하여 북도로 피난 도중 적병 수천 명을 만나 삼일간의 접전 끝에 온몸에 상처를 입어 회령에서 순절하였다. 그의 노복이 시신을 수습하여 고향에 돌아오자 부인 노씨가 남편을 따라 자결하였고, 이 광경을 지켜본 노비 근춘(斤春) 역시 자결하였는데 이에 일가삼절(一家三節)이 배출되었다고 회자되며 이들의 충절이 높이 평가되었다 한다. 박지수는 이후 1869년(고종 6)에 좌승지에 증직되었으며, 1870년에 정려가 내려지고, 1892년에 좌참찬에 증직되었다. 1924년에 화순군 도암면 벽지리에 있는 충효사(忠孝祠)에 배향되었다. 그의 유집인 ?모봉유고(茅峯遺稿)?가 1932년에 간행되었다. 이 행장을 찬술한 장헌주(張憲周, 1777~1867)는 자가 유장(幼長), 호가 여력재(餘力齋), 본관은 흥성이다. 아버지는 장제갑(張齊甲)이고 어머니 나주 나씨이며, 나주 다시면(多侍面) 송촌(松村)에서 출생하였다. 시문집인 ?장여력재집(張餘力齋集)? 11권 5책이 있다. 행장(行狀)은 사망한 자의 생전의 평생 이력과 업적[행적]을 기록한 글을 말한다. 한 가문의 행적을 기록한 글을 가장(家狀)이라고 하여, 흔히 문집(文集)에는 행장과 가장(家狀)이 부록으로 첨부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朝散大夫行司憲府監察茅峯朴公行狀公諱枝樹字茂仲號茅峯朴氏系出新羅王子密城大君入 我朝有諱蔚官察訪有諱孟誠官僉正有諱永傑官副護軍 贈吏曹參議卽公之高曾若祖也考諱億瑞通政大夫副司猛妣淑夫人同福河氏公以嘉靖壬戌生于綾州月谷茅山里形貌魁偉志節慷慨早有立揚之志不屑屑於博士業以萬曆八年庚辰登武科受知宣廟累遷官辛卯特除特除司憲府監察蓋武弁極選也與同僚藥峯徐公渻宜春君截等二十四人作驄馬聚會圖詩以唱酬蓋監察是殿中御史故也 宣廟朝賜詩寵之詩曰霜臺凜凜直臣風玉立羣賢政在公柱後惠文猶整豸殿中御史舊乘驄威分漢柏傳平管步近唐星繞紫宮同地同官又同好鮫綃不惜寫䲶鴻公賡載以進曰一首恩章動四風競將圖繪賀天公爐煙引袖同趍鵠銅漏催朝共駐驄晝閣丹靑皇漢世賡歌日月有虞宮霜臺淸職眞仙分生老昇平際運鴻一時傳以爲勝事百世之下想見其氣象翌年壬辰四月倭寇猝至 大駕播越西陲 上命大臣金貴榮宰臣黃廷彧等護王子臨海順和二君避地北關公亦陪從累避賊鋒轉入會寧地賊將淸正連陷吉明四大鎭會寧官奴鞠景仁爲賊內應擧城投降 王子宰臣俱被俘留縶淸正陣中公不勝痛惋謀欲乘機討賊脫還 王子而未得其便時藥峯徐公方謫居鍾成與同謫人韓百謙羅德明等就議北評事農圃鄭公文孚同時倡義公於徐公卽舊僚也遂合同事前監司李聖任慶興府使羅廷彥慶源府使吳應台鍾城府使鄭見龍僉使柳警天本土儒生李鵬壽等亦參軍謀先斬景仁等是年九月又斬倭卒數百級進至吉明界再捷三介浦淸正踰嶺南走追及端川斬倭三千餘級十月十三日戰于白塔橋又斬千餘級公酣戰良久中丸而卒賊退後奴斤春求得公尸於亂斬積屍中藁葬于戰所橋上小麓急還本第傳公訃夫人魯氏聞公立慬晝夜號哭因以殞命公無强近親戚子天柱時纔十歲餘矣斤春遂渴葬夫人於月谷先塋卽向北關自裁於公墓之傍聞者莫不壯而悲之天柱旣成立茹痛含寃常如在袒括之日以公體魄之藏遠在數千里外而斤春旣死無以綿蕝遂以公之遺衣服開夫人壙右而合封以成襄禮噫招魂虛葬禮家所不許而夫婦有同穴之義安知公之莫靈不待矢復而返此遺宅耶亦慽矣天柱有三子以素通政成素宗素以素三子泰英泰馨泰彬奉事成素二子泰炫泰興宗素一子守海公之后承殘替旣久近益蕃衍文行彬彬殆至數百家無乃公不食之報耶嗚呼壬癸島夷之亂忠勳義烈之士蓋夥矣而 朝家崇報之典亦至矣大則策勳啓封銘彝鼎而載太常小則貤贈旌表賁泉壤而光閭里公旣死於忠而妻從以烈奴殉以義一家三節誠于古所罕而上無 朝家旌贈之典下無公私記載之筆數百年來聲光沉沒而忠魂烈魄飮恨於九泉之下誠可悲也惜乎當世太史氏不能闡發幽潜特書公大節而繼以妻之烈子之孝奴之義以樹風聲於百世之下也公之后孫衡鎭光鎭來謁公狀德之文余生苦晩耳目不逮文獻無徵而且老病垂死筆力萎弱雖欲妄爲措辭强加揄揚其可得乎固辭不獲玆敢纂次如右以俟後之立言君子有以考信而採擇焉崇禎后四旃蒙單閼泰月下澣尙質張憲周 謹撰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皮封]玉山侍經案入納執齋戚拜候書哉生牛峯安友便付書轉達否亦不知浮沈惘然惘然更伏請比者侍學軆珍重增福蒹葭白露所懷伊誰每窓月流素伏枕呼美仲美仲不答驚而思之美仲乃遙遙秋南洲初意同欽齋龜東先叩高軒酙酌賢從其間必綾城觀光中洞金兄亦以是起去四方學者次第發動處子無耻於斯可見應也本非彼邊人而幸生 聖明之世雖無才無學豈無一番擧趾且久病餘疎暢却勝守寂傷神然則握手丁甯在那地先卜多買樽罍分籌鬪白呼盧握槊益得湖海氣麤肝膽躑躅池石海望間竟不知作何狀便匆不備上癸巳八月十三日弟奇應度拜首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示諸子文 吾家簪組相傳八百有餘祀矣麗朝五百年間代有聞人逮我先祖奉先公當衰季昏亂之際見時事日非退居平山別業有終焉之志能享壽考及見仲子寅齋公季子西湖公擢第於我朝之慶厥後枝葉蕃茂而以吾家直派言之西湖公之子爲典牲主簿其嗣爲社稷令高祖夷簡公弱冠魁科官至參贊有子三人其長爲郡守其次卽我曾祖官止松都都事其次爲參奉先王父以間世卓異之資妙歲登科進躡上揆爲世名臣自此吾家始爲巨室伯父東淮公以文章行誼爲諸名勝所推而拘於國制未展其才吾先考淸淳和茂濟以家庭之學而位不過貳卿不肖以寡學無識猥占科第分外官聯驟躐一品班次於丞相之下自顧慙靦寤寐靡寧且有八男子其長選爲諸曹郞今拜市令其次早年發軔歷玉堂入銓曹不無時望而舍弟曄時任玉堂亞長方與余同居造朝之時余乘軒首路曄與啓華次之呼唱之聲接於里中人或稱其貴盛而余則甚懼焉西湖公雖以寅齋爲兄纔拜正言掛冠歸隱主簿公及社稷公皆沈淪下僚且無兄弟顯要者參贊公顯掦當世而諸子俱未達先王父位極人臣名高一世而從祖父落拓不偶終未大顯如余不肖者濫叨謬恩竝與子及弟而俱入要津爲人所指點每一念之非福伊災噫余年迫六十世念俱灰閉門却掃日飮無何幾何而不爲泉下客汝輩念此父志謹飭自守如石慶家法不以官達爲榮唯思不虧其行檢敎訓子弟無替我家聲則余雖埋骨荒原無所知識四時奠杯或可以彷彿歆饗勖哉勖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趙汝吉文 惟靈名家典刑早受義方孝謹之性行誼出常靑春發軔驥足千里中經顚躓益敦素履脫略榮途視若浮雲人或詆排我獨奇君世運嬗變群陰剝陽洪流一潰莫可隄防吾儕凜凜愞縮囚舌君能挺然忠膽欲裂刳肝一疏可質神鬼衆鏑交集略無懾畏賁育之勇非人所奪天心悔禍泰茅斯拔寵以緋玉擢以天官人皆稱艶君不欣懽每懷謙挹思遂初服云胡一疾遽爾奄忽聞君將逝神氣不隕顧諸稚兒申復家訓翛然觀化弗悲弗戚死生之際尤見素畜嗚呼哀哉昔我中表最稱蕃茂合堂群居和樂相友浮生有涯石火相催轉頭之頃萬事悲哀唯君兄弟左挈右提一日不見惄焉傷懷君憂我憂我喜君喜親愛之篤實均同氣去歲之春君訪弊廬俯仰感慨相與欷戲黔陽小築近君鄕庄携手同歸期與倘佯籠禽未脫晩計猶存君去奚適遽負斯言呼君不譍哭君不識冥然漠然使我腸蝕恢疎之氣耿介之資戢之一木再覿無期平居笑談奄作千古白首踽踽疇與爲伍一爵來奠淚逬聲呑君如不昧庶格斯文嗚呼哀哉余自少聞歌曲中江湖有約十年奔走之語未嘗不惕然自警曰吾當未老先退至今蹲坐自以爲愧歲丁卯九月初余在江都凝香堂使偏禆李永世唱歌到江湖有約十年奔走之語余蹶然而起瞿然而歎曰此禆有警余之意乎余以不才素有江湖漫浪之意而遭逢聖世致位卿相無一毫禆補往來夢想未嘗不在於月浦沙鷗之間李禆知我心事耶吾今年六十萬事無心欲與此人掉孤舟倘佯於三江之間張網得魚酌酒自娛亦可得耶丁卯九月初六日汾翁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按使時童妓 湖州芳約自遲遲按使風流鬢已衰莫道綠陰今結子嬌姿猶記舊蛾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乾川權管金南煜 佔畢平生志未伸白頭螢雪困儒巾還將學海雕龍手變作關山射虎人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疊次長句韻 老夫平居無所事把筆猶能學題詩世故紛紛不須論人生何苦長皺眉莫言鍾鼎功名貴可笑滄桑轉頭移靑雲高步付兒曹白髮低垂任吾衰大醉狂吟恣跌宕文章不必凌雲辭鷽鳩惟堪槍楡枋駑駘敢竝驊騮馳空憐志士頭上日且進平生眼前巵偃蹇高臥足春睡從他俗子相譏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閔生弼亮內挽 夫子每訪我自詑賢內相三女與四男箇箇俱成長桑麻勤績紝倉囷有餘藏伯鸞與孟光佳耦世無兩造物固多戲長逝緣微恙流光迫遠期穿彼西山壙孤舟載丹旌滄海浩淼漭欒欒大小連行路亦涕釀相紼欲爲辭老懷增惻愴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大司馬酒席口占示諸公 銀燭華堂坐夜闌迢迢風露入簾寒罇前說盡平生事復續人間不盡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西河風雪韻 入春風雪轉崩騰奪序玄冥勢莫凌愁擁布衾如潑水强開塵硯却生氷休言驢背詩情動未信羔兒酒力憑深室閉門甘獨臥剡溪煙月興難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舟中醉次同行韻 平沙落日已全昏扶醉肩輿訪水村鷗鷺莫嫌歸去晩白頭思報聖君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南湖過張尙書亭舍有感 南湖尙憶住征橈此日還尋再度橋檻外雲山今古色樽前暮景去來潮繁花滿眼空延佇舊迹傷心已寂寥頭白世間知已盡不堪人事劇蕭條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伯父舊居有感 鴉軋孤舟下月溪百年人事只含悽春風無限桃花水一任尊前白日西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柳節度斐然挽 鈇鉞重臨細柳營隱然西塞一長城傳家志業恢雄略抵死勤勞出至誠北極中朝憂聖主邊關千里泣遺氓傷心薩水蛟龍雨獨灑丹旌返舊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堂姪瑞明文 維歲在壬寅十一月某朔某日干支堂叔某使子瑞華略具菲薄哭奠于瑞明之靈文以侑之曰嗚呼人有堂從孰不相好及其死亡孰不相悼我於先公情實倍之生爲鎔範死失蓍龜心焉如割彌久愈新一撤床琴池草空春幸有阿咸能趾其美人稱九苞我愛千里逸才翩翩聲冠後輩搏鵬一擧闔門生彩大寒陽春回薄有時天胡不弔君又止斯善慶仁壽斯理都非萱闈倚望暮出誰歸太史龍門舊業安托朝衣未故賜花如昨行人末宦粉旌凄涼耳目所到行路亦傷矧余失君斯痛曷忍想像平生有淚如霣把管題誄文豈洩臆雲溪夜集雅謔難續廣陵梅花有詩盈篋悲驩轉頭萬事風燭踽踽人間疇與爲伍三年枕塊疹疾成痼埋玉荒原哭不臨坎長淮白雲夢路增感嗚呼哀哉尙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98년 이승학(李承鶴)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戌陽月十九日 宗下 承鶴 戊戌陽月十九日 李承鶴 宗人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8년 10월에 李承鶴이 宗人에게 전한 간찰.딸의 혼사와 손자를 얻은 일 등의 안부를 전한 내용, 물가 상승으로 고민이라는 내용, 買田에 관한 내용 등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