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98년 이승학(李承鶴)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戌八月卄四日 生 李承鶴 戊戌八月卄四日 李承鶴 崔斯文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8년에 이승학(李承鶴)이 최사문(崔斯文)에게 최익현(崔益鉉)의 안부와 여러 가지 사정 등을 전한 간찰. 1898년 8월에 이승학(李承鶴)이 최사문(崔斯文)에게 안부와 여러 가지 사정 등을 전한 간찰이다. 수신인은 최사문으로 되어있는데, 최사문은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의 아들 최영조(崔永祚)로 추정된다. 사문(斯文)은 유학, 특히 성리학을 업으로 삼는 유생(儒生)을 지칭한 말이다. 이승학은 최사문에게 지난번 서울 여관에서 만났는데 아직도 기억하는지 묻는 말로 편지를 시작했다. 이어 이 같은 통탄의 세상에서 다행히 춘부장(春府丈, 최익현)이 계셔서 엄숙히 모범이 되어 주어 세상이 유지된다는 말을 하였다. 또 매번 춘부장을 찾아뵙고 문후를 여쭈고 배움을 얻고자 하는 마음은 간절하지만, 세상이 험하고 이승학 자신도 병이 많아 서글픔만 더해간다고 토로했다. 재작년에 춘부장께서 호남의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의 산재(山齋)에 오셨다고 하셨는데 이승학이 궁벽한 곳에 있다 보니 뒤늦게야 이 사실을 알아서 찾아뵐 기회를 놓쳐 한이 된다며 아쉬운 마음을 전했다. 계속해서 춘부장 최익현의 근래 안부를 묻고서 이승학 자신의 안부를 전했다. 이승학은 요사이 쇠약하고 병이 많아 대장부의 뜻을 이루지 못해 근심인데, 최근 4살 된 손자를 잃어 더욱 슬프다고 전했다. 이제 문중의 두 아이를 시켜 춘부장을 뵙게 하면서 편지를 함께 보낸다는 말을 하였다. 이승학(1857∼1928)은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제자로, 그의 손자 기우만과도 같은 문하이면서 사돈 사이이다. 같은 위정척사(衛正斥邪) 기치를 내세웠던 최익현과도 친밀한 사이라, 이승학의 문집인 ?청고집(靑皋集)?에도 최익현에 올린 편지가 실려 있기도 하다. 이 편지로 최익현뿐만 아니라 그의 아들과도 교유를 이어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皮封)崔斯文 侍執 拜啓長田 李生謹候漢邸旅館拜晤追逐想或 記得否于今星霜四置閏矣二難賢範夢想往來只恨無翼奮飛置身 左右以聽緖餘年來世變百㥘國威日削或不知趨痛深骨髓而何幸春府先生秉執益嚴立懶廉頑維持一世是誰之力也若非循路之木祈難乎免於今之世矣生在南陲雖不分東西每西向問 起居候欲備灑掃之誠日夜若水之東注而況有先人之好於先生生亦曾有拜謁而不能一造門下請 候世險路硬身多病故耿耿此心無地可布矣再昨年聞有南爲之駕及於松沙山齋而居僻後知失一番好機會悵恨何及也伏惟秋高春府先生道軆神扶貞吉侍候動止百福湛樂益勝遠切伏溯生慈省印分未昏而衰衰又多病六尺之軀不能自任平生桑弧之志將歸焉有亦甚悒悒而近失一孫稚爲四歲者殊無悰怳造物戱人甚哉今者門內二少輩進謁門下去遠地信禠不易敢達區區於先生兼 候斯文恕其誅而原其情則甚幸亦何可望也伏祈 心炯不貳謹上戊戌八月卄四日 生李承鶴拜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世事苦無常孰保長驩娛朝看歌舞舍夕或爲空墟崇替互遷易寵利安久居伊余性寡諧黙黙空守株翛然度朝昏出門無所如先民有遺言恐或墮緖餘脫略諸緣空冥寂一心虛始悟五千文妙旨歸於無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我有龍門琴一彈山水曲彈罷引壺觴陶然幽興足沈冥是達士醒者非吾屬白日未易繫淹留且秉燭厭厭成夜飮戶牖生朝旭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大醉中與洪生共賦 九日黃花謾自香客心寥落未含觴秪今頭白歸來晩栗里松篁已就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付次韻 滄浪子寒花晩節尙留香對此如何不盡觴醉後自吟彭澤賦秋來日憶故園荒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病中見梅有感 短短寒梅樹相隨渡海來不知人已病猶向枕邊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汾厓雜錄一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汾厓雜文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謝寄嚴敎授 一札何來問索居老夫綿力愧吹噓人生飮啄皆前定莫歎湖州失佩魚一尊秋露四鷄兒故意慇懃慰所思悵望停雲成獨酌醉中魂夢漫相隨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浿江贈柳按使悠久 浿江朝日輟行輈旌旆翩翩挾道周白首重來陳跡在靑眸相對故情優它鄕會合誠爲幸長路驅馳豈足愁且待仲秋明月夜滿尊官酒更淹留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箕城感吟 十里栽松院千年箕子城重來人事變斜日獨傷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安陵次西伯韻 關頭秋氣正悲哉病客驅馳懶上臺斜日曲欄人悄悄一尊誰屬淺深杯少年豪氣已全摧白首奔忙只自咍思量十載浮游地千里安陵九往來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西河大學士韻 鬢髮還從歲事新自憐浮世作陳人何時脫得簪纓累歸賞雲山爛漫春世事由來逐眼新白頭猶作未歸人悄然風雨寒齋夕愁夢空尋杜曲春【杜曲乃鄕庄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李斐仲赴丹陽 丹州形勝擅名區北闕殊恩佩竹符太守風流將一鶴仙人來去躡雙鳧壺中白日供吟嘯郡裏靑山逼畫圖自笑風塵猶蹩躠路隅頻見鬼揶揄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進退格】 神仙官府以爲家吟嘯琴堂逸興多肘後祕方句漏藥窓間秀色赤城霞黃紬日晏眠初起綠蟻春浮面正酡浮世功名難易此金門阻迹莫須嗟【令公每嘆少時見屈場屋故末句及之】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89년 이승학(李承鶴) 간찰(簡札)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己丑正月十一日 宗下生 承鶴 己丑正月十一日 李承鶴 宗人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9년 1월에 李承鶴이 宗人에게 보낸 간찰. 흉년에 대한 언급한 내용, 이곳에서 가는 族人을 잘 돌봐줄 것을 부탁하는 내용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皮封]上書臨歲賜答伏拜伏感獻發有日慕仰尤切伏未審正元篆軆度迓新萬康 衙節俱爲泰平伏慕區區不任下誠宗下生省率僅得無何於新年萬萬伏幸而歉歲物情有難救道窮春經歷姑未知如何得宜伏切漆憂而已?白此去鄙族方以宗事有事於 治下族人家玆以冒恳其在室之誼曲垂下恤之澤千萬千萬伏惟下照不備謹上書己丑正月十一日宗下生承鶴再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皮封]謹拜候一周年追遊軒屛歸臥山屋思惟得非南柯雖然至滿于中無時不北望瞻誦伏詢至寒台體候萬旺今冬供仕夙夜之勞何如賢胤課業日懋益伏溯區區頃自汝寬族書中傳聞有綠林之夜驚聞甚悚駭而都下如是則外方何論擾物姑舍亦可以觀世變奈何奈何族下秋圍之左右狼狽無奈命運不足而做事本自歇后亦何望哉但歸時爲雨水生病歸家尙未蘇往往作苦自憫而已京鄕間諸族家秋無見參門運空耶還可笑也明春又聞有增廣云果然耶雖無坐停之意更無振作之氣奈何汝寬族亦安過耶趨趁欲探候而無便未能負之悚之統希照納不備謹候禮辛卯至月卄九日族下承鶴拜手去核二斤伴呈耳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98년 이승학(李承鶴)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戊戌二月四日 記下 李承鶴 戊戌二月四日 李承鶴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8년 2월에 이승학(李承鶴)의 동갑(同甲)의 지인에게 새해 인사를 전한 간찰. 1898년 2월에 이승학(李承鶴)의 동갑(同甲)의 지인에게 새해 인사를 전한 편지이다. 편지는 지난번 만남을 되새기며 그리움을 표하고, 이어 이승학 자신의 안부를 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이승학은 저물어 가는 무렵에 동갑의 지인을 만나 진실로 위로가 된다고 하고, 지난날 밤에 함께 등불을 켜고 술을 마시던 즐거움을 잊을 수 없다고 회상했다. 이어 상대방의 안부를 물으며 가는 곳마다 주천(酒泉)일 것이니 걱정 없이 마음껏 마시고 기분을 풀 수 있을 것이라는 말을 하였다. '주천'이라는 말로 짐작하건대 주천의 지명이 있는 경북 예천(醴川)이나 강원도 영월(寧越)에 상대방이 거주한 것으로 보인다. 이승학이 지명을 두고 한 말이 아니라면 상대방이 기거하는 곳이 물이 좋다고 이름난 지역일 가능성도 있다. 상대방에게 덕담한 후 이승학은 자신의 안부를 전했다. 해가 바뀌는 시기에 감기가 심해져서 감삼탕(甘蔘湯)을 시음하여 효과를 보아 담증(痰症)이 조금 나아졌다고 근황을 전했다. 이어 이 편지를 가지고 가는 김씨(金氏) 친구는 고풍(古風)이 진작되고 있는 인물이라고 칭찬하며 이 친구에게 우선 안부를 전한다고 하며 편지를 마쳤다. 추신으로 풍동(豊洞)의 여러 식구에게는 따로 편지를 드리지 못하니 새해 안부를 전해달라는 내용을 덧붙였다. 추신의 내용으로 보아 이승학이 상대방의 친척과도 우애가 있는 관계였던 듯하다. 피봉의 수신란에 호(號)로 보이는 '석초(石初)'로만 표기되어서 수신인을 알 수 없다. 다만 편지 본문에 '동경(同庚)'이란 말로 동갑의 지인이라는 것만을 짐작할 뿐이다. 이승학(1857∼1928)의 본관은 전주(全州)로, 양녕대군의 후손이며, 자는 자화(子和), 호는 청고(靑皋)이다. 전남 담양 장전리(長田里)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기정진(奇正鎭)의 문인인 진사 이최선(李最善)이고, 이승학 본인도 기정진의 문하에서 배웠다. 아들 이광수(李光秀)는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의 제자이다. 을미사변(乙未事變) 때 팔도에 격문을 보내어 의병을 일으키기도 했다. 문집으로 ?청고집(靑皋集)? 4권을 남겼다.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