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기관별 검색

검색 범위 지정 후 검색어를 넣지 않고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분류 내 전체 자료를 볼 수 있습니다

전체 으로 검색된 결과 84193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旅寓 看看時序過三三旅邸羈懷自不堪城闕曉鍾成短睡一蓑春雨夢江南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李郞韻示香翁 獨臥空齋怯曉寒閒愁悄悄未開顏可憐求艾七年病多愧喫醋三斗酸心似鳧鷗閉深栅身如舴艋沿危灘老妻有酒解相勸磈磊胸襟時自寬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別李員外【益壽】赴湖西幕 錦江春水碧於苔綠蟻初浮白玉杯幕府紅蓮觴詠興何如簪筆上烏臺鳳毛文彩映朝端筆下詞源倒峽瀾莫歎少年違禁闥浮榮從古等邯鄲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沈知事之溟挽 和光雅性自溫溫閱盡滄桑素履敦盛世忠勤封節度童年聲譽李長源重開喜宴顏猶少狎主耆英齒獨尊南極忽驚星晦彩巍然魯殿更誰存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金監察胤重挽 轉頭存歿太無端欲寫哀辭淚自潸怊悵鷹洲一片月昔年佳會已難攀翩翩豪氣大家風白首霜臺老殿中路上揶揄終見笑欲將窮達問蒼穹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除夕感吟 齋居悄悄似僧房一座蒲團一炷香病裏漸知人事絶老來偏覺歲時忙寒梅點綴迷殘雪凍雀飛飜噪夕陽只有愛根磨不盡笑看稚子列成行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呂尙書聖齊壽筵次南壺谷韻 純陽花甲再回年卿月還兼壽耀懸蘭玉交輝爭獻祝金犀分秩共登筵持杯謔浪情偏洽秉燭留連膝更前知己世間能有幾欲將山水託牙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亡室贈貞夫人沈氏誌銘 亡室沈氏系出靑松靑城伯德符之後領議政悅之孫校理煕世之女也母密陽朴氏平康縣監安鼎卽外王父也生於天啓丁卯十五歸余乙未寢疾不起得年廑二十九歿後十八年壬子余擢湖臬恩贈貞夫人擧三男二女男長徵華有志行娶執義李翔女年二十夭有遺腹子亦未朞而夭次曰瑞華陞上舍今爲刑部郞娶奉事權誨女生二男一女次曰啓華擢第今爲弘文修撰娶府使李敏章女生一男二女女長許嫁夭次歸士人李碩亨生一男一女初葬於廣州治東雙橋里某坐之山某年某月某日移窆於忠州仰巖里先君墓下某坐之原將與余爲同兆異室計也君端潔巽順在室一遵女訓雖生長紈綺而絶無驕貴之習及入吾門兢兢自持事舅姑備盡誠孝平居侍坐不命之退則不敢去每當壽辰令節必盛備時膳手自製衣以進父母嘉之常稱吾婦古哲婦也憐愛特甚妯娌姊妹之間有無相資雖素所愛玩者亦不惜焉余自少好施與每見貧窶者輒脫衣與之君以爲此男子事略無靳嗇之意性絶聰慧年十二議政公方長度支計出納贏縮之數握算者或未易究自衙還試擧而問君君屈指再三便對曰幾許後果契合公甚奇之校理公素稱博雅每燕居談說古今事君皆默識之能辨其是非得失雖不解文字其見識猶讀書人也然沖謙隱默兄弟之間亦不誇詡人亦不知其敏悟如是也顧余追念傷惋久而不忘者余自弱冠累入禮闈君必終夜不寐點檢試具思見余一日之榮而偃蹇不第十年窮悴當君之疾革也抱啓兒在懷泣謂余曰此兒甚佳期覩其成長終不可得乎余亦漱漱涕下于今數十載之間余忝登科第官至上卿啓也亦少年發軔名薦翰苑使余獨享榮貴而君漠然無知吾安得不悲然而人生有涯冥限亡窮若使魂魄相隨知覺不昧則其終團圓好合以洩此懷也耶吁聊綴銘以識曰外純內朗稟㜫質有子若孫死不滅三紀相隔獨我衋九原同歸庶可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亡子徵華墓表 冢子徵華歿已二十有一年矣每傷其苗而不秀欲略記平日行事以表其墓今余忽寢疾委床簀已久恐一朝溘然無以遂其意乃使其弟啓華援筆口道而書之嗚呼悲夫余初娶靑松沈氏弘文館校理煕世之女擧三男二女徵華序居長生質甚美自孩提有嶷然之度與群兒遊不妄嬉笑歲丙戌先大夫出守湖南時年始四歲能離母從往唱喏如成人少長先大夫提而誨之略涉經史文義自進嘗爲其舅作誄文悲惋頓挫大有作者氣先大夫亟加稱賞庚子辛丑余連遭巨創遘疾幾殆不能親自哭奠渠皆代而行之退則手執湯劑服勤左右晝夜不少懈自是勞悴成疾至壬寅二月二十五日竟不起距生年癸未纔二紀也娶執義李翔女遺腹有子名曰天幸姸好端正克肖其父亦未朞而夭嗚呼痛哉渠之生也余年甫踰舞象父母在堂夫婦無恙繼而連產子女人謂余福履未艾而視渠輩如掌上珠也七八年間家禍荐疊喪配耦失怙恃長女許嫁而夭渠亦無子而札使余備盡人間慘毒之戚其冥然獨不死者何也到今兩兒俱立朝有嗣續他子女亦滿前足以娛我晩景而追念往事未嘗不怛然疚懷也初葬於廣州治東雙橋里某坐之原爲近母葬也以某年月日移窆於忠州仰巖里先人墓下某坐之原以某之子某爲後繼祀庶可泄其無窮之痛耶吁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皮封]大谷 宗中 僉執事興洞族末 謝書景仰中承拜下狀謹審霜令僉起居萬重仰慰仰慰宗末門運身數俱爲孔酷荐遭慘毒之喪寸腸如裂衰老漸甚自憐奈何廣明洞先山改莎之役賴宗氏之拔身幸以完役欣忭曷已始役時未乃得聞歇未往見愧歎愧歎此來僉宗阻餘敍懷而無味於科事可歎 下惠白文用於兒輩科需良感良感餘不備狀禮僉下照謹謝書癸未九月十九日 族末東憲再拜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93년 조용숙(趙鏞肅)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癸巳七月卄九日 弟 趙鏞肅 癸巳七月卄九日 趙鏞肅 李光秀 전남도청(2020년 구입 의병자료)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3년 7월에 조용숙(趙鏞肅)이 이광수(李光秀)에게 보내준 시(詩)에 대한 감사 인사와 안부를 전한 간찰. 1893년 7월에 조용숙(趙鏞肅)이 이광수(李光秀)에게 보내준 시(詩)에 대한 감사 인사와 안부를 전한 편지이다. 편지는 피봉과 편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편지지 배면까지 내용이 적혀 있다. 편지 첫머리는 우애(友愛)를 확인하는 내용이 보인다. 조용숙은 자신이 용렬한 재주와 못난 자질로써 지향하는 것도 고루하고 학문도 얕아 교유하는 이들이 넓지 못해 자신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가르침을 받지 못하는데, 이광수만이 집안 대대로 맺은 우호를 지키며 저를 비루하게 여기지 않았다고 하며 고마움을 전했다. 또 집으로 처음 찾아갈 때 잠깐 이야기를 나누었는데도 마치 오래도록 사귄 벗과 같았다고 회상했다. 그 후 헤어진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삼백 리 먼 길까지 편지를 부쳐주시고, 5언과 7언의 절구시(絶句詩) 2편을 보내주셔서 감사하다고 하였다. 보내준 글에는 곡진한 마음이 담겨 있어서 황홀함이 마치 상대방을 대한 듯 하다고 글에 대한 감동을 덧붙였다. 또 듣자니 솔바람 부는 언덕의 정자에서 술잔을 기울이며 시 모임을 했다고 하는데, 저와 같은 미천한 사람이 그 모임의 시를 얻을 수 있어서 매우 감사하다고 하고, 보답하려고 했으나 인편을 구하기가 쉽지 않았고, 이후 소식까지 전하지 못해 의아했을 것이라며 죄송한 마음을 전했다. 이어 조용숙은 이광수의 안부와 그 가족들의 안부를 두루 물었다. 서울에 계신 가족의 안부 소식은 계속해서 전해지는지, 부모님을 모시고 학문하는 생활은 좋으신지 묻고 더 노력하여 운남(雲藍) 어른의 기대를 저버리지 말라고 하였다. 이어 하룻밤에 사나운 바람이 일어서 조용숙이 사는 영남 전 지역에 대살(大殺) 기운이 퍼져 흉년이 이어지고 있다고 하며, 이전에 나라를 걱정하며 풍년을 기원했던 것이 진실로 이것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계속해서 조용숙 본인의 안부를 전하기를, 요즘 생활은 특별할 것이 없고 다만 조부모님과 부모님이 예전과 같이 별 탈 없이 지내셔서 다행이라고 하였다. 계속해서 이광수 가족과 친지들에 대한 안부 인사가 이어졌다. 이광수의 아버지, 즉 이승학(李承鶴) 어른께서 서울에서 아직 돌아오지 않은 듯하여 편지를 따로 드리지 않는다는 말과 함께 마을의 친족 어르신과 친우들은 두루 평안한지 물었다. 어느 때나 만날 수 있을지 알 수 없어서 편지지를 대하고 더욱 서글퍼진다는 말로 편지를 마쳤다. 조용숙(趙鏞肅, 1867~1929)의 본관은 함안(咸安)이며, 초명은 용대(鏞大)이다. 자는 사흠(士欽), 호는 복재(復齋)이며 진주(晉州) 출신이다. 할아버지 조성가(趙性家)에게 수학하였고, 송병선(宋秉璿) · 기우만(奇宇萬) · 김평묵(金平默)을 사사하였다. 1895년 을미사변(乙未事變)이 일어나자 지리산 밑으로 이사하여 석실정사(石室精舍)를 짓고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에 힘썼다. 태극동정설(太極動靜說) ·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 · 이선기후설(理先氣後說) · 명덕설(明德說) 등은 기정진(奇正鎭)의 학설에 기본을 두고 절충식 방법을 취하였다. 위정척사 의식을 표방한 「부정척사론(扶正斥邪論)」 등의 저술을 남겼다. 문집으로 ?복재집(復齋集)? 10권 4책이 전한다.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人韻 羞殺長安滿帽塵年年添却鬢毛新殘花入眼驚時序又送人間甲子春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李判書䎘夫人挽 鸞誥從夫貴猿腸哭子悲愛根嗟未斷危疾竟難醫長簟潘安慟秋風孫楚辭平生座上客題挽淚堪垂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入冬來齒髮衰落殆盡感成一律寄贈李彝仲諸人 冥途蹩躄縛塵緣生世支離五十年齒髮已非吾所有形骸安得獨能全蠶眠到熟身將了鳥倦知還理所然回首雲山頻悵望枕邊猶自夢寒泉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松磵李季周韻 病入新年劇還嗟有此身白頭淹宦跡靑眼隔儒珍鴉谷雲山裏鷹庄漢水濱悵然勞夢想歸意定相均【鴉谷松磵之居鷹浦乃余別業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崔學士汝和來訪酒席口號 老夫無事晝關門何幸今朝共酒樽却喜令公香滿席漫天風雪一堂溫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連夜夢見靜觀李幼能款款如平素感吟一絶寄壺谷梅澗 芝洞風流迥出塵黃壚舊跡幾經春傷心死別呑聲久中夜分明入夢頻【芝洞靜觀別業也】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踏靑日感吟 鳴鳩拂羽鳥喃喃牢落柴扉掩郭南節序悤悤經百五風光冉冉屬重三蘭亭古事今全負洛水遊人孰正酣悵望佳辰懷往迹白頭趺坐似禪參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詩卷 高適爲詩年五十吾今加入竟何成只緣伎倆無餘事欲托吟哦瀉性情

상세정보
저자 :
(편저자)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陶徵士歸田園六首韻 夙慕向子風志欲探名山樊籠久閉藏倏忽經歲年昏嫁未及畢西日迫虞淵思歸苦未歸荒彼南山田棲心雲水外寓跡塵土間官位忽隆顯班在百僚前世故莽無際浮榮等雲煙靑銅照鬢髮霜雪紛盈顚爲甿受一廛庶保隴畝閒冥行不知止殆辱理所然

상세정보
84193건입니다.
/4210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